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국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국어원은 한국어와 한글 연구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해 1984년 국어연구소로 설립되어, 200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한국어 순화, 외래어 표기법 운용, 한국어 교원 자격증 부여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21세기 세종 계획을 통해 국어 정보화 사업을 추진한다. 어문 정책과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 변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서구 소재의 관공서 - 강서도서관 (서울)
    1983년 7월 개관한 강서도서관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 다양한 자료실과 학습 공간을 갖추고 평일과 주말 운영 시간 및 정기 휴관일이 정해져 있다.
  • 서울 강서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강서경찰서
    서울강서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관할하며 1977년 영등포경찰서에서 분리되어 개서, 200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경찰서장 계급이 경무관으로 승격, 8개 지구대와 3개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치안 업무를 담당한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1984년 설립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1984년 설립 - 부산보훈병원
    부산보훈병원은 국가보훈부 산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 운영하는 국립 병원으로, 국가유공자와 그 가족, 지역 주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립국어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기관명국립국어원
한자 표기國立國語院
로마자 표기Gungnip Gugeowon
영어 표기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설립일1991년 1월 23일
전신국어연구소 (민간 기관)
웹사이트국립국어원 공식 웹사이트 (영문)
위치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국립국어원 본관 건물 (2012년)
연혁
초기 명칭국어연구소
기관 변천국어연구소 → 국립국어연구원 →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연구원 변경일2004년 11월 11일
조직
상위 기관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직원 수50명
주요 사업
한국어 교육한국어교수학습샘터 운영

2. 연혁


  • 1984년 5월 10일 문교부 산하 국어연구소로 출발했다.[3][2]
  • 1990년 1월 3일 문화부 소속으로 바뀌었다.
  • 1990년 11월 14일 대통령령 제13,163호에 따라 직제가 개정되어 국립국어연구원으로 바뀌면서 정원도 35명으로 늘어났다.
  • 1992년 1월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에 착수하여 1999년 10월과 11월에 걸쳐 《표준국어대사전》(상·중·하 3권)을 발간하였다.
  • 1994년 5월 4일 대통령령 제14,249호에 따라 직제가 개정되었다.
  • 2000년 8월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으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 2004년 11월 11일 대통령령 제18,588호에 의해 국립국어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08년 10월부터 《표준국어대사전》을 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 2022년 1월 18일, 국립국어원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새로운 계획을 발표하였다.[14]
  •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국어 능력 진단 시스템 구축
  • 1999년 표준국어대사전이 디지털 시대의 주요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판단에 따른 사전 대대적 개정
  • 한반도 밖 한국어 교사에 대한 수요와 질적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른 교사 양성 과정 및 자격증 프로그램 개발

3. 조직

국립국어원은 원장과 각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3. 1. 원장

국립국어원장은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보한다.[16]

4. 사업

한국어한글을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만든다. 한국어 순화, 외래어 표기법 운용, 전문 용어 표준화, 국어 사용 실태 조사, 각종 자료집 및 간행물 발간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대한민국 표준어의 기준이 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한다. 홈페이지에서는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로마자 표기법 같은 어문 규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국어문화학교

국립국어원에서 실시하는 교육 과정과 신청한 기관에 전문 강사가 직접 찾아가서 강의하는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총 18,000여 명이 이 과정을 수료하였다고 한다[22].

; '온라인 가나다'와 '가나다전화'

한국어 사용과 관련된 질문을 게시판에 올리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가나다'와 질문 내용이 간단할 경우에 전화로 물어볼 수 있는 '가나다전화'(1599-9979)를 운영하고 있다.

; 국외 한국어 전문가 교육 사업

1992년부터 시작된 '국외 한국어 전문가 교육 사업'은 한국어 전문가를 현지에 직접 파견하는 방식과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을 초청하여 교육하는 방식으로 나뉘어 이뤄지고 있다. 2006년까지 3,679명이 파견 교육 과정을 수강했으며 한국어 전문가 286명이 초청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

국어기본법에 의해서 외국인과 재외 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은 사람을 한국어 교원이라 하며, 이는 교육부 장관으로부터 부여받은 초등 정교사나 중등 정교사(국어과)와는 별개의 자격증이다. 국내외 한국어․한국학 관련 대학 또는 기관, 결혼 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들을 지원하는 시설 및 단체, 해외 진출 기업체, 일반 사설 학원 등에서 한국어 교육에 종사할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사하여 교원 자격증을 부여하는 사업이다.[23] 발급 주체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며, 1·2·3급으로 나뉜다[24].

; 21세기 세종 계획

21세기 세종 계획은 문화체육관광부, 관련 학계 등과 협력하여 1998년부터 추진해 온 국어 정보화 사업이다. 언어 정보 문화의 기본 바탕과 자원을 확충하기 위한 <국어 정보화 중장기 발전 계획>의 일환이며, 기초 언어 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부터 범용 전자 사전 개발, 국어 정보화 인력 양성, 글꼴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뤄진다.

; 편찬 사업

2007년 10월에 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를 아래와 같이 편찬하였다.


  • 《전문용어 연구: 정리 현황과 과제》
  • 《외래어 이렇게 다듬어 쓰자》
  • 《신조어: 사전에 없는 말》
  • 《방언 이야기》


그 밖에도 교육·문화·문학 등 국어 관련 각종 학술 대회 및 행사를 두루 개최하고 있다.

; 2022년 발표 계획

2022년 1월 18일, 국립국어원은 다음의 계획을 발표하였다.[14]

  •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국어 능력 진단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립국어원 원장은 "80%는 사람이, 20%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면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규모로 작문 시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이 시험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에 걸쳐 100억(약 839만 달러)의 예산으로 개발될 예정이며, 국내 작문 능력 향상과 대학 입시에 활용될 목표이다.[14]
  • 1999년 표준국어대사전이 디지털 시대의 주요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판단에 따라 사전을 대대적으로 개정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14]
  • 한반도 밖 한국어 교사에 대한 수요와 질적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교사 양성 과정 및 자격증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14]

5. 주요 사업 계획

한국어한글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를 진행하며, 한국어 순화, 외래어 표기법 운용, 전문 용어 표준화, 국어 사용 실태 조사, 자료집 및 간행물 발간 사업을 추진한다. 대한민국 표준어 기준이 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로마자 표기법 등 어문 규정과 자료를 제공한다.[14]

2022년 1월 18일, 국립국어원은 다음과 같은 계획을 발표하였다.[14]


  • 인공지능 활용 한국어 능력 진단 시스템 구축: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100억(약 839만 달러) 예산으로 개발 예정. 국내 작문 능력 향상과 대학 입시 활용이 목표이다. 국립국어원장은 "사람(80%)과 인공지능(20%) 협력으로 평가 시스템 효율성을 높여 대규모 작문 시험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14]
  • 《표준국어대사전》 대대적 개정: 1999년 판이 디지털 시대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판단에 따라 2022년부터 2026년까지 개정 추진.[14]
  • 한반도 밖 한국어 교사 수요 및 질적 기대치 증가에 따라 교사 양성 과정 및 자격증 프로그램 개발.[14]

6. 비판

국립국어원의 어문 정책은 1945년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그러나 새로운 어문 정책이 나올 때마다 실제 한국 언중이 사용하는 말과 괴리가 있어 논란이 되었다. 어학자들은 언중이 쓰는 말이 틀렸으며, 새 문법 규칙에 따라 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다른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고, 정책 자체가 일관성이 없고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었다.[25]

대표적인 논란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자장면과 짜장면: 오랫동안 언중의 사용과 표준어 간 괴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짜장면'을 사용함에도 국립국어원은 '자장면'을 표준어로 고집했다. 짬뽕은 일본어 어원임에도 표준어로 인정하여 형평성 논란이 있었으나, 2011년 8월 31일 '짜장면'도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었다.[26]
  • 게놈(←genomde)과 지놈(←genome영어): 국립국어원은 '게놈'을, 학계는 '지놈'을 지지하여 입장이 갈리는 사례이다. 일반인들도 '게놈'을 사용하지만, 관련 학계에서는 '지놈'이 더 흔히 쓰인다.[27]


최근 어문 정책 변화로 인해 이전 저작물의 표현이나 고어를 "틀리다"고 교육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이전 세대는 낯설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국립국어원의 《사전에 없는 말 신조어》[28]에 '놈현스럽다'를 수록하여 비판을 받았고, 항의 여론이 많았다.[29][30] '차떼기'는 수록하지 않고 홈페이지에 '차떼기 선거'만 수록하여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었다.[31] 결국 2007년 10월 12일 비속어 수록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32]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논란도 많다. 외래어 순화를 내세워 순우리말이나 새로 만든 말을 권장하지만,[33] 현실 언중의 사용과 괴리가 크거나, 원어 발음과 너무 다르며, 해당 분야의 일반적인 발음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34][35] 국어연구원 박용찬 학예연구관은 "학자 몇 사람의 머리에서 나오는 안은 한계가 있다"라고 인정하며, 시행착오이자 "우리말 순화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 한 과정"으로 봐달라고 하였다.[33]

말다듬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36]

일반적으로 쓰는 표현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표현비고
아연실색크게 놀람
트랜스 지방변이 지방trans영어는 치환기가 다른 방향인 이성질체를 의미하여, 변이의 뜻이 아니다.
아우라기품
키치눈길끌기번역어가 원어 뜻의 일부만 표현한다.
샹그릴라꿈의 낙원단순한 단어 조합이라는 비판이 있다.
크리에이터광고창작자creator영어를 광고 분야로 한정하여 오해했다.
팬미팅다솜모임다솜은 옛말로 ‘사랑하다’의 명사형이다.
머스트 해브필수품경제 트렌드 용어를 일반화했다는 비판이 있다.
원샷한입털이
브런치어울참‘아점’이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다.
웰빙참살이비교적 많이 쓰이고 있다.
펜트하우스하늘채특정 브랜드 이름으로 이용되고 있다.
프레젠테이션시청각설명회
스포일러영화헤살꾼spoiler영어를 영화에만 쓰이는 용어로 오해했다.
닭도리탕닭볶음탕, 닭매운탕, 닭감자탕 등



의미가 같은 경우 널리 쓰이는 표현만 표준어로 삼아 언어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37] 그러나 여러 표현이 널리 쓰일 때는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거나 바꾸는 경우도 있다.[38]

6. 1. 어문 정책 관련

한국어 어문 정책은 1945년 해방 이후에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런데 새로운 어문 정책이 나올 때마다 어학자들은 한국 언중이 실제 쓰는 말이 틀린 말이며, 새로운 문법 규칙에 따라 바르게 순화되어 쓰여야 한다고 하면서 새로운 어문 규정을 정책적으로 집행하려 하였다. 하지만 이 중 일부는 다른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비판받고 있으며, 또한 정책 자체가 일관적이지 못하고 시대에 뒤떨어지는 정책이라고 비판받고 있다.[25]

다음은 대표적인 논란 사례이다.

; 자장면과 짜장면

: 위 두 단어는 상당히 오랫동안 언중의 사용과 어문 정책상의 표준어 간의 괴리를 비판하는 데 쓰인 주요 대상이었는데, 이는 실제 언중들은 대부분 ‘짜장면’이라 쓰고 발음하는데도 불구하고 국립국어원에서 짜장면을 중국어 어원으로 보고 자장면을 표준어로 정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짬뽕은 일본어가 어원이기 때문에 국립국어원에서는 이를 표준화하여 인정하였기 때문에 두 단어에 대한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었다. 이후 2011년 8월 31일에 국립국어원은 짜장면을 '자장면'의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26]

; 게놈(←genomde)과 지놈(←genome영어)

: 전자가 국립국어원, 후자가 학계가 지지하는 표기인데, 관련 학계와 국립국어원의 입장이 갈리는 예이다. 자장면과는 달리 일반적인 한국어 사용자들도 게놈이라는 표기를 쓰고 있다. 그러나 관련 학계에서는 지놈이라는 표기가 더 흔히 쓰인다.[27]

또한 최근 어문 정책이 바뀐 후 이전의 저작물들의 당대 표현이나 고어적 표현을 "틀리다"라고 하여 교육 및 방송에서 국민들을 교육시키려 하고 있으나 이전에 교육을 받은 세대에게는 낯설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사전에 없는 말 신조어》[28]에서는 '놈현스럽다'라는 단어를 신조어에 포함시켜 비판을 받기도 하였고, 이에 대해 항의하는 여론이 많았다.[29][30] 그 외에도 '차떼기'는 이 책에 수록하지 않았는데 이후 홈페이지에 '차떼기 선거'만을 수록하여, 어문 정책을 정치화하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31] 결국 2007년 10월 12일, 이러한 비속어를 출판물에 수록한 것을 공식 사과하였다.[32]

또한,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논란이 많은데 영어, 일본어 등에서 들어온 말을 그대로 음독하여 표기하기보다는 '외래어 순화'를 내세우며 순우리말 또는 새로 지어낸 말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33] 그러나 외래어 표기법이 현실 언중이 주로 쓰는 형태와 너무 다르거나 원래의 언어의 발음과 너무 다른 점[34], 그리고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발음을 무시하는 사례[35] 등을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국어연구원의 학예연구관 박용찬은 "학자 몇 사람의 머리에서 나오는 안은 한계가 있다"라고 인정하며 초기 단계의 시행착오라고 하였고 "우리말 순화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 한 과정"으로 봐달라고 하였다.[33]

; 말다듬기의 예

전자는 한국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쓰는 표현, 후자는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표현이다.[36] 대중에게 받아들여져 널리 쓰이는 경우도 있으나, 익숙함에 크게 영향을 받는 언어의 속성상 논란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 “아연실색”과 “크게 놀람”
  • 트랜스 지방”과 “변이 지방”: 여기서 trans영어는 cis-trans 관계의 이성질체 중 치환기가 다른 방향인 이성질체를 말하는 것으로, 변이의 뜻이 아니다.
  • 아우라”와 “기품”
  • 키치”와 “눈길끌기”: 번역어가 원어 뜻의 일부만을 가지고 있다.
  • 샹그릴라”와 “꿈의 낙원”: 단순한 단어 조합이라는 비판이 있다.
  • 크리에이터”와 “광고창작자”: creator영어를 광고 분야의 한정적인 용어로만 오해하였다.
  • “팬미팅”과 “다솜모임”: 다솜은 옛말로 ‘사랑하다’라는 동사의 명사형이라고 한다.
  • “머스트 해브”와 “필수품”: 경제 트렌드 용어를 너무 일반화시킨 경우로 비판을 받는다.
  • “원샷”과 “한입털이”
  • 브런치”와 “어울참”: 아침과 점심의 첫 글자를 딴 ‘아점’이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다.
  • 웰빙”과 “참살이”: 비교적 대중에게 많이 받아들여져 쓰이고 있다.
  • 펜트하우스”와 “하늘채”: 특정 브랜드 이름으로 이용되고 있다.
  • 프레젠테이션”과 “시청각설명회”
  • 스포일러”와 “영화헤살꾼”: spoiler영어를 영화에만 쓰이는 용어로 오해하였다.
  • “닭도리탕”과 “'''닭볶음탕''', 닭매운탕, 닭감자탕” 등.


또한 의미가 똑같은 경우 널리 쓰이는 표현만을 표준어로 삼음으로써 언어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37] 그러나 언중이 여러 가지 표현을 골고루 널리 쓰고 있을 때는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거나 바꾸는 예도 있다.[38]

6. 2. 표준국어대사전 관련

국립국어원은 1992년 1월 1일부터 표준국어대사전(SKLD) 편찬 작업을 시작하여 1999년 10월 11일 3권으로 출판하였다. 2008년 10월 8일에는 개정판 및 온라인 버전을 공개하였다.[3]

국립국어원은 2010년 7월 "'사랑'은 이성의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런 일"이라고 정의하였다. 2012년 11월에는 '이성의 상대'를 '어떤 상대'로 변경하였으나, 2년도 채 되지 않아 다시 '남녀 간'으로 변경하였다.

이와 함께 '사랑'과 관련된 '연애'("연인 관계인 두 사람이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함")와 '애정'("애인을 간절히 그리워하는 마음, 또는 그런 일")도 각각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함"과 "남녀 간에 서로 그리워하는 마음, 또는 그런 일"로 수정되었다.[39]

이는 언어의 표준에 어긋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ttps://www.korean.g[...] 2024-09-06
[2] 웹사이트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https://encykorea.ak[...] 2023-08-24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orean.g[...] 2023-08-24
[4] 웹사이트 연혁 https://korean.go.kr[...] 2023-08-25
[5]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s://kcenter.kore[...] 2023-08-24
[6] 웹사이트 한국어기초사전 https://krdict.korea[...] 2023-08-24
[7] 웹사이트 Collecting national language resources and reinforc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https://www.korean.g[...] 2023-08-24
[8] 웹사이트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 2023-08-24
[9] 웹사이트 Gov't launches open Korean dictionary online https://en.yna.co.kr[...] 2016-10-05
[10] 논문 The Korean Neologism Investigation Project: Current Status and Key Issues https://muse.jhu.edu[...] 2020
[11] 논문 Computational approaches to developing the implicit media bias dataset: Assessing political orientations of nonpolitical news articles https://www.scienced[...] 2023-12-01
[12] 논문 Towards standardizing Korean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Datasets and Annotation https://aclanthology[...]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23-07-00
[13] 서적 East Asian Sign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2-12-05
[14] 뉴스 National language institute to use AI to improve writing assessment https://www.koreaher[...] 2022-01-19
[15] 웹사이트 시설 소개 - 시설 안내 https://www.korean.g[...] 국립국어원 2023-07-29
[16]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17] 문서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18] 문서 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19] 문서 서기관 또는 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20]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21] 문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18년 9월 30일까지다.
[22] 웹사이트 국어문화학교 소개 http://www.korean.go[...]
[23] 문서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관련 정보
[24] 문서 관련 규정 정보
[25] 뉴스 열린 국어정책’ 국립국어연구원 남기심 원장 http://urimal.cs.pus[...] 동아일보 2004-08-24
[26] 뉴스 ‘짜장면’ 등 39항목 표준어로 인정 http://korean.go.kr/[...] 국립국어원 2013-10-29
[27] 뉴스 2005년 9월 22일 국정감사 민병두 의원 문화 관광부 질의 내용 http://www.uparty.or[...] 2005-09-22
[28] 서적 (제목 없음) 2007-10-05
[29] 논문 어문정책, 민간화의 탐색 http://www.kapa21.or[...] 2004
[30] 뉴스 사담? 삿담? 압달라히? 압둘라? 수퍼? 슈퍼? 귀도 헷갈리네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2007-08-07
[31]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민원소리 게시판의 "차떼기당에 대한 질의"에 대한 답변 http://www.korean.go[...]
[32] 뉴스 '국립국어원 "'놈현스럽다" 물의 사과'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07-10-12
[33] 뉴스 "'웰빙'→'참살이' '올인'→'다걸기'로" http://www.chosun.co[...] 조선닷컴 2004-09-07
[34] 뉴스 "마이동풍’ 국립국어원"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11-06
[35]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최용기, 서울특별시 한글사랑 서울사랑-우리말 똑바로 알기 게시판의 "게놈과 지놈" http://hangeul.seoul[...]
[36] 웹인용 우리말 다듬기 홈페이지 이렇게 바꿨어요! 게시판 https://web.archive.[...] 2008-02-24
[37] 웹사이트 표준어 규정 제25항 http://onhangeul.com[...]
[38]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최용기, 서울특별시 한글사랑 서울사랑-우리말 똑바로 알기 게시판의 "쇠고기와 소고기" http://hangeul.seoul[...]
[39] 뉴스 "'사랑' 갖고 이랬다저랬다...국립국어원의 '폭력'" http://www.ohmynews.[...]
[40] 웹사이트 한국수어사전 http://sldict.kore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