페레스트로이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레스트로이카는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추진한 개혁 정책으로, 소련 공산당의 일당 독재를 개선하고 경제를 재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와 함께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며, 경제 개혁으로는 국유 기업의 임대, 주식회사 설립, 개인 기업 허용 등이 이루어졌다. 대외 무역 및 농업 개혁도 시도되었으나, 시장 도입으로 인한 경제 혼란, 민족 갈등 심화, 8월 쿠데타 등을 겪으며 소련 체제 붕괴로 이어졌다. 동구권 민주화와 냉전 종식에 기여한 정책으로 평가받으며, 중국 경제 개혁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개혁 - 신경제정책
신경제정책은 1921년 레닌이 전시 공산주의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소련의 경제 정책으로, 농민의 사유지 소유 허용 및 농산물 거래 자유화 등 시장 경제의 일부 요소를 도입하여 농업 생산량 증대에 기여했으나, 스탈린에 의해 폐지되고 계획 경제 체제로 전환되었다. - 소련의 개혁 - 코시긴 개혁
코시긴 개혁은 1965년 알렉세이 코시긴 주도로 시작된 소련의 경제 개혁으로, 기업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이윤 개념을 도입하려 했으나 생산 비용 증가, 부패 등의 문제로 소련 경제 침체를 가져왔다.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스타트 I
START I은 미국과 소련 간의 전략 무기 감축을 목표로 1982년에 시작되어 1991년에 조인된 조약으로, 핵탄두 수와 운반 수단을 제한하고 1994년에 발효되어 15년간 유효했다.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소련의 대통령
소련의 대통령은 1990년에 신설되어 군대 최고 사령관, 법안 제안 및 거부권, 총리 임명 및 해임 권한 등을 가졌으며, 초대 대통령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였으나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폐지되었다. - 소련의 붕괴 - 1월 사건 (리투아니아)
1991년 1월, 소련군이 리투아니아의 독립 선언에 대응하여 무력 진압을 자행, 빌뉴스 텔레비전 타워와 라디오 방송국을 공격하여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리투아니아 독립 투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소련의 붕괴 - 8월 쿠데타
8월 쿠데타는 1991년 소련 부통령 겐나디 야나예프 등 보수파가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개혁에 반발하여 권력 장악을 시도했으나 옐친과 시민들의 저항으로 실패하고 소련 붕괴를 촉진한 사건이다.
페레스트로이카 | |
---|---|
페레스트로이카 | |
![]() | |
러시아어 | перестройка |
로마자 표기 | perestroyka |
문자적 의미 | 재건, 구조조정 |
소련 정치 | 이데올로기 |
개요 | |
개요 | 는 를 의미하며, 미하일 고르바초프 시대 소련에서 시작된 정치적, 경제적 개혁 운동이다. |
의미 | 러시아어: перестройка, 로마자 표기: perestroika, 의미: '재건', '구조조정' |
목적 | 소련 경제의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를 되살리기 위함. 사회와 정치 체제 개혁. 글라스노스트와 함께 추진됨. |
배경 | 소련 경제의 장기적인 침체, 냉전으로 인한 과도한 군사비 지출, 사회 전반의 불만 증가 |
주요 내용 | |
경제 개혁 | 일부 시장경제 요소 도입 시도. 국영 기업의 자율성 확대. 개인 사업 및 협동조합 일부 허용. |
정치 개혁 | 글라스노스트 (개방) 정책을 통해 정보 공개 및 언론 자유 확대. 공산당 권력의 일부 제한. 복수 후보제 도입. |
영향 | |
국내적 영향 | 소련 사회의 변화와 개혁에 대한 기대감 증가. 경제 혼란과 사회적 불안정 심화. 공산당에 대한 불신 증가. 소련 해체 과정을 촉진. |
국제적 영향 | 냉전 완화 및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 베를린 장벽 붕괴 및 동독 몰락의 중요한 요인. 미국과의 관계 개선. |
평가 | |
긍정적 평가 | 소련 사회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개방 사회로 나아가는 데 기여. 냉전 종식에 기여.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 |
부정적 평가 | 계획 경제 체제와 시장 경제 체제 사이의 과도기적 혼란 심화. 경제 붕괴와 생활 수준 하락 초래. 소련 해체로 이어짐.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비판 존재.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미하일 고르바초프: 페레스트로이카를 주도한 소련의 마지막 공산당 서기장. |
기타 인물 |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 고르바초프의 측근이자 페레스트로이카의 핵심 설계자 중 한 명.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무장관, 페레스트로이카 외교 정책 추진. |
기타 | |
관련 용어 | 글라스노스트 (개방):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추진된 정보 공개 및 언론 자유 확대 정책. 우스코레니예 (가속화): 소련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려는 계획.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고르바초프와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가 세상을 바꾼 방법 고르바초프의 혁명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정의 및 소비에트 연방 Armageddon Averted 고르바초프, 1989년에 대해 「페레스트로이카에서 논의된 과제의 대부분은 미해결 상태」 고르바초프 인터뷰 상세 보고 「페레스트로이카란 무엇인가・셰바르드나제 회고록을 중심으로」 |
2. 어원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1986년 사마라주 톨리야티에서 행한 연설에서 '페레스트로이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언급하였다.[31]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 서기장 취임 이후 소련 경제의 침체를 극복하고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1985년 5월, 그는 레닌그라드에서 경제 발전의 둔화와 불충분한 생활 수준을 인정하는 연설을 했다.[11]
3. 역사적 배경
1986년 2월 제27차 당대회에서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 '우스코레니예'(가속화), '인적 요소', '글라스노스트'(개방성), '호즈라스쬽 확장'(경제 계산)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개혁의 방향을 제시했다. 초기에는 중앙 계획 경제를 수정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이후 보다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하게 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성향의 "구세대"를 깎아내리는 것 이상의 정치적 자유화를 추진했다. 1987년 1월, 그는 당 지도부를 거치지 않고 국민들에게 직접 호소하여 민주화를 촉구했다. 이전에는 지역 소비에트 구성원이 지역 공산당 지부에서 임명되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후보들 중에서 국민이 선출하게 되었다.
1989년 3월 선거를 통해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처음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소련 유권자들이 최초로 전국 입법 기관 구성원을 선출한 것이다. 선거 결과는 집권 엘리트들을 놀라게 했다. 전국적으로 유권자들은 반대 후보가 없는 공산당 후보들을 투표용지에서 제외했는데, 그중 상당수가 유명한 당 간부들이었다.
1987년 6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고르바초프는 그의 "기본 논제"를 제시했는데, 이는 소련 멸망까지 경제 개혁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1987년 7월, 소련 최고회의는 국영 기업법을 통과시켰다.[12] 이 법은 국영 기업이 소비자와 다른 기업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1988년 5월에 제정된 협동조합법[13]은 서비스, 제조, 외교 무역 부문에서 사유 재산을 허용하여, 블라디미르 레닌의 신경제정책이 폐지된 이후 가장 급진적인 경제 개혁으로 평가받는다.[14]
고르바초프의 개혁은 소련의 대외 경제 부문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무역 운영에 대한 무역부의 독점을 사실상 없애고, 각 산업 및 농업 부문의 부처가 대외 무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지역 및 지방 조직과 개별 국영 기업이 대외 무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는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개혁 프로그램의 배후에 있는 지적 원동력으로 여겨졌다.[15] 그는 개혁 프로그램을 옹호하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고르바초프의 경제 변화는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부진한 경제를 재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어느 정도 탈중앙화를 이루었지만, 가격 통제와 루블의 비전환성, 생산 수단에 대한 대부분의 정부 통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3. 1. 시행 기간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1986년 사마라주 톨리야티에서 행한 연설에서 '페레스트로이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의 시행기는 대략 1985년에서 1991년까지 이어진 것으로 여겨진다.[11]
3. 2. 시대적 상황
소련 공산당의 일당 독재가 60년 이상 지속되면서 정부와 경제 체제가 경직되어 있었다.[31] 1980년대 소련 경제는 침체 상태에 있었으며,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5년 레닌그라드 연설에서 경제 발전 둔화와 낮은 생활 수준을 인정했다.[11]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소련 체제의 문제점을 드러냈고, 이는 개혁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32][33]
4. 개혁의 내용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레닌그라드 연설에서 경제 발전 둔화와 불충분한 생활 수준을 인정했다.[11] 이 프로그램은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제27차 당 대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페레스트로이카", "우스코레니예"(가속화), "인적 요소", "글라스노스트"(개방성), "호즈라스쬽 확장"(경제 계산)을 언급하며 더욱 발전되었다.
고르바초프는 집권 초기(1985~87년) 중앙 계획 경제 수정을 언급했지만, 실질적인 근본적 변화는 없었다("우스코레니예"; "가속화"). 이후 고르바초프와 경제 자문관들은 페레스트로이카(개혁)로 알려진 근본적인 개혁을 도입했다. 1987년 6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고르바초프는 "기본 논제"를 제시, 소련 멸망까지 경제 개혁의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는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개혁 프로그램 배후의 지적 원동력으로 여겨졌다.[15] 1985년 여름, 야코블레프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부장이 되었다. 그는 개혁을 옹호하고 정책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야코블레프는 공산주의 흑서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이후 페레스트로이카는 경제 개혁과 정치 개혁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경제 개혁: 1987년 7월, 소련 최고회의는 국영 기업법을 통과시켰고,[12] 1988년 5월 제정된 협동조합법[13]은 고르바초프 시대 초기 경제 개혁 중 가장 급진적이었다.[14]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 참조)
- 정치 개혁: 1989년 3월 선거를 통해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처음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소련 유권자들이 최초로 전국 입법 기관 구성원을 선출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 참조)
고르바초프의 경제 변화는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부진한 경제를 재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개혁은 어느 정도 탈중앙화를 이루었지만, 가격 통제, 루블 비전환성, 생산 수단에 대한 대부분의 정부 통제는 유지되었다.
4. 1. 경제 개혁
1985년 5월,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레닌그라드 연설에서 경제 발전 둔화와 불충분한 생활 수준을 인정했다.[11] 고르바초프는 집권 초기(1985~87년) 중앙 계획 경제 수정을 언급했지만, 실질적인 근본적 변화는 없었다("우스코레니예"; "가속화"). 이후 고르바초프와 경제 자문관들은 페레스트로이카(개혁)로 알려진 근본적인 개혁을 도입했다.1987년 7월, 소련 최고회의는 국영 기업법을 통과시켰다.[12] 이 법은 국영 기업이 소비자와 다른 기업의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자유롭게 결정하도록 규정했다. 기업은 국가 주문을 이행해야 했지만, 나머지 생산량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국가는 여전히 기업 생산 수단을 통제하여 완전한 원가 책임제 시행 능력을 제한했다. 이 법에 따라 기업은 자체 자금 조달, 즉 수익을 통해 경비(임금, 세금, 물품, 부채 상환)를 충당해야 했다.
1988년 5월 제정된 협동조합법[13]은 고르바초프 시대 초기 시행된 경제 개혁 중 가장 급진적이었다.[14] 1928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신경제정책 폐지 이후 처음으로 서비스, 제조, 외교 무역 부문에서 사유 재산을 허용했다.
고르바초프는 소련 대외 경제 부문에 페레스트로이카를 도입했다. 무역부의 무역 운영 독점을 없애고, 각 산업 및 농업 부문 부처가 책임 부문 대외 무역을 수행하도록 허용했다. 지역 및 지방 조직, 개별 국영 기업도 대외 무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고르바초프 대외 경제 부문 개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소련 각 부처, 국영 기업, 협동조합과 합작 투자 형태로 외국인 투자를 허용한 것이다. 1987년 6월 시행된 소련 합작 투자법은 외국 지분을 49%로 제한하고 소련 시민이 회장과 사장 직을 맡도록 요구했다. 서방 파트너들의 불만 제기 후, 정부는 외국인 지분과 지배권을 허용하도록 규정을 수정했다.
고르바초프 경제 변화는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부진한 경제를 재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개혁은 어느 정도 탈중앙화를 이루었지만, 가격 통제, 루블 비전환성, 생산 수단에 대한 대부분의 정부 통제는 유지되었다.
4. 1. 1. 자금 조달 및 사적 기업 설립권
1988년, 정부는 국유기업을 노동자에게 임대하여 경영권을 일임하는 조치를 취했다. '국유기업의 임대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임대된 기업은 기본적인 소유 관계는 국가 소유로 유지되지만, 경영권은 임차인에게 일임되었다. 임대 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임대료와 세금 등 의무 납부금을 제외하고 전액 임차인의 소득으로 귀속되어 노동자들에게 배분되었다. 임대 기업은 임대 계약에 명시된 국가 주문 생산을 제외하면 생산 및 판매 활동을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 없이 자율적으로 수행했다.[43]1990년 6월에는 '주식회사 및 유한회사에 관한 규정'과 '유가증권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어, 기업 자산 전액에 상응하는 주식 발행을 통한 본격적인 주식회사 설립이 가능해졌다.[44]
1986년 11월에는 '개인 및 가족기업법'이 채택되었다. 이 법은 소비재, 수공업 및 서비스 부문에서 법률에 구체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분야를 제외하고는 민간의 생산 활동을 합법적으로 허용했지만, 고용 노동은 인정하지 않았다.[45]
1988년 5월에 채택된 '협동조합법'은 1986년 11월 '개인노동활동에 관한 법' 제정으로 일부 가내수공업, 개인택시, 자동차 수리 등 일부 서비스 부문에 한해 개인 영업이 허용되었던 것을 더욱 확대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협동조합은 3인 이상의 집단에 의해 설립될 수 있었으며, 1986년 11월 '개인 및 가족기업법'과는 달리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고, 생산 수단의 임차 및 구입권을 허용하여 비국가적 소유 형태 출발의 단초를 제공했다.[46] 협동조합 기업은 3인 이상의 조합원이 자산과 정관을 마련하고 등록하면 설립할 수 있었으며, 노동력 고용은 물론 법에 의해 명백히 금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분야에서 생산 활동이 허용되었다.[47]
1990년에는 협동조합 기업의 약 39%가 제조업과 건설 부문에 종사했으며, 이들은 협동조합 기업 총생산의 절반을 담당했다. 대다수는 모(母) 국영 기업과 일종의 임대차 협정을 기초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협동조합 기업의 국영 기업에 대한 이러한 의존은 소련 경제에서 중앙집권적 계획의 지속적인 지배를 잘 보여주는 것이었다.[48]
1990년 6월, '협동조합법'과 '국영기업법' 등을 대체하고 소련 시대 기업법을 총결산하는 '소비에트 연방 기업법'이 채택되었다. 이 법은 소유 형태에 따라 개인 기업과 가족 기업 등 소연방 시민의 소유에 기초한 기업, 협동조합, 사회조직 등이 소유한 집단적 소유에 기초한 기업, 그리고 각급 정부가 소유한 국가적 소유에 기초한 기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기업들이 자체 활동의 조정을 통해 콘체른, 기업 연합 및 기타 형태의 기업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여 기업이 국가 통제 조직인 부(部)의 통제로부터 벗어나 경영할 수 있게 된 점과, 노동자를 고용 및 해고하는 권리를 공식적으로 허용하는 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다.[49][50]
4. 1. 2. 대외 무역 개혁
1989년과 1990년 사이에 무역 분권화가 이루어져 무역 권한이 산업 부처, 기업, 지방 자치제, 협동조합에까지 확대되었다.[51] 1989년 4월, 모든 기업과 조직은 대외 무역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51] 그 결과, 무역 중개 기관의 수가 급증하고, 수출입 업무 권한, 취급 품목 및 활동 범위가 확대되었다.[51]그러나 이러한 대외 무역 권한 확대에도 불구하고, 1989년 3월과 12월에 도입된 중요 수출입 품목에 대한 허가제와 쿼터제로 인해 기업의 무역 활동 자율성에는 여전히 많은 제약이 있었다.[51]
4. 1. 3. 농업 개혁
1988년 토지임대법이 채택되면서 농민들은 50년 기한으로 토지와 농기계를 임대할 수 있게 되었다.[52] 토지이용권은 상속이 가능했고, 농민들은 수확물을 자유롭게 처분하여 시장에서 판매하거나 합의된 가격으로 국가에 판매할 수 있었다.[52] 그러나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국영 농장과 집단 농장을 해체하는 급진적인 결정은 하지 않았다.[53] 고르바초프의 농업 개혁은 국영 농장 폐지가 아닌, 노동 조직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농장 기본 구성 단위에 대한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국유 생산 조직 내에 사적 동기 부여 요소를 주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53]4. 2. 정치 개혁
고르바초프는 1986년 2월 제27차 당대회에서 제시한 개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정치 성향을 가진 "구세대"를 깎아내리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그는 기존의 소련 공산당(CPSU)을 통해 일하려는 전략을 바꾸고 정치적 자유화를 어느 정도 수용했다. 1987년 1월 그는 당 지도부의 머리 위로 국민들에게 호소하여 민주화를 촉구했다.[31] 이전에는 지역 소비에트의 구성원이 지역 공산당 지부에서 임명되었지만, 이제는 다양한 후보들 중에서 국민이 선출하게 되었다.1989년 3월 선거를 통해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처음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소련 유권자들이 최초로 전국 입법 기관 구성원을 선출한 것이다. 선거 결과는 집권 엘리트들을 놀라게 했다. 전국적으로 유권자들은 반대 후보가 없는 공산당 후보들을 투표용지에서 제외했는데, 그중 상당수가 유명한 당 간부들이었다. 이들은 명목상으로 주어진 기재된 후보에 대한 승인을 거부할 권리를 이용했다.
1990년 7월 제28차 당대회까지 고르바초프의 개혁이 광범위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음이 분명해졌다. 소련 구성 공화국의 여러 민족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소련으로부터 분리하고 궁극적으로 공산당을 해체하려고 했다.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를 민주적인 방향으로 개선해 나갔다.[31]
원래는 경제적 측면의 개혁만을 목표로 했으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정치적 개혁 또한 추진하게 되었다.[32][33]
5. 개혁의 영향
개혁 초기 우라늄 생산량이 4배 이상 급증했다. 후반기 보리스 옐친 시대에는 외국 은행의 개입을 받아 관공 사업이 비민주적으로 매각되었다. 카자흐스탄의 분리와 함께 러시아 연방이 된 이후 우라늄 생산량은 개혁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다.[38]
영어권 국가에서는 "리스트럭처링"[36]이나 "리컨스트럭션"[37]으로 번역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 영국의 대처 정권과 미국의 레이건 정권에서 실시된 재정 개혁, 산업 구조 전환 정책 또는 민간 기업의 조직 개편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일본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고 있는 "리스트라"의 어원이 된 단어이다.
5. 1. 긍정적 영향
페레스트로이카는 동구권의 민주화를 추진하고 냉전 종식에 기여한 정책으로, 주로 구소련 이외의 국가들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31]5. 2. 부정적 영향
페레스트로이카는 소련 경제의 혼란을 심화시켰다. 시장 도입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고 물자가 부족해져 국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31] 또한, 소련 내부의 공화국들에서 내셔널리즘 정당들이 출현하고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민족 의식이 고조되면서 1987년 중반 아제르바이잔에서 발생한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을 시작으로 민족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2023년 일시적인 해결을 보았지만, 여전히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39]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는 소련 공산당 보수파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페레스트로이카가 소비에트 이념 자체를 와해시킨다고 비판했다. 결국, 공산당 내 보수파가 주도한 소련 8월 쿠데타를 배경으로 사회주의 체제 자체가 붕괴되고 연방제가 붕괴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6.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고르바초프는 1986년 제27차 당대회에서 제시한 개혁을 실천하기 위해 정치적 자유화를 추진했다. 1987년 1월, 그는 당 지도부를 거치지 않고 국민들에게 직접 호소하여 민주화를 촉구했다.[22][24][23] 이전에는 지역 소비에트 구성원을 지역 공산당 지부에서 임명했지만, 이제는 국민이 다양한 후보들 중에서 직접 선출하게 되었다.
1989년 3월 선거를 통해 소련 인민대표대회가 처음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소련 유권자들이 최초로 전국 입법 기관 구성원을 선출한 것이다. 선거 결과는 집권 엘리트들을 놀라게 했다. 전국적으로 유권자들은 반대 후보가 없는 공산당 후보들을 투표용지에서 제외했는데, 그중 상당수가 유명한 당 간부들이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서기장( 최고 지도자)에 취임하여 제창하고 실행한 개혁 정책이 페레스트로이카이다.[31] 글라스노스트(정보 공개)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를 민주적인 방향으로 개선해 나갔다.[31] 원래는 경제적 측면의 개혁만을 목표로 했으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정치적 개혁 또한 추진하게 되었다.[32][33]
미에치스와프 라코프스키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페레스트로이카의 성공은 글라스노스트 없이는 불가능했다고 말했다.[25]
7. 중국 경제 개혁과의 비교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와 덩샤오핑의 경제 개혁은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지만, 그 결과는 매우 달랐다. 중국의 GDP는 꾸준히 성장한 반면, 소련과 그 후계 국가들의 GDP는 급격히 감소했다.[17]
페레스트로이카는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했으며, 계획 경제의 여러 측면을 유지했다.[18] 예를 들어, 가격 통제, 루블화의 비전환성, 생산 수단에 대한 정부 독점 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18] 개혁은 주로 산업과 협동조합에 집중되었고, 외국인 투자와 국제 무역 발전에는 제한적인 역할만 주어졌다.
반면, 중국 경제 개혁은 하향식 개혁 시도로, 경공업과 농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경제 개혁은 특수경제구역, 향촌기업, "이중 가격" 시스템 등을 통해 추진되었다.[19] 국영 공장 관리자들에게는 더 큰 자율성이 주어졌고, 개혁된 은행 시스템과 재정 정책을 통해 자본이 제공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는 글라스노스트에 따른 더 큰 정치적 자유와 함께 이루어진 반면, 중국 경제 개혁은 권위주의적 통치와 정치 반체제 인사 탄압과 함께 이루어졌다.[20] 천안문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소련의 상황이 중국과 달랐기 때문에 글라스노스트 없이는 페레스트로이카가 실패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0]
8. 서방의 역할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미국 대통령 조지 H. W. 부시는 고르바초프와의 연대를 약속했지만, 그의 행정부는 고르바초프의 개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았다. "고르바초프 구제는 없다"는 것이 부시 행정부의 일관된 정책 기조였으며, 이는 서방의 진정한 지지가 부족했음을 보여준다.[26] 부시 대통령은 최소주의적 접근 방식, 외교 정책적 신념, 검소한 태도 등으로 인해 '페레스트로이카'를 지원하는 재정 정책을 추진하는 데 소극적이었다.
서방의 지원 부족에 영향을 미친 다른 요인으로는 "내부 고르바초프 회의론자들"의 주장, 고르바초프에게 미국의 지원을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전문가 집단의 공감대, 외교 정책 보수주의자들, 미국 의회, 그리고 미국 대중 전체의 반대 등이 있었다. 서방은 소련 정부에 대한 상당한 영향력을 얻을 기회를 놓친 것으로 보인다. 부시 대통령은 해리 S. 트루먼이 서유럽의 많은 국가들을 위해 했던 것처럼, 정부 간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 수 있는 방식으로 소련을 지원할 기회가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인 바츨라프 하벨은 1990년 2월 21일 미국 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미국인들에게 소련 지원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했다.
… 저는 종종 이런 질문을 듣습니다. 미국은 오늘날 우리를 어떻게 도울 수 있습니까? 제 대답은 제 삶 전체처럼 역설적입니다. 여러분은 소련이 민주주의로 가는 돌이킬 수 없는, 하지만 엄청나게 복잡한 길을 갈 때 가장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소련이 진정한 정치적 다원주의, 국가의 자체 통합성에 대한 권리 존중, 그리고 기능하는 시장 경제로의 길을 따라 더 빨리, 더 빠르게, 그리고 더 평화롭게 나아가기 시작할수록, 체코와 슬로바키아뿐 아니라 전 세계에 더 좋을 것입니다.
미국이 독일 통일에 도움이 필요했을 때, 고르바초프는 "독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부시는 "고르바초프가 소련을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인정하며, 소련 지도자의 역할을 "페레스트로이카의 설계자…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동독… 그리고 다른 독립을 달성한 국가들에서 소련의 일을 큰 자제력으로 수행한 사람"으로 칭찬했고, "특히 경제적으로 국내에서 엄청난 압력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orbachev and Perestroika
http://mars.wnec.edu[...]
Mars.wnec.edu
1996-02-02
[2]
서적
Sources of the West: Readings in Western Civilization
Longman
2001
[3]
잡지
How 'Glasnost' and 'Perestroika' Changed the World
https://time.com/551[...]
2022-08-30
[4]
웹사이트
Gorbachev's Revolution
https://carnegieendo[...]
2022-08-08
[5]
웹사이트
Perestroika: Glasnost, Definition & Soviet Union
https://www.history.[...]
2022-11-01
[6]
서적
Armageddon Avert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7]
간행물
Gorbachev's New Thinking
https://www.foreigna[...]
[8]
웹사이트
Gorbachev and New Thinking in Soviet Foreign Policy, 1987-88
https://2001-2009.st[...]
USDOS
[9]
서적
Russia: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1996
[10]
웹사이트
Gorbachev on 1989
http://www.thenation[...]
Thenation.com
2009-11-16
[11]
뉴스
Leningrad under Gorbachev: Perestroika and the fall of Communism (1984–1991)
http://www.saint-pet[...]
[12]
뉴스
New struggle in the Kremlin: How to change the economy
https://www.nytimes.[...]
1987-06-04
[13]
간행물
The Law on Cooperatives, Retail Food Prices, and the Farm Financial Crisis in the U.S.S.R.
http://ageconsearch.[...]
University of Minnesota.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1988
[14]
뉴스
LEGISLATORS WEIGH IN ON COOPERATIVES LAW
https://www.washingt[...]
[15]
웹사이트
Deadlock of "Perestroika"
https://www.uawarexp[...]
2022-03-29
[16]
웹사이트
ЧЕРНАЯ КНИГА КОММУНИЗМА
http://agitclub.ru/g[...]
[17]
웹사이트
IMF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06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3-04-29
[18]
서적
The Body Economic: Why Austerity Kills
Basic Books
2013
[19]
서적
The Political Logic of Economic Reform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nd Los Angeles
1993
[20]
서적
Memoirs
https://archive.org/[...]
1996
[21]
서적
Memoirs
https://archive.org/[...]
1996
[22]
뉴스
On Reorganization and the Party's Personnel Policy
http://www.lib.ru/ME[...]
1987-01-27
[23]
학술지
Perestroika and Glasnost
https://www.jstor.or[...]
1987
[24]
논문
The right of peoples to self-determination in the Post Soviet area: the case of Abkhazia
http://abkhazworld.c[...]
University of Padua, Faculty of International Private and Labour Law
2019-01-31
[25]
학술지
Glasnost, Democracy, and Perestroika
1988-Autumn
[26]
서적
America, Russia, and the Cold War, 1945–2000
McGraw Hill
2002
[27]
웹사이트
「ペレストロイカで議論された課題の多くは未解決のまま」 ゴルバチョフ氏インタビュー詳報: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8]
웹사이트
「ペレストロイカで議論された課題の多くは未解決のまま」 ゴルバチョフ氏インタビュー詳報: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9]
일반
[30]
웹사이트
「ペレストロイカとは何か・シェワルナゼ回顧録を中心に」
https://www.jstage.j[...]
時事総合研究所
[31]
웹사이트
ぼくは見た、国の消滅を {{!}} 特集記事
https://www.nhk.or.j[...]
[32]
서적
Me kara uroko no Tōyō shi
https://www.worldcat[...]
PHP Kenkyūjo
2000
[33]
서적
Ikki ni yomeru sekai no rekishi = World history at a glance : Dokokara yondemo omoshiroi
https://www.worldcat[...]
Chūkei Shuppan
2004
[34]
일반
[35]
Youtube
Soviet October Revolution Parade (1987 Парад 7 ноября)
https://www.youtube.[...]
[36]
약어
[37]
약어
[38]
간행물
The Red Book Retrospective and Uranium: Resources, Production and Demand
Nuclear Energy Agency/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39]
서적
ペレストロイカからカタストロイカへ
明石書店
2006
[40]
저널
북한의 개혁 - 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
[41]
저널
북한의 개혁 - 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
[42]
저널
북한의 개혁 - 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
[43]
저널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12
[44]
저널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12
[45]
저널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자본주의의 발전에 관한 연구
2000-12
[46]
저널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자본주의의 발전에 관한 연구
2000-12
[47]
저널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12
[48]
저널
왜 구소련은 실패했고 중국은 성공하였는가?
1994
[49]
저널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자본주의의 발전에 관한 연구
2000-12
[50]
저널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12
[51]
저널
북한의 개혁 - 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
[52]
저널
북한의 개혁 - 개방정책 추진 전망
2001
[53]
저널
왜 구소련은 실패했고 중국은 성공하였는가?
1994
[54]
저널
현대 러시아 정치 및 경제의 이해
20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