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에서 부활하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허에서 부활하여"는 1949년 동독의 국가로, 시인 요하네스 베허가 가사를 쓰고 한스 아이슬러가 작곡했다. 이 곡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부활과 통일을 염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쟁의 고통 극복, 평화, 미래 세대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다. 냉전 심화와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가사는 멜로디만 연주되다가,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다시 가창되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독일인의 노래"가 국가로 채택되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과거사 반성, 평화주의, 미래 지향적인 내용으로 재평가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폐허에서 부활하여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독일어) | Auferstanden aus Ruinen |
영어 제목 | Risen from the Ruins (폐허에서 부활하여) |
국가 | 동독 |
작사가 | 요하네스 R. 베허 |
작사 시기 | 1949년 |
작곡가 | 한스 아이슬러 |
작곡 시기 | 1949년 |
채택 시기 | 1949년 11월 14일 |
폐지 시기 | 1990년 10월 3일 |
2. 역사적 배경
1949년, 연합군 점령하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에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 수립되면서 시인 요하네스 R. 베허가 국가의 가사를 썼고, 한스 아이슬러가 작곡했다.[1][2] 이 곡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부활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었으나,[3] 냉전 심화와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가사 내용이 현실과 맞지 않게 되었다.[13]
1990년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 동독 국가를 유지하자는 의견은 철저히 무시되었고, 베허의 가사를 수정하여 서독 국가에 추가하자는 제안도 나왔지만, 결국 서독에서 사용하던 국가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17]
이 곡은 의전용 외에는 연주될 일이 없어졌지만, 〈독일인의 노래〉(현재의 독일 국가)보다 더 반성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17] 가사에는 과거의 고난을 극복하고 나라를 재건한다는 내용,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를 반성한다는 내용, 전쟁으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과 평화를 바라는 마음, 독일 청년들에게 미래를 부탁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17]
일반적으로 2절은 "인민의 적을 없앤다"는 전쟁 고취 문제와 너무 길어진다는 이유로 불리지 않았다. 이는 영국 국가와 유사하며, 소련이 자국 국가에서 스탈린 미화 가사를 폐지한 영향도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자유진영의 호황과 공산진영의 쇠퇴 속에서 애국심 고취를 위해 다시 가사를 붙여 부르기 시작했다.[17][20]
동독의 국영 라디오 방송국인 베를린 국제 방송은 1990년 12월 2일, 텔레비전 방송국인 독일 텔레비전 방송은 1991년 12월 31일 폐지 전 마지막 방송에서 동독 국가를 3절까지 송출했다.[17][20]
2. 1. 가사 내용 변화
1949년에 쓰인 동독의 국가는 분할 점령된 독일의 정치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동서독의 통일을 목표로 하는 것은 적절하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 결과, 베허의 가사는 "조국 통일"의 몇 가지 의미를 발전시켜, "einig Vaterland|아이니히 파터란트|하나의 조국de" 즉 독일 전체를 의미하는 표현을 포함했다.[3] 그러나 이러한 개념은 냉전 상황, 특히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1970년대에 들어 소련으로부터 가사가 동서 분열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압력을 받아 가창이 금지되고 멜로디만 연주되었다.[13] 이후 1990년 1월부터 9월까지, 즉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방송 종료 시 가사와 함께 다시 불렸다.[14]베허의 가사는 전전(戰前) 독일의 국가였던 『독일의 노래』와 운율이 같으며, 하이든의 곡에 맞춰 부를 수 있다.[15]
3. 가사
가사는 총 3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의 고난 극복, 평화에 대한 염원, 미래 세대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13] 특히,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황폐함에서 벗어나 부활과 조국 통일을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으며, 전쟁으로 인한 슬픔을 극복하고, 형제애와 단결을 통해 인민의 적을 물리치고 평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한다.[13]
3. 1. 원문 가사 및 번역
독일어 원문 | 한국어 번역 | 영어 번역 | 러시아어 번역 |
---|---|---|---|
{{lang|de|italic=no| | {{lang|ru| |
4. 통일 이후
1990년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 국가(國歌)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다. 동독 총리 로타어 데 메지에르는 베허의 가사를 통일 독일 국가에 추가할 것을 제안했으나, 서독 총리 헬무트 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7] 결국 통일 독일의 국가는 서독에서 사용하던 독일인의 노래로 결정되었다.[17]
'폐허에서 부활하여'는 의전용 외에는 연주될 일이 없어졌지만, 〈독일인의 노래〉보다 더 반성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재평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17] 특히,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내용, 전쟁으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과 평화를 바라는 마음, 독일의 미래를 짊어질 청년 세대에 대한 기대 등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동독은 사라졌지만 노래는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17]
1990년 10월 2일, 동독의 국제 라디오 방송국 라디오 베를린 인터내셔널은 마지막 방송에서 동독 국가의 가창 버전을 송출하며 방송을 종료했다.[8]
5. 평가
본곡은 〈독일인의 노래〉(현재의 독일 국가)보다 더 반성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17] 과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로 얼룩진 과거사를 반성하고 성찰한다는 뜻깊은 내용을 담고 있다.[17] 또한, 전쟁으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하고, 더 이상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평화의 등불이 빛나게 하라는 평화주의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17]
베허의 가사는 독일 청년들이 기성세대가 되어 독일의 미래를 부탁하는 내용과 이 땅 위에 태양이 아름답게 빛을 낼 것이라는 서정적이고 모성애, 미래 지향적 태도를 담은 듯한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동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그 국가만큼은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17]
하지만 1990년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 국가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을 때, 통일 문제가 현재 진행형임을 나타내는 가사 때문에 독일민주공화국의 국가를 지정하자는 움직임은 철저히 무시되었다.[17]
6. 미디어에서의 사용
베를린 국제 방송(동독 국영 라디오 방송국)과 독일 텔레비전 방송(동독 국영 방송센터)은 폐지 직전 마지막 방송에서 동독 국가를 송출했다. 베를린 국제 방송은 1990년 12월 2일에, 독일 텔레비전 방송은 서독과의 통일로 1991년 12월 31일에 폐지되었다.[17][20] 1995년 브라질에서 열린 행사에서는 실수로 이 곡이 연주되기도 했다.[9]
7. 같이 보기
- 독일 민주 공화국
참조
[1]
USGov
A Guide to the United States' History of Recognition, Diplomatic, and Consular Relations, by Country, since 1776: East Germany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s://history.stat[...]
2024-01-28
[2]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Auferstanden aus Ruinen"(1949)
https://germanhistor[...]
2024-01-28
[3]
웹사이트
East Germany (GDR) – Auferstanden aus Ruinen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2011-11-02
[4]
웹사이트
S/RES/335(1973)
https://documents-dd[...]
United Nations
2024-01-28
[5]
LeMO
Hymne der DDR
http://www.dhm.de/le[...]
2009-07-05
[6]
Youtube
East German National Anthem – Auferstanden aus Ruinen – TV Sign-off
https://www.youtube.[...]
Deutscher Fernsehfunk
[7]
웹사이트
Neuer Vorschlag: "Auferstanden aus Ruinen" in Nationalhymne?
https://rp-online.de[...]
2010-08-21
[8]
Youtube
RBI, last broadcast, 2 October 1990
https://www.youtube.[...]
Radio Berlin International
[9]
서적
Auferstanden aus Ruinen… Die Nationalhymne der DDR 1949 bis 1990.
Dietz
[10]
웹사이트
Die Nationalhymne der DDR "Auferstanden aus Ruinen"
https://www.mdr.de/z[...]
2024-10-13
[11]
서적
Military Music & Bandsmen of Adolf Hitler's Third Reich, 1933–1945
Tomahawk Films
[12]
웹사이트
Возрождённая из Руин (Гимн ГДР)
https://poembook.ru/[...]
[13]
서적
国のうた National Anthems of the World
文藝春秋
[14]
간행물
東ドイツ国歌のこと
同学社『ラテルネ』
2022-09-26
[15]
서적
Word and Music
https://books.google[...]
MHRA
[16]
서적
ドイツのフォークロア―文学の背景としてのわらべうたからアングラまで
南江堂
[17]
웹사이트
East Germany (GDR) – Auferstanden aus Ruinen
http://nationalanthe[...]
[18]
URL
http://www.hdg.de/lemo/html/Nachkriegsjahre/EntstehungZweierDeutscherStaaten/hymneDerDDR.html
http://www.hdg.de/le[...]
[19]
URL
https://web.archive.org/web/20090705042911/http://www.dhm.de/lemo/html/Nachkriegsjahre/EntstehungZweierDeutscherStaaten/hymneDerDDR.html
https://web.archive.[...]
[20]
뉴스
"Auferstanden aus Ruinen" in Nationalhymne?
https://archive.toda[...]
RP Onine
2010-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