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피에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피에누스는 238년 로마 원로원에 의해 발비누스와 함께 공동 황제로 선출된 인물이다. 그는 군사적 성공과 엄격한 통치로 명성을 얻었으나, 고르디아누스 가문을 지지하는 세력과 프라이토리아 근위대의 반발을 샀다. 푸피에누스는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와의 전쟁을 지휘하고 게르만족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로마로 돌아와 발비누스와의 갈등 끝에 238년 7월 29일 근위대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의 재위 기간은 99일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년 출생 - 조인
    조인은 조조의 사촌 동생으로, 궁술과 마술에 능했으며 조조를 도와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위나라 건국과 안정에 기여한 위나라의 장군이다.
  • 168년 출생 - 고옹
    채옹의 제자이자 학문적 재능을 인정받은 고옹은 손권 휘하에서 회계태수 대행, 좌사마, 상서령 등을 역임하고 승상까지 오른 오나라의 정치가이다.
  • 친위대에게 살해된 로마 황제 - 카라칼라
    카라칼라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로서 권력을 누렸으나 동생 게타를 살해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으며, 자유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안토니누스 칙령을 발표했지만 폭정과 잔혹 행위로 암살당한 로마 황제이다.
  • 친위대에게 살해된 로마 황제 - 엘라가발루스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출신으로 태양신 헬리오가발루스의 사제였으며, 로마 황제가 된 후 엘라가발 신앙을 전파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다 살해당한 인물로,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지만 긍정적인 재평가도 존재한다.
  • 238년 사망 - 고르디아누스 2세
    고르디아누스 2세는 고르디아누스 1세의 아들로 238년 아버지와 공동 황제가 되었으나, 누미디아 총독의 반란으로 카르타고 전투에서 전사하며 짧은 통치를 마쳤고, 그의 죽음은 정치적 혼란기를 반영하며 조카 고르디아누스 3세가 황제가 되는 발판이 되었다.
  • 238년 사망 - 고르디아누스 1세
    고르디아누스 1세는 238년 막시미누스 트락스의 폭정에 반발한 아프리카 속주 반란으로 80세에 황제가 되었으나, 아들과 함께 누미디아 총독에게 패배하여 자결하며 22일 만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로마 황제이다.
푸피에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아우구스투스
본명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로마자 표기Marcus Clodius Pupienus Maximus
출생164년경
사망238년 (약 74세)
사망 장소로마, 이탈리아
공동 황제발비누스
경쟁 황제막시미누스 트라쿠스 (6월까지)
재위
즉위238년 4월/5월
퇴위238년 7월/8월
이전고르디아누스 1세고르디아누스 2세
이후고르디아누스 3세
가족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자녀티투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풀케르 막시무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푸피에나 섹스티아 파울리나 케테길라
아버지?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어머니? 클로디아 풀크라
기타
관련 사건6황제의 해

2. 즉위 전

푸피에누스는 168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출생일과 출생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의 역사책인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그는 대장장이의 아들이었다가 페르셀리나 마르첼라라는 여인에게 입양되었고, 이후 군대에 입대하여 백인대장, 군사 호민관을 거쳐 정무관의 자리에까지 올랐다고 한다. 세베루스 왕조 시기인 2세기 후반과 3세기 초반에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맡았다.[6]

하지만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그를 비천한 출신으로 묘사한 것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높다. 그는 이탈리아 중부 볼테라 출신의 원로원 의원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의 아들이었으며,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는 그의 가문에서 처음으로 원로원에 입성한 사람이었다. 따라서 로마의 다른 귀족들에 비해 그 입지가 약했을 뿐, 낮은 계층 출신은 아니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7][8][9]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기록에는 다른 문제점도 있다.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모두 겸임하였다고 나왔는데, 당시 비티니아는 황제 직속 통치 속주였기에 원로원 출신인 푸피에누스가 이곳을 다스렸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또한 3개의 지방을 모두 통치한 다른 사례가 없으며, 이 3개 지방의 총독 명단 어디에도 푸피에누스의 이름은 없다. 따라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정보를 그대로 믿기보다는, 관련 자료들을 통해 당시 상황을 추론하는 것이 중요하다.[10]

222년경, 푸피에누스의 권력은 점차 공고해졌다. 207년 쯤에는 군사령관으로 임명받아 게르마니아의 한 지방으로 파견을 나갔고, 그곳에서 사르마티아족게르만족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11] 234년,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에 의해 집정관에 선출되었으며, 이어 로마의 도시 행정관에도 올랐다.[13] 에드워드 기번로마제국 쇠망사에 따르면 푸피에누스는 엄격한 법률 집행으로 시민들에게는 인기가 없었지만, 지식인들에게는 청렴하고 강직한 관료로 칭송받았다고 한다.

2. 1. 어린 시절

푸피에누스는 168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출생일과 출생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의 역사책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그는 대장장이의 아들이었다가 페르셀리나 마르첼라라는 여인에게 입양되었다고 한다. 이후 그는 군대에 입대하여 백인대장, 군사 호민관을 거친 후 정무관의 자리에까지 올랐다고 한다. 푸피에누스는 세베루스 왕조 시기인 2세기 후반과 3세기 초반에 여러 중책들을 맡았으며,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맡았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는 그를 비천한 출신으로 묘사하지만, 이것만으로 그를 낮은 계층으로 단정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는 이탈리아 중부 볼테라 출신의 원로원 의원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의 아들이었는데,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는 그의 가문에서 처음으로 원로원에 입성한 사람이었기에, 상대적으로 로마의 다른 귀족들에 비해 그 입지가 약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기록에는 문제가 더 있다. 기록에 따르면 그는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모두 겸임하였다고 하는데, 당시 비티니아는 황제 직속 통치 속주였기에 원로원 출신인 푸피에누스가 이곳을 다스렸다는 것은 논리상 결함이 있다. 또한 3개 지방을 모두 통치한 다른 사례가 없기에 이 역시 신빙성이 부족하다. 게다가 이 3개 지방의 총독 명단에는 푸피에누스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정보를 모두 믿기보다는, 관련 자료와 저서를 최대한 모아 합리적으로 당시 상황을 추론하는 것이 중요하다.

222년경, 그의 권력은 점차 공고해졌다. 207년경 그는 군사령관으로 임명받아 게르마니아의 한 지방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사르마티아족게르만족을 상대로 승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234년, 그는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에 의해 집정관에 선출되었으며, 이어 로마의 시장에도 올랐다. 에드워드 기번로마제국 쇠망사에 따르면 푸피에누스는 엄정한 법률 집행으로 가차없이 처벌하여 시민들에게 인기가 없었지만, 지식인들에게는 청렴하고 강직한 관료로 칭송받았다고 한다.

2. 2. 초기 경력

푸피에누스는 168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출생일과 출생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의 역사책인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그는 대장장이의 아들이었다가 페르셀리나 마르첼라라는 여인에게 입양되었다고 한다. 이후 군대에 입대하여 백인대장, 군사 호민관을 거쳐 정무관의 자리에까지 올랐다고 한다. 푸피에누스의 군대 승진 속도는 빨랐고, 세베루스 왕조 시기인 2세기 후반과 3세기 초반에 여러 중책들을 맡았다. 이때 그는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맡았다.[6]

하지만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그를 비천한 출신으로 묘사한 것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높다. 그는 이탈리아 중부 볼테라 출신의 원로원 의원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의 아들이었으며,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는 그의 가문에서 처음으로 원로원에 입성한 사람이었다. 따라서 로마의 다른 귀족들에 비해 그 입지가 약했을 뿐, 낮은 계층 출신은 아니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7][8][9]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기록에는 다른 문제점도 있다. 비티니아와 폰투스, 아카이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총독을 모두 겸임하였다고 나왔는데, 당시 비티니아는 황제 직속 통치 속주였기에 원로원 출신인 푸피에누스가 이곳을 다스렸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또한 3개의 지방을 모두 통치한 다른 사례가 없으며, 이 3개 지방의 총독 명단 어디에도 푸피에누스의 이름은 없다. 따라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정보를 그대로 믿기보다는, 관련 자료들을 통해 당시 상황을 추론하는 것이 중요하다.[10]

222년경, 푸피에누스의 권력은 점차 공고해졌다. 207년 쯤에는 군사령관으로 임명받아 게르마니아의 한 지방으로 파견을 나갔고, 그곳에서 사르마티아족게르만족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11] 234년,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에 의해 집정관에 선출되었으며, 이어 로마의 도시 행정관에도 올랐다.[13] 에드워드 기번로마제국 쇠망사에 따르면 푸피에누스는 엄격한 법률 집행으로 시민들에게는 인기가 없었지만, 지식인들에게는 청렴하고 강직한 관료로 칭송받았다고 한다.

3. 통치

238년 고르디아누스 1세고르디아누스 2세가 아프리카에서 황제 즉위를 선언했을 때, 로마 원로원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를 막기 위해 푸피에누스를 포함한 20명의 원로 의원들로 위원회를 구성하였다.[14] 그러나 고르디아누스 1, 2세가 사망하자 원로원은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 신전에서 회의를 열고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출했다.[11] 이들은 모두 폰티펙스 막시무스로 선출되었다.[15]

에드워드 기번은 헤로디아누스와 ''아우구스타사''를 인용하며 푸피에누스가 발비누스보다 더 강인한 인물이었다고 묘사했다. 푸피에누스는 용기와 능력으로 낮은 지위에서 높은 지위까지 올랐으며, 사르마티아인과 게르만족에 대한 승리, 엄격한 삶, 도시 치안 판무관 시절의 공정성으로 존경받았다. 두 황제는 모두 집정관을 역임했고, 푸피에누스는 60세, 발비누스는 74세로 경험이 풍부했다.[16]

바티칸 박물관에 있는 푸피에누스의 흉상


원로원 내 고르디아누스 가문 지지 세력의 선동으로 고르디아누스 3세가 공동 황제로 옹립된 후, 푸피에누스는 발비누스에게 로마의 민간 행정을 맡기고 라벤나로 진군하여 막시미누스에 대항하는 작전을 지휘했다.[11] 그는 게르마니아에서 복무할 때의 명성을 활용하여 게르만족 지원병들을 모집했다. 막시미누스가 아퀼레이아 외곽에서 부하들에게 암살된 후,[18] 푸피에누스는 막시미누스의 군대와 자신의 군대를 속주로 돌려보내고 게르만 경호원과 함께 로마로 돌아왔다.

3. 1. 즉위 과정의 문제점

238년 3월, 고르디아누스 1세고르디아누스 2세가 아프리카에서 황제 즉위를 선언했을 때, 로마 원로원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를 막기 위해 20명의 원로 의원들을 뽑아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고르디아누스 1세와 2세는 누미디아 속주 총독 카펠리아누스에게 패배하여 한 달 만에 사망했다. 원로원은 곧바로 회의를 소집하여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를 새로운 공동 황제로 선출했다.

하지만 원로원 내 고르디아누스 가문 지지 세력들은 로마 대중들과 근위대를 선동하여, 자신들이 직접 황제를 선출해야 한다며 원로원이 선택한 두 황제에 더해 제3의 황제를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르디아누스 가문의 사람을 제3의 황제로 옹립하라고 요구했고, 결국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를 새로운 제3의 황제로 세우게 된다.[1]

3. 2. 막시미누스 트락스와의 전쟁

238년 3월, 고르디아누스 1세고르디아누스 2세가 아프리카에서 황제로 즉위하자, 로마 원로원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에 대항하기 위해 푸피에누스를 포함한 20명의 원로 의원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임명했다.[14] 이 위원회의 역할은 고르디아누스 1세와 2세가 로마에 도착할 때까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를 저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고르디아누스 1세와 2세가 사망하자, 원로원은 카피톨리누스 유피테르 신전에서 회의를 열고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출했다.[11] 두 황제는 모두 폰티펙스 막시무스로 선출되었다.[15]

에드워드 기번은 헤로디아누스와 ''아우구스타사''를 인용하며 푸피에누스가 발비누스보다 더 강인한 인물이었다고 묘사했다. 푸피에누스는 용기와 능력으로 낮은 지위에서 높은 지위까지 올랐으며, 사르마티아인과 게르만족에 대한 승리, 엄격한 삶, 도시 치안 판무관 시절의 공정성으로 존경받았다. 두 황제는 모두 집정관을 역임했고, 푸피에누스는 60세, 발비누스는 74세로 경험이 풍부했다.[16]

푸피에누스의 데나리우스. 명문: "IMP C M CLOD PUPIENUS AUG"


그러나 고르디아누스 가문을 지지하던 세력들은 백성과 프라이토리아 근위대를 선동하여 고르디아누스 3세를 공동 황제로 옹립하게 했다.[17] 4월 말, 푸피에누스는 발비누스에게 로마의 민간 행정을 맡기고 라벤나로 진군하여 막시미누스에 대항하는 작전을 지휘하고 게르만족 지원병들을 모집했다.[11] 막시미누스가 아퀼레이아 외곽에서 부하들에게 암살된 후, 푸피에누스는 막시미누스와 자신의 군대를 속주로 돌려보내고 게르만 경호원과 함께 로마로 돌아왔다.[18]

4. 죽음

푸피에누스가 북쪽에서 전투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동안, 발비누스는 로마의 치안을 제대로 유지하는 데 실패했다. 로마 근위대와 시민들 사이에서는 공동 황제들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 푸피에누스가 전쟁을 끝내고 로마로 돌아오자, 푸피에누스와 발비누스 사이에는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발비누스는 푸피에누스가 데려온 게르만 군인들을 경계했고, 푸피에누스는 발비누스의 통치 능력에 실망했다. 결국 그들은 황궁 내에서도 따로 집무실을 사용할 정도로 사이가 멀어졌다.

푸피에누스는 근위대의 불만이 커지는 것을 인지하고 발비누스에게 게르만족 군대를 로마 시내에 배치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발비누스는 이를 자신을 제거하기 위한 계획으로 의심하여 거절했다. 238년 7월 29일, 근위대 병사들이 황궁에 침입하여 두 황제를 체포했다. 이들은 근위대 진지로 끌려가 '원로원 황제'라고 조롱받고 고문당하다가 살해되었다.[11]

5. 가족

푸피에누스는 섹스티아 케테길라와 결혼하여 두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두었다.[24][25][26]


  • 티투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풀케르 막시무스: 235년경 보좌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로마 외곽 티볼리의 후원자였다.[24]
  •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236년에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와 함께 정식 집정관을 역임했다.[25]
  • 푸피에나 섹스티아 파울리나 케테길라: 마르쿠스 울피우스 에우비오투스 레루스와 결혼했다.[26]


세베루스 알렉산데르와 막시미누스 트락스 통치 기간 동안 푸피에누스 가문이 집정관 직위를 보유했다는 것은 가문이 상당한 영향력과 높은 지위를 누렸음을 보여준다.

참조

[1] 논문 O. Leid. 144 and the Chronology of A.D. 238 http://www.jstor.org[...] 1972
[2] 서적 Epitome https://books.google[...] 1120
[3]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 웹사이트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1940-05-13
[5]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To which are added, a synopsis of words differently pronounced and Walker's Key to the classical pronunciation of Greek, Latin and Scripture proper names. Revised and enlarged, by C.A. Goodrich https://books.google[...] 1852-05-13
[6] 서적 Maximus and Balbinus
[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2005
[8] 서적 L'empire romain du IIIe siècle: histoire politique 1997
[9] 서적 Continuité gentilice et continuité familiale dans les familles sénatoriales romaines à l'époque impériale: mythe et réalité 2000
[10] 간행물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11] 문서 Pupienus (238 A.D.) and Balbinus (238 A.D.)
[12]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13] 서적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2004
[14] 문서
[1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om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6]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Table of Contents with links in the HTML file to the two Project Gutenberg editions (12 volumes) http://www.gutenberg[...] 2008-06-07
[1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2005
[18] 문서 Pupienus (238 A.D.) and Balbinus (238 A.D.)
[19] 문서
[20] 서적 The collapse and recovery of the Roman Empire 1999
[21] 서적 Chronograph of 354 https://www.tertulli[...]
[22] 서적 Chronicon Paschale https://books.google[...] 7th century
[23] 서적 Imperatorum Malalianus https://archive.org/[...] 7th century
[24] 서적 Historia Augusta papers 1983
[25] 서적 Emperors and biography: studies in the Historia Augusta Clarendon Press 1971
[26] 서적 Emperors and biogra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