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강군은 강원도에 위치한 군으로, 북쪽은 세포군, 서남쪽은 철원군, 서쪽은 이천군, 동쪽은 김화군과 접하며, 남쪽은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 철원군과 마주한다.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이 지나 산지가 많고, 룡암습지가 철원군까지 이어진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기온은 9.1°C이며, 벼농사가 발달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강원선(경원선)이 있으며, 평강역과 복계역 등이 위치해 있다. 역사적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부양현, 신라 시대에는 강평으로 불렸으며, 1895년 춘천부 관할이 되었다. 2001년 김화군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으며, 현재 1읍 30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평강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평강군 |
현지 이름 | 평강군 (평강군) |
언어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P'yŏnggang-gun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Pyeonggang-gun |
위치 | 강원도 |
면적 | 708 km²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구성 | 1읍, 30리 |
인구 통계 | |
2008년 인구 조사 | 90,42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 |
군 소재지 | 평강읍 |
2. 지리
북쪽은 세포군, 서남쪽은 철원군, 서쪽은 이천군, 동쪽은 김화군과 접한다. 남쪽은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의 철원군과 접한다. 군의 일부는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이 통과해 군역의 대부분이 산지이며, 폭우가 자주 발생하기 쉽다. 평강군의 일부는 룡암습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 습지는 철원군까지 이어진다.
2. 1.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1.2 | 2.0 | 8.1 | 15.8 | 21.7 | 25.3 | 26.4 | 27.5 | 23.8 | 17.9 | 9.0 | 0.8 | 14.8 |
평균 기온 (°C) | -7.0 | -3.6 | 2.4 | 9.2 | 15.3 | 19.9 | 22.5 | 22.9 | 17.9 | 11.1 | 3.4 | -4.4 | 9.1 |
최저 기온 (°C) | -13.3 | -9.4 | -3.1 | 2.5 | 9.2 | 14.8 | 19.1 | 19.0 | 12.6 | 4.8 | -1.9 | -9.4 | 3.7 |
강수량 (mm) | 11.5mm | 24mm | 25.4mm | 65.6mm | 92.5mm | 114.6mm | 369.9mm | 286.6mm | 108.4mm | 51.4mm | 40.4mm | 21.6mm | 1211.9mm |
강수일 (0.1 mm 이상) | 5.0 | 5.0 | 5.8 | 6.9 | 7.7 | 8.8 | 14.4 | 12.4 | 6.9 | 5.0 | 6.5 | 6.5 | 90.9 |
강설일 | 5.2 | 3.9 | 3.5 | 0.5 | 0.0 | 0.0 | 0.0 | 0.0 | 0.0 | 0.0 | 2.0 | 5.5 | 20.6 |
습도 (%) | 73.3 | 70.3 | 68.9 | 64.7 | 69.4 | 76.7 | 86.1 | 84.9 | 79.8 | 74.4 | 74.6 | 74.4 | 74.8 |
고구려 시대에는 부양현, 신라 시대에는 강평이라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동주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평강현이라 불렸다. 918년 왕위에서 쫓겨난 궁예가 이곳에서 백성들에게 맞아 죽었다고 한다.[3]
평강군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록을 기준으로 위와 같다.[1]
3. 역사
연도 내용 1759년 읍내(邑內)면, 현내(縣內)면, 남(南)면, 초서(初西)면, 서(西)면, 목전(木田)면, 고삽(高揷)면, 유진(楡津)면의 8면으로 구성[3] 1895년 23부제 시행에 따라 춘천부 관할, 현에서 군으로 변경[3] 미상 읍내면을 군내면으로 개칭[3] 1896년 13도제 시행에 따라 강원도 관할[3] 1914년 일제 강점기 부군면 통폐합으로 초서면이 군내면에 통합(7면)[3] 1917년 군내면이 평강면으로 개칭[3] 1923년 평강면이 군내면으로 환원[3] 1939년 군내면이 다시 평강면으로 개칭[3] 1942년 10월 1일 평강면이 평강읍으로 승격(1읍 6면)[5] 1945년 광복 직후 평강읍이 면으로 격하, 고삽면이 세포(洗浦)면으로 개칭(7면)[3] 1945년 9월 2일 38선 이북으로 소련군정 관할[5] 1952년 12월 유진면, 세포면을 세포군으로 분리, 회양군 난곡면 일부 편입. 구읍리, 복계리 설치[3]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결과, 남면 정연리가 대한민국 철원군 갈말읍으로 편입[3] 1961년 평강읍이 복계리로, 구읍리가 평강읍으로 변경[3] 2001년 1월 27일 목전면 일원과 송포리가 세포군으로 이관, 김화군 일부 지역 편입[3] 2020년 10월 2일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로 김화군 관할 구역이 2001년 이전으로 복귀, 2001년 개편은 무효 추정[6]
3. 1. 고대
고구려 시대에는 부양현, 신라 시대에는 강평이라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동주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평강현이라 불렸다. 918년 왕위에서 쫓겨난 궁예가 이곳에서 백성들에게 맞아 죽었다고 한다.
3. 2. 고려 및 조선
고구려 시대에 부양현으로, 신라 시대는 강평이라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동주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평강현이라 불렀다. 918년 왕위에서 쫓겨난 궁예가 이곳에서 백성들에게 맞아 죽었다고 한다.
연도 | 내용 |
---|---|
1759년 | 당시 읍내(邑內)면, 현내(縣內)면, 남(南)면, 초서(初西)면, 서(西)면, 목전(木田)면, 고삽(高揷)면, 유진(楡津)면의 8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8면) |
1895년 | 23부제 시행에 따라 춘천부의 관할이 되고 현에서 군으로 변경되었다. |
일자 미상 | 읍내면을 군내면으로 개칭했다. |
1896년 | 13도제 시행에 따라 강원도의 관할이 되었다. |
3. 3.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 강점기에 부군면 통폐합으로 강원도 평강군에는 군내면, 현내면, 남면, 서면, 목전면, 고삽면, 유진면이 설치되었다.(7면)[3] 1917년 군내면이 평강면으로, 1923년에는 다시 군내면으로, 1939년에 또다시 평강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42년 10월 1일 평강면이 평강읍으로 승격되었다.(1읍 6면)[5] 1945년 광복 직후 평강읍은 면으로 격하되었고, 고삽면은 세포(洗浦)면으로 개칭되었다.(7면)[3]3. 4. 광복 이후
-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평강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5]
-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북부의 유진면, 세포면을 세포군으로 분리하고, 회양군 난곡면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였다. 전통적인 평강읍의 중심지였던 동변리가 서변리와 합쳐 구읍리가 되었고, 복계리가 주변 리를 합쳐 평강읍이 되었다.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남면 정연리가 유일하게 대한민국 관할이 되어, 1972년 철원군 갈말읍으로 편입되었다.
- 1961년: 평강읍이 복계리로 바뀌고 구읍리가 평강읍이 되었다.
- 2001년 1월 27일: 옛 목전면 일원(장촌노동자구, 복만리, 정동리, 기산리, 중삼리)과 송포리(해방 당시 현내면 송포리, 신대리)가 세포군에 이관되었고, 김화군의 탑거리(塔距里), 성산리(城山里), 건천리(乾川里), 수태리(水泰里), 근동리(近東里)가 편입되었다. 이로써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 김화군이었던 지역 중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전부 평강군에 속하게 되었다.
- 2020년 10월 2일: 조선중앙텔레비죤의 김정은 위원장 김화군 시찰 보도에서 김화군의 관할 구역이 2001년 개편 이전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산리 일대에 대해서는 해당 지도에는 나오지 않으나 다른 날 다른 북조선 매체의 기사에서 기산리에서 아홉 명의 자식을 낳은 송금숙의 거주지를 평강군 기산리로 명기하고 있어[6], 2001년 개편은 무효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4. 행정 구역
평강군은 1읍(평강읍)과 30리(리수덕리, 복계리, 가곡리, 건천리, 근동리, 금곡리, 남양리, 내천리, 랑월리, 랑하리, 문봉리, 문산리, 봉래리, 상갑리, 상송관리, 상원리, 성산리, 수태리, 신정리, 압동리, 옥동리, 자원리, 전승리, 정산리, 천암리, 탑거리, 하송리, 하주리, 해방리, 화암리)로 구성되어 있다.[1]
5. 산업
평강군은 농업에 적합하며, 특히 벼농사가 발달했다. 또한 평강의 광산에서는 금, 텅스텐, 네펠린, 지르콘, 명반석, 규조토를 채굴한다.
6. 교통
강원선(경원선)이 평강군을 지나며, 평강역과 복계역 등이 있다. 금강산선이 한때 군내를 지났으나 폐선되었고, 원래 정연역이 있던 곳은 1953년 정전협정 이후 대한민국으로 넘어갔다. 2001년 김화군으로부터 편입된 지역에는 금강산선의 하소역, 행정역이 있다.[1]
강원선은 원래 경원선으로 불렸으며 원산시에서 평강군을 지나 서울로 이어졌으나, 1953년 휴전 협정으로 군사 분계선이 월정리역 ~ 평강역 구간을 통과하게 되면서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후 북한에서는 경원선을 강원선으로 이름을 바꾸고 평강역을 종착역으로 하였다.[1]
7. 우호교류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2]
문화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
1996
[3]
역사
강원도 평강군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5]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6]
웹사이트
https://dprktoday.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