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는 쿠바 출신의 미국 예술가로, 미니멀 아트와 설치 미술을 주로 선보였다. 그의 작품은 백열전구, 시계, 종이, 사탕 등 일상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죽음, 상실, 사랑, 정체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에이즈로 인한 합병증으로 1996년 사망했으며, 사후에도 그의 작품은 널리 전시되고 비평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현대 미술가 - 알렉산드레 아레체아
알렉산드레 아레체아는 쿠바 출신의 예술가로, 권력, 감시, 통제 등의 개념을 담은 작품을 제작하며 관람객의 참여를 통해 의미를 더한다. - 미국의 성소수자 사진가 - 앤디 워홀
앤디 워홀은 미국의 미술가이자 영화 제작자로, 팝 아트 운동의 선구자로서 캠벨 수프 캔, 마릴린 먼로 초상화 등 대량 생산된 이미지와 유명인을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표현하여 예술과 상업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 미국의 성소수자 사진가 - 베티 레인
베티 레인은 미국 여성 운동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하여 "미국 여성 운동의 공식 사진작가"로 알려진 사진작가로, 여성 평등 파업을 계기로 여성 운동에 참여하여 시위와 집회 현장을 기록하고 스톤월 항쟁을 기록하기도 했다. - 게이 예술가 - 앨빈 에일리
앨빈 에일리는 흑인 문화와 경험을 춤으로 표현하고자 알빈 에일리 아메리칸 댄스 시어터를 설립하여 대표작 《레벨레이션》을 통해 흑인 영가와 블루스 음악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찬사를 받았으며, 흑인 무용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미국 현대 무용을 대표하는 단체로 인정받으며 미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게이 예술가 - 차이밍량
차이밍량은 말레이시아 출신으로 대만에서 활동하며, 《비정성시》, 《해피 투게더》 등 1990년대 후반까지 작품을 발표하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등을 수상한 퀴어 영화 감독이다.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 |
출생일 | 1957년 11월 26일 |
출생지 | 쿠바 과이마로 |
사망일 | 1996년 1월 9일 |
사망지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
국적 | 미국 |
직업 | |
분야 | 조각 설치 미술 |
활동 | ""Untitled" (Perfect Lovers)"" (1987-1990) ""Untitled" (Go-Go Dancing Platform)"" (1991) ""Untitled" (Portrait of Ross in L.A.)"" (1991) ""Untitled" (America)"" (1994) ""Untitled" (Golden)"" (1995) |
2. 생애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는 1996년 마이애미에서 에이즈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177]
그는 생전에 미국과 전 세계의 갤러리와 박물관에서 많은 개인전, 설치 전시, 쇼를 개최했다. 주요 개인전은 다음과 같다:
- 1988년 뉴 뮤지엄(New Museum), 뉴욕,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105]
- 1989-1990년 브루클린 박물관(Brooklyn Museum), 뉴욕, ''무제: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의 설치 (시각 에이즈 프로그램의 일환)''[106]
- 1993년 마가생 III 현대 미술관, 스톡홀름,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107]
- 1994년 로스앤젤레스 현대 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에서 시작,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 트래블링''[108]
- 1995-1996년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 뉴욕에서 시작,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의 갈리시아 현대 미술 센터(Centro Galego de Arte Contemporánea)에서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가능한 풍경)'', 파리 현대 미술관(Musée d'Art Moderne de Paris)에서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혼수상태의 여자친구)''로 전시[109]
그는 또한 휘트니 비엔날레(Whitney Biennial)(1991)[110],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45th Venice Biennale)(1993)[111], 시드니 비엔날레(Biennale of Sydney)(1996)[112] 등 다수의 그룹 전시회에 참여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는 1957년 쿠바 과이마로에서 태어났다.[177] 1970년 1월, 그는 12세의 나이로 누나와 함께 쿠바를 떠나 스페인 마드리드로 이주했다.[86] 같은 해, 그는 푸에르토리코로 이주했다.[87][88] 1971년에 그와 여동생 글로리아는 마드리드의 고아원에서 지내다 푸에르토리코의 친척들과 함께 정착했다.[178]1976년 콜레히오 산 호르헤를 졸업하고 산후안에 위치한 푸에르토리코 대학교에서 미술 공부를 시작하면서 지역 예술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79]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산후안에 있는 푸에르토리코 대학교에 다녔다.[89][90] 1979년 연구 펠로우십으로 뉴욕으로 이사하였다.[180] 그는 1979년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사진을 공부하기 위해 학업 장학금을 받아 뉴욕으로 이주했으며, 1981년과 1983년에는 휘트니 미술관의 독립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91] 다음 해 그는 휘트니 독립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여기서 비평 이론을 도입하면서 예술가로서의 발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프랫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에서 사진으로 미술 학사 학위를 받은 해인 1983년에 이 프로그램에 두 번째로 참여하였다. 1983년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사진 전공으로 예술학사(BFA) 학위를 받았다.[92]
1986년에 곤살레스토레스는 유럽을 여행하고 베네치아에서 공부하였다. 1987년에 국제 사진 센터와 뉴욕 대학교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181] 국제 사진 센터와 뉴욕 대학교에서 예술 석사(MFA) 학위를 취득했다.[92] 그 후, 뉴욕 대학교에서 교수 활동을 하였고, 발렌시아에 있는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에서도 잠시 학생을 가르쳤다.[178] 1987년부터 1989년까지, 그리고 1992년에 뉴욕 뉴욕 대학교의 미술 강사로 활동했다.[93][94] 1990년, 곤살레스토레스는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며 캘리포니아 예술 학교(CalArts)에서 가르쳤다.[95] 1992년 곤살레스토레스는 베를린에서 일할 수 있는 DAAD 펠로우십을 받았고 1993년에는 미국 국립 예술 기금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2. 2. 경력 및 활동
곤살레스토레스는 1976년 콜레히오 산 호르헤를 졸업하고 산후안에 위치한 푸에르토리코 대학교에서 미술 공부를 시작하면서 지역 예술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79] 1979년 연구 펠로우십으로 뉴욕으로 이주하였다.[180] 다음 해 그는 휘트니 독립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여기서 비평 이론을 도입하면서 예술가로서의 발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프랫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에서 사진으로 미술 학사 학위를 받은 해인 1983년에 이 프로그램에 두 번째로 참여하였다.1986년에 곤살레스토레스는 유럽을 여행하고 베네치아에서 공부하였다. 1987년에 국제 사진 센터와 뉴욕 대학교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181] 그 후, 뉴욕 대학교에서 교수 활동을 하였고, 발렌시아에 있는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에서도 잠시 학생을 가르쳤다.[178] 1992년 곤살레스토레스는 베를린에서 일할 수 있는 DAAD 펠로우십을 받았고 1993년에는 미국 국립 예술 기금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그는 1987년 아트 액티비스트 유닛 '그룹 마테리얼'에 참가하였다. 1990년 안드레아 로젠 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95년에는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개최하였다.
연도 | 내용 |
---|---|
1976년 | 콜레히오 산 호르헤 졸업 |
1979년 | 뉴욕으로 이주 |
1983년 | 휘트니 미술관 독립 연구 프로그램 수학 |
1987년 | 아트 액티비스트 유닛 그룹 마테리얼 참가, 국제 사진 센터와 뉴욕 대학교에서 예술 석사 학위 수여 |
1990년 | 안드레아 로젠 화랑에서 첫 개인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교에서 교편 |
1995년 |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 개최 |
곤살레스토레스는 단조롭고 미니멀한 설치와 조각으로 유명하다. 백열전구 끈, 시계, 종이 더미, 포장된 딱딱한 사탕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고, 작품은 때때로 에이즈에 대한 그의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82] 공개적으로 게이임을 밝힌 그는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청중은 같은 청중이며, 쿠바 태생의 미국인인 것은 미국인인 것과 같다고 가정하는 것이 훨씬 더 강력하다고 느꼈다."라고 말했다.[182]
3. 작품 세계
1987년, 그는 더그 애시포드, 줄리 올트, 캐런 램스페이처로 구성된, 문화 활동주의와 지역 사회 교육을 원칙으로 하는 뉴욕 기반의 예술가 협업 단체인 그룹 머티리얼에 합류했다.[183] 그룹 머티리얼은 버클리 미술관 등의 초청으로 에이즈를 주제로 한 작품 활동을 하였고, 그 결과 "에이즈 타임라인"이 탄생하였다.[184]
그의 모든 작품은 거의 예외 없이 "무제"(Untitled)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때로는 괄호 안에 제목이 붙기도 했다. 이는 의도적인 설정이었다.[185][186] 곤살레스토레스의 사탕 작품 중 일부는 괄호 안의 제목과 이상적인 무게를 근거로 초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중에는 곤살레스토레스와 그의 연인 로스 레이콕을 함께 표현한 초상, 로스의 단독 초상, 곤살레스토레스의 돌아가신 아버지 초상, 그의 절친한 친구인 프랑스 수집가 마르셀 브리앙의 초상 등이 있다.[187]
로스 레이콕은 '무제'(완벽한 연인)과 '무제'(플라시보)를 비롯한 곤살레스토레스의 작품 다수에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188][189] '무제'(완벽한 연인)에서 두 개의 시계는 두 사람의 관계와 함께 보낸 시간을 암시한다.[188] 1991년 레이콕이 사망하자 그는 연인의 상실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었다. 이러한 작품에는 '무제'(플라시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거나 소멸하는 설치 작품이 종종 포함된다. 이것은 레이콕이 에이즈 관련 질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190][191][192]
그의 작품에 대한 가장 널리 퍼진 해석은 작품이 겪는 과정(전구가 꺼지고 사탕 더미가 흩어지는 등)을 죽음의 과정에 대한 은유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이들은 이 작품들이 재생의 가능성(전구 교체, 사탕 더미 다시 채우기)으로 삶의 지속 또한 표현한다고 보았다.[193][194] 다른 해석에는 공적 대 사적, 정체성, 현대 미술 속 참여의 문제 등이 있다.[195]
1989년 타임지 기사에 영감을 받은 '무제'(총격으로 사망)는 미국과 총의 관계를 탐구한 작품이다. 곤살레스토레스는 1989년 5월 1일부터 7일까지 미국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460명에게 경의를 표하며, 총기 폭력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는 시각을 제시한다.[197]
그는 사진 작가로 훈련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이 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한다. 그는 일상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관객으로부터 의미 있는 반응을 이끌어내는 설치 작품, 관객이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작품, 그리고 새롭게 구현될 수 있고 전시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는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8] 그는 "영원한 것은 변화뿐이다"라고 말하며, 예술 작품의 안정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했다.[9]
그의 작품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에 따라 관객을 필요로 한다.[27] 이 이론은 관객이 세상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유도하는 개별화된 반응을 보이도록 준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항상 새롭고 변화하는 해석에 열려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8] 그의 작품은 개념적이지만, 작품의 형식적 특성은 각 관람자로부터 개별적인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특히 강력하다. "내 작품은 사건, 그리고 나의 위치를 형성하고, 변화시키고, 영향을 미치는 대상들을 매일 다루는 것에 관한 것이다."[29]
3. 1. 주요 작품 유형
곤살레스토레스는 주로 미니멀한 설치와 조각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백열전구 끈, 시계, 종이 더미, 포장된 사탕 등을 재료로 사용하며, 때로는 에이즈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82]
그의 작품은 대부분 "무제"(Untitled)라는 제목을 가지며, 괄호 안에 부가적인 제목이 붙기도 한다. 이는 의도적인 설정이었다.[185][186] 예를 들어, '무제'(완벽한 연인)[Untitled (Perfect Lovers), 1991년]은 두 개의 시계를 통해 연인과의 관계와 함께한 시간을, '무제'(플라시보)["Untitled" (Placebo), 1991년]는 연인의 상실과 죽음을 암시한다.[188][189][190][191][192]
곤살레스토레스의 작품은 종종 전구가 꺼지거나 사탕 더미가 줄어드는 과정을 통해 죽음을 은유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동시에 전구 교체나 사탕 보충을 통해 재생과 삶의 지속을 표현한다는 시각도 있다.[193][194] 그의 작품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정체성, 현대 미술에서의 참여와 같은 주제를 다루기도 한다.[195]
1989년 타임지 기사에 영감을 받은 '무제'(총격으로 사망)["Untitled"(Death by Gun)]은 미국 내 총기 폭력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197]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들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작품은 고유한 특성과 의미를 지닌다. [30] 일부 작품들은 진품 증명서와 소유권 증서가 함께 제공된다.[33]3. 2. 주요 개념 및 특징
곤살레스토레스는 단조롭고 미니멀한 설치와 조각으로 유명했다. 백열전구 끈, 시계, 종이 더미, 포장된 딱딱한 사탕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고, 작품은 때때로 에이즈에 대한 그의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82] 그는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청중은 같은 청중이며, 쿠바 태생의 미국인인 것은 미국인인 것과 같다고 가정하는 것이 훨씬 더 강력하다고 느꼈다."라고 말했다.[182]
그의 모든 작품은 거의 예외 없이 "무제"(Untitled)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때로는 괄호 안에 제목이 붙기도 했다.[185][186] 곤살레스토레스의 열아홉 개 사탕 작품 중 여섯 작품만이 괄호 안의 제목과 이상적인 무게를 근거로 초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중 두 작품은 곤살레스토레스와 그의 연인 로스 레이콕을 함께 표현한 초상이며, 두 작품은 로스의 단독 초상, 한 작품은 펠릭스의 돌아가신 아버지 초상, '무제'(마르셀 브리앙의 초상)["Untitled" (Portrait of Marcel Brient), 1992년]는 그의 절친한 친구인 프랑스 수집가 마르셀 브리앙의 초상이다.[187] 로스 레이콕은 '무제'(완벽한 연인)[Untitled (Perfect Lovers), 1991년]과 '무제'(플라시보)["Untitled" (Placebo), 1991년)을 비롯한 곤살레스토레스의 작품 다수에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188][189] 예를 들어 '무제'(완벽한 연인)에서 두 개의 시계는 두 사람의 관계와 함께 보낸 시간을 암시한다.[188] 1991년 레이콕이 사망하자 그는 연인의 상실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었다.[189] 이러한 작품에는 '무제'(플라시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거나 소멸하는 설치 작품이 종종 포함된다. 이것은 레이콕이 에이즈 관련 질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190][191][192]
그의 작품에 대한 가장 널리 퍼진 해석은 작품이 겪는 과정(전구가 꺼지고 사탕 더미가 흩어지는 등)을 죽음의 과정에 대한 은유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이들은 이 작품들이 재생의 가능성(전구 교체, 사탕 더미 다시 채우기)으로 삶의 지속 또한 표현한다고 보았다.[193][194] 다른 해석에는 공적 대 사적, 정체성, 현대 미술 속 참여의 문제 등이 있다.[195] 예를 들어 그의 작품 '무제'(LA에서 로스의 초상)[Untitled (Portrait of Ross in L.A.)]은 동성애자 공동체의 역사를 나타내는 하나의 순간이 아닌 결합된 순간을 보여준다. 이것은 HIV/에이즈 진단을 받은 동성애자 공동체의 해체를 묘사한 것일 수 있다. 한 사람이 사탕을 먹고 버리면, 사탕 더미의 크기가 줄어드는데, 이것은 사회가 이 전염병의 존재를 무시하여 많은 동성애자의 죽음을 초래한 방법을 나타낸다.[196]
1989년 7월 17일 타임지에 실린 기사에 영감을 받은 그는 '무제'(총격으로 사망)["Untitled"(Death by Gun)]이라는 작품으로 미국과 총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 작품에서 1989년 5월 1일부터 7일까지 미국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460명에게 경의를 표한다. 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총기 폭력의 암울한 현실을 되돌아보게 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문제에 경각심을 갖게 하는 시각을 제시한다. 그의 작품은 고인들의 사진과 함께 그들 개인과 나이, 거주한 주와 도시와 사망 원인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적힌 석판화 더미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사진 작가로 훈련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이 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한다. 그는 일상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관객으로부터 의미 있는 반응을 이끌어내는 설치 작품, 관객이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작품, 그리고 새롭게 구현될 수 있고 전시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는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8] 그는 "영원한 것은 변화뿐이다"라고 말하며, 예술 작품의 안정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했다.[9]
그의 작품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에 따라 관객을 필요로 한다.[27] 이 이론은 관객이 세상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유도하는 개별화된 반응을 보이도록 준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항상 새롭고 변화하는 해석에 열려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8] 그의 작품은 개념적이지만, 작품의 형식적 특성은 각 관람자로부터 개별적인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특히 강력하다. "내 작품은 사건, 그리고 나의 위치를 형성하고, 변화시키고, 영향을 미치는 대상들을 매일 다루는 것에 관한 것이다."[29]
그의 작품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제목이 "무제"로 되어 있으며, 괄호 안에 제목의 일부가 덧붙여지기도 한다. 이는 작가가 의도한 제목 부여 방식이었다. 특정한 제목을 작품에 부여하여 작품을 제한하기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린 해석이 펼쳐지도록 이러한 방식으로 작품의 제목을 붙였다. 1991년 로버트 니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의 작품 제목에 대해 "사물들은 은밀하게 암시되거나 언급된다. 작품은 '무제'인데, '의미'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항상 변화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66]
그의 구현 가능한 작품들은 변화의 과정을 포함한다. 1991년의 설치 작품 ''"무제" (플라시보)'', 즉 사탕 작품은 반짝이는 은색 포장지에 싸인 사탕이 깔린 카펫(대략 20 x 30피트)으로 구성되었다. 2011년에는 같은 사탕 작품 ''"무제" (플라시보)''가 현대 미술관에 방문객을 위한 통로로 분리된 두 개의 커다란 직사각형으로 설치되었다. 대여/전시자는 작품을 어떤 구성으로든 설치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무게"와 다른 양의 사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다른 사탕 작품처럼, 이 작품도 "이상적인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설치된 사탕의 실제 무게는 전시 기간 동안, 그리고 전시마다 달라질 수 있다.[67]
1989년 그는 ''"무제" (현충일 주말)''과 ''"무제" (재향 군인의 날 세일)''을 함께 전시하여 ''"무제" (기념비)''로 선보였다. 이 작품은 모호한 내용이 인쇄된 블록 형태의 종이 묶음으로, 관람객은 시트를 가져갈 수 있다. 단단하고 움직일 수 없는 기념비를 구성하기보다는, 이 묶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흩어지고, 고갈되고, 갱신될 수 있다.[68]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무제"'' (1991)는, 침대가 정리되지 않은 흑백 사진이 담긴 빌보드 작품으로, 1992년 뉴욕 시 전역의 24곳의 공공 장소에 설치되었다.
''"무제" (시간 문제일 뿐이야)''는 1992년 함부르크에서 처음 전시된 빌보드로, "Es ist nur eine Frage der Zeit."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일반적인 문구 ''시간 문제일 뿐이야''는 설치마다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이 문구가 제시되는 언어는 작품이 설치되는 현지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72]
그는 구현 가능한 "사탕 작품"과 "종이 묶음" 외에도, 전시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는 "빛의 끈"이라고 불리는 다른 가변적인 작품을 제작했다. 예를 들어 벽에 걸거나, 바닥에 쌓거나, 문을 가로질러 걸어 놓는 등이다. 빛의 끈 시리즈에는 15개의 물리적으로 동일한 빛의 끈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끈에는 흰색 도자기 소켓에 42개의 전구가 있다. 이 작품들은 괄호 안의 제목과 각 작품 소유자가 지속적으로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설치 유형, 그리고 허가된 대여자가 대여 상황에서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설치로만 구별된다.[74] 각 조각품은 특정 설치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무한한 변형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75] 어떤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일부 전구가 나가지만 작품의 매개변수상 반드시 교체해야 한다.
1991년 그는 금속 막대에 꿰어 놓은 플라스틱 구슬로 구성된 조각품을 제작하기 시작했으며,[76] 일부에서는 이를 에이즈와 관련된 유기 및 무기 물질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하기도 한다.[77]
산더미처럼 쌓인 사탕, 전구, 종이 묶음 등을 사용한 미니멀 아트와 설치 미술이 주요 작품이다. 조각 작품도 있다. 사탕이나 종이 묶음을 관객이 가져가 작품 자체가 사라지면서 죽음의 과정을 암시한다. 작품에는 자신의 에이즈 경험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시각도 있다.
3. 3. 사회적, 정치적 맥락
곤살레스토레스는 공개적으로 게이임을 밝혔으며,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청중은 같은 청중이며, 쿠바 태생의 미국인인 것은 미국인인 것과 같다고 가정하는 것이 훨씬 더 강력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미국인인 것은 그가 매우 자랑스러워하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182] 1987년, 그는 더그 애시포드, 줄리 올트, 캐런 램스페이처로 구성된, 문화 활동주의와 지역 사회 교육을 원칙으로 하는 뉴욕 기반의 예술가 협업 단체인 그룹 머티리얼에 합류했다.[183] 그룹 머티리얼은 버클리 미술관의 매트릭스 갤러리와 퍼시픽 필름 아카이브의 초청으로 에이즈를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하였고, 그 결과 그룹 머티리얼의 첫 번째 "에이즈 타임라인"이 탄생하였다.[184]
곤살레스토레스의 작품은 그의 에이즈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의 연인 로스 레이콕은 1991년 에이즈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였고, 곤살레스토레스는 연인의 상실을 대처하기 위한 작품을 만들었다.[189] '무제'(플라시보)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거나 소멸하는 설치 작품은 레이콕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190][191][192]
그의 작품에 대한 가장 널리 퍼진 해석은 작품이 겪는 과정(전구가 꺼지고 사탕 더미가 흩어지는 등)을 죽음의 과정에 대한 은유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이들은 작품들이 재생의 가능성(전구 교체, 사탕 더미 다시 채우기)으로 삶의 지속 또한 표현한다고 보았다.[193][194]
1989년 타임지 기사에 영감을 받은 '무제'(총격으로 사망)는 미국과 총의 관계를 탐구한 작품이다. 곤살레스토레스는 1989년 5월 1일부터 7일까지 미국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460명에게 경의를 표하며, 총기 폭력의 현실을 되돌아보고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는 시각을 제시한다.[197]
곤살레스토레스는 그의 작품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에 따라 관객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27] 이 이론은 관객이 세상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유도하는 개별화된 반응을 보이도록 준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비평 및 유산
2002년 5월,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재단이 설립되었다.[78] 재단은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유지, 구축,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78] 재단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을 포함하거나 작가의 작업 방식에 응답하는 전시 요청을 처리하고, 이러한 전시에 대한 지속적인 지침과 지원을 제공한다. 재단은 광범위한 전시 및 이미지 아카이브를 유지 관리하며,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에 대해 배우는 데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판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라이선스한다.
재단은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의 쿠바 연구소에서 국제적으로 유명한 현대 예술가들의 학교 방문을 후원하는 3개년 계획인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의 조직을 지원했다. 또한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CalArts)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여행 지원 프로그램인 5개년 계획을 시작하고 자금을 지원하여 CalArts 학생들의 여행 기반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한다.
1990년부터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은 안드레아 로젠 갤러리[79]에서 전시되었으며, 그의 사후에도 작품을 전시했다. 2017년부터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유산은 안드레아 로젠 갤러리와 데이비드 즈위너 갤러리(David Zwirner gallery)에서 공동으로 대표하고 있다.[80]
21세기 두 번째 10년 동안 곤잘레스토레스 작품의 비평적 유산은 계속 확장되고 도전받았다. 2010년 아트포럼은 예술가이자 비평가인 조 스캔란의 "무질서의 용도"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여 곤잘레스토레스 작품에서 작용하는 소프트 파워와 신자유주의 경제에 대해 더 어두운 시각을 제시했다.[81] 2017년에는 데이비드 즈위너 갤러리가 곤잘레스토레스의 광범위한 전시회를 열었지만, 전시회 자체나 보도 자료에서 에이즈가 작품의 개념 형성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한 대중의 비난이 있었다.[82]
곤잘레스토레스의 사탕 작품 《"무제"(마르셀 브리앙의 초상)》 (1992)은 2010년 필립스 드 퓨리 앤 컴퍼니(Phillips de Pury & Company)에서 460만달러에 판매되었으며, 당시 경매에서 작가의 최고 기록을 세웠다.[83] 2015년 11월 곤살레스토레스의 《"무제"(L.A.)》 (1991), 22.68kg의 녹색 사탕 설치 작품은 크리스티 경매(Christie's)에서 770만달러에 판매되어 당시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84] 2024년 그의 빛 줄 작품 《"무제"(미국 #3)》 (1992) 역시 크리스티 경매에서 1360만달러에 판매되어 작가의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85]
2021년, 바르셀로나 현대 미술관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관계의 정치》를 선보였다. 이 전시는 타냐 바르손이 기획했다.[118]
2023년, 뉴욕의 데이비드 즈워너 갤러리는 곤잘레스토레스의 사후 두 번째 개인전을 열었는데, 이 전시에는 작가가 구상했지만 한 번도 실행되지 않았던 두 작품이 포함되었다.[119] 첫 번째 작품인 ''"무제" (사지타리오)'' (1994-1995)는 작가가 사망하기 전에 스케치했던 두 개의 물웅덩이의 변형으로, 갤러리 바닥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두 개의 커다란 물웅덩이였다. 이 작품은 2001년 마드리드의 국립 소피아 왕비 예술 센터 미술관에서 단체전 ''No es sólo lo que ves: pervirtiendo el minimalismo''와 함께 야외에 땅에 묻힌 두 개의 웅덩이로 사후에 처음 제작되었지만, 작가는 원래 이 웅덩이를 실내에 설치할 것을 구상했다. 두 번째로 새롭게 전시된 작품인 ''"무제"'' (1994-1995)는 보르도의 현대 미술관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실현되지 못한 전시를 위해 작가가 원래 디자인했던 일련의 실내 빌보드 설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120][121][122]
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88년 | 아티스트 펠로우십, 아트 매터스, Inc. |
1989년 | 신타스 재단 펠로우십, 폴록-크래스너 재단 보조금, 아티스트 펠로우십, 아트 매터스, Inc. |
1989년 | 아티스트 펠로우십, 미국 국립예술진흥원(NEA) |
1991년 | 고든 마타-클락 재단상 |
1992년 | 독일 학술 교류처 펠로우십(DAAD) 레지던스 프로그램, 베를린 |
1993년 | 아티스트 펠로우십, 미국 국립예술진흥원(NEA) |
참조
[1]
웹사이트
Félix González-Torres
https://www.diaart.o[...]
2024-07-28
[2]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 [No Title]
https://www.metmuseu[...]
2024-07-28
[3]
웹사이트
Perfect Lovers
https://www.thelondo[...]
2023-01-11
[4]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playfully teasing, deadly serious
http://www.theguardi[...]
2023-01-11
[5]
뉴스
Felix Gonzalez-Torres, 38, A Sculptor of Love and Loss
https://www.nytimes.[...]
Roberta Smith
2023-01-10
[6]
간행물
An Installation by Felix Gonzalez-Torres Honors Sweetness and Loss
https://www.newyorke[...]
2023-01-10
[7]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aunting Works of an Artist Afflicted with AIDS
https://www.thecolle[...]
2023-01-10
[8]
서적
Felix Gonzalez-Torres
Steidldangin
[9]
웹사이트
Andrea Rosen on Félix González-Torres
https://news.artnet.[...]
2023-01-27
[10]
웹사이트
Floating a Boulder: Works by Felix Gonzalez-Torres and Jim Hodges
https://www.flagartf[...]
2023-01-27
[11]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raveling
http://www.renaissan[...]
2024-07-28
[12]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October 03, 1994
http://www.renaissan[...]
2024-07-28
[13]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he Politics of Relation
https://www.macba.ca[...]
2024-07-28
[14]
웹사이트
Every Week There is Something Different
https://www.felixgon[...]
2024-07-28
[15]
웹사이트
The Shape of Time 2018
http://theshapeoftim[...]
2023-02-03
[16]
서적
Double Embodiments: Felix Gonzalez-Torres's Certifica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Felix Gonzalez-Torres
Steidldangin
[18]
웹사이트
to expose, to show, to demonstrate, to inform, to offer
https://www.mumok.at[...]
2024-07-28
[19]
문서
subversive beauty: new modes of contestation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
문서
Unbecoming Commun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웹사이트
Projects 34: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moma.org[...]
2023-02-03
[22]
웹사이트
Stone's Throw
https://www.felixgon[...]
2024-07-28
[23]
문서
Practices: The Problem of Divisions of Cultural Labor
[24]
웹사이트
A Reinhardt J Kosuth F Gonzalez-Torres: Symptoms of Interference, Conditions of Possibility - Other Selected Publication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2-03
[25]
웹사이트
Exhibitions
https://archive.newm[...]
2023-02-03
[26]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inbetweenness
https://juddfoundati[...]
2023-02-03
[27]
서적
Felix Gonzalez-Torres
Art Resources Transfer, Inc
[28]
서적
Felix Gonzalez-Torres
Fondazione Pitti Immagine Discovery
[29]
문서
The Workspace: Felix Gonzalez-Torres
1988-09-16 – 1988-11-20
[30]
웹사이트
About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31]
서적
Felix Gonzalez-Torres: Catalogue Raisonné
Hatje Cantz
[32]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33]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on Contracts
https://osf.io/downl[...]
2021-03-10
[34]
웹사이트
Billboards
https://artpace.org/[...]
2023-01-25
[35]
문서
'Felix Gonzalez-Torres “Untitled”, 1995'
2018-09-28 – 2018-11-02
[36]
서적
Billboards: Felix Gonzalez-Torres
Artspace
[37]
웹사이트
'"Without the public these works are nothing," participating with Felix Gonzalez-Torres'
https://openspace.sf[...]
2023-01-25
[38]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39]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40]
간행물
Measure Your Existence
Rubin Museum of Art
2020-02-07
[41]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42]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 Roni Horn
Bourse De Commerce - Pinault Collection & Editions Dilecta
[43]
간행물
Passages: Felix Gonzalez-Torres
Museum of Fine Arts
2011-09-17
[44]
서적
Queer Abstraction
[45]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Massimo De Carlo
2016-05-20
[46]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Rudolf Stingel
Neue Galerie am Landesmuseum Joanneum
[47]
웹사이트
Doubles
https://www.felixgon[...]
2024-07-28
[48]
서적
Felix Gonzalez-Torres, Double
Samsung Museum of Art
[49]
서적
The Double: Identity and Difference in Art Since 1900
National Gallery of Art
[50]
웹사이트
Framed Photographs
https://www.felixgon[...]
2024-07-28
[51]
웹사이트
Graphs
https://www.felixgon[...]
2024-07-28
[52]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3]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4]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5]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6]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7]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8]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59]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60]
서적
Photostats: Felix Gonzalez-Torres
Siglio Press
[61]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62]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Andrea Rosen Gallery
2016-05-03
[63]
웹사이트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1-25
[64]
간행물
Felix Gonzalez-Torres
Hauser & Wirth
2016-05-27
[65]
웹사이트
"Untitled" - Works -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https://www.felixgon[...]
2023-02-03
[66]
서적
Felix Gonzalez-Torres: All the Time in the World
Flash Art
[67]
문서
The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68]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www.sfmoma.or[...]
2011-08-16
[69]
서적
Roni Horn: Earth Grows Thick - ARTBOOK{{!}}D.A.P.
https://www.artbook.[...]
[70]
웹사이트
Paired, Gold: Felix Gonzalez-Torres and Roni Horn, October 2, 2009–January 6, 2010
http://www.guggenhei[...]
2011-04-29
[71]
웹사이트
Projects 34: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moma.org[...]
1992-05-16
[72]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 Exhibition - Andrea Rosen Gallery
https://m.andrearose[...]
2023-11-07
[73]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raveling, October 02 – November 06, 1994
http://www.renaissan[...]
[74]
웹사이트
Félix González-Torres
http://www.sfmoma.or[...]
[75]
웹사이트
Félix González-Torres, ''"Untitled" (Petit Palais)'' (1992)
http://www.philamuse[...]
[76]
웹사이트
Recent Acquisition: Félix González-Torres, Press Release from January 29, 2009
http://www.guggenhei[...]
[77]
웹사이트
The Guggenheim Acquires Work by Felix Gonzalez-Torres
http://www.guggenhei[...]
[78]
웹사이트
METRO-MoMA Survey of Archives of Latino and Latin American Art: Felix Gonzalez-Torres
http://www.moma.org/[...]
[79]
웹사이트
Andrea Rosen Gallery: Felix Gonzalez-Torres
http://www.andrearos[...]
[80]
웹사이트
Andrea Rosen Will Close Gallery, Co-Represent Felix Gonzalez-Torres Estate With David Zwirner
https://news.artnet.[...]
2017-02-22
[81]
웹사이트
The Uses of Disorder: The Art of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artforum[...]
2010-02-01
[82]
웹사이트
Galleries Representing Felix Gonzalez Torres are Editing HIV/AIDS from His Legacy: It Needs to Stop
https://www.artslant[...]
2017-05-29
[83]
웹사이트
"Untitled" (Portrait of Marcel Brient)
https://www.felixgon[...]
1992-01-01
[84]
웹사이트
‘My highlight of 2015’ — “Untitled” (L.A.) by Felix Gonzalez-Torres
http://www.christies[...]
[85]
뉴스
At Christie’s, the Show Goes On, Despite a Hack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5-14
[86]
웹사이트
Exhibition - Felix Gonzalez-Torres: The Politics of Relation
https://www.macba.ca[...]
[87]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serpenti[...]
[88]
웹사이트
Floating a Boulder: Works by Felix Gonzalez-Torres and Jim Hodges, October 1, 2009 - January 31, 2010
http://www.flagartfo[...]
[89]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Gloria González-Torres
https://www.collecte[...]
[90]
뉴스
Felix Gonzalez-Torres, 38, A Sculptor of Love and Los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6-01-11
[91]
서적
Independent Study Program: 40 Years: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92]
웹사이트
The Guggenheim Museums and Foundation
https://www.guggenhe[...]
[9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Felix Gonzalez-Torres by Robert Storr
https://creativetime[...]
[94]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1 October 2006 - 9 January 2007
http://www.hamburger[...]
[95]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 A.rt R.esources T.ransfer
https://www.artresou[...]
[96]
서적
Show and Tell: A Chronicle of Group Material
Four Corners Books
[97]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AT THE 52ND VENICE BIENNALE - Announcements - e-flux
https://www.e-flux.c[...]
[98]
서적
Felix Gonzalez-Torres: Catalogue Raisonné.
Hatje Cantz Verlag
1997-01-01
[99]
웹사이트
Vital Archive
https://ccs.bard.edu[...]
[100]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 A.rt R.esources T.ransfer
https://www.artresou[...]
[101]
서적
1990: L.A., 'The Gold Field
Wexner Center for the Arts
[102]
웹사이트
Outweek Magazine Internet Archive
http://www.outweek.n[...]
[103]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raveling, October 02 – November 06, 1994
http://www.renaissan[...]
[104]
뉴스
Felix Gonzalez-Torres, 38, A Sculptor of Love and Los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6-01-11
[105]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archive.newm[...]
[106]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brooklyn[...]
2023-01-10
[107]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magasin3.com[...]
Magasin III Museum For Contemporary Art
2023-01-10
[108]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moca.org[...]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2023-01-10
[109]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guggen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23-01-10
[110]
웹사이트
1991 Whitney Biennial
https://whitney.org/[...]
Whitney Museum
2023-01-10
[111]
서적
45TH VENICE BIENNALE: APERTO 93 EMERGENCY/EMERGENZA
Flash Art/Giancarlo Politi Editore
1993
[112]
간행물
10th Biennale of Sydney
http://www.artdes.mo[...]
Monash University
2023-01-10
[113]
웹사이트
Félix González-Torres
https://www.artnexus[...]
2023-01-10
[114]
뉴스
Biennale looks to past instead of presen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4-27
[115]
뉴스
Venice Biennale: With a wink, Felix Gonzalez-Torres slips into Venice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Tribune
2007-06-06
[116]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o Represent the United States at the 52nd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Venice Biennale
http://www.guggenhei[...]
[117]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Specific Objects without Specific Form'
http://www.mmk-frank[...]
[118]
웹사이트
Exhibition - Felix Gonzalez-Torres: The Politics of Relation {{!}} MACBA Museum of Contemporary Art of Barcelona
https://www.macba.ca[...]
2021-05-20
[119]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a Master of Mutability
https://www.nytimes.[...]
2023-02-02
[120]
웹사이트
A Guide to the Pioneering Conceptual Artwork of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anotherm[...]
Another Magazine
2023-01-20
[121]
웹사이트
"Untitled" (Sagitario)
https://www.felixgon[...]
2022-11-22
[122]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felixgon[...]
2022-11-22
[123]
웹사이트
Forbidden Colors
https://www.moca.org[...]
2022-06-12
[124]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06-12
[125]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brooklyn[...]
2022-11-22
[126]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2022-11-20
[127]
웹사이트
Untitled
https://whitney.org/[...]
Whitney Museum
2022-06-12
[128]
웹사이트
"Untitled"
http://egallery.will[...]
Williams College
2022-06-12
[129]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11-16
[130]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sfmoma.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2022-06-12
[131]
웹사이트
Untitled (The End)
https://mcachicago.o[...]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2022-06-12
[132]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cnap.fr/[...]
Centre national des arts plastiques
2022-11-16
[133]
웹사이트
"Untitled" (Death by Gun)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2022-11-16
[134]
웹사이트
Untitled (Perfect Lovers)
https://collections.[...]
Dallas Museum of Art
2022-06-12
[135]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glenston[...]
2022-06-12
[136]
웹사이트
Untitled (Perfect Lovers)
https://5058.sydneyp[...]
Wadsworth Atheneum
2022-11-16
[137]
웹사이트
Untitled (Perfect Lovers)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2022-11-26
[138]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11-16
[139]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www.clevelan[...]
Cleveland Museum of Art
2021-04-16
[140]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www.moca.org[...]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2022-11-16
[141]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art.nelson-a[...]
Nelson-Atkins Museum of Art
2022-11-16
[142]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www.tate.org[...]
2022-07-17
[143]
웹사이트
"Untitled" (March 5th) #2
https://exchange.umm[...]
University of Michigan
2022-11-16
[144]
웹사이트
"Untitled" (Ross in LA)
https://icamiami.org[...]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Miami
2022-11-15
[145]
웹사이트
Untitled (Ross in L.A.)
https://www.nga.gov/[...]
National Gallery of Art
2022-06-12
[146]
웹사이트
Untitled (L.A.)
https://collection.c[...]
Crystal Bridges Museum of American Art
2022-06-12
[147]
웹사이트
Untitled (Implosion)
https://whitney.org/[...]
Whitney Museum
2022-06-12
[148]
YouTube video
Performance - Felix Gonzalez-Torres "Untitled" im Kunstmuseum St. Gallen
https://www.youtube.[...]
Kunstmuseum St. Gallen
2022-04-21
[149]
웹사이트
"Untitled" (Double Portrait)
https://buffaloakg.o[...]
Albright–Knox Art Gallery
2022-11-16
[150]
웹사이트
Untitled (Double Portrait)
https://www.tate.org[...]
2022-06-12
[151]
웹사이트
Untitled (Public Opinion)
https://www.guggenhe[...]
2022-06-12
[152]
웹사이트
Untitled (Portrait of Ross in LA)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06-12
[153]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moma.org[...]
Museum of Modern Art
2022-06-12
[154]
웹사이트
Untitled (Petit Palais)
https://philamuseum.[...]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22-06-12
[155]
웹사이트
Untitled (For Jeff)
https://www.si.edu/o[...]
Smithsonian Institution
2022-06-12
[156]
웹사이트
Sprengel Collection
https://sprengel.han[...]
Sprengel Museum
2022-11-16
[157]
웹사이트
"Untitled" (For New York)
https://www.fondatio[...]
Beyeler Foundation
2022-11-16
[158]
웹사이트
"Untitled" (Placebo - Landscape - for Roni)
https://skd-online-c[...]
Staatliche Kunstsammlungen Dresden
2022-11-16
[159]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11-16
[160]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macba.ca[...]
Barcelo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22-11-16
[161]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harvardartmu[...]
Harvard University
2022-06-12
[162]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imj.org.[...]
Israel Museum
2022-11-20
[163]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centrepo[...]
2022-07-17
[164]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moca.org[...]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2022-11-16
[165]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ww.moca.org[...]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2022-11-16
[166]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of Art Collection
https://search.artmu[...]
2022-11-16
[167]
웹사이트
"Untitled" (Last Light)
https://walkerart.or[...]
Walker Art Center
2022-11-16
[168]
웹사이트
"Untitled" (Ischia)
https://www.afmuseet[...]
Astrup Fearnley Museum of Modern Art
2022-11-16
[169]
웹사이트
"Untitled" (Portrait of the Cincinnati Art Museum)
https://www.cincinna[...]
2022-11-16
[170]
웹사이트
Untitled (Golden)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of Chicago
2022-06-12
[171]
웹사이트
Untitled (Golden)
https://www.guggenhe[...]
2022-06-12
[172]
웹사이트
Untitled (Golden)
https://www.sfmoma.o[...]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2022-06-12
[173]
웹사이트
"Untitled" (Water)
https://collection.a[...]
Baltimore Museum of Art
2022-11-13
[174]
웹사이트
"Untitled"
https://webapps.csp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2-11-16
[175]
웹사이트
"Untitled"
https://emuseum.desm[...]
Des Moines Art Center
2022-11-16
[176]
서적
筧奈菜子
フィルムアート社
2016
[177]
웹인용
Exhibition - Felix Gonzalez-Torres: The Politics of Relation
https://www.macba.ca[...]
2021-03-10
[178]
웹사이트
Floating a Boulder: Works by Felix Gonzalez-Torres and Jim Hodges, October 1, 2009 - January 31, 2010
http://www.flagartfo[...]
FLAG Art Foundation, New York.
2011-10-08
[179]
뉴스
Felix Gonzalez-Torres, 38, A Sculptor of Love and Los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6-01-11
[180]
서적
Felix Gonzalez-Torres
Steidl
2006
[181]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1 October 2006 - 9 January 2007
http://www.hamburger[...]
Hamburger Bahnhof
[182]
서적
Felix Gonzalez-Torres: Catalogue Raisonné.
Hatje Cantz Verlag
1997
[183]
웹사이트
Felix Gonzalez-Torres: Traveling, October 02 – November 06, 1994
http://www.renaissan[...]
The Renaissance Society, Chicago
2011-08-26
[184]
웹사이트
Doug Ashford, Julie Ault, Group Material: AIDS Timeline
http://www.hatjecant[...]
Munich: Hatje Cantz, 2011
2012-10-02
[185]
단체
The Felix Gonzalez-Torres Foundation
[186]
문서
'"Untitled" (The Neverending Portrait)'
Hatje Cantz Verlag
1997
[187]
웹사이트
'"Untitled" (Portrait of Marcel Brient)'
http://www.phillipsd[...]
Philippe Ségalot, Phillips de Pury & Company, New York
[188]
학위논문
Requiem for the Shadows: Poetry, Spirituality, and Future Memory in the Light Strings of Felix Gonzalez-Torres
https://etd.ohiolink[...]
Kent State University
2016
[189]
웹인용
Félix González-Torres: Etre un Espion
http://www.queercult[...]
2022-07-02
[190]
학위논문
Remember Me: Felix Gonzalez-Torre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http://ufdcimages.uf[...]
University of Florida
2011
[191]
웹인용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sfmoma.o[...]
2017-10-27
[192]
웹인용
Collection Online: Felix Gonzalez-Torres
https://www.guggenhe[...]
2017-10-27
[193]
웹인용
Social Works
http://www.susan-tal[...]
2011-02-16
[194]
웹사이트
'"Untitled" (Double Portrait)'
http://www.albrightk[...]
Albright-Knox Art Gallery, Buffalo
[195]
뉴스
How Felix Gonzalez-Torres Continues Making Art 16 Years After His Death
https://www.forbes.c[...]
Forbes
2012-08-30
[196]
서적
Queer Art : A Freak Theory
Transcript-Verlag
2012
[197]
저널
How 179 pounds of candy can change the world.
http://connection.eb[...]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