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상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범상어과는 3속 6종으로 구성된 상어 과이다. 점박이도치상어속, 꼬리도치상어속, 대만상어속을 포함하며, 주로 대륙붕에서 발견된다. 표범상어과 상어들은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하며, 작은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 등을 먹고 산다. 이들은 어업의 혼획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하지는 않았다. 분자 계통 분석 결과, 얼룩무늬고양이상어속과 꼬리고양이상어속은 넓은주둥이상어과와, 대만상어속은 헤라상어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표범상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oscylliidae |
명명자 | Compagno, 1984 |
영명 | Finback cat sharks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흉상어목 |
과 | 타이완자메과 |
하위 분류 | |
속 | 유사꼬리상어속 (Eridacnis) 걸프하운드샤크속 (Gollum) 타이완상어속 (Proscyllium) |
2. 분류
- 점박이도치상어속 (''Ctenacis'') Compagno, 1973
- 점박이 도치상어 (''Ctenacis fehlmanni'') (S. Springer, 1968)
- ''Ctenacis magnificum'' (Last & Vongpanich, 2004)
- 꼬리도치상어속 (''Eridacnis'') H. M. Smith, 1913
- 쿠바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barbouri'') (Bigelow & Schroeder, 1944)
- 꼬리도치상어 (''Eridacnis radcliffei'') H. M. Smith, 1913
- 아프리카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sinuans'') (J. L. B. Smith, 1957)
- 대만상어속 (''Proscyllium'') Hilgendorf, 1904
- 대만상어 (''Proscyllium habereri'') Hilgendorf, 1904
- ''Proscyllium magnificum'' (Last & Vongpanich, 2004)
일부 자료에서는 대만상어속에 속하는 점박이 고양이상어(''Proscyllium venustum'')를 별도의 유효 종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15], 많은 학계에서는 이를 대만상어(''Proscyllium habereri'')의 동의어로 간주한다.[16]
2. 1. 점박이도치상어속 (*Ctenacis*)
- ''Ctenacis'' Compagno, 1973 점박이 도치상어속
- * ''Ctenacis fehlmanni'' (S. Springer, 1968) 점박이 도치상어 (Harlequin catshark)
- * ''Ctenacis magnificum'' (Last & Vongpanich, 2004) (Magnificent catshark)
점박이 도치상어(*Ctenacis fehlmanni*)는 다른 종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큰 입, 작은 이빨, 그리고 아가미갈퀴 유두를 가진 큰 인두는 표범상어과 내에서 독특한 특징이다. 소말리아 연안의 서부 인도양 열대 외대륙붕에서 발견되며, 매우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산다.[8] 난생이며, 암컷은 한 쌍의 알을 낳고, 그 안에서 배아는 난황에만 의존하여 성장한다.[8]
2. 2. 꼬리도치상어속 (*Eridacnis*)
꼬리도치상어속(''Eridacnis'')은 표범상어과에 속하는 상어 속이다. H. M. Smith가 1913년에 명명했다.다음 3종을 포함한다.
- ''쿠바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barbouri'') (Bigelow & Schroeder, 1944) (Cuban ribbontail catshark)
- ''피그미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radcliffei'') (H. M. Smith, 1913) (Pygmy ribbontail catshark)
- ''아프리카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sinuans'') (J. L. B. Smith, 1957) (African ribbontail catshark)
=== 피그미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radcliffei'') ===
최대 길이는 약 257mm로, 가장 작은 상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4] 필리핀을 비롯한 인도양-서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며, 대륙붕의 진흙 바닥 근처에서 발견된다. 어업에서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지만, 새우가 주요 먹이이기 때문에 새우잡이 어업의 혼획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사람에게는 무해한 것으로 여겨진다.[5]
=== 쿠바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barbouri'') ===
서부 중앙 대서양의 상부 대륙붕 깊은 물에서 발견된다. 주요 먹이는 작은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이다. 난태생으로 한 번에 두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태어날 때 크기는 10cm 이상이다. 사람에게 무해한 것으로 간주된다.[6]
=== 아프리카 리본꼬리 고양이상어 (''Eridacnis sinuans'') ===
몸은 회갈색을 띤다. 서인도양에 분포하지만 남아프리카, 모잠비크, 탄자니아에 국한되어 발견된다. 주로 깊은 물의 상부 대륙붕에서 발견된다. 작은 경골어류, 갑각류, 두족류를 먹고 산다. 난태생 방식으로 번식하며, 한 번에 두 마리의 새끼를 낳고 태어날 때 길이는 15cm에서 17cm 사이이다. 사람에게 무해한 것으로 여겨진다.[7]
2. 3. 대만상어속 (*Proscyllium*)
'''대만상어속'''(Proscylliumla)은 표범상어과에 속하는 상어 속의 하나이다. 다음 2종을 포함한다.- 대만상어 (Proscyllium habererila) (Graceful catshark) Hilgendorf, 1904
- Proscyllium magnificumla (Magnificent catshark) Last & Vongpanich, 2004
'''대만상어''' (Proscyllium habererila)는 1904년 힐겐도르프가 처음 기재하였다.[1] '우아한 고양이상어'라고도 불린다. 점박이 고양이상어(Proscyllium venustumla)는 일본을 포함한 북서 태평양의 온대 지역에서 발견되며, 난생으로 배아는 난황에만 의존하여 영양분을 얻는다. 인간에게는 무해한 것으로 간주된다.[2] 일부 매체에서는 점박이 고양이상어를 유효한 종으로 취급하기도 하지만[15], 많은 학계에서는 대만상어 (`P. habereri`)의 동의어로 간주하고 있다.[16]
'''Proscyllium magnificumla''' ('매혹적인 고양이상어')은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종으로, 아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몸 색깔은 황갈색 바탕에 어두운 반점과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3] 몸은 가늘고 탄탄하며, 길이는 최소 450mm까지 자란다. 미얀마 해안을 따라 인도양 동부의 열대 해역에서 발견되었다.[3]
3. 분포
주로 대륙붕을 따라 발견되며, 전 세계에 흩어져 분포한다. 이들은 주로 일본,[4] 미얀마,[3] 필리핀,[5]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 탄자니아,[7] 그리고 소말리아에서 기록되고 관찰되었다.[8]
4. 생태
표범상어과 내의 종들은 난생 또는 난태생 방식으로 번식한다. 난생은 많은 저서 상어들이 바다 밑바닥에 알을 낳아 기질에 부착시키는 방식이다. 알은 딱딱하고 가죽 같은 껍질로 둘러싸여 보호받으며, 껍질 안의 난황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다.[9] 표범상어과 내의 다른 종들은 난태생이다. 난태생 상어는 살아있는 새끼를 낳는다.[10]
5. 인간과의 관계
표범상어과 상어들은 크기가 작아 직접적인 어업이나 식용의 대상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거나 심각한 위협을 받는 상태는 아니다. 하지만 다른 어종을 잡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함께 잡히는 혼획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특히 새우잡이 저인망 어업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6. 계통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표범상어과의 계통 발생적 위치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얼룩무늬고양이상어속 Ctenacis|크테나키스lat과 꼬리고양이상어속 Eridacnis|에리다크니스lat은 넓은주둥이상어과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18] 구체적으로, 얼룩무늬고양이상어속(예: 얼룩무늬고양이상어 Ctenacis fehlmanni|크테나키스 페흘만니lat)과 꼬리고양이상어속(예: 꼬리고양이상어 Eridacnis barbouri|에리다크니스 바르보우리lat)은 넓은주둥이상어과(예: 넓은주둥이상어 Pseudotriakis microdon|프세우도트리아키스 미크로돈lat) 및 뾰족꼬리고양이상어속 Gollum|골룸lat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17][18]
한편, 대만상어 Proscyllium habereri|프로스킬리움 하베레리lat는 이들과는 별개로 헤라상어과 Pentanchidae|펜탄키다이lat와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17][18]
참조
[1]
서적
The Timetree of Lif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4-23
[2]
웹사이트
Proscyllium venustum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3]
웹사이트
Proscyllium magnificum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4]
논문
Aspects of the biology of the pygmy ribbontail catshark Eridacnis radcliffei (Proscylliidae: Carcharhiniformes) from the south-west coast of India
2012-08-01
[5]
웹사이트
Eridacnis radcliffei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6]
웹사이트
Eridacnis barbouri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7]
웹사이트
Eridacnis sinuans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8]
웹사이트
Ctenacis fehlmanni summary page
http://www.fishbase.[...]
2016-03-28
[9]
논문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Chondrichthyan Fishes
1977-05-01
[10]
논문
Oviparity, Egg Retention and Ovoviviparity in Pulmonates
1979-08-01
[11]
웹사이트
Search FishBase
http://www.fishbase.[...]
2016-03-28
[12]
웹사이트
Proscylliidae
2014-12-10
[13]
서적
サメ―海の王者たち―
ブックマン社
[14]
웹사이트
Reallocation of the magnificent catshark Proscyllium magnificum Last & Vongpanich, 2004 to the genus Ctenacis Compagno, 1973 (Carcharhiniformes: Proscylliidae)
https://onlinelibrar[...]
2024-10-27
[15]
서적
サメすご図鑑
KADOKAWA
[16]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at Guide
WILD NATURE PRESS
[17]
웹사이트
Elasmobranch Phylogeny
https://www.research[...]
2024-10-27
[18]
웹사이트
Chondrichthyan Tree of Life
https://sharksrays.o[...]
2024-10-27
[19]
간행물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