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부스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 부스》는 뉴욕의 홍보 담당 스튜가 공중전화 박스 안에서 정체불명의 연쇄 살인범에게 저격당할 위협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02년 미국의 스릴러 영화이다. 스튜는 불륜을 저지르다 살인범에게 붙잡혀, 아내와 정부에게 진실을 고백하도록 강요받는다. 영화는 콜린 패럴, 키퍼 서덜랜드, 포리스트 휘터커 등이 출연하며, 제한된 공간과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긴장감 넘치는 전개로 관객을 사로잡는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배우들의 연기와 빠른 전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내용의 깊이에 대한 아쉬움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스릴러 영화 - 링 (2002년 영화)
2002년 개봉한 미국 공포 영화 《링》은 고어 버빈스키 감독, 나오미 왓츠 주연으로, 동명의 일본 영화를 리메이크하여 저주받은 비디오테이프의 비밀을 파헤치는 기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2002년 스릴러 영화 - 존 큐
《존 큐》는 덴절 워싱턴 주연의 2002년 미국 영화로, 아들의 심장 이식 수술비를 위해 병원 응급실에서 인질극을 벌이는 아버지 존 큐의 이야기를 통해 미국 의료 체계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준다. - 저격수를 소재로 한 영화 - 암살 (2015년 영화)
암살은 1933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친일파 암살 작전을 그린 2015년 개봉한 한국 영화이며, 독립군, 임시 정부, 청부살인업자 등의 인물들이 암살 작전을 수행하며 배신과 갈등을 겪는 내용을 담고, 흥행에 성공하여 2015년 한국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했다. - 저격수를 소재로 한 영화 - 더티 해리
더티 해리는 1971년 돈 시겔 감독의 범죄 스릴러 영화로,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연쇄 살인범을 쫓는 해리 캘러한 형사 역을 맡아 경찰의 폭력과 사법 제도의 문제를 다루며 이스트우드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조엘 슈매커 감독 영화 - 오페라의 유령 (2004년 영화)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을 영화화한 2004년 영화 《오페라의 유령》은 제라드 버틀러, 에미 로섬, 패트릭 윌슨 주연으로 1870년 파리 오페라 하우스를 배경으로 유령 에릭과 소프라노 크리스틴, 라울 백작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작품이다. - 조엘 슈매커 감독 영화 - 베로니카 게린 (영화)
베로니카 게린은 1990년대 아일랜드 마약 범죄를 취재하다 살해된 기자 베로니카 게린의 삶을 그린 2003년 영화이며, 케이트 블란쳇이 베로니카 게린 역을 맡아 열연했다.
폰 부스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 | |
감독 | 조엘 슈마커 |
프로듀서 | 길 네터 데이비드 주커 |
각본 | 래리 코언 |
출연 | 콜린 파렐 포리스트 휘터커 케이티 홈즈 라다 미첼 키퍼 서덜랜드 |
음악 | 해리 그레그슨-윌리엄스 |
촬영 | 매슈 리바티크 |
편집 | 마크 스티븐스 |
스튜디오 | 20세기 폭스 주커/네터 프로덕션스 |
배급사 | 20세기 폭스 |
개봉일 | 2002년 9월 10일 (토론토 국제 영화제) 2003년 4월 4일 (미국) 2003년 11월 22일 (일본) |
상영 시간 | 81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300만 달러 |
흥행 수익 | 9780만 달러 |
2. 줄거리
말솜씨 좋은 뉴욕 미디어 컨설턴트 스튜어트 셰퍼드(스튜)는 아내 켈리 몰래 의뢰인 패멀라 매케든(팸)과 불륜을 계획하고 있는 거만하고 부정직한 인물이다. 그는 아내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타임스 스퀘어의 공중전화 부스에서 팸에게 연락한다. 통화 중 피자 배달원이 나타나 방해하지만, 스튜는 그를 공격적으로 쫓아낸다. 팸과의 통화를 마치자마자 전화벨이 울리고, 무심코 받은 스튜에게 상대방은 그의 이름을 부르며 부스에서 나가지 말라고 경고하고, 켈리에게 팸에 대해 폭로하겠다고 협박한다.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이 섹션은 비워둠)
전화 속 남자는 스튜처럼 잘못을 저지른 두 사람을 시험했고, 그들이 진실을 밝히길 거부하자 살해했다고 말한다. 스튜가 살아남으려면 켈리와 팸에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고백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남자는 위협을 증명하기 위해 소음기가 장착된 저격소총으로 부스 밖의 장난감 로봇을 정확히 쏘아 맞춘다. 스튜의 가슴에는 레이저 조준점이 맞춰지고, 그는 공포에 질려 부스에서 나올 수 없게 된다. 남자는 팸에게 연락해 스튜와 연결시키고, 스튜는 자신이 결혼했다는 사실을 팸에게 실토한다.
이후 전화를 사용하려는 세 명의 매춘부가 부스로 다가오지만, 스튜는 상황을 설명하지 않고 버틴다. 이에 화가 난 매춘부들은 포주 레온을 데려오고, 레온은 부스 유리를 깨고 스튜를 폭행한다. 전화 속 남자는 "그를 멈추게 할까?"라고 묻고, 혼란 속에서 스튜는 무심코 "예스"라고 답한다. 직후 남자는 레온을 저격해 살해한다. 매춘부들은 스튜가 총을 쐈다고 비명을 지르며 경찰에 신고하고 도망친다.
곧 현장에는 뉴욕 경찰과 뉴스 취재진이 몰려든다. 에드 라미 경감은 주변을 통제하고 스튜에게 투항을 요구하지만, 그는 저격범의 존재 때문에 나갈 수 없다. 스튜가 저격범에게 경찰이 증거 없이 자신을 기소할 수 없다고 말하자, 저격범은 부스 지붕 위에 놓인 권총을 가리킨다. 켈리와 팸이 현장에 도착하자, 저격범은 스튜에게 켈리에게 모든 진실을 고백하라고 강요하고, 스튜는 자신의 외도와 거짓말을 털어놓는다. 저격범은 더 나아가 켈리와 팸 중 한 명을 선택하라고 요구하며, 선택받지 못한 사람은 죽이겠다고 협박한다.
스튜는 몰래 자신의 휴대전화로 켈리에게 전화해 저격범과의 대화를 엿듣게 하고, 켈리는 이 사실을 라미 경감에게 알린다. 한편, 스튜는 자신의 삶이 거짓으로 가득했으며, 실제보다 더 나은 사람처럼 보이려 했다고 모든 사람 앞에서 고백한다. 이 소란 덕분에 경찰은 공중전화 통화를 근처 건물로 추적하는 데 성공한다. 스튜가 저격범에게 경찰이 오고 있다고 경고하자, 저격범은 자신이 잡히면 켈리를 죽이겠다고 응수한다. 절망한 스튜는 부스 지붕의 권총을 집어 들고 밖으로 나와 저격범에게 자신을 쏘라고 외친다. 경찰은 즉시 스튜에게 발포하고, 특수기동대(SWAT)는 저격범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방에 진입하지만, 저격 소총과 한 남자의 시체만 발견한다.
스튜는 의식을 되찾는다. 경찰은 그에게 해를 입히지 않는 고무탄을 쏜 것이었다. 스튜와 켈리는 눈물겹게 화해한다. 경찰이 발견한 시신은 스튜가 쫓아냈던 피자 배달원이었다. 스튜는 구급차에서 치료를 받던 중, 응급 구조사로 위장한 진짜 저격범에게 약물 주사를 맞고 의식을 잃기 시작한다. 저격범은 스튜에게 새로 찾은 정직함이 오래가지 않으면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속삭인 뒤 군중 속으로 사라지고, 공중전화는 다시 울린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wikitext
배우 | 역할 | 설명 |
---|---|---|
콜린 패럴 | 스튜어트 "스튜" 셰퍼드 | 자신밖에 모르고 부정직한 홍보 담당자. 의문의 발신자에게 전화 부스에서 협박당한다. |
키퍼 서덜랜드 | 발신자 | 스튜에게 전화를 걸어 인질로 잡는, 이름 없는 악의적이고 음모를 꾸미는 살인자이자 훈련된 저격수. |
포레스트 휘태커 | 에드 레이미 경감 | 발신자와의 대립에서 스튜를 돕지만 그를 살인자로 의심하는 경찰 경감. |
케이티 홈즈 | 패멀라 "팸" 맥패든 | 스튜의 애인이자 배우 지망생. |
라다 미첼 | 켈리 셰퍼드 | 스튜의 아내. |
파울라 자이 파커 | 펄리샤 | |
티아 텍사다 | 에이샤 | |
존 에노스 3세 | 리언 | |
리처드 T. 존스 | 콜 경사 | |
키스 노브스 | 애덤 | |
제임스 맥도널드 | 교섭인 (브레이먼) | |
조쉬 페이스 | 마리오 | |
벤 포스터 | 빅 Q | (크레디트 미기재) |
자레드 레토 | 보비 | (삭제 장면) |
아리안 애쉬 | 코키 | |
델 요운트 | 피자 배달부 |
3. 2. 조연
- 포리스트 휘터커 - 에드 레이미 경감 역: 스튜를 돕는 동시에 그를 살인 용의자로 의심하는 경찰 간부이다.[1][2][3]
- 케이티 홈스 - 패멀라 "팸" 맥패든 역: 스튜의 여자친구이자 배우 지망생이다.[1][2][3]
- 라다 미첼 - 켈리 셰퍼드 역: 스튜의 아내이다.[1][2][3]
- 폴라 제이 파커 - 펄리샤 역[1][2][3]
- 티아 테이하다 - 에이샤 역[1][2][3]
- 존 이노스 3세 - 리언 역: 펄리샤의 보디가드이다.[1][2][3]
- 리처드 T. 존스 - 콜 경사 역[1][2][3]
- 키스 놉스 - 애덤 역[1][2][3]
- 제임스 맥도널드 - 교섭인(브레이먼) 역[1]
- 조시 파이스 - 마리오 역[1][2][3]
- 벤 포스터 - 빅큐(Big Q) 역 (크레디트 미기재)[1][2][3]
- 재러드 레토 - 보비 역 (출연 장면 삭제됨)[1][2][3]
- 에리언 애시(Arian Ash) - 코키 역[1][3]
- 델 요운트(Dell Yount) - 피자 배달부 역[3]
4. 제작
영화는 1960년대 래리 코언이 앨프레드 히치콕에게 제안했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당시에는 한정된 공간 설정을 정당화할 이유를 찾지 못했으나, 1990년대 후반 코언이 저격수 설정을 떠올리며 각본을 완성했다.[2] 여러 배우와 감독이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조엘 슈마허가 감독을 맡게 되었다. 초기 주연으로 내정되었던 짐 캐리는 하차했다.[3]
주요 촬영은 프렌치 아워 방식을 채택하여 단 10일 만에 완료되었으며, 이틀간의 추가 촬영이 있었다.[4] 촬영 중 발신자 목소리 연기는 론 엘다드에서 최종적으로 키퍼 서덜랜드로 교체되었다.[2] 영화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분할 화면 기법이 사용되었고, 배경은 뉴욕이지만 실제 촬영은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서 이루어졌다. 의상은 다니엘 오를란디가 담당했으며, 주연 배우 콜린 패럴의 수트는 돌체앤가바나에서 제작했다.[5]
4. 1. 기획
1960년대에 래리 코언은 앨프레드 히치콕에게 영화 전체가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오직 전화 부스 안에서만 이야기가 펼쳐지는 내용의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히치콕은 이 구상을 흥미로워했지만, 주인공이 한 장소에 갇혀 있어야만 하는 설득력 있는 이유를 찾지 못해 프로젝트는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다.[2] 코언은 이후 히치콕을 만날 때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는지 묻곤 했다고 회상했다. 히치콕이 사망하고 약 20년이 지난 1990년대 후반, 코언은 저격수가 주인공에게 전화 부스 안에 머물도록 강요한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이를 바탕으로 각본을 완성할 수 있었다.[2]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 에이전시(Creative Artists Agency, CAA)는 코언과 계약을 맺었고, 완성된 각본은 톰 크루즈, 윌 스미스, 멜 깁슨, 로빈 윌리엄스, 안소니 홉킨스, 니콜라스 케이지 등 여러 A급 배우들의 관심을 끌었다. 감독 후보로는 멜 깁슨, 스티븐 스필버그, 휴스 형제, 마이클 베이 등이 거론되었다. 코언에 따르면, 마이클 베이는 각본에 대해 처음 던진 질문이 "자, 이걸 어떻게 빌어먹을 전화 부스에서 꺼낼 수 있을까요?"였기 때문에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었다.[2] 결국 개발 초기 단계에서 고려되었던 조엘 슈마허가 감독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짐 캐리는 원래 스튜 셰퍼드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하차했다. 슈마허는 "우리는 그해 여름에 촬영할 예정이었고, 그를 위해 슈트를 맞췄다. 하지만 어느 날 밤 짐에게서 전화가 왔고, 그는 겁을 먹었다고 말했다. 그는 정말로 그 역할에 편안함을 느끼지 못했다. 배우는 절대 자신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는다. 만약 배우가 역할을 포기한다면, 그건 그들에게 맞지 않는 역할이다."라고 말했다.[3]
4. 2. 캐스팅
- 콜린 파렐 - 스튜어트 셰퍼드(스튜) 역. 홍보 담당자.
- 포레스트 휘태커 - 에드 레이미 경위 역. 사건 현장을 지휘하는 경찰.
- 라다 미첼 - 켈리 셰퍼드 역. 스튜어트의 아내.
- 케이티 홈즈 - 파멜라 맥퍼든(팸) 역. 스튜어트의 애인이자 배우 지망생.
- 키퍼 서덜랜드 - 전화 목소리 역. 스튜어트를 협박하는 의문의 저격수.
- 폴라 자이 파커 - 펠리시아 역.
- 아리안 애쉬 - 코키 역.
- 티아 텍사다 - 에이시아 역.
- 존 이노스 3세 - 레온 역. 보디가드.
- 리처드 T. 존스 - 콜 순찰 반장 역.
- 키스 노브스 - 아담 역.
- 델 요운트 - 피자 배달부 역.
- 조쉬 파이스 - 마리오 역.
- 벤 포스터 - 빅 Q 역 (크레딧 없음)
- 자레드 레토 - 바비 역 (출연 장면 삭제됨)
4. 3. 촬영
영화의 주요 촬영은 열흘 만에 완료되었고, 이틀 동안 롱 쇼트, 재촬영 등이 추가로 진행되었다. 촬영 일정을 단축하기 위해 점심시간을 따로 두지 않고 촬영 중 음식을 제공하는 방식인 프렌치 아워를 채택했다.[4]촬영 초기에는 론 엘다드가 발신자 역을 맡아 콜린 패럴이 있는 공중전화 부스 건너편 건물 창문에서 연기했다. 그러나 각본가 래리 코언이 감독 조엘 슈마허에게 엘다드의 목소리가 자신이 원했던 매혹적인 톤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역할은 키퍼 서덜랜드로 교체되었다. 서덜랜드는 최종 영화에 사용될 발신자의 모든 대사를 다시 녹음했다.[2]
의상 디자이너 다니엘 오를란디는 이 작품으로 조엘 슈마허 감독과 두 번째로 협업했는데, 이전에는 ''플로리스''에서 함께 작업했다. 오를란디에 따르면, 콜린 패럴이 입은 수트와 셔츠는 돌체앤가바나에서 제작했다. 돌체앤가바나는 촬영을 위해 추가 수트 복사본을 만들었지만, 촬영 마지막 날에야 도착했다. 다행히 영화는 시간 순서대로 촬영되었기 때문에 의상 손상에도 불구하고 제작 일정에 차질은 없었다. 오를란디는 패럴과 같은 사이즈여서 수트 복사본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었다.[5]
이 영화는 실시간으로 진행되어, 영화 속 시간과 관객이 영화를 보는 시간이 동일하게 흘러간다. 이는 키퍼 서덜랜드가 출연한 TV 시리즈 ''24''와 유사한 특징이다. ''24''처럼 이 영화도 분할 화면 기법을 사용한다. 영화의 배경은 뉴욕이지만, 실제 촬영은 2000년 11월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의 CB1 갤러리 앞에서 이루어졌다. 주기적으로 지나가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LACMTA) 버스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영화 속 공중전화 부스의 정확한 위치는 배경의 검은색 문으로 미루어 볼 때 웨스트 5번가와 프랭크 코트의 모퉁이이다.
5. 한국어 더빙 (KBS)
6. 평가
이 영화는 미국에서 4650만달러, 해외에서 5130만달러를 벌어들여 총 978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으며, 제작비는 1300만달러였다.[1]
로튼 토마토에서는 187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72%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6.5점이다. 사이트 비평가들은 "빠른 전개와 파렐의 연기가 《폰 부스》를 긴장감 넘치는 영화로 만든다"고 평가했다.[8] 메타크리틱에서는 35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56점을 받아 "평가가 엇갈리거나 평균적"임을 나타냈다.[9]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A+부터 F까지의 등급 중 평균 "C+" 등급을 부여했다.[10]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3개를 주며, 서덜랜드의 연기에 대해 "만약 그 목소리가 효과가 없었다면, 영화도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11] 《버라이어티》의 토드 매카시는 영화가 비교적 짧은 상영 시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고 비판하며, "활력을 유지하기 위한 많은 영화 제작 기법으로 치장되었지만, 이 강렬하게 연기된 작은 시도는, 주연 파렐에 대한 점차 커지는 관심을 제외하고는 충분한 내용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썼다.[12]
참조
[1]
웹사이트
Phone Booth (2003)
https://www.boxoffic[...]
2013-08-19
[2]
웹사이트
'Phone Booth': A 30-year project wouldn't hang up
https://www.latimes.[...]
2003-03-30
[3]
웹사이트
The Lost Roles of Jim Carrey
https://web.archive.[...]
Vulture.com
2011-03-17
[4]
뉴스
French Hours
http://www.fastcompa[...]
2004-08-01
[5]
웹사이트
Costume Designer Daniel Orlandi talks Phone Booth
https://www.youtube.[...]
YouTube
2020-11-27
[6]
웹사이트
Phone Booth
https://variety.com/[...]
2002-09-11
[7]
뉴스
Sniper attacks delay release of thriller 'Phone Booth'
http://www2.ljworld.[...]
2002-10-17
[8]
웹사이트
Phone Booth (2003)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11-07
[9]
웹사이트
Phone Booth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3-08-19
[10]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s://web.archive.[...]
2019-07-06
[11]
웹사이트
Phone Booth
https://www.rogerebe[...]
2003-04-04
[12]
웹사이트
Phone Booth
https://variety.com/[...]
2002-09-10
[13]
웹사이트
Phone Booth (2002)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9-12-18
[14]
웹인용
Phone Booth (2003)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24-11-04
[15]
웹인용
Phone Booth
https://www.boxoffic[...]
2024-11-04
[16]
웹인용
Sniper attacks delay release of thriller 'Phone Booth' / LJWorld.com
http://www2.ljworld.[...]
2014-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