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장지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범장지뱀은 뱀과에 속하는 도마뱀의 일종이다. 종명 'argus'는 그리스 신화의 아르고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눈점(눈 모양 반점)을 비유한다. 중국, 대한민국, 몽골,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되며, 대한민국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서식한다.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난생 동물이다. 현재 두 아종이 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9년 기재된 파충류 - 바다뱀 (뱀)
바다뱀은 코브라과에 속하는 해양 파충류로, 노란배바다뱀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독을 가지고 몸의 색깔이 흑색과 황색을 띠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물 표면에 떠다니는 특징을 가지며, 일본의 이즈모 지방에서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 1869년 기재된 파충류 - 나미브낮도마뱀붙이
나미브낮도마뱀붙이는 남아프리카 나미비아와 앙골라 남부 사막에 서식하는 10cm 크기의 주행성 도마뱀붙이로, 회갈색 등과 노란색 목, 꼬리, 사지를 가지며 곤충을 먹고 바위 위에서 햇볕을 피하는 특징을 보인다. - 장지뱀과 - 아무르장지뱀
아무르장지뱀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 러시아에 분포하며 몸길이 22~26cm의 도마뱀으로, 곤충류와 절지동물을 먹고 서식지 감소로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 장지뱀과 - 줄장지뱀
줄장지뱀은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중국 동부, 대한민국, 러시아 동부에서 발견되는 장지뱀의 일종으로,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난생 동물이다. - 한국의 파충류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한국의 파충류 - 도마뱀
도마뱀은 한국과 일본 쓰시마섬에 분포하는 파충류로, 짧은 다리와 긴 꼬리, 얼룩무늬와 흑갈색 줄무늬를 가진 난생 육식 동물이며, 이름은 꼬리가 끊어지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범장지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remias argus |
학명 명명 | Peters, 1869 |
향명 (ko) | 표범장지뱀 |
향명 (en) | Mongolia racerunner |
향명 (zh) | 丽斑麻蜥 (Lì bān má xī)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상과 | 장지뱀상과 |
과 | 장지뱀과 |
속 | 표범장지뱀속 |
종 | 표범장지뱀 |
보전 상태 | |
IUCN | LC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기타 | |
참고 자료 | 보관된 사본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017, 국립생물자원 |
2. 어원
종명 ''argu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눈이 많은 거인 아르고스를 가리키며, 이는 이 종의 눈점(눈 모양 반점)을 비유한 것이다.[2]
표범장지뱀은 중국, 대한민국, 몽골, 러시아에서 발견된다.[3]
3. 분포 지역
3. 1. 대한민국 서식 현황
대한민국에는 표범장지뱀, 줄장지뱀, 아무르장지뱀 등 장지뱀류가 서식하고 있다. 특히 표범장지뱀은 대한민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종이다.
4. 서식지
사막, 암석 지대, 초원, 관목지, 숲, 담수 습지 등 매우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해발 50m에서 3400m에 이르는 광범위한 고도에서 발견되었다.[1]
5. 생식
6. 아종
현재 학계에서 인정받는 표범장지뱀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3]
- 표범장지뱀(Eremias argus argus) (W. Peters, 1869)
- 표범장지뱀 바보리(Eremias argus barbouri) (Schmidt, 1925)
참조
[1]
간행물
Eremias argus
2019
[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3]
웹사이트
2019-04-20
[4]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5]
간행물
자연과생태
2010-09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owon.newsk.c[...]
2012-02-27
[7]
서적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017, 국립생물자원
국립생물자원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