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편각 (지구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각은 지구 표면의 특정 위치에서 자북과 진북 사이의 수평 각도 차이를 의미한다. 자기 편각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지구 내부의 불규칙한 흐름, 지각 내 철 광석 매장량, 지구 자기장의 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편각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방위를 측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항공 및 해상 항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경우 자북이 진북보다 서쪽에 위치하며, 편각 값은 지역에 따라 -4°에서 -11° 사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자기 - 지자기 폭풍
    지자기 폭풍은 태양 활동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Dst 지수를 통해 강도를 측정하며 전력 시스템, 통신, 위성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 지자기 - 고지자기학
    고지자기학은 암석에 기록된 과거 지구 자기장 정보를 연구하는 지구과학 분야로, 지구 자기장 역전 현상 발견과 고감도 자력계 발명을 통해 대륙 이동설과 판구조론 입증에 기여했으며 암석 연대 측정, 지각 변형 과정 재구성, 고대 환경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편각 (지구과학)
개요
영어 명칭Magnetic declination
일본어 명칭磁気偏角 (Jiki henkaku)
그리스어 명칭δ
다른 영어 명칭Magnetic variation
정의
정의자기 북극과 진북 사이의 각도
설명수평면에서 자기 북극 방향과 진북 방향 사이의 각도이며,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과 지리상의 북쪽 방향의 차이를 나타낸다.
측정 단위 (°)
부호동쪽으로 치우침: 양수 (+)
서쪽으로 치우침: 음수 (-)
원인
주요 원인지구 내부의 핵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불균일한 분포
추가 원인지각자성 물질의 분포
태양풍지자기 폭풍의 영향 (일시적인 변화 유발)
영향
항해 및 지도 제작항해 및 지도 제작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정확한 방위 결정을 위해 보정 필요
항공항공 항법 시스템에도 영향
탐사지질 탐사 및 자원 탐사에도 활용
기타GPS와 같은 현대적인 항법 시스템에서도 자기 편각 정보가 사용됨
측정 및 예측
측정 방법나침반GPS를 이용한 직접 측정
자기장 관측소에서의 지속적인 관측
예측세계 자기 모델 (WMM)과 같은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므로 주기적인 업데이트 필요
지역별 편각
지역별 차이지구 표면의 위치에 따라 크게 다르며, 특정 지역에서는 매우 큰 편각을 보이기도 함
예시캐나다 북부 지역은 큰 편각을 나타냄
시간 변화
변화 요인지구 내부의 핵 활동 변화에 따라 장기적으로 변화하며, 지자기 폭풍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단기적으로도 변동
중요성정확한 측정을 위해 시간 변화를 고려해야 함
참고
관련 정보복각 (자기 기울기)

2. 역사적 배경

2. 1. 초기 역사

2. 2. 현대

3. 자기 편각의 변화

자기 편각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모두 변한다. 예를 들어, 여행자가 미국 동해안을 항해할 때 편각은 메인주에서 서쪽으로 16도, 플로리다주에서 6도, 루이지애나주에서 0도, 텍사스주에서 동쪽으로 4도로 변한다. 영국 런던의 편각은 2014년에 서쪽으로 1도였으며, 2020년 초에는 0도로 감소했다.[2][3] 17세기에 먼 지역의 측정된 자기 편각에 대한 보고가 흔해졌으며, 에드먼드 핼리는 1700년에 대서양에 대한 편각 지도를 만들었다.[4]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간적 변화는 지구 깊숙한 곳의 흐름의 불규칙성을 반영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구 지각의 광석 또는 자철석 매장량이 편각에 강력하게 기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흐름에 대한 세속적인 변화는 지구의 동일 지점에서 자기장 강도와 방향에 느린 변화를 초래한다.

350x350px


350px

NIMA 자기 변동 지도 2000

특정 지역의 자기 편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할 수 있으며, 측정 위치에 따라 100년에 2~2.5도 정도 변할 수 있다. 이부지비크와 같이 극에 가까운 위치의 경우 편각은 3년에 1도씩 변할 수 있다. 이것은 대부분의 여행자에게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오래된 지도나 오래된 증서의 경계 (방향)에서 자기 방위를 사용하여 어떤 정밀도로 장소를 찾을 때는 중요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변화의 예로, 124년 간격으로 조사된 동일 지역(롱아일랜드 사운드 서쪽 끝)의 두 지도를 참조하십시오. 1884년 지도에는 서쪽으로 8도 20분의 변동이 표시되어 있다. 2008년 지도에는 서쪽으로 13도 15분이 표시되어 있다.

150px


200px


1590년부터 1990년까지 연도별 추정 편각 등고선

3. 1. 시간적 변화

자기 편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하며, 100년에 2~2.5도 정도 변할 수 있다.[2] 극지방에서는 변화가 더 빠를 수 있는데, 이부지비크와 같이 극에 가까운 위치의 경우 편각은 3년에 1도씩 변할 수 있다.[2] 이러한 변화는 지구 깊숙한 곳의 흐름의 불규칙성, 지구 지각의 광석 또는 자철석 매장량, 지구 자기장의 세속적인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4]

시간에 따른 변화의 예로, 124년 간격으로 조사된 롱아일랜드 사운드 서쪽 끝의 두 지도를 비교해 볼 수 있다. 1884년 지도에는 서쪽으로 8도 20분의 편각이, 2008년 지도에는 서쪽으로 13도 15분의 편각이 표시되어 있다.

right

3. 2. 공간적 변화

지구 자기 편각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미국 동해안을 예로 들면, 메인주에서는 서쪽으로 16도, 플로리다주에서는 6도, 루이지애나주에서는 0도, 텍사스주에서는 동쪽으로 4도로 편각이 달라진다.[2][3] 17세기에 먼 지역의 자기 편각 측정이 흔해졌으며, 에드먼드 핼리는 1700년에 대서양의 편각 지도를 만들었다.[4]

공간적 변화는 주로 지구 깊숙한 곳의 불규칙한 흐름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지구 지각 내 광석이나 자철석 매장량이 편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commons:file:Magnetic Declination Chart for the 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2005.pdf

NIMA 자기 변동 지도 2000

특정 지역의 자기 편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할 수 있는데, 측정 위치에 따라 100년에 2~2.5도 정도 변할 수 있다. 이부지비크와 같이 극에 가까운 곳에서는 3년에 1도씩 변할 수도 있다.

right

3. 3. 지구 자기장의 세속적 변화

지구 자기장의 세속적 변화는 지구의 동일 지점에서 자기장 강도와 방향에 느린 변화를 초래한다.[4]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간적 변화는 지구 깊숙한 곳의 흐름의 불규칙성을 반영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구 지각의 광석 또는 자철석 매장량이 편각에 강력하게 기여할 수 있다.[4]

자기 편각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미국 동해안에서 편각은 메인주에서 서쪽으로 16도, 플로리다주에서 6도, 루이지애나주에서 0도, 텍사스주에서 동쪽으로 4도로 변한다. 영국 런던의 편각은 2014년에 서쪽으로 1도였으며, 2020년 초에는 0도로 감소했다.[2][3] 17세기에는 먼 지역의 측정된 자기 편각에 대한 보고가 흔해졌으며, 에드먼드 핼리는 1700년에 대서양에 대한 편각 지도를 만들었다.[4]

특정 지역의 자기 편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할 수 있으며, 측정 위치에 따라 100년에 2~2.5도 정도 변할 수 있다. 이부지비크와 같이 극에 가까운 위치의 경우 편각은 3년에 1도씩 변할 수 있다.

350px

NIMA 자기 변동 지도 2000

1590년부터 1990년까지 연도별 추정 편각 등고선

4. 측정 및 계산

어떤 특정 장소에서의 자편각은 별들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천구상의 점, 즉 진북과 진남의 방향을 나타내는 천구의 극을 기준으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5] 이 측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기기는 ''편각계''라고 알려져 있다.[5]

북쪽 천구의 극의 대략적인 위치는 폴라리스 (북극성)에 의해 표시된다.[5] 따라서 북반구에서는 자북 방위각과 폴라리스에 대한 시각 방위각의 차이로 편각을 대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5] 폴라리스는 현재 북쪽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반경 0.73°의 원을 그리므로, 이 기술은 1도 이내의 정확도를 가진다.[5] 고위도에서는 추가 지평선 근처의 기준 물체에 대해 폴라리스를 시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로부터 방위각을 얻을 수 있다.[5] 천문 관측을 통해 거의 정확하게 진북을 알 수 있으므로, 거기에서 자침의 어긋남을 보면 된다.[5]

이스라엘 지도에 표시된 편각. 화살표는 진북, 격자 북, 자북을 나타내며, 캡션은 자편각의 연간 평균 변화가 동쪽으로 0°03′임을 설명한다.


left

지구 자기장은 지구 핵의 대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오랜 기간에 걸쳐 변화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학자들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데이터는 미국 지질조사소, 국토지리원에서 공개된다.

지자기 폭풍의 영향으로 극 부근에서는 30°, 중위도에서는 약 2°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13]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의 지형도를 포함한 국지 지도에는 해당 지역의 자북과 진북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과 함께 편각의 크기 및 각도(도)를 나타내는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다이어그램은 정확한 묘사가 아니라 가독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된 것이다.

일반적인 등각선도를 통해 특정 지역의 편각을 대략적으로 추정(몇 도 이내)할 수 있으며, 등각선은 항공 및 해상 지도에도 표시된다.

세계 자기 모델(WMM), IGRF, GUFM과 같은 경험적 모델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와 시간에 대한 편각을 예측할 수 있다.[6] 미국 국립 해양 대기청 산하 국립 지구물리 데이터 센터의 웹 앱[7]과 국립 지리 공간 정보국에서 제공하는 도구[8]를 통해 이러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향상된 자기장 모델과 같이 지각 이상을 고려한 모델은 더 정확한 편각 추정을 제공한다.[9]

4. 1. 직접 측정

어떤 특정 장소에서의 자편각은 별들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천구상의 점, 즉 진북과 진남의 방향을 나타내는 천구의 극을 기준으로 직접 측정할 수 있다.[5] 이 측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기기는 ''편각계''라고 알려져 있다.[5]

북쪽 천구의 극의 대략적인 위치는 폴라리스 (북극성)에 의해 표시된다.[5] 따라서 북반구에서는 자북 방위각과 폴라리스에 대한 시각 방위각의 차이로 편각을 대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5] 폴라리스는 현재 북쪽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반경 0.73°의 원을 그리므로, 이 기술은 1도 이내의 정확도를 가진다.[5] 고위도에서는 추가 지평선 근처의 기준 물체에 대해 폴라리스를 시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로부터 방위각을 얻을 수 있다.[5] 천문 관측을 통해 거의 정확하게 진북을 알 수 있으므로, 거기에서 자침의 어긋남을 보면 된다.[5]

4. 2. 지도 및 모델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의 지형도를 포함한 국지 지도에는 해당 지역의 자북과 진북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과 함께 편각의 크기 및 각도(도, 각 밀)를 나타내는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다이어그램은 정확한 묘사가 아니라 가독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된 것이다.

일반적인 등각선도를 통해 특정 지역의 편각을 대략적으로 추정(몇 도 이내)할 수 있으며, 등각선은 항공 및 해상 지도에도 표시된다.

세계 자기 모델(WMM), IGRF, GUFM과 같은 경험적 모델을 사용하여 특정 위치와 시간에 대한 편각을 예측할 수 있다.[6] 미국 국립 해양 대기청 산하 국립 지구물리 데이터 센터의 웹 앱[7]과 국립 지리 공간 정보국에서 제공하는 도구[8]를 통해 이러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향상된 자기장 모델과 같이 지각 이상을 고려한 모델은 더 정확한 편각 추정을 제공한다.[9]

5. 나침반 조정

5. 1. 회전식 다이얼 나침반

서쪽 편각 10°(음수)로 조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컴퍼스와 진북 방향으로의 이동


회전식 다이얼이 있는 나침반은 베젤을 조정하여 편각을 설정할 수 있다. 자침은 지리적(진) 북극이 아닌 자기 북극을 가리키기 때문에, 베젤을 회전시켜 베젤의 N(북) 표시와 자침의 극성 팁(보통 빨간색)이 가리키는 자기 북극의 방향(동쪽 또는 서쪽) 사이에 원하는 각도만큼 위치시킨다. 자침이 캡슐 하단의 윤곽선이 있는 방향 화살표나 상자 안에 놓일 때까지 전체 나침반을 회전시키고, 코스 방위각(도 단위)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진행 방향 화살표 바닥에 표시되도록 하면, 자기 북극 대신 진북과 관련된 코스 방위를 얻을 수 있다.

오른쪽 이미지에서 베젤의 N은 나침반 바늘의 자성 끝이 가리키는 방향에 맞춰져 있으며, 지역 편각(자기 북극에서 서쪽으로 10도)에 맞게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진행 방향 화살표는 진북 방향을 나타낸다.

회전식 다이얼 나침반은 나침반 베젤에서 진북을 가리키는 자기 북극의 서쪽 또는 동쪽에 작은 델타 점 또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진북 판독값을 제공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5. 2. 부유식 카드 나침반

부유 자화 다이얼 또는 카드를 사용하는 나침반은 해양 나침반과 렌즈형 또는 프리즘 조준 시스템을 갖춘 육상 항해에 사용되는 특정 모델에서 주로 사용된다. 부유식 카드 나침반은 자기 북극을 기준으로 방위를 제공하며, 진북은 지역 편각을 더하거나 빼서 계산해야 한다.

자기 방위를 진 방위로 변환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자기 편각을 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각이 14°E(+14°)인 경우, 나침반에 표시된 방위에 14도를 더하면 진 방위를 얻을 수 있다. 만약 편각이 14°W(-14°)였다면, 자기 방위에 “더하여” 진 방위를 얻는다. 즉, 40°+ (-14°) = 26°가 된다.

반대로, 자기 방위를 얻기 위해 지역 편각은 진 방위에서 빼진다. 지역 편각이 14°E인 경우, 54°의 진 방위(지도에서 얻은)는 편각을 빼서 자기 방위로 변환된다. 즉, 54° – 14° = 40°가 된다. 지역 편각이 14°W(−14°)였다면, 자기 방위를 얻기 위해 진 방위에서 다시 빼진다. 즉, 54°- (−14°) = 68°가 된다.

6. 항해에서의 활용

항공기와 선박은 방위를 계산할 때 자기 편각과 자차를 고려해야 한다. 진 방위(True North), 자 방위(Magnetic North), 컴퍼스 방위(Compass North) 사이에는 관계가 있으며, 컴퍼스 오차는 자차와 편차로 구성된다.[10]

컴퍼스 방위, 자 방위, 진 방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T = M + V (진 방위 = 자 방위 + 자 편차)
  • M = C + D (자 방위 = 컴퍼스 방위 + 컴퍼스 자차)


일반적인 방정식은 T = C + D + V 이다. 여기서,

  • C: 컴퍼스 방위
  • M: 자 방위
  • T: 진 방위
  • V: 자 편차
  • D: 컴퍼스 자차


서쪽 편차 및 자차는 음수(V<0, D<0), 동쪽 편차 및 자차는 양수(V>0, D>0)이다.[10]

예를 들어 컴퍼스가 32°, 지역 자 편차가 -5.5°(서쪽), 자차가 0.5°(동쪽)이면 진 방위는 27°이다.

진 방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컴퍼스 방위 + 자차 = 자 방위
  • 자 방위 + 자 편차 = 진 방위


반대로 진 방위에서 컴퍼스 방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진 방위 - 자 편차 = 자 방위
  • 자 방위 - 자차 = 컴퍼스 방위


"West is best, East is least"라는 기억술을 통해 서쪽 편각은 더하고 동쪽 편각은 빼서 계산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무편각선을 기준으로 동쪽에서는 자 방위가 더 크고, 서쪽에서는 자 방위가 더 작다.

약어는 다음과 같다:

  • TC: 진침로
  • V: 편차
  • MC: 자침로
  • D: 자차
  • CC: 컴퍼스 침로

6. 1. 항공 항법

항공 항법은 자기 방향을 기반으로 하므로, 항법 보조 장치는 VOR 비콘, 활주로 번호, 항공로 표시, 항공 교통 관제에서 제공하는 항공기 유도 방향과 같이 시간 경과에 따른 자기 편각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11]

활주로는 01에서 36 사이의 숫자로 지정되며, 일반적으로 활주로 방위각의 10분의 1이다. 예를 들어 활주로 09는 동쪽(90°), 활주로 18은 남쪽(180°), 활주로 27은 서쪽(270°)을 가리키며, 활주로 36은 북쪽(360°가 아닌 0°)을 가리킨다.[11] 그러나 자기 편각으로 인해 활주로 지정 번호가 변경되어야 할 때도 있다. 예외는 캐나다의 북부 국내 영공 내 활주로인데, 이 활주로는 자기 북극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자기 편각이 크고 빠르게 변화하므로 진북을 기준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지상에 위치한 전파 항법 보조 시설(VOR) 또한 조종사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면 항법을 위해 자기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기 북극과 일치하도록 확인 및 업데이트된다. 항공 섹션 차트는 진북을 사용하여 그려지므로 자기 편각이 변경될 때 전체 차트를 회전할 필요가 없다. 대신 차트의 개별 인쇄 요소가 자기 편각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2021년 3월 노스캐롤라이나주 윈스턴-세일럼 바로 서쪽에 있는 섹션 차트를 보면 자기 북극은 진북에서 서쪽으로 8도 떨어져 있다.[12]

코스를 계획할 때, 일부 소형 항공기 조종사는 섹션 차트(지도)에서 진북을 사용하여 비행 계획을 세운 다음, 자기 나침반을 사용하여 평면 항법을 위해 진북 방위를 자기 북극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방위는 섹션 차트에 표시된 지역 편각을 더하거나 빼서 비행 전 계획에서 변환된다.

항공기 항법에 사용되는 GPS 시스템은 고유한 좌표계가 진북을 기반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자기 북극을 기준으로 방향을 표시한다. 이는 자기 편각을 고려하는 GPS 내부의 조회 테이블을 통해 수행된다. 시계 비행 규칙 하에서 비행하는 경우 오래된 GPS 편각 데이터베이스로 비행하는 것이 허용되지만, IFR로 비행하는 경우 FAA 규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28일마다 업데이트해야 한다.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가장 진보된 여객기에도 여전히 조종석에 자기 나침반이 장착되어 있다. 기내 전자 장치가 고장나면 조종사는 종이 차트와 자기 나침반에 의존할 수 있다.

6. 2. 선박 항해

6. 3. 편각 및 자차 보정

항공기나 선박에는 진 방위, 자 방위, 컴퍼스 방위의 세 가지 방위 유형이 있다.[10] 컴퍼스 오차는 자 편차와 자차로 나뉘는데, 자차는 선박이나 항공기의 자기적 특성에서 기인한다.[10]

컴퍼스 방위, 자 방위, 진 방위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컴퍼스 방위 + 자차 = 자 방위
  • 자 방위 + 자 편차 = 진 방위


진 방위에서 컴퍼스 방위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진 방위 - 자 편차 = 자 방위
  • 자 방위 - 자차 = 컴퍼스 방위


"West is best, East is least(서쪽은 최고, 동쪽은 최저)"라는 기억술을 통해 진 방위에서 자 방위로 갈 때 서쪽(W) 편각을 더하고 동쪽(E) 편각을 빼는 규칙을 기억할 수 있다.[10]

자기 편각은 주어진 자기 방위각에서 나침반의 관련 방위 표지까지의 각도이다. 편각은 나침반 방위 표지가 관련 자기 방위각의 오른쪽에 있으면 양수, 왼쪽에 있으면 음수이다. 자석 및/또는 철 질량은 편각을 수정하여 특정 나침반이 자기 방위각을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보정 카드에 나침반의 오차가 나열되어 있어 산술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자기 방위각을 얻으려면 컴퍼스 방위각에 편각을 더해야 한다.

7. 한국에서의 자기 편각

한국의 편각 값은 -4° ~ -11° 사이이며, 자북이 진북보다 서쪽에 위치한다(서편). 일본의 경우 혼슈 지역은 약 -8°, 이시가키섬(오키나와현)은 약 -5°, 홋카이도 대부분 지역은 약 -10°의 편각을 보인다.

지구 자기장은 지구 핵의 대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오랜 기간에 걸쳐 변화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학자들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데이터는 미국 지질조사소, 국토지리원 등에서 공개된다. 지자기 폭풍의 영향으로 극 부근에서는 30°, 중위도에서는 약 2°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13]

7. 1. 한국의 편각 값

한국의 편각 값은 -4° ~ -11° 사이이며, 자북이 진북보다 서쪽에 위치한다(서편). 일본의 경우 혼슈 지역은 약 -8°, 이시가키섬(오키나와현)은 약 -5°, 홋카이도 대부분 지역은 약 -10°의 편각을 보인다.

7. 2. 한국의 자기장 측정

지구 자기장은 지구 핵의 대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오랜 기간에 걸쳐 변화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학자들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데이터는 미국 지질조사소, 국토지리원 등에서 공개된다. 지자기 폭풍의 영향으로 극 부근에서는 30°, 중위도에서는 약 2°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13]

8. 자기 편각 외 오차


  • 자기 이상(Magnetic anomaly]) - 지중의 자철광, 광상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자차(Magnetic deviation]) - 배나 비행기는 대기나 바다 등의 마찰에 의해 자성을 띠게 되어, 방위를 나타내는 나침반을 잃게 만든다. 이 오차를 자차라고 한다.
  • 자기 복각(Magnetic dip]) - 지자기의 3요소 중 하나로, 자침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8. 1. 자기 이상

지중의 자철광, 광상 등의 영향으로 자기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8. 2. 자차

배나 비행기가 대기나 바다 등과의 마찰에 의해 자성을 띠게 되면, 나침반이 정확한 방위를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이 오차를 자차라고 한다. 자차는 동일한 위치에 있는 모든 나침반에 대해 다르며, 선박의 자기장, 손목시계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값은 보트의 방향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8. 3. 복각

지자기 3요소 중 하나로, 자침이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를 복각이라고 한다.

분류:지구물리학

분류:지구 자기

분류:각도

참조

[1] 서적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Paradise Cay Publications
[2] 웹사이트 Find the magnetic declination at your location http://www.magnetic-[...] Magnetic-Declination.com 2013-12-06
[3] 웹사이트 World Magnetic Model - Epoch 2020 -Declination https://www.ngdc.noa[...]
[4] 웹사이트 Magnetic declination https://www.geomag.n[...] 2021-09-30
[5] 간행물 Magnetic declination, what it is, how to compensate. http://earthsci.org/[...] 2010-03-03
[6] 논문 Physics-based secular variation candidate models for the IGRF 2021-12
[7] 웹사이트 Estimated Value of Magnetic Declination http://www.ngdc.noaa[...] 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13-12-06
[8] 웹사이트 World Magnetic Model - Software Download https://www.ngdc.noa[...] 2022-02-08
[9] 웹사이트 Enhanced Magnetic Model (EMM) https://www.ngdc.noa[...] 2022-03-10
[10] 웹사이트 Compass navigation https://www.sailingi[...] 2020-01-04
[11] 웹사이트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eronautical Information Manual, Chapter 2, Section 3 Airport Marking Aids and Signs part 3b http://www.faa.gov/a[...] 2012-01-18
[12] 문서 See also CUNY http://academic.broo[...]
[13] 서적 Navigation für Expeditionen, Touren, Törns und Reisen. Orientierung in der Wildnis. Schettler Publikation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