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저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저창은 조선 시대의 창고 기관으로, 1392년(태조 1년)에 설치되어 1637년(인조 15년)에 장흥고에 병합되었다. 설치 초기에는 사(使), 부사(副使), 승(丞), 주부(注簿), 부제조 등의 관직을 두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관제 개편을 거쳤다. 1466년(세조 12년)에는 사(使)를 수(守)로 고치고 정4품으로 승격되었으며, 부사, 승, 부승 등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1469년(예종 1년)에는 주부의 정원이 증원되기도 했다.
1392년(태조 1년) 7월 28일 풍저창의 관제가 정해졌다.[1] 1414년(태종 14년) 1월 18일 주부를 모두 부승으로 고쳐 불렀다.[2] 1423년(세종 5년) 2월 9일 부제조 1명을 없애고 제조 1명을 늘렸다.[3]
조선 시대 풍저창의 관직은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1392년 설치 이후 여러 차례 관직 구성이 바뀌었으며, 각 시기별 관직과 인원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2. 기관 연혁
1466년(세조 12년) 1월 15일 관직 명칭을 변경하고 품계를 조정했으며,[4] 1469년(예종 1년) 6월 29일 주부 1명을 더 두었다.[5] 1637년(인조 15년) 3월 8일 장흥고에 병합되었다.[6]
2. 1. 설치와 초기 운영 (1392년 ~ 1466년)
1392년(태조 1년) 7월 28일 풍저창의 관제가 정해졌다.[1] 초기에는 종5품 아문으로 사(使), 부사(副使), 승(丞), 주부(注簿), 부제조(副提調) 등의 관직을 두었다.
1414년(태종 14년) 1월 18일 풍저창의 주부(注簿)를 모두 부승(副丞)으로 고쳐 불렀다.[2]
1423년(세종 5년) 2월 9일 풍저창의 부제조(副提調) 1명을 없애고 제조(提調) 1명을 늘렸다.[3]
1466년(세조 12년) 1월 15일 풍저창의 사(使)를 수(守)로 고치고 정4품으로 올렸다. 그리고 부사(副使)를 주부(注簿)로, 승(丞)을 직장(直長)으로, 부승(副丞)을 봉사로 바꾸고, 부봉사 1명을 더 두었다.[4]
2. 2. 관제 개편과 운영 (1466년 ~ 1637년)
1466년(세조 12년) 1월 15일 풍저창의 관직명칭 변경과 품계 조정이 있었다. 사(使)는 수(守)로 고치고 정4품으로 승격시켰으며, 부사(副使)는 주부(注簿), 승(丞)은 직장(直長), 부승(副丞)은 봉사(奉事)로 고치고 부봉사(副奉事) 1명을 증원하였다.[4] 1469년(예종 1년) 6월 29일에는 주부(注簿) 1명을 추가로 증원하였다.[5] 1637년(인조 15년) 3월 8일 풍저창은 장흥고에 병합되었다.[6]
3. 관직
아래 표는 풍저창 관직 변화를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3. 1. 1392년 ~ 1414년
1392년 7월 28일부터 1414년 1월 18일까지 풍저창에는 다음과 같은 관직이 있었다.
품계 | 관직명 | 인원 |
---|---|---|
종5품 | 사(使) | 1명 |
종6품 | 부사(副使) | 2명 |
종7품 | 승(丞) | 2명 |
종8품 | 주부(注簿) | 2명 |
정3품 당상관 | 부제조(副提調) | 1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