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대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국어대사전은 국립국어원이 1992년부터 편찬하여 1999년에 초판이 출판된 대한민국 국어 사전이다. 50만 개 이상의 표제어를 수록하고 있으며, 온라인 사전은 2002년에 개설되었다. 검색 기능으로 와일드카드 문자를 지원하며, 한국어의 한자어 비중을 부풀렸다는 비판과 일제강점기 일본식 표현 등재에 대한 비판을 받는다. 또한 남북한 언어를 모두 포함하려는 시도와 어휘 선택의 다양성을 저해한다는 지적, 뜻풀이의 순환 논법, 백과사전식 서술 방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사전 - 우리말샘
우리말샘은 다양한 어휘 정보를 제공하고 외부 개발자 지원을 위한 오픈 API를 제공하는 사용자 참여형 개방형 한국어 사전이다. - 한국어 사전 - 한국한자어사전
한국한자어사전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서 한국 고유 한자와 한자어를 집대성하여 1992년에 초판을 시작으로 1996년에 완간된 사전이며, 8만 4천 단어를 수록하여 국학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고 2017년부터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사전 - 한한대사전
한한대사전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 학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30여 년에 걸쳐 편찬하여 2008년에 완간한 총 16권의 방대한 한자 전문 사전으로, 5만 3,667 글자와 42만 269 단어의 뜻과 출전을 수록하고 지속적인 수정 및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사전 - 우리말샘
우리말샘은 다양한 어휘 정보를 제공하고 외부 개발자 지원을 위한 오픈 API를 제공하는 사용자 참여형 개방형 한국어 사전이다. - 1999년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1999년 책 - 데프콘 (소설)
데프콘은 중국의 세력 확장으로 촉발된 한반도 미래를 배경으로, 동아시아 갈등과 강대국들의 역학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전쟁 시나리오를 그린 가상 미래 전쟁 소설이다.
표준국어대사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표준국어대사전 |
로마자 표기 | Pyojungugeodaesajeon |
한글 표기 | 표준국어대사전 |
한자 표기 | 標準國語大辭典 |
언어 | 한국어 |
주제 | 사전 |
출판사 | 국립국어원 |
출판사2 | 두산 동아 |
출판일 | 1999년 10월 9일 |
페이지 수 | 7,328쪽 (초판) |
기타 | |
ISBN | 978-8-900-08422-1 |
웹사이트 | 표준국어대사전 공식 웹사이트 |
저작권 정책 | 저작권 정책 |
오픈 API | 오픈 API |
2. 역사
국립국어원의 전신인 국립국어연구원에서 1992년 1월 1일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을 시작했다.[1] 1999년 10월 9일 초판이 3권으로 출판되었고, 2001년 10월 9일에는 CD가 출시되었다.[2] 2002년 10월 9일 온라인 사전이 개설되었고,[2] 2008년 10월 9일에 개정되었다.[1]
2. 1. 편찬 과정
국립국어연구원에 의해 1992년 1월 1일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이 시작되었다.[1] 1999년 10월 9일, 표준국어대사전 초판이 3권으로 출판되었고, 2001년 10월 9일에는 CD가 출시되었다.[2] 2002년 10월 9일에는 온라인 사전이 개설되었고,[2] 2008년 10월 9일에 개정되었다.[1]3. 어휘 수
1999년 국립국어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 초판에는 509,076개의 표제어가 수록되었으며, 2008년부터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2021년 기준으로 422,862개의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다.[6]
4. 검색 기능
'?'를 사용하여 임의의 한 글자가 들어간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예: '가?나') '*'를 사용하여 0개 이상의 글자가 들어간 모든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예: '가*나')
5. 비판
표준국어대사전은 순우리말 단어를 잘못된 단어로 규정하고, 한자어나 외래어로 된 같은 단어를 바른 표현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같은 말을 뜻하는 단어들을 하나의 단어로 연결하여 뜻을 확인하도록 지시하지만,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단어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단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다.
5. 1. 한자어 관련 비판
대한민국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잘 쓰이지 않는 한자어까지 수록하여 한국어에서 한자어 비중을 부풀렸다는 비판이 있다.[7][8][9][10] 일제강점기에 한국어가 일본식 한자어 및 표현으로 변형된 사례들이 등재되어 있다는 비판도 있다.[11][12][13]5. 2. 내용 구성 및 서술 관련 비판
표준국어대사전은 남북한 언어를 모두 포함하려는 의도로 1992년 조선말 대사전을 상당 부분 참고하여 내용의 객관성과 중립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14] '사랑'을 이성 간의 사랑으로만 서술하여 동성애자 단체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5] 또한, 대한민국은 물론 일본조차 쓰지 않는 한자어까지 실려 한국어에서 한자말 비중을 부풀렸다는 비판과[7][8][9][10] 일제가 한국어를 일본식 한자말과 일본식으로 바꿔 쓴 낱말들까지 등재되어 있다.[11][12][13]순우리말 표현을 잘못된 것으로 규정하고, 한자어나 외래어를 표준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 어휘 선택의 다양성을 저해한다는 비판도 있다. 단어 뜻풀이가 순환논법에 빠지거나, 백과사전식으로 지나치게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어 단어 사전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과거 단어 뜻 기재 방식이 '평야'라는 단어는 '들'과 같고, '들'이라는 단어는 '평야'와 같다고 서술해 순환논법식 기재가 되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9년경에는 '음란하다'와 '음탕하다'가 서로를 가리키며 같은 단어라고 한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
인물을 설명할 때는 최소 4줄 이상의 설명이 들어가며 그 인물의 일대기가 적혀 있고, 생물이나 인물, 과학 등의 분야에서는 단어사전보다는 백과사전의 형식을 띠었으며, 단어사전에 맞지 않게 설명이 너무 구구절절하다는 비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korean.go[...]
2017-02-16
[2]
웹사이트
발자취
http://www.korean.go[...]
2017-02-16
[3]
뉴스
학자 500명 8년 작업 '표준국어대사전' 中·日서도 안쓰는 말 '부지기수'
http://www.ohmynews.[...]
[4]
웹인용
저작권 정책
https://stdict.korea[...]
2019-03-18
[5]
웹인용
오픈 API
https://stdict.korea[...]
2018-03-18
[6]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사전 통계
https://stdict.korea[...]
[7]
뉴스
학자 500명 8년 작업 '표준국어대사전', 中·日서도 안쓰는 말 '부지기수'
http://www.ohmynews.[...]
[8]
웹인용
한자 광신도와 금 긋기(1), (2) – 사전에 한자어가 70%라고?
http://hook.hani.co.[...]
2014-03-07
[9]
블로그
‘우리말 안에 한자말이 70%’라는 꾸며낸 거짓말
http://2dreamy.wordp[...]
[10]
블로그
우리말글과 국립국어원,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
http://2dreamy.wordp[...]
[11]
뉴스
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한 거라네
http://www.hani.co.k[...]
[12]
뉴스
일본말 찌꺼기로 가득찬 것이 표준어국어대사전?
http://www.jabo.co.k[...]
[13]
뉴스
"우리말 70%가 한자" 주장은 조선총독부 사전에 뿌리
http://www.ichilgok.[...]
[14]
웹사이트
나와라, 장식장에 갇힌 사전!
http://h21.hani.co.k[...]
[15]
뉴스
“'사랑' 갖고 이랬다저랬다...국립국어원의 '폭력'”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