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은 1360년 프랑에서 처음 주조된 금화로, 이후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프랑은 1360년부터 1641년, 그리고 1795년부터 1999년까지 프랑의 통화로 사용되었으며, 1999년 유로 도입으로 법정 통화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프랑은 여러 아프리카 국가와 프랑스령 태평양 지역에서 CFA 프랑, CFP 프랑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벨기에, 룩셈부르크, 모나코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 - 콩고 프랑
    콩고 프랑은 벨기에 프랑과 동일한 가치로 벨기에령 콩고 등지에서 사용되다가 자이르화로 대체되었으나, 이후 재도입되어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통화로, 낮은 가치와 위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프랑 - 르완다 프랑
    르완다 프랑은 르완다의 통화이며, 1964년 독립적으로 발행되어 동전과 지폐가 사용되고, 동아프리카 실링 도입이 추진 중이다.
  • 통화 단위 - 디나르
    디나르는 고대 로마 데나리우스에서 비롯된 화폐 명칭으로, 중세 이슬람 제국에서 금화와 은화로 발행되어 이슬람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통용되고 일부 걸프 국가에서 공동 통화 도입을 검토 중이다.
  • 통화 단위 - 파운드 (통화)
    파운드는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는 통화 단위로, 특히 영국의 파운드 스털링이 대표적이며 이집트, 레바논, 시리아, 수단, 남수단 등도 독립적인 파운드 통화를 사용하고 영국령 지역의 파운드는 파운드 스털링과 고정되어 있지만, 각 국가별 파운드는 가치와 환율 정책이 다르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프랑

2. 역사

프랑은 원래 1360년에 주조된 3.87g의 금화였다. 이는 푸아티에 전투에서 잉글랜드에 포로로 잡혔던 장 2세의 석방을 기념하는 것이었다. 이 금화는 리브르 투르누아와 가치가 같았다.

1641년 루이 13세에 의해 프랑은 법정 통화에서 제외되었지만, '프랑'이라는 단어는 리브르 투르누아를 지칭하는 용어로 계속 사용되었다.

2. 1. 프랑스 프랑

프랑스 프랑은 1360년부터 1641년까지, 그리고 1795년부터 1999년까지 프랑스에서 법적으로 사용된 통화이다. 루이 13세 때 법적 지위가 폐지되었으나, '프랑'이라는 용어는 리브르 투르누아와 함께 계속 사용되기도 하였다. 프랑은 이전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모로코, 알제리, 서아프리카 등에서도 사용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독립 이후에도 이들 국가에서는 자국 통화명 앞에 '프랑'을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랑 프랑은 원래 1360년부터 1380년까지 프랑에서 발행된 금화였으며, 1575년에서 1641년 사이에 발행된 은화였다.[1][2] 1795년부터 1999년까지 국가 통화가 되었고[3] 2002년까지 법정 통화였다. 루이 13세에 의해 1641년에 금화 루이와 은화 에퀴를 선호하여 법정 화폐로 폐지되었지만, '프랑'이라는 용어는 리브르 투르누아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계속 사용되었다.

프랑스 프랑의 가치는 1998년 12월 31일자로 1유로:6.55957프랑으로 고정되었으며 2002년 2월 28일자로 법적 통화의 지위를 잃었다. 프랑스 정부는 2012년 2월 12일까지 은행에서 구 프랑 화폐를 유로화로 환전해주기로 했다.[6]

2. 1. 1. 프랑스 프랑의 기원

프랑스 프랑은 1360년부터 1641년까지, 그리고 1795년부터 1999년까지 프랑스에서 법적으로 사용된 통화이다. 루이 13세 때 법적 지위가 폐지되었으나, '프랑'이라는 용어는 리브르 금화와 함께 계속 사용되기도 하였다. 프랑은 이전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모로코, 알제리, 서아프리카 등에서도 사용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쳤다. 독립 이후에도 이들 국가에서는 자국 통화명 앞에 '프랑'을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초로 주조된 프랑화인 "프랑 아 슈발(franc à cheval)"은 1360년 12월 5일, 존 2세가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것을 기념하여 주조되었으며, 투쟁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다. 금, 24 캐럿, . 이는 당시 1 리브르 투르누아의 가치와 일치했다.


프랑은 원래 1360년에 주조된 3.87g의 프랑 금화였다. 이는 푸아티에 전투에서 잉글랜드에 4년간 포로로 잡혔던 존 2세의 석방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이 금화는 1 리브르 투르누아에 해당했다.[6]

1641년 루이 13세에 의해 법정 통화로서의 지위는 폐지되었지만, '프랑'이라는 단어는 리브르의 속칭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2. 1. 2. 유로화로의 전환

프랑스 프랑의 가치는 1998년 12월 31일에 1유로 = 6.55957 프랑으로 유로 도입에 고정되었으며, 유로 지폐와 동전이 도입된 후 2002년 2월 28일 이후 법정 통화로서의 지위를 잃었지만, 2012년 2월 19일까지 은행에서 교환할 수 있었다.[4]

2. 2.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 프랑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가 서유럽의 대다수를 지배하면서 프랑 통화가 널리 퍼졌다. 네덜란드에서 독립한 후, 1832년 벨기에는 벨기에 프랑을 도입했고, 1848년에는 룩셈부르크 프랑을 도입했다.[1]

1926년 벨기에와 프랑스는 통화 가치 절하와 신뢰도 하락을 겪었고, 국제 거래를 위한 새 금 통화인 '벨가'가 도입되었으며, 벨기에는 그해 말 라틴 통화 동맹에서 탈퇴했다. 1921년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간 통화 동맹은 유지되어 1932년 완전한 경제 동맹의 기초가 되었다.[1]

프랑스 프랑과 마찬가지로 벨기에/룩셈부르크 프랑은 1999년 1월 1일에 폐지되었으며, 1 EUR = 40.3399 BEF/LUF로 고정되었다. 구 프랑 동전과 지폐는 2002년 2월 28일에 법정 통화 지위를 잃었다.[1]

룩셈부르크 프랑 1개는 벨기에 프랑 1개와 동일했다. 벨기에 프랑은 룩셈부르크 내에서 법정 통화였고, 룩셈부르크 프랑은 벨기에 전체에서 법정 통화였다. (실제로, 룩셈부르크 프랑은 독립적인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인접한 벨기에 룩셈부르크 지방의 상점과 사업체에서만 지불 수단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역사적인 이유 때문이다.)[1]

2. 2. 1. 라틴 통화 동맹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가 서유럽 대부분을 지배하면서 프랑 통화가 널리 퍼졌다. 네덜란드에서 독립한 후, 벨기에는 1832년에 벨기에 프랑을 도입했고, 1848년에는 룩셈부르크 프랑, 1850년에는 스위스가 프랑 통화를 도입했다. 이탈리아 리라도 비슷한 화폐 제도였다.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라틴 통화 동맹을 결성했고, 1868년 그리스가 참여했다. 각국은 4.5g의 은 또는 0.290322g의 금에 해당하는 자국 통화(프랑, 리라, 드라크마 등)를 소유했고, 모두 1:1 비율로 교환 가능했다. 1870년대에는 금 가치가 고정 표준이 되어 1914년까지 지속되었다.[1]

1926년, 벨기에와 프랑스는 통화 가치 절하와 신뢰도 하락을 겪었고, 국제 거래를 위한 새 금 통화인 '벨가'가 도입되었으며, 벨기에는 그해 말 통화 동맹에서 탈퇴했다. 1921년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간 통화 동맹은 유지되어 1932년 완전한 경제 동맹의 기초가 되었다.[1]

2. 3. 스위스 프랑

스위스 프랑(ISO code: CHF or 756)은 현재에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통화 중 하나로 꼽히며 리히텐슈타인에서도 사용된다.[1]

스위스 연방("Swiss Confederation")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주화가 주조되었으며, 라틴어로 쓰인 동전도 발견된다.[1] 4개의 공식 언어가 통용되기 때문에 4개국어가 쓰인 동전을 찾아볼 수 있다.[1]

스위스 프랑(ISO 코드: CHF 또는 756)은 2000년 4월부터 9월까지 새로운 유럽 통화에 비해 상당한 가치가 상승했으며, 현재 1유로를 약간 웃도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통화 중 하나로 남아 있다.[1]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에서 사용된다.[1] 리히텐슈타인은 기념 또는 비상 목적으로 때때로 자체 통화인 리히텐슈타인 프랑을 주조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한다.[1]

스위스에는 4개의 공용어가 있으며 지폐에 모두 사용되기 때문에, "스위스 연방"은 일부 동전에 라틴어(''Confoederatio Helvetica'')로 표기되어 있다.[1] 액면가는 4개 언어 모두에서 약어로 "Fr."로 표기된다.[1]

2. 4. 자르 프랑

자르 프랑은 프랑스 프랑에 연동되어 1948년 자르 보호령에서 도입되었다. 1957년 1월 1일, 자르 지역은 서독에 합류했지만, 새로운 인 자르란트에서는 1959년 7월 6일까지 자르 프랑이 통화로 사용되었다.

보호령의 주요 공식 언어인 독일어로 자르 프랑의 이름은 ''프랑켄''이었다. 독일어 비문과 보호령의 문장이 새겨진 동전이 프랑스 프랑과 함께 유통되고 사용되었다. 지폐는 프랑스 프랑 지폐만 존재했다.

3. 아프리카의 프랑

아프리카에서는 여러 국가가 프랑 또는 이와 관련된 통화를 사용하거나 사용했었다.



CFA 프랑1945년부터 1948년까지는 1.7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고, 이후 2 프랑스 프랑(1960년부터 0.02 신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다. 1994년 1월부터는 0.01 프랑스 프랑과 등가가 되었다. 1999년 1월부터 1CFA 프랑은 0.00152449 유로와 등가가 되었다.

이외에도 CFP 프랑이 프랑스 태평양 영토에서 사용되고 있다. 1CFP 프랑은 0.0084 유로(과거에는 0.055 프랑스 프랑)와 등가이다.

3. 1. CFA 프랑

아프리카 14개국에서 CFA 프랑을 사용하고 있다. 기니와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국가들이 해당된다. 1945년 CFA 프랑은 1.7 프랑스 프랑의 가치를 지녔으나, 1948년에는 2 프랑스 프랑으로 가치가 올랐다. 1994년 1월부터는 0.01 프랑스 프랑으로 가치가 떨어졌고, 1999년 1월부터는 1 CFA 프랑이 0.00152449EUR로 고정되었다.[5]

CFP 프랑은 프랑스의 태평양 영토에서 사용되며, 1 CFP 프랑은 0.0084EUR이다.(과거에는 0.055 프랑스 프랑)[5]

3. 1. 1. 서아프리카 CFA 프랑

아프리카 14개국에서 CFA 프랑이 사용되고 있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 금융 공동체''(Communauté financière africaine)라고 부른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는 1.7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고, 이후 2 프랑스 프랑(1960년부터 0.02 신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다.[5] 1994년 1월부터는 0.01 프랑스 프랑과 등가가 되었다.[5] 1999년 1월부터 1 CFA 프랑은 0.00152449EUR와 등가가 되었다.[5]

3. 1. 2. 중앙아프리카 CFA 프랑

아프리카 14개국에서 사용되는 CFA 프랑 중 중앙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이 사용하는 CFA 프랑1945년부터 1948년까지는 1.7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고, 이후 2 프랑스 프랑(1960년부터 0.02 신 프랑스 프랑)과 등가였다.[5] 1994년 1월부터는 0.01 프랑스 프랑과 등가가 되었다.[5] 1999년 1월부터 1 중앙아프리카 CFA 프랑은 0.00152449EUR와 등가가 되었다.[5]

3. 2. 코모로 프랑

1981년, 코모로는 프랑스 정부와 CFA 프랑과 유사한 협약을 맺었다. 처음에는 코모로 프랑 50개가 프랑스 프랑 1개의 가치를 가졌다. 1994년 1월, 환율은 코모로 프랑 75개당 프랑스 프랑 1개로 변경되었다. 1999년부터 이 통화는 유로에 고정되었다.

3. 3. 기타 아프리카 국가의 프랑


4. 프랑스령 태평양 지역의 프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누벨칼레도니, 왈리스 푸투나에서 사용되는 통화는 CFP 프랑이다.

4. 1. CFP 프랑

CFP 프랑은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누벨칼레도니, 왈리스 푸투나에서 사용되는 통화이다.

5. 과거에 사용된 프랑


  • 프랑스 프랑: EU 회원국인 프랑스에서 유로화 도입 이전인 2002년(법률상 1999년)까지 사용하던 통화이다.
  • 벨기에 프랑: 벨기에에서 유로화 도입 이전까지 사용하던 통화이다.
  • 룩셈부르크 프랑: 룩셈부르크에서 유로화 도입 이전까지 사용하던 통화이다.
  • 모나코 프랑: 모나코에서 유로화 도입 이전인 2002년(법률상 1999년)까지 사용하던 통화이다.
  • 안도라 프랑: 안도라에서 유로화 도입 이전까지 사용하던 통화이다.
  •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프랑: 지부티 프랑으로 전환되었다.
  • 마다가스카르 프랑: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로 전환되었다.
  • 말리 프랑: 서아프리카 CFA 프랑으로 복귀하였다.

참조

[1] 서적 Les Mones Royales Françaises 1926
[2] 서적 Les Monnaies Royales Françaises 1926
[3] 서적 A History of France John Murray Publishers 2018
[4] 웹사이트 The Value of the French Franc https://www.federalr[...] 1954-04-20
[5] 웹사이트 West Africa renames CFA franc but keeps it pegged to euro https://web.archive.[...] Reuters 2019-12-22
[6]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