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티액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티액 전쟁은 1763년 오타와족 추장 폰티액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영국과 북미 원주민 부족 간의 전쟁이다. 7년 전쟁 이후 영국이 원주민을 정복민으로 취급하고, 토지 문제와 종교적 각성이 겹쳐 발생했다. 폰티액은 디트로이트 요새를 포위하고 여러 요새를 점령하며 저항했으나, 결국 영국에 굴복했다. 이 전쟁으로 영국은 원주민 보호 구역을 설정하고, 식민지인들의 서부 진출을 제한하는 1763년 선언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원주민에게는 연합 저항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비버 전쟁
비버 전쟁은 17세기 북아메리카에서 모피 무역, 식민지 확장, 부족 간 세력 다툼으로 인해 이로쿼이 연맹과 프랑스 및 동맹 부족들 간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을 의미하며, 북미 원주민 사회와 프랑스-영국 식민지 경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폰티액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폰티액 전쟁 |
부분 | 미국 인디언 전쟁 |
날짜 | 1763년 4월 27일 – 1766년 7월 25일 |
장소 | 오대호 지역 |
결과 | 군사적으로는 교착 상태. 인디언은 영국의 권위에 굴복했지만, 영국도 식민지 정책을 변경할 수밖에 없었다. |
영토 | 세네카족이 영국에 나이아가라 폭포 주변의 운반로를 양도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Great Britain (1707-1800).svg|가운데|40px]]영국 |
교전국 2 | 아메리카 원주민 연합 |
지휘관 및 지도자 | |
영국 | 제프리 아마스트 헨리 부켓 토마스 게이지 |
아메리카 원주민 | 폰티액 가야스타 샬로 카스케 |
병력 규모 | |
영국군 | 약 3,000명 |
아메리카 원주민 전사 | 약 3,500명 |
피해 규모 | |
영국군 | 전사 약 450명 민간인 사망 약 450명 이주민 약 4,000명 |
아메리카 원주민 | 전사 200명 이상 민간인 피해는 알려지지 않음 |
2. 명칭
이 전쟁은 오타와족 추장 폰티액의 이름을 따서 "폰티액 전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101] "폰티액의 반란", "폰티액의 봉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02] 초기에는 영향력 있는 세네카족/밍고족 추장 구야스타(키야스타)의 이름을 따서 "키야스타와 폰티액의 전쟁"으로 불렸다.[4] 1851년 프랜시스 파크맨의 저서 《폰티액의 음모》 출판 이후 "폰티액의 음모"라는 명칭도 널리 사용되었다.[5] 파크먼의 책은 오랫동안 이 전쟁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록으로 여겨졌으며, 지금도 출판되고 있다.[6]
1763년 5월, 영국군 제프리 애머스트가 펼쳐온 정책에 위기감을 느낀 인디언들이 영국군의 여러 요새와 정착지를 기습하여 ‘폰티액 전쟁’을 시작했다. 인디언들은 백인들의 요새 8곳을 파괴했고, 수백 명의 정착민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으며, 많은 백인들이 이 지역에서 대피하였다.
그러나 파크먼을 포함한 백인들은 인디언 사회의 합의제 민주주의 체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폰티액이나 구야스타를 부족의 "지도자"로 오해했다. 실제 인디언 추장은 부족을 이끄는 것이 아니라 "조정자" 또는 "봉사자" 역할이었다.[7]
20세기에 들어 일부 역사학자들은 파크먼이 폰티액의 영향력을 과장했다고 비판하며, "폰티액의 음모"라는 명칭이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했다.[8] 예를 들어, 1988년 프랜시스 제닝스는 폰티액이 여러 부족이 참여한 저항에서 한 명의 오타와족 전쟁 지도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폰티액 전쟁"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9] 현대에는 "폰티액의 음모"라는 명칭은 일부 역사가들만 사용한다.
3. 원인
폰티액 전쟁 이전 수십 년간 프랑스와 영국은 프렌치 인디언 전쟁을 포함한 일련의 유럽 전쟁에 가담했다. 이 전쟁 중 가장 큰 것은 세계를 뒤덮은 7년 전쟁이었고, 그 결과 프랑스는 북아메리카의 뉴프랑스를 영국에 할양하게 되었다. 7년 전쟁의 북미 전선은 1760년 영국의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이 프랑스령 몬트리올을 함락시킨 후에 종전되었다.
영국군은 이전 프랑스군 수비대가 있던 오하이오 영토와 오대호 지역의 여러 요새를 점령했다. 1763년 파리 조약으로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나기 전부터 영국 왕실은 광대하게 확장된 북아메리카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오랫동안 인디언과의 동맹을 유지했지만, 영국의 전후 정책은 기본적으로 인디언을 정복된 민족으로 취급하는 것이었다.[12] 패배한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던 인디언들은 곧 영국의 점령과 승자로서 강요하는 새로운 정책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영국군의 강압적인 원주민 정책, 토지 문제, 종교적 각성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폰티액 전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제프리 애머스트의 원주민에 대한 모욕적인 정책과 네올린의 종교적 가르침은 원주민들의 분노를 일으켜 전쟁 발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3. 1. 영국군의 원주민 정책
7년 전쟁에서 승리한 후, 영국은 북미 원주민들을 동맹이 아닌 정복 대상으로 취급했다. 영국군 사령관 제프리 애머스트는 원주민들에게 모욕적인 정책을 강요했다.
애머스트는 프랑스가 사라지면 원주민들이 영국의 통치를 받아들일 것이며, 영국군에 저항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113] 그는 원주민들을 경멸했고, 봉기에 가담한 부족들은 영국군이 자신들을 "노예나 개"처럼 취급한다고 불평했다.[114]
애머스트는 원주민에게 주는 선물(총, 칼, 담배, 의류 등)을 삭감했다.[113] 프랑스는 부족 추장들에게 선물을 주었고, 추장들은 이를 부족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는 부족 사회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녔고, 프랑스와의 동맹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애머스트는 이를 불필요한 뇌물로 여겼다.[113] 많은 원주민들은 이러한 변화를 모욕으로 받아들였고, 영국이 자신들을 정복민으로 여긴다고 생각했다.[113]
애머스트는 또한 원주민들에게 판매하는 탄약과 화약의 양을 제한했다.[114] 프랑스는 항상 이러한 물자를 제공했지만, 애머스트는 체로키족의 반란 이후 원주민들을 믿지 않았다.[114] 원주민들은 가족을 위한 식량 확보와 모피 무역을 위해 탄약이 필요했기에, 이러한 제한은 큰 불만을 야기했다. 그들은 영국군이 자신들을 무장 해제시키려 한다고 믿었다.[114]
이러한 정책들은 원주민들의 분노를 샀고, 그들이 영국에 대한 저항을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3. 2. 토지 문제
영국 식민지 정착민들의 계속된 서부 진출은 원주민들의 생존을 위협했다. 오하이오 영토의 델라웨어족과 쇼니족은 동부에서 온 영국 이민자들에 의해 강제 이주를 당했고, 이것이 그들이 전쟁에 참여하는 동기가 되었다. 오대호 지역과 일리노이 카운티의 원주민 부족들은 백인 정착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았지만, 동쪽 부족들의 경험을 통해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108]
3. 3. 종교적 각성
1760년대 초, 인디언 사회에는 종교적인 각성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영국에 대한 불만, 식량 부족, 전염병 등으로 인해 더욱 확산되었다. 이 현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델라웨어의 예언자"로 알려진 네올린이었다. 네올린은 인디언들에게 교역 상품, 알코올, 백인의 무기를 멀리하라고 가르쳤다.[27]
네올린은 전통적인 인디언 신앙에 기독교적 요소를 섞어, 백인들의 악습에 물드는 인디언들을 보고 위대한 영혼이 불쾌해한다고 사람들에게 이야기했다. 또한 영국이 인디언들의 생존 자체를 위협한다고 경고했다. 네올린은 "만약 너희들이 그들 속에 영국인을 받아들인다면, 너희는 죽은 자가 될 것이다. 질병, 천연두, 그리고 알코올의 독이 너희 모두를 파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27] 이러한 가르침은 자신들의 세계가 통제할 수 없는 힘에 의해 변하고 있다고 느끼는 인디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28]
4. 전쟁의 경과
1763년 5월, 제프리 애머스트가 펼쳐온 정책에 위기감을 느낀 원주민들이 영국군의 여러 요새와 정착지를 기습하여 ‘폰티액 전쟁’을 시작했다. 이들은 8개의 요새를 파괴했고, 수백 명의 정착민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으며, 많은 백인들이 이 지역에서 대피하였다.
오대호 지역에서 영국군과 백인 정착민을 몰아내기 위해 많은 부족의 원주민 전사들이 봉기했다. 1764년 영국군의 원정이 시작되었고, 이후 2년간 평화 협상이 진행되면서 적대 행위는 줄어들었다. 원주민들은 영국인을 몰아내지는 못했지만, 이 봉기로 영국 정부는 점령지 정책을 수정하게 되었다.
원주민들의 전쟁은 격렬했으며, 포로를 살해하거나 민간인을 공격하는 등 잔혹 행위가 양측에서 있었다. 오늘날 알려진 사건으로는 피트 요새 영국군 장교가 천연두균에 오염된 담요를 선물하여 주변의 원주민을 감염시키려 한 시도가 있었다. 분쟁의 잔인함은 영국인 정착민과 원주민 사이에 더해졌으며, 민족 간 갈등이 표출되었다. 영국 정부는 〈1763년 선언〉을 발표하여 이주민과 원주민의 땅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설정함으로써 더 이상 민족 간의 대립이 심화되는 것을 막았다.
폰티액 전쟁이 시작된 것은 1763년이지만, 영국 당국이 원주민이 반란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문을 접한 것은 1761년이었다. 오하이오 영토 세네카족과 밍고족은 연합하여 영국군을 몰아내자는 통문, 왐펌(조개 구슬 비즈로 쓰여진 전언)으로 만든 “전대”를 안내장으로 각 지파에 돌렸다. 그야스타와 타하이아드리스가 있었던 밍고족은 자신들의 땅이 영국군의 요새에 둘러싸여 있는 사태를 우려하고 있었다. 동일한 왐펌 “전대”가 디트로이트와 일리노이 주에서도 만들어졌다. 그러나 부족들의 결속은 진행되지 않았고, 1761년 6월에는 디트로이트의 원주민이 세네카족 계획을 영국군의 지휘관에게 누설했다. 1761년 9월 윌리엄 존슨이 디트로이트의 많은 부족과의 협의를 한 후에 위태한 평화가 계속 유지되고 있었지만, “전대”는 계속 돌려졌다. 1763년 초, “위의 나라”(''pays d'en haut'')가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할양된 것을 알게 된 원주민은 마침내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폰티액의 주도로 오타와족의 디트로이트 요새 공격으로 시작된 싸움은 급속히 지역 전체로 퍼졌다. 미들턴은 2007년 폰티액의 비전, 용기, 끈기 그리고 조직 장악력이 원주민들을 잘 단결시켜 영국에 저항할 수 있도록 준비시켰다고 주장했다. 비록 앨리가니 산맥 서쪽의 원주민들을 해방시키겠다는 생각은 그 자신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 두 세네카 부족장들로부터 나왔지만, 1763년 2월경에 폰티액은 그러한 이상을 포용한 것처럼 보였다. 비상위원회에서 폰티액은 광범위한 세네카 부족의 군사적 계획을 명시했으며, 다른 원주민들을 군사적 도발에 동참시키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20]
4. 1. 디트로이트 요새 포위전 (1763년 5월 ~ 10월)
1763년 4월 27일, 폰티액은 디트로이트에서 약 16km 떨어진 곳에서 부족 간 회의를 열었다. 폰티액은 오타와족, 오지브와족, 포타와토미족, 휴런족에게 디트로이트 요새 점령 계획에 참여할 것을 호소했다.[121]5월 1일, 폰티액은 50명의 오타와 족 전사를 이끌고 요새 수비대를 정찰하기 위해 요새로 향했다.[121] 5월 7일, 폰티액은 무기를 숨긴 약 300명의 전사와 함께 디트로이트 요새에 잠입하려 했다. 하지만 영국군 지휘관은 이미 인디언 연합 전략을 알고 무장 공격에 대비했다. 인디언들은 작전이 실패했음을 알고 회의를 하고 이틀 만에 요새를 포위했다.[123]
폰티액은 요새 밖에서 발견한 영국군과 정착민들을 살해했다.[123] 군인들 중 한 명은 오대호 지역 인디언 부족의 관습에 따라 의식의 제물로 식육되었다.[124] 결국 여섯 부족에서 900명 이상의 전사가 포위전에 참가했다.
영국군은 원군이 도착한 후 폰티액의 숙영지를 급습했지만, 폰티액은 이를 예측하고 기다리고 있다가 7월 31일 블러디 런 전투에서 영국군을 패퇴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트로이트 요새 상황은 교착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고, 폰티액의 동포에 대한 장악력은 점점 약해졌다. 일부 인디언 부족은 포위를 포기하고 영국군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10월 31일, 폰티액은 일리노이주 프랑스인들에게서 디트로이트 요새 공격에 대한 협조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포위를 풀고 모미 강으로 이동했다.[125]
4. 2. 작은 요새 점령 (1763년 5월 ~ 6월)
1763년 5월 16일부터 6월 19일까지, 디트로이트 요새 포위전과 동시에 다른 영국군 요새들도 원주민들의 공격을 받아 8개의 작은 요새가 함락되었다.요새 | 위치 | 점령 날짜 | 세부 정보 |
---|---|---|---|
샌더스키 요새 | 이리 호 해안 | 5월 16일 | 1761년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의 명령으로 건설되었으나, 지역 와이앤도트 족은 요새를 불태우겠다고 경고했다. 1763년 5월 16일, 와이앤도트족은 회의를 개최하겠다는 구실로 요새에 들어가 지휘관을 붙잡고 15명의 군인과 여러 명의 영국 상인을 죽였다. 이들은 전쟁 초기에 살해된 약 100명의 상인들 중 첫 번째 희생자였다. 시체는 머리 가죽이 벗겨졌고, 요새는 불태워졌다.[126][127][128][129] |
세인트 조셉 요새 | 현재 미시간주 나일스 | 5월 25일 | 포타와토미족은 샌더스키 요새와 같은 방식으로 요새를 점령, 지휘관을 붙잡아 15명의 수비병 대부분을 즉시 살해했다.[50] |
마이애미 요새 | 현재 인디애나주 포트웨인 | 5월 27일 | 요새 사령관이 인디언 여성에게 유인되어 마이애미 족에게 총에 맞아 죽었다. 요새는 포위되었고 9명의 수비병은 항복했다.[51] |
위아테논 요새 | 현재 인디애나주 라파예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약 8.05km | 6월 1일 | 웨어족, 키카푸족, 매스쿠텐족이 수비병을 협상 명목으로 요새 밖으로 유인, 20명 전원을 유혈 사태 없이 포로로 잡았다. 위아테논 요새 근처의 인디언 부족은 영국군 수비대와 좋은 관계였지만, 디트로이트의 폰티액에게서 온 사신이 공격을 요청했다. 전사들은 요새 사령관에게 "다른 부족에게 이렇게 하도록 강요당했다"며 사과했다.[52][53] |
미칠리매키낵 요새 | 현재 미시간주 매키노 시티 | 6월 2일 | 기습 공격으로 점령된 가장 큰 요새였다. 오지브웨족이 방문한 소크족과 함께 스틱볼(라크로스의 전신) 경기를 하는 틈을 타, 인디언 여성들이 몰래 반입한 무기를 넘겨받아 공격했다. 35명의 수비병 중 약 15명이 전투에서 살해되었고, 다른 5명은 고문을 받고 살해되었다.[54] |
베낭고 요새 | 현재 펜실베이니아주 프랭클린 근처 | 6월 16일경 | 세네카족에게 함락되어 사령관을 제외한 12명의 수비병 전원이 즉시 살해되었다. 사령관은 세네카족의 분노를 기록한 후 화형에 처해졌다.[55] |
르뵈프 요새 | 현재 펜실베이니아주 워터포드 | 6월 18일 | 베낭고 요새를 파괴한 세네카족의 공격을 받았다. 12명의 수비병 대부분은 피트 요새로 도망쳤다.[56] |
프레스크 아일 요새 | 현재 펜실베이니아주 이리 | 6월 19일 | 약 250명의 오타와족, 오지브웨족, 와이앤도트족, 세네카족에게 포위되었다. 이틀 동안 버텼지만, 60명의 수비대 중 약 30명이 피트 요새로 돌아가는 조건으로 항복했으나, 대부분은 요새를 나온 후 살해되었다.[57][58] |
4. 3. 피트 요새 포위전 (1763년 6월 ~ 8월)
1763년 6월 22일, 델라웨어족을 중심으로 한 여러 부족이 피트 요새를 공격하여 7월 내내 포위했다. 한편 델라웨어족과 쇼니족 전사들은 펜실베이니아 깊숙이 침투하여 수많은 정착민들을 붙잡아 죽였다. 피트 요새 동쪽에 위치한 작은 요새들인 베드퍼드 요새와 리고니어 요새는 산발적인 공격을 받았지만 점령되지는 않았다.[133]전쟁 발발 후, 서부 펜실베이니아 정착민들은 안전을 위해 피트 요새로 도망쳤다. 200명 이상의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하여 거의 550명의 사람들이 요새에 몰려들어 붐비게 되었다.[131] 스위스 출생의 영국군 지휘관 시메온 에퀴어는 "요새 안은 북새통이었기 때문에 나는 전염병을 두려워했다. 천연두가 유행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32]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은 전쟁 전에는 인디언 부족이 영국군에 효과적인 저항을 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 여름의 군사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애머스트는 부하들에게 포로로 잡은 적 인디언은 "즉시 죽일 것"이라는 지시를 보냈다. 펜실베이니아의 랭커스터에 머물며 피트 요새를 지원하기 위한 원정대 준비를 하던 헨리 부케 대령에게 6월 29일 "불만을 품고 있는 인디언 부족 사이에 천연두를 퍼뜨리는 계획을 세울 수 없을까? 이 기회에 적을 약화시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전술을 사용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134]
부케는 이에 동의하고, 7월 13일 애머스트에게 "몇 장의 담요에 균을 심어 적의 손에 들어가게 하겠다. 물론 자신에게는 옮겨지지 않도록 조심하겠다."라고 답신했다. 애머스트는 7월 16일 "담요라는 수단으로 인디언에게 균을 옮기는 것은 잘 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이 혐오스러운 부족을 근절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사용하라."라고 답했다.[135]
피트 요새에 포위된 장교들은 애머스트와 부케가 논의하고 있던 천연두를 퍼트리는 방법을 이미 시도하고 있었다. 6월 24일 피트 요새에서의 평화 협상 중, 에퀴어는 포위하고 있는 델라웨어족 대표에게 천연두 균에 노출된 담요 두 장과 손수건 한 장을 보냈는데, 이는 질병이 인디언 사이에 퍼지면 포위를 멈추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였다.[136] 요새의 민병대 사령관인 윌리엄 트렌트는 일기에 "우리는 그들에게 천연두 병원에서 담요 두 개와 손수건을 주었습니다. 바라건대 원하는 효과가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썼다.[137]
영국군이 인디언을 천연두에 감염시켰는지는 불분명하다.[138] 폰티액 전쟁 중 많은 인디언이 천연두로 사망했기 때문에, 이 시도가 성공이었다고 보는 역사가도 있지만,[139] 많은 학자들은 이 결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오하이오 인디언 사이의 천연두 유행이 담요 사건보다 먼저 시작되었다는 점,[140] 피트 요새 밖에 있던 인디언들이 담요를 받은 후 한 달 이상 포위를 계속한 점, 천연두가 이미 그 지역에 만연해 있었다는 점[141] 등이 그 이유이다.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질병이 만연한 백인 정착 마을을 습격한 인디언이 환자와 접촉했고, 자신의 집락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을 퍼뜨렸을 가능성이 있다.[141] 역사학자 데이비드 딕슨은 "인디언은 많은 감염 경로를 통해 끔찍한 병을 얻었을 수 있지만, 피트 요새의 감염된 담요는 그 감염 경로 중 하나일 뿐"이라고 결론지었다.[130]
4. 4. 데블스 홀 전투 (1763년 9월)
8월 1일, 부케 대령이 지휘하는 500명의 영국군이 피트 요새로 향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인디언 부족들은 이를 막기 위해 요새 포위를 풀었다. 8월 5일, 이 두 군대는 부시 런 전투에서 격돌했다. 부케 부대는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인디언의 공격을 격퇴하고, 8월 20일 피트 요새를 해방했다. 부시 런에서의 부케의 승리는 영국 식민지에서도 축하받았으며, 필라델피아에서는 밤새도록 교회의 종이 울렸다. 또한 영국 국왕 조지 3세에게도 칭찬을 받았다.[144]하지만, 이 승리 후에는 처참한 패배가 이어졌다. 서부 요새 중 가장 중요한 요새 중 하나인 나이아가라 요새는 그 전까지 공격받지 않았지만, 9월 14일, 적어도 300명의 세네카족, 오타와족 및 오지브와족이 나이아가라 폭포를 따라 보급로에서 보급 부대를 습격했다. 나이아가라 요새에서도 2개 중대가 구원에 파견되었지만 이 또한 패배했다. 70명 이상의 병사와 마부가 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영국계 미국인들은 이를 "데블스 홀 학살"이라고 불렀으며, 영국군에게는 폰티악 전쟁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사건이 되었다.[145]
4. 5. 팩스턴 보이즈의 학살 (1763년 12월)

폰티액 전쟁의 폭력과 공포는 많은 서부 펜실베이니아 이주민들에게 정부가 자신들을 충분히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이러한 불만은 팩스턴 보이즈라는 자경단에 의해 폭동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펜실베이니아 팩스턴 마을 근처에 주로 모였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으로 불렸다. 팩스턴 사람들은 펜실베이니아 백인 정착민들 사이에 있는 작은 마을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던, 기독교를 믿는 서스쿼해나족 인디언들에게 분노를 표출했다.
1763년 12월 14일, 코네스토가 인디언 마을에서 인디언 전사 무리가 목격되었다는 소문이 퍼지자, 50명 이상의 팩스턴 보이즈는 마을로 쳐들어가 그곳에서 발견한 6명의 서스쿼해나족을 살해했다. 펜실베이니아 정부는 남아있던 서스쿼해나족 14명을 랭커스터에 있는 유치장으로 옮겼으나, 12월 27일 팩스턴 보이즈가 유치장에 난입하여 그들을 살해했다. 존 펜 주지사는 살인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현상금을 걸었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146]
이후 팩스턴 보이즈는 동부 펜실베이니아에 사는 다른 인디언들을 표적으로 삼았고, 그들 중 많은 이들은 보호를 받기 위해 필라델피아로 피신했다. 1764년 1월, 수백 명의 팩스턴 사람들이 필라델피아로 행진했으나, 영국군과 필라델피아 민병대가 이들의 폭력 행위를 저지했다. 이 지역 민병대 조직에 기여한 벤자민 프랭클린은 팩스턴 지도자들과 협상하여 위기를 해결했다. 이후 프랭클린은 팩스턴 보이즈를 고발하는 기소장을 냈다. 그는 “만약 한 인디언이 나를 다치게 한다면, 모든 인디언들에게 보복을 가해야 할까?”라고 질문했다.[147] 팩스턴 보이즈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라자러스 스튜어트는 1778년 와이오밍 전투에서 전사했다.
4. 6. 영국의 반격 (1764년)
1764년, 영국군은 폰티액 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두 개의 원정대를 파견했다. 그해 7월부터 8월, 윌리엄 존슨 경은 나이아가라 요새에서 이로쿼이 연맹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이로쿼이 연맹은 전쟁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제네시 강 계곡의 세네카 족이 영국에 맞서 싸웠기 때문에 존슨은 그들을 다시 동맹 관계로 되돌리려 했다. 세네카 족은 데블스 홀 학살에 대한 배상으로 나이아가라 수송로를 영국에 넘겨야 했다.[151] 존슨은 이로쿼이 족에게 오하이오 영토의 인디언 부족을 공격하도록 설득하여, 델라웨어 족 포로를 잡고 서스쿼해나 강 계곡의 마을들을 파괴했다.[151]
나이아가라 요새 일대를 확보한 영국군은 두 개의 원정대를 서쪽으로 파병했다. 첫 번째 원정대는 존 브래드스트리트 대령이 이끌었고, 배를 타고 이리 호를 건너 디트로이트 요새를 지원했다. 브래드스트리트는 디트로이트 주변의 인디언들을 제압한 후 오하이오 영토로 진입할 예정이었다. 두 번째 원정대는 헨리 부케 대령이 지휘했으며, 피트 요새에서 서쪽으로 진군하여 오하이오에 두 번째 전선을 구축했다.
1764년 8월, 브래드스트리트는 1,200여 명의 병력과 윌리엄 존슨이 모집한 인디언 동맹 대표단과 함께 슐로서 요새를 출발했다. 그는 8월 12일 이리 호의 강풍으로 프레스크 섬에 머물렀을 때, 구야스타가 이끄는 오하이오 인디언 부족 대표와 협상을 시작했다. 브래드스트리트는 단순한 정전 이상의 평화 협정을 맺고, 부케의 원정대를 멈추게 하는 월권행위를 했다. 토머스 게이지, 존슨, 부케는 이 소식을 듣고 격분했다. 게이지는 브래드스트리트가 속아 오하이오 영토 공격을 포기했다고 생각하여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다. 오하이오 인디언 부족은 9월에 열린 2차 회의에서 약속한 포로를 반환하지 않았고, 일부 쇼니 족은 프랑스에 협력을 구하려 했다.[152]
브래드스트리트는 자신의 외교가 상관들을 분노케 했다는 것을 모른 채 서쪽으로 이동하여, 8월 26일 디트로이트 요새에 도착해 새로운 조약을 협상했다. 그는 협상에 불참한 폰티액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오타와 족 지도자가 보낸 평화 벨트를 찢었다. 역사학자 리처드 화이트는 이를 유럽 대사가 제안한 조약에 오줌을 싸는 행위와 같다고 비유하며, 인디언들에게 충격과 모욕을 주었다고 평가했다.[153] 브래드스트리트는 인디언들이 영국의 주권을 인정했다고 주장했지만, 존슨은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믿었다.[153]

부케 대령은 펜실베이니아에서 민병대를 모으느라 지체되었고, 10월 3일 1,150명을 이끌고 피트 요새를 출발했다. 그는 오하이오 카운티의 머스킹엄 강까지 진군하여, 많은 인디언 마을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에 도달했다. 나이아가라 요새와 디트로이트 요새에서 평화 협상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오하이오 인디언 부족은 고립되었고, 일부를 제외하고 평화협정을 맺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10월 17일 시작된 협상에서 부케는 오하이오 인디언 부족에게 프랑스-인디언 전쟁 때부터 귀환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모든 포로들을 반환하라고 요구했다. 구야스타 등의 지도자들은 마지못해 200여 명의 포로를 반송했지만,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인디언 가정에 입양된 이들이었다. 모든 포로가 반환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인디언들은 다른 포로가 귀환할 때까지 인질을 보내도록 강요받았다. 오하이오 인디언 부족은 1765년 7월 윌리엄 존슨과 추가 평화 협상을 약속했다.[154]
4. 7. 폰티액과의 협정 (1766년)
1765년, 영국은 외교적 수단을 통해서만 일리노이 지역을 점령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영국 관리는 폰티액에 초점을 맞췄다. 폰티액은 오하이오 영토 인디언들과 부케의 휴전 소식을 듣고 전투적인 자세를 누그러뜨렸다.[157] 존슨의 부관인 조지 크로건은 1765년 여름 일리노이 지역으로 가서, 도중에 키카푸족과 마스쿠텐족의 공격으로 부상을 입었지만, 폰티액과 만나 협상을 시작하는 데 성공했다.백인들은 폰티액을 "부족 지도자"라고 여기고 있었기 때문에, 그와 조약 협상을 맺고 싶어했다. 샬로 카스케는 크로건을 화형시키려 했지만,[158] 폰티액은 그를 자제시키고 뉴욕 식민지로 갈 것을 동의했다. 폰티액은 1766년 7월 25일 온타리오 요새에서 윌리엄 존슨과 정식 조약을 체결했다. (×표를 써서 서명했다) 그것은 항복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토지를 양도하지도 않았고, 포로도 돌려보내지 않았으며, 인질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159]
5. 전쟁의 결과 및 영향
폰티액 전쟁은 군사적으로 교착 상태였지만, 결과적으로 원주민과 영국 정부 양측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협상과 중재로 전쟁이 마무리되면서,[165] 인디언들은 영국 정부에 제프리 애머스트의 정책을 포기시키고, 프랑스-인디언 동맹에서 정형화되었던 인디언 교류 방식을 따르게 하여 일종의 승리를 거두었다.[166]
전쟁 동안 양측은 극심한 폭력을 경험했다. 역사학자 데이비드 딕슨은 "폰티액 전쟁은 양측 모두 학살의 광기에 취해 버린 듯, 그 끔찍한 폭력 사태로 전례가 없던 것이었다"고 평가했다.[168] 역사학자 다니엘 리히터는 인디언이 영국군을 몰아내려는 것과 팩스턴 보이즈가 백인 사회에서 인디언을 없애려고 한 것을 인종 청소의 예로 보았다.[169] 이 전쟁으로 인해 양측 모두 정착민과 원주민이 본질적으로 다르며 공존할 수 없다는 생각, 즉 "모든 원주민은 '인디언'이고, 모든 유럽계 미국인은 '백인'이며, 한쪽이 다른 쪽을 파괴하기 위해 결속해야 한다"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가지게 되었다.[170]
5. 1. 인명 피해
폰티액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전투에서 영국군 병사 약 400명이 전사했고, 50명 정도는 포로로 잡힌 후 고문으로 사망했다.[160] 조지 크로건은 2,000명의 정착민이 살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고 추정했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이 2,000명이라는 숫자가 사망자 수라고도 한다.[161] 이 폭동으로 약 4,000명의 정착민이 펜실베이니아와 버지니아의 고향에서 피난을 가야 했다.[162]인디언 측의 피해는 거의 기록되지 않았지만, 200명 이상이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피트 요새에서 시도된 세균 무기가 성공했다면 사망자는 더 늘어났을 수도 있다.[163]
5. 2. 영국 정부의 정책 변화
영국 정부는 원주민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추가적인 충돌을 막기 위해 새로운 정책을 시행했다. 인디언과의 전쟁이 격화되자 영국 정부는 1763년 선언을 발표하여 이주민과 인디언의 땅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설정함으로써 더 이상 민족 간의 대립이 심화되는 것을 막았다.[146]1763년 10월 7일, 1763년 파리 조약 후에 영국령 북아메리카를 재구성하기 위해 국왕령으로 1763년 선언이 나왔다. 이 선언은 폰티액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이미 발효되어 있었지만, 봉기 소식이 런던에 도착한 후 서둘러 선언되었다. 영국 정부는 영국의 식민지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에 있는 인디언 땅 사이에 경계선을 그었다. 그 결과 애팔래치아산맥에서 미시시피 강 및 플로리다에서 뉴펀들랜드 섬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인디언 점유 영토가 완성되었다.[171]
영국 정부는 이주민이 인디언의 땅을 가로지르는 것을 금지시키면, ‘폰티액 전쟁’과 같은 분쟁이 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사학자 콜린 캘러웨이는 “1763년 선언은 인디언과 백인의 교류가 아니라 인종 격리를 특징으로 하는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고 밝혔다.[171]
1763년 선언에서 인디언이 그 영토에 대해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그것은 인디언의 “권리장전”이라 불렸지만, 여전히 캐나다 정부와 퍼스트 네이션 간의 관계에 있었다.[172] 그러나 영국 정착민과 토지 투기꾼들에게 이 선언은 대프랑스 전쟁에서 얻어낸 전리품인 서부의 땅을 부정하고 있는 것과 같았다. 이것이 낳은 불만은 식민지들의 영국에 대한 충성심을 약해지게 만들어,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173] 콜린 캘러웨이에 따르면 “폰티액 무리의 반란은 독립을 위한 최후의 미국 전쟁은 아니었다. 미국의 식민지 정착민이 수십 년 후에 더 확실한 노력을 시작하여, 영국 정부가 폰티액 전쟁과 같은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취한 수단으로 촉발되었다.[174]
5. 3. 원주민 사회에 미친 영향
폰티액 전쟁은 여러 부족이 연합하여 영국의 식민지 확장에 저항한 사건이다. 비록 부족과 마을 간의 분열도 있었지만,[175] 이 전쟁은 북미에서 유럽의 식민지화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의 시작이었으며, 백인과 인디언 간의 전투에서 인디언 측이 완패하지 않은 첫 사례였다.[176]전쟁 이후, 인디언들은 영국 정착민들의 서부 진출을 막지 못하는 〈1763년 선언〉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저항 운동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1767년 쇼니족 주도의 협의회를 시작으로, 이후 수십 년 동안 조셉 브랜트, 알렉산더 맥길리브레이, 블루 재킷, 테쿰세와 같은 지도자들이 폰티액 전쟁의 정신을 이어받아 저항 연합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이어갔다.[177]
참조
[1]
웹사이트
In Defence of Their Homelands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18-04-19
[2]
웹사이트
Pontiac's War
https://nationsatwar[...]
Nations at War
2020
[3]
서적
Indigenous Peoples within Canada: A Concise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Never Come to Peace, 303n21; Peckham, Pontiac and the Indian Uprising, 107n
[5]
문서
'"Haughty Conquerors"', x
[6]
문서
"Introduction", xiii; Dowd, ''War under Heaven'', 7
[7]
서적
Readings in Jurisprudence and Legal Philosophy
[8]
문서
Empire of Fortune, 442
[9]
문서
他の呼び方:「西部インディアンの防衛戦争」(歴史家W.J.エックルスに倣ってマコーネルの「狭間の国」で使用)、「1763年のアメリンディアン戦争」(スティールの「反感」で使用)。「ポンティアック戦争」は脚注にあげた学者により最も多く使われている。「ポンティアックの謀略」は アメリカ議会図書館 の主題別題名に残っている。
[10]
문서
War under Heaven, 216
[11]
문서
Crucible of War, 453
[12]
문서
Middle Ground, 256
[13]
문서
Middle Ground, xiv. For other Ottawas denounce war, see White, Middle Ground, 287
[14]
문서
Middle Ground, 260
[15]
문서
War under Heaven, 168
[16]
문서
Crucible of War, 626-32
[17]
문서
Country Between, ch. 1
[18]
문서
Middle Ground, 240-45
[19]
문서
Middle Ground, 248-55
[20]
문서
Never Come to Peace, 85-89
[21]
문서
Never Come to Peace, 157-58
[22]
문서
War under Heaven, 63-69
[23]
문서
Middle Ground, 36, 113, 179?83
[24]
문서
Middle Ground, 256-58; McConnell, A Country Between, 163-64; Dowd, War under Heaven, 70-75
[25]
문서
For effect of the Cherokee gunpowder shortage on Amherst, see Anderson, Crucible of War, 468-71; Dixon, Never Come to Peace, 78. For Indian resentment of gunpowder restrictions, see Dowd, War under Heaven, 76-77; Dixon, Never Come to Peace, 83
[26]
문서
War under Heaven, 82-3
[27]
문서
Spirited Resistance, 34
[28]
문서
Middle Ground, 279-85
[29]
문서
War under Heaven, 6
[30]
문서
Middle Ground, 272; Dixon, Never Come to Peace, 85-87
[31]
문서
Middle Ground, 276
[32]
문서
War under Heaven, 105; Dixon, Never Come to Peace, 87-88
[33]
문서
Never Come to Peace, 92-93, 100; Nester, Haughty Conquerors"', 46-47
[34]
문서
Never Come to Peace, 104
[35]
문서
Conspiracy, 1:186-87; McConnell, A Country Between, 182
[36]
서적
Indian Uprising
[37]
서적
A Country Between
[38]
서적
War under Heaven
[39]
서적
Conspiracy
[40]
서적
Never Come to Peace
[41]
서적
Indian Uprising
[42]
서적
Never Come to Peace
[43]
서적
Never Come to Peace
[44]
서적
Never Come to Peace
[45]
서적
War under Heaven
[46]
서적
War under Heaven
[47]
서적
A Country Between
[48]
서적
Haughty Conquerors
[49]
서적
Haughty Conquerors
[50]
서적
Haughty Conquerors
[51]
서적
Haughty Conquerors
[52]
서적
Never Come to Peace
[53]
서적
Haughty Conquerors
[54]
서적
Never Come to Peace
[55]
서적
Haughty Conquerors
[56]
서적
Haughty Conquerors
[57]
서적
Never Come to Peace
[58]
서적
War under Heaven
[59]
서적
Never Come to Peace
[60]
서적
Never Come to Peace
[61]
서적
War under Heaven
[62]
서적
Indian Uprising
[63]
서적
Crucible of War
[64]
서적
Crucible of War
[65]
서적
Never Come to Peace
[66]
서적
Never Come to Peace
[67]
서적
Indian Uprising
[68]
서적
Haughty Conquerors
[69]
서적
Haughty Conquerors
[70]
서적
Haughty Conquerors
[71]
서적
Never Come to Peace
[72]
서적
Crucible of War
[73]
서적
A Country Between
[74]
서적
Middle Ground
[75]
서적
Middle Ground
[76]
서적
Never Come to Peace
[77]
서적
Never Come to Peace
[78]
서적
Middle Ground
[79]
서적
Middle Ground
[80]
서적
Middle Ground
[81]
서적
War under Heaven
[82]
서적
Scratch of a Pen
[83]
서적
Indian Uprising
[84]
서적
Empire of Fortune
[85]
서적
War under Heaven
[86]
서적
'"Haughty Conquerors"'
[87]
서적
Indian Uprising
[88]
서적
Never Come to Peace
[89]
서적
Middle Ground
[90]
서적
Scratch of a Pen
[91]
서적
Never Come to Peace
[92]
서적
Facing East
[93]
서적
Facing East
[94]
서적
Scratch of a Pen
[95]
서적
Scratch of a Pen
[96]
서적
Never Come to Peace
[97]
서적
Scratch of a Pen
[98]
서적
Elusive Empires
[99]
서적
Warpaths
[100]
서적
Spirited Resistance
[101]
서적
Never Come to Peace
[102]
서적
'"Haughty Conquerors"'
[103]
서적
"Introduction"
[104]
서적
Readings in Jurisprudence and Legal Philosophy
1952
[105]
서적
War under Heaven
[106]
서적
Middle Ground
[107]
서적
Middle Ground
[108]
서적
Crucible of War
[109]
서적
Country Between
[110]
서적
Middle Ground
[111]
서적
Middle Ground
[112]
서적
Never Come to Peace
[113]
서적
Middle Ground, A Country Between, War under Heaven
[114]
서적
Crucible of War, Never Come to Peace, War under Heaven
[115]
서적
War under Heaven
[116]
서적
Conspiracy, A Country Between
[117]
서적
Indian Uprising, Pontiac's War
[118]
서적
A Country Between
[119]
서적
War under Heaven, Middle Ground, Scratch of a Pen, Indian Uprising
[120]
서적
Pontiac's War: Its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2007
[121]
서적
Never Come to Peace, Indian Uprising
[122]
서적
Indian Uprising, Never Come to Peace
[123]
서적
Never Come to Peace
[124]
서적
Never Come to Peace
[125]
서적
War under Heaven
[126]
서적
War under Heaven
[127]
서적
A Country Between, Haughty Conquerors
[128]
서적
Haughty Conquerors, Never Come to Peace, War under Heaven
[129]
서적
Haughty Conquerors, Conspiracy
[130]
서적
Never Come to Peace, A Country Between, War under Heaven
[131]
서적
Never Come to Peace, Haughty Conquerors
[132]
서적
Never Come to Peace
[133]
서적
War under Heaven, Haughty Conquerors
[134]
서적
Indian Uprising, Crucible of War
[135]
서적
Crucible of War, First Way of War, Haughty Conquerors
[136]
서적
Crucible of War, Empire of Fortune, Never Come to Peace
[137]
서적
Scratch of a Penn
[138]
간행물
Biological Warfare in Eighteenth-Century North America: Beyond Jeffery Amherst
2000-03
[139]
서적
Empire of Fortune
[140]
서적
A Country Between, Never Come to Peace
[141]
서적
Never Come to Peace
[142]
서적
A County Between
[143]
서적
Never Come to Peace
[144]
서적
Never Come to Peace
[145]
서적
Indian Uprising
[145]
서적
Never Come to Peace
[145]
서적
War under Heaven
[146]
논문
"Haughty Conquerors"
[147]
논문
"Haughty Conquerors"
[148]
논문
"Haughty Conquerors"
[149]
서적
Never Come to Peace
[149]
논문
"Haughty Conquerors"
[150]
서적
Crucible of War
[151]
서적
A Country Between
[151]
서적
Never Come to Peace
[151]
서적
War under Heaven
[152]
서적
Middle Ground
[152]
서적
A Country Between
[152]
서적
Never Come to Peace
[152]
서적
War under Heaven
[153]
서적
Middle Ground
[153]
서적
A Country Between
[153]
서적
Never Come to Peace
[153]
서적
War under Heaven
[154]
서적
Never Come to Peace
[154]
서적
A Country Between
[154]
서적
War under Heaven
[155]
서적
Never Come to Peace
[156]
서적
Middle Ground
[156]
서적
War under Heaven
[157]
서적
Middle Ground
[158]
서적
Middle Ground
[159]
서적
Scratch of a Pen
[160]
서적
Indian Uprising
[160]
논문
"Haughty Conquerors"
[161]
서적
Empire of Fortune
[161]
논문
"Haughty Conquerors"
[161]
서적
War under Heaven
[162]
서적
War under Heaven
[163]
논문
"Haughty Conquerors"
[164]
서적
Indian Uprising
[165]
서적
Never Come to Peace
[165]
서적
Middle Ground
[165]
간행물
Introduction
[166]
서적
Middle Ground
[166]
서적
Scratch of a Pen
[166]
서적
Facing East
[167]
서적
Scratch of a Pen
[168]
서적
Never Come to Peace
[169]
서적
Facing East
[170]
서적
Facing East
[171]
서적
Scratch of a Pen
[172]
서적
Scratch of a Pen
[173]
서적
Never Come to Peace
[174]
서적
Scratch of a Pen
[175]
서적
Elusive Empires
[176]
서적
Warpaths
[176]
서적
Warpaths
[177]
서적
Spirited Resistance
[177]
서적
War under Heav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