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니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12세기 가나 제국 멸망 이후 수수족이 세운 수수 제국과 18세기 풀라니족의 푸타잘론 왕국, 19세기 사모리 투레의 와수루 제국 등이 존재했다. 16세기부터 유럽과의 노예 무역이 시작되었고, 1890년 프랑스령 기니가 건설되어 식민 지배를 받았다. 1958년 프랑스 공동체를 탈퇴하고 독립을 선언했으며, 아메드 세쿠 투레의 일당 공산 독재 체제가 시작되었다. 1984년 란사나 콩테의 쿠데타 이후 복수 정당제가 도입되었지만, 2008년 무사 다디스 카마라의 쿠데타로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다. 2010년 알파 콘데가 민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기니는 보크사이트 매장량이 풍부하며, 농업과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 - 라디오 텔레비전 기니
    라디오 텔레비전 기니는 기니의 국영 방송사로, 쿠데타 발생 시 군부의 발표 매체로 활용되거나 항공기 충돌 사고를 겪기도 했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기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니 위치
기니의 위치 (짙은 녹색)
기본 정보
공식 국명기니 공화국
현지 국명

기니 국기
국기
기니 국장
국장
표어 설명노동, 정의, 연대
국가 설명자유
수도
수도코나크리
수도 위치9°31′N 13°42′W
최대 도시코나크리
언어
공용어프랑스어
기타 사용 언어아랍어
영어
풀라어
만딩카어
(은코어)
수수어
키시어
코로어
크펠레어
테네어
토마어
바디아라어
바가어
밤바라어
바사리어
단어
줄라어
란도마어
림바어
마닝카어
마노어
풀라르어
수아어
와메이어
얄룬카어
지알로어
인종
인종 구성33.4% 풀라족
29.4% 만딩카족
21.2% 수수족
7.8% 크펠레족
6.2% 키시족
2.0% 기타
인종 구성 년도2014
종교
종교이슬람교 89.1%
기독교 6.8%
민간신앙 1.6%
기타 2.5%
정치
정부 형태단일 대통령 중심 공화국, 군사 독재 하
임시 대통령 및 국가화해발전위원회 의장마마디 둠부야
총리바 우뤼
국회의장현재 공석
대법원현재 공석
입법부국가 과도 위원회
독립
독립프랑스로부터
독립일1958년 10월 2일
공화국 수립1958년 10월 2일
4번째 헌법 제정1958년 10월 2일
제2공화국 선포일1984년 4월 3일
2021년 기니 쿠데타2021년 9월 5일
면적
면적245,857 제곱킬로미터
면적 순위77위
수역 비율미미함
인구
추정 인구13,986,179 명
추정 인구 년도2024년
인구 순위75위
인구 밀도40.9 명/제곱킬로미터
인구 밀도 순위164위
경제
GDP (PPP)$487.5억
GDP (PPP) 순위142위
GDP (PPP) 년도2023년
1인당 GDP (PPP)$3,241
1인당 GDP (PPP) 순위166위
명목 GDP$232.05억
명목 GDP 순위140위
명목 GDP 년도2023년
1인당 명목 GDP$1,542
1인당 명목 GDP 순위161위
지니 계수33.7
지니 계수 년도2012년
인간 개발 지수0.472
인간 개발 지수 년도2022년
인간 개발 지수 순위181위
기타
통화기니 프랑
통화 코드GNF
시간대GMT ± 00:00
시간대UTC+0
날짜 형식일/월/년
운전 방향우측 통행
국제 전화 코드+224
ISO 3166-1GN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gn

2. 역사

12세기에 가나 제국이 멸망하자, 은 반이슬람 을 건설하여 베르베르인에 의한 이슬람 국가인 알모라비드 왕조에 대항했다.

대항해 시대 16세기 초, 유럽인들이 해안에 도착하여 노예 무역을 시작했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풀라니족의 성전의 물결이 이 지역에 밀려왔고, 1725년에는 푸타잘론의 :en:Timbo를 수도로 하는 푸타잘론 왕국이 건설되었다. 상기니에서는 1878년, 사모리 투레가 :en:Bissandugu를 수도로 하는 의 을 건설했다. 한편, 해안 지방에서는 19세기에 들어서면서 프랑스가 세력을 확장하여 1890년에 코나크리를 수도로 하는 식민지 (Guinée française프랑스어)가 건설되었고, 가 초대 총독에 취임했다. 프랑스는 내륙의 여러 왕국으로 침략하여 1896년에는 푸타잘론을 복속시켰고, 1898년에는 와수루 제국을 멸망시켜 기니 전역에 지배권을 확립했다.

내륙 개발을 위해 1913년에는 코나크리에서 캉캉까지의 철도가 건설되었다.[160] 1946년에는 다른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제한적인 선거권을 획득했다. 이후 선거에서는 아프리카 민주 연합에 속한 기니 민주당(PDG)이 계속 승리했고, 1952년에는 세쿠 투레가 동당의 서기장에 취임했다.[16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프랑스는 프랑스 식민지를 프랑스 공동체에 가입시켜 자율성과 즉시 독립 또는 선택권을 주었다. 그러자 기니에선 1958년 프랑스 공동체를 탈퇴하였고, 1958년 10월 2일 대통령으로 기니민주당(PDG)의 아메드 세쿠 투레가 되었고 아메드 세쿠 투레는 국민 투표를 실시해 공화국을 선포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1968년 1월 아메드 세쿠 투레가 재선하기부터 기니는 일당 공산독재가 시작했다. 아메드 세쿠 투레는 1974년1982년 총선거에서 승리, 독재의 길을 걸었다. 그리고 독재를 위해 당 및 정부안에 자신의 위치가 자리 잡기위해서 아메드 세쿠 투레는 점차적으로 자신의 출신 부족인 말린케족에 의지했다. 그래서 기니는 아메드 세쿠 투레의 망상으로 외국 국가에게서 고립되어 경제를 파탄에 이르게 만들었다.

아메드 세쿠 투레는 1984년 3월 26일 미국에서 사망했고, 기니 군에서는 1984년 4월 3일, 란사나 콩테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그는 기니민주당과 의회를 해산하고, 25명으로 구성된 국가재건군사위원회(CMRN)를 구성, 란사나 콩테는 대통령이 되었다. 란사나 콩테은 즉시 이전 정권 기록을 비난하고, 정치범을 석방하고 사회주의 체제에서 벗어나려 했다. 하지만 이 조치는 민심을 얻기 위한 것이었고, 나라의 빈곤은 나아지지 않고 민주주의로의 이동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란사나 콩테는 1990년 12월 23일 신헌법을 국민 투표로 통과시키고, 1992년에는 복수정당제를 도입하고,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 및 1995년 6월 총선을 실시, 정권을 민정에 반환했다. 그러던 중 1996년, 쿠데타로 대통령궁이 폭격되었고, 이어서 1998년 6월 기네비소 정변에는 군병력 파견을 하는 등 국내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갔다. 란사나 콩테는 1998년 12월 대통령 재선을 했다. 2003년 12월, 그는 3선에 성공했다. 2007년 2월에는 란사나 콩테 정부에 반대하는 총파업이 일어났으나 계엄군이 무차별 발포를 가해 최소 120명 이상이 숨졌다. 란사나 콩테가 2008년 12월 22일에 사망한 직후 육군 대위 무사 다디스 카마라가 쿠데타를 일으켜 새로운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다.

대통령 아메드 세쿠 투레는 공산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1961년 유고슬라비아를 방문했다.


2. 1. 식민지 이전

현재 기니에 해당하는 지역은 여러 서아프리카 제국의 변방에 위치해 있었다. 가나 제국은 무역을 기반으로 성장했지만, 알모라비드 왕조의 반복적인 침입 이후 멸망했다. 이 시기에 북아프리카 상인들을 통해 이슬람교가 이 지역에 처음으로 전파되었다. 소소 제국은 12세기에서 13세기까지 존속했으며, 이후 순디아타 케이타가 1235년경 키리나 전투에서 소소 제국의 지배자 수망구루 칸테를 물리치면서 말리 제국이 등장했다. 말리 제국은 만사(황제)들이 통치했는데, 그중 칸쿠 무사는 1324년 메카로 하지를 다녀왔다. 그의 통치 이후 말리 제국은 쇠퇴하기 시작하여 결국 15세기에 속국들에 의해 대체되었다.

송하이 제국은 약 1460년에 세력을 확장했다. 1582년 아스키아 다우드의 사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전이 발생할 때까지 번영을 누렸다. 이 제국은 1591년 모로코의 침입으로 멸망했지만, 이후 여러 작은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일부 서아프리카 제국이 멸망한 후, 현재 기니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여러 왕국이 존재했다. 풀라니족 무슬림들은 기니 중부의 푸타잘롱으로 이주하여 1727년부터 1896년까지 서면 헌법과 교대 통치자를 가진 이슬람 국가인 푸타잘롱 이마마트를 건설했다. 말린케 지역에서 사모리 투레가 이끌었던 와술루 또는 와술루 제국(1878~1898)은 프랑스에 정복되기 전 코트디부아르로 이동했다.

2. 2. 프랑스 식민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식민지에 자율성 또는 즉각적인 독립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1958년 기니는 프랑스 공동체를 탈퇴하고, 같은 해 10월 2일 기니 민주당-아프리카 민주 집회(PDG)의 아메드 세쿠 투레를 대통령으로 하는 독립 공화국을 선포했다. 1958년 국민투표에서 기니는 독립을 선택했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군사적 진출로 기니의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었다.[29] 1898년 와수룰루 왕국의 사모리 투레 군대가 패배하면서 프랑스는 기니와 인접 지역을 장악했다.[30] 프랑스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영국( 시에라리온), 포르투갈(기니비사우) , 라이베리아와 기니의 현재 국경을 협상했다. 프랑스 통치하에 기니는 프랑스 서아프리카 내의 기니 영토를 형성했으며, 다카르에 총독이, 기니에는 부총독이 관리했다.

1968년 1월 아메드 세쿠 투레가 재선하면서 기니는 일당 공산독재 체제가 시작되었다. 아메드 세쿠 투레는 1974년1982년 총선거에서 승리하며 자신의 출신 부족인 말린케족에 의지하여 독재를 강화했다. 이로 인해 기니는 외국으로부터 고립되어 경제가 파탄났다. 자크 포카르가 계획한 오페라시옹 페르실은 대량의 위조 기니 프랑을 만들어 기니 경제를 초인플레이션시키고 투레의 반대 인물들에게 무기를 제공하는 작전이었으나 발각되었다.[31][32]

1984년 3월 26일 아메드 세쿠 투레가 사망한 후, 란사나 콩테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그는 기니민주당과 의회를 해산하고 국가재건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콩테는 이전 정권을 비난하고 정치범을 석방하며 사회주의 체제에서 벗어나려 했으나, 이는 민심을 얻기 위한 조치였고, 빈곤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민주주의로의 이동은 없었다. 1990년 12월 23일 신헌법을 국민 투표로 통과시키고, 1992년 복수정당제를 도입,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 및 1995년 6월 총선을 실시하여 정권을 민정에 반환했다. 1996년 쿠데타, 1998년 6월 기네비소 정변 군병력 파견 등으로 국내 상황이 불안했으며, 콩테는 1998년 12월 재선, 2003년 12월 3선에 성공했다. 2007년 2월 콩테 정부에 반대하는 총파업으로 최소 120명 이상이 사망했다. 2008년 12월 22일 콩테 사망 직후 무사 다디스 카마라가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다.

2. 3. 독립과 세쿠 투레 정권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프랑스는 프랑스 식민지를 프랑스 공동체에 가입시켜 자율성과 즉시 독립 또는 선택권을 주었다. 1958년 프랑스 공동체를 탈퇴한 기니는, 같은 해 10월 2일 국민 투표를 실시해 공화국을 선포하고 독립을 선언했으며, 기니민주당(PDG)의 아메드 세쿠 투레가 대통령이 되었다.[162] 그러나 프랑스는 이에 따라 프랑스인 공무원과 기술자 전원 및 시설을 즉각 철수시켰고,[163] 양국 관계는 악화되어 1965년에는 국교가 단절되었다.[164]

1960년 투레는 기니 민주당(Parti Démocratique de Guinée, PDG)을 기니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선포했고, 이후 24년 동안 정부와 PDG는 하나가 되었다. 투레는 대통령으로 7년 임기의 선거에서 4번 연속 무투표 당선되었고, 5년마다 국민의회 의원 후보 명단에는 PDG 후보만 제시되었다. 1968년 1월 아메드 세쿠 투레가 재선하면서부터 기니는 일당 공산독재가 시작되었다. 그는 1974년1982년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독재의 길을 걸었다. 그는 자신의 출신 부족인 말린케족에 의지하여 당 및 정부 내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투레는 사회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정적과 인권 운동가들을 탄압하였다. 또한 1958년에는 선진국으로부터의 자립을 지향하는 가나와 함께 아프리카 국가 연합(African States Union)을 결성하였다. 1970년 11월 22일, 이웃나라 포르투갈 기니의 포르투갈군은 코나크리에 수백 명의 기니 망명 반대 세력을 이끌고 녹색 바다 작전(Operation Green Sea)을 감행했다.[33] 포르투갈 군부의 목표 중 하나는 포르투갈 기니 내부에서 기니에 있는 기지를 이용해 공격을 감행한 독립 운동이자 반군 조직인 PAIGC를 지원한 세쿠 투레를 사살하거나 체포하는 것이었다.[33] 교전 끝에 포르투갈군의 지원을 받은 세력은 후퇴했다. 이 사건 이후 투레 정권의 독재는 더욱 강화되었고, 아프리카 통일 기구 초대 사무총장이었던 디아우 테리(Diallo Telli) 등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었다.[164] 기니는 1972년에서 1973년까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 Security Council)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1977년, 경제 악화와 모든 민간 경제 거래 금지로 코나크리의 마디나 시장(Marché Madina)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시작한 일련의 반정부 폭동인 기니 여성 시장 폭동이 발생했다. 투레는 소련 지지에서 미국 지지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는 일부 경제 개혁이 이루어졌다.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프랑스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무역이 증가하고 두 국가는 외교 방문을 교환했다. 이러한 폭정과 경제 혼란을 피해 당시 기니 인구 500만 명 중 200만 명이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등 인근 국가로 난민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66]

아메드 세쿠 투레1984년 3월 26일 미국에서 사망했고, 기니 군에서는 1984년 4월 3일, 란사나 콩테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그는 기니민주당과 의회를 해산하고, 25명으로 구성된 국가재건군사위원회(CMRN)를 구성, 란사나 콩테는 대통령이 되었다. 란사나 콩테는 즉시 이전 정권 기록을 비난하고, 정치범을 석방하고 사회주의 체제에서 벗어나려 했다. 하지만 이 조치는 민심을 얻기 위한 것이었고, 나라의 빈곤은 나아지지 않고 민주주의로의 이동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2. 4. 란사나 콩테 정권

1984년 3월 26일 아메드 세쿠 투레가 미국에서 사망한 후, 1984년 4월 3일 란사나 콩테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167] 콩테는 이전 정권의 인권 기록을 비난하고 정치범을 석방하는 한편, 사회주의 체제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는 기니민주당과 의회를 해산하고 25명으로 구성된 국가재건군사위원회(CMRN)를 구성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민심을 얻기 위한 것이었고, 나라의 빈곤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민주주의로의 진전도 보이지 않았다.

1990년 12월 23일 신헌법이 국민 투표로 통과되고, 1992년에는 복수정당제가 도입되었다.[168]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 및 1995년 6월 총선을 실시하여 정권을 민정에 반환했다. 콩테는 1998년 12월 대통령 재선에 성공하였고, 2003년 12월에는 3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2001년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 임기를 5년에서 7년으로 연장하는 등 콩테의 독재적인 정치 행태는 많은 논란을 야기했다.

2000년 기니는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에서 국경을 넘어온 반군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콩테는 이웃 지도자들이 기니의 천연자원을 탐내고 있다고 비난했으나, 이러한 주장은 부인되었다.[37] 2003년 기니는 반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웃 국가들과 계획에 합의했다.

2007년 1월, 콩테 정권의 정치 부패, 물가 상승, 재정 악화에 항의하여 대통령 사임과 수상직 신설을 요구하는 총파업이 발생했다.[169] 수도에서 발생한 시위에서는 시민과 치안 부대,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수십 명의 사망자와 2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2월에는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계엄령을 선포하였다.[169] 주변국과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 중재단의 노력으로 2월 23일 계엄령이 해제되었고, 노조는 2월 27일부터 총파업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170] 2007년 기니 총파업 결과, 새로운 총리가 임명되었다.[38]

2. 5. 무사 다디스 카마라 군사 정권



2008년 12월 22일 란사나 콩테 대통령이 사망한 후, 아부바카르 솜파레 국민의회 의장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다음 날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켰다.[171] 육군 연료 보급 부대장 무사 다디스 카마라 대위는 헌법 정지, 정부 기관 해산, 군인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민주주의 발전 국가 평의회'(National Council for Democracy and Development) 설치를 선언하며 코나크리를 장악했다.[171]

1990년 12월 23일 신헌법을 국민 투표로 통과시키고, 1992년에는 복수정당제를 도입하고,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 및 1995년 6월 총선을 실시, 정권을 민정에 반환했다. 그러던 중 1996년, 쿠데타로 대통령궁이 폭격되었고, 이어서 1998년 6월 기네비소 정변에는 군병력 파견을 하는 등 국내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갔다. 란사나 콩테는 1998년 12월 대통령 재선을 했다. 2003년 12월, 그는 3선에 성공했다. 2007년 2월에는 란사나 콩테 정부에 반대하는 총파업이 일어났으나 계엄군이 무차별 발포를 가해 최소 120명 이상이 숨졌다.

2008년 12월 22일 콩테가 사망하자, 무사 다디스 카마라가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 정부의 수장이라고 선언했다.[39][40] 12월 24일, 카마라 대위는 "향후 2년 동안 육군이 임시로 권력을 유지하고, 2010년 12월에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실시한다. 권력을 계속 잡을 의도는 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172] 카마라 대위는 임시 정부 대통령으로 지명되었고, 코나크리 시내를 행진하며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172] '민주주의 발전 국가 평의회'는 야간 외출 금지령을 내렸고, 수아레 수상은 신변 안전을 위해 소재를 밝히지 않아 혼란이 빚어졌다.[172]

12월 25일, 카마라 대위의 요청에 따라 수아레 수상과 각료 약 30명은 육군 기지에 투항하여 카마라 대위에게 항복 의사를 전달하고 신정부를 정통 정부로 인정했다.[173] 카마라 대위는 수아레 수상에게 무혈 쿠데타 성공을 위한 협력과 신정부 지원을 촉구했다.[173] 카마라는 2009년 중에 선거를 실시한다고 발표하고 자신도 출마를 선언했다.

2009년 9월 28일, 9월 28일 스타디움에서 대규모 항의 집회가 발생했으나 군이 발포하여 87명 이상이 사망했다(en:2009 Guinea protest).[174] 쿠데타에 대한 항의가 격렬해졌고, 2009년 9월 28일, 군사 정부가 카마라의 대통령 취임 시도에 항의하는 군중을 공격하라고 명령했을 때 157명이 사망했다.[41] 군인들은 강간, 훼손, 살인의 폭주를 저질렀고, 이로 인해 일부 외국 정부는 새로운 정권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다.[42]

2009년 12월 3일, 측근인 중위의 암살 미수 사건으로 카마라 임시 대통령은 머리에 총을 맞고 중상을 입었다.[175] 같은 날 임시 대통령에 취임한 세쿠바 코나테(Sékouba Konaté) 국방 장관이 대통령 선거 실시를 이어받아 2010년 6월 27일에 투표가 실시되었다. 2009년 12월 3일, 한 보좌관이 9월의 폭주에 대한 분쟁 중 카마라를 총으로 쐈다. 카마라는 치료를 위해 모로코로 갔다.[2][43] 부통령 겸 국방장관인 세쿠바 코나테가 레바논에서 기니로 날아와 국가를 운영했다.[44]

2. 6. 알파 콘데 민선 정부와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식민지들에게 자율성 부여 또는 즉각적인 독립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고, 기니는 1958년 프랑스 공동체를 탈퇴하여 독립을 선택했다. 1958년 10월 2일, 아메드 세쿠 투레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공화국을 선포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1968년 1월 아메드 세쿠 투레가 재선되면서 기니는 일당 공산독재 체제가 시작되었다. 아메드 세쿠 투레는 1974년1982년 총선에서 승리하며 독재를 강화했고, 자신의 출신 부족인 말린케족을 중심으로 권력을 집중시켜 국가를 고립시키고 경제를 파탄으로 이끌었다.

1984년 3월 26일 아메드 세쿠 투레가 사망한 후, 1984년 4월 3일 란사나 콩테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콩테는 기니민주당과 의회를 해산하고 국가재건군사위원회(CMRN)를 구성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이전 정권의 기록을 비난하고 정치범을 석방하며 사회주의 체제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했으나, 이는 민심을 얻기 위한 조치였을 뿐, 빈곤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민주주의로의 진전도 없었다. 콩테는 1990년 12월 23일 신헌법을 국민 투표로 통과시키고, 1992년 복수정당제를 도입했으며, 1993년 12월 대통령 선거와 1995년 6월 총선을 실시하여 정권을 민정에 반환했다. 1998년 12월 대통령 재선에 성공했고, 2003년 12월에는 3선에 성공했다. 2007년 2월에는 콩테 정부에 반대하는 총파업이 발생하여 최소 120명 이상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란사나 콩테가 2008년 12월 22일 사망한 직후, 무사 다디스 카마라가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 정부의 수장이라고 선언했다.[40] 2009년 9월 28일, 군사 정부가 카마라의 대통령 취임 시도에 항의하는 군중을 공격하여 157명이 사망했고,[41] 군인들의 폭력 사태로 인해 일부 외국 정부는 새로운 정권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다.[42]

2009년 12월 3일, 카마라가 총격을 당해 모로코로 이송되었고,[2][43] 부통령 겸 국방장관인 세쿠바 코나테가 국가를 운영했다.[44] 2010년 1월 와가두구 회의를 통해 6개월 이내에 민정 복귀를 약속하는 공식 성명이 발표되었다.[45] 2010년 11월 7일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 결과, 야당 지도자 알파 콘데가 52.5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76] 콘데는 2010년 12월 21일 대통령에 취임했다.[176]

2011년 7월 19일, 콘데 대통령의 사저가 군인 집단에 의해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14년 2월, 남부 지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생하여,[177][178] 2014년 8월 13일 콘데 대통령은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81] 2015년 12월 29일, 세계보건기구(WHO)는 기니에서의 에볼라 유행 종식을 선언했다.[182]

2015년 대통령 선거에서 콘데 대통령이 재선되었으나, 부정 선거 논란이 있었다.[183][184]

2019년 10월 14일,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여 800명 이상이 사망했다.[60] 2020년 기니 대통령 선거에서 알파 콘데의 3선 당선은 야당의 부정선거 주장으로 논란이 되었다.[61]

2021년 9월 5일, 쿠데타가 발생하여 마마디 둠부야 중령이 콘데 대통령 정부 해산 및 국경 폐쇄를 선언했다.[62] 국제연합, 유럽연합, 아프리카연합,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등은 쿠데타를 규탄하고 콘데 대통령의 석방을 요구했다. 2021년 10월 1일, 마마디 둠부야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68]

맘디 두м부야 잠정 정부는 민정 이양 로드맵을 제시하라는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의 요구에 초기에는 39개월의 기간을 발표했으나,[187] ECOWAS는 이에 반발하여 제재를 가했고, 이후 협상을 통해 이양 기간은 2023년 연초를 기점으로 24개월로 합의되었다.[188]

2023년 5월 11일, 반정부 시위에서 최소 7명이 사망했다.[69]

2023년 12월 18일, 코나크리의 주요 유류 저장소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24명이 사망하고 전국적인 연료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3. 지리

북서쪽으로는 기니비사우세네갈, 북동쪽으로는 말리, 남동쪽으로는 코트디부아르라이베리아, 그리고 서남쪽으로는 시에라리온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70][71][72] 나이저강, 세네갈강, 감비아강의 발원지이다. 전체 면적은 245,857 제곱킬로미터인데 영국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며 미국의 미시간 주보다 약간 작다. 320 킬로미터에 달하는 해안선이 있다.

기니의 도시와 행정 구역을 보여주는 지도


기니의 쾨펜 기후 구분


가장 높은 곳은 님바 산으로 해발 1,752 m이다. 코트디부아르와 접경을 하는 지역은 UNESCO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님바 산맥의 기니와 코트디부아르 측은 유네스코 엄격 자연 보호 구역이지만, 소위 기니 중추부는 라이베리아까지 이어져 수십 년 동안 광산 채굴이 이루어져 왔다.

기니는 지리적으로 해안 기니(Maritime Guinea), 중부 기니(Middle Guinea), 상부 기니(Upper Guinea), 삼림 기니(Guinée forestière)의 4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해안 기니는 수도 코나크리(Conakry)를 비롯하여 킨디아주(Kindia) 전역과 보케주(Boké)의 해안 지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해안부는 맹그로브 숲으로 덮여 있으며, 해안선에서 멀어질수록 숲과 사바나가 번갈아 나타나는 평야가 펼쳐진다. 해안 기니의 연평균 강수량은 3,000mm를 초과하며, 매우 고온다습하다. 코나크리 앞바다에는 로스 제도(Îles de Los)가 있다. 해안 평야에서 내륙으로 들어갈수록 강수량은 줄어들고, 고도는 높지 않지만 분수령을 이루는 후타잘론(Fouta Djallon) 고원이 펼쳐진다. 후타잘론 고원은 거의 중부 기니 지역과 일치하며, 보케주 내륙부, 라베주(Labé), 마무주(Mamou)를 포함한다. 이 고원은 강수량이 2,000mm에서 1,500mm 정도로 다소 적어 숲은 형성되지 않고 초원이 펼쳐진다. 또한 이 고원은 니제르 강(Niger River), 세네갈 강(Senegal River), 감비아 강(Gambia River) 등 많은 강의 발원지이다.[190] 후타잘론을 넘어서면 상부 기니라고 불리는 지역이 된다. 파라나주(Faranah)의 대부분과 캉캉주(Kankan) 전역을 포함하는 이 지역은 기니에서 강수량이 가장 적은 지역이지만, 그래도 대략 1,000mm 이상의 강수량이 있으며, 사바나가 펼쳐진다. 남쪽 끝의 넨젤레콜레주(Nzérékoré) 부근은 삼림 기니라고 불리며, 라이베리아(Liberia)와 시에라리온(Sierra Leone) 부근의 기후 영향을 받아 다시 고온다습해지며, 라이베리아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와의 국경에 있는 최고봉인 님바 산(Mont Nimba) 부근에는 열대 우림이 펼쳐진다.

기후 구분은 해안 기니와 삼림 기니 서부가 열대 계절풍 기후(Am), 중부 기니와 상부 기니, 삼림 기니 동부가 사바나 기후(Aw)이다.

3. 1. 기후

기니는 북서쪽으로 기니비사우세네갈, 북동쪽으로 말리, 남동쪽으로는 코트디부아르라이베리아, 그리고 서남쪽으로는 시에라리온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나이저강, 세네갈강, 감비아강의 발원지이다. 전체 면적은 245,857 제곱킬로미터인데 영국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며 미국의 미시간 주보다 약간 작다. 320 킬로미터에 달하는 해안선이 있다.

가장 높은 곳은 님바 산으로 해발 1,752 m이다. 코트디부아르와 접경을 하는 지역은 UNESCO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3. 2. 생태

기니는 북서쪽으로 기니비사우세네갈, 북동쪽으로 말리, 남동쪽으로는 코트디부아르라이베리아, 그리고 서남쪽으로는 시에라리온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나이저강, 세네갈강, 감비아강의 발원지이다. 전체 면적은 245,857 제곱킬로미터인데 영국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며 미국의 미시간 주보다 약간 작다. 320 킬로미터에 달하는 해안선이 있다.

가장 높은 곳은 님바 산으로 해발 1,752 m이다. 코트디부아르와 접경을 하는 지역은 UNESCO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바디아르 국립공원(Badiar National Park)


기니 남부는 서아프리카 기니아 숲(Guinean Forests of West Africa) 생물다양성 핫스팟(Biodiversity hotspot)에 속하며, 북동부는 건조한 사바나 삼림 지대로 특징지어진다. 일부 동물 개체군은 감소하고 있으며, 사람이 살지 않는 공원과 보호 구역의 외딴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한다.

기니에서 발견되는 종은 다음과 같다.

  • 양서류: ''Hemisus guineensis'', ''Phrynobatrachus guineensis''
  • 파충류: ''Acanthodactylus guineensis'', ''Mochlus guineensis''
  • 거미류: ''Malloneta guineensis'', ''Dictyna guineensis''
  • 곤충류: ''Zorotypus guineensis'', ''Euchromia guineensis''
  • 조류: ''Melaniparus guineensis''

4. 행정 구역

기니는 8개 주(Regio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방은 다시 33개 현으로 나뉜다. 수도 코나크리는 특별시로 분류된다.

기니 공화국은 서아프리카에 위치하며, 면적은 245,857km2이다. 적도 북쪽 약 북위 10도에 위치하며, 4개의 자연 지역으로 나뉜다.


  • 기니 해안 지방 (''La Guinée Maritime'')는 기니 전체 면적의 18%를 차지한다.
  • 기니 중부 지방 (''La Moyenne-Guinée'')는 기니 전체 면적의 20%를 차지한다.
  • 기니 상부 지방 (''La Haute-Guinée'')는 기니 전체 면적의 38%를 차지한다.
  • 삼림 지대 기니 (''Guinée forestière'')는 기니 전체 면적의 23%를 차지하며, 산림과 산악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기니는 8개의 행정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은 33개의 주로 세분된다. 수도인 코나크리는 인구 1,675,069명으로 특별구역으로 분류된다.

지역주도인구
(2014년 국립통계청 인구조사)
코나크리주코나크리1,675,069
은제레코레주은제레코레1,591,716
킨디아주킨디아1,573,690
보케주보케1,092,291
라베주라베1,001,392
마무주마무737,062
캉칸주캉캉1,979,038
파라나주파라나949,589


5. 정치

기니는 대통령 공화국 체제로 대통령과 주요 관료, 공무원이 나라를 이끌어간다.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서로 분리되어 견제하는 삼권 분립 체제이다.

기니는 공화국이다. 대통령은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며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다. 단원제인 국민의회는 국가의 입법부이며, 의원들은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된다. 사법부는 기니 최고법원(Cour suprême (Guinée))이 이끌고 있으며, 이는 국가 최고의 최종 항소 법원이다.[75]

국가의 입법부인 기니 국민의회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회의를 열지 않았으며, 12월 군사 쿠데타 이후 해산되었다. 2007년 이후 여러 차례 선거가 연기되었다. 2012년 4월, 콘데 대통령은 선거가 "투명하고 민주적"이 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들어 선거를 무기한 연기했다.[76] 2013년 기니 의회 선거는 9월 24일에 실시되었다.[77] 알파 콘데(Alpha Condé) 대통령의 정당인 기니 인민 집회(RPG)는 114석 중 53석을 차지하며 득표 다수를 얻었다.[78] 셀루 달랭 디알로(Cellou Dalein Diallo)의 UFDG 당은 37석을 얻었고, 야당 지도자들은 공식 결과를 부정선거로 규탄했다.[79]

기니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5년 임기의 국민 투표로 선출되며, 당선자는 대통령으로 선출되기 위해 투표수의 과반수를 얻어야 한다. 대통령은 그가 임명한 25명의 민간 장관으로 구성된 추밀원의 도움을 받아 기니를 통치한다. 정부는 8개 지역, 33개 , 100개 이상의 , 그리고 코나크리 및 기타 도시와 마을에서는 코뮌(commune)으로, 내륙에서는 ''quartiers''로 알려진 구를 통해 국가를 관리한다. 구 단위 지도자는 선출되며, 대통령은 중앙 집중식 행정의 다른 모든 단계의 공무원을 임명한다. 전 대통령인 알파 콘데(Alpha Condé)는 기니의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인 말린케족의 지지를 받았다.[80] 기니의 야당은 인구의 약 33.4%를 차지하는 풀라족의 지지를 받았다.[81] [82]

기니는 입헌공화제 국가이다. 최신 현행 헌법은 2020년 3월 22일 국민투표로 승인되어 4월 7일 공포되었으나, 2021년 9월 5일에 발생한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군사 정권에 의해 헌법은 정지되었다.[189]

국가원수이기도 한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중임 제한은 없다. 총리와 내각에 해당하는 각료평의회(''Conseil de Ministres'')의 구성원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각료 인사안은 총리가 추천한다.

의회는 단원제의 국민의회(''Assemblée Nationale'')이다. 의석 수는 114석이다. 의원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국민의회는 2007년에 임기를 마친 후 2008년 말 쿠데타 정권에 의해 해산되었고, 2010년에 설립된 국가 잠정 평의회(CNT)가 잠정 입법 기관이 되었지만, 2013년에 선거가 실시되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콘데 대통령이 당수인 기니 인민 연합(RPG)을 중심으로 결성된 “무지개 동맹”(Alliance Arc-en-ciel)이 여당 연합을 형성하고 있다. 주요 야당으로는 대선 경쟁 후보였던 셀루 달랭 디알로(Cellou Dalein Diallo)가 당수인 기니 민주 세력 연합(UFDG) 등이 있다. 기니는 정치에 민족 갈등이 개입되는 경향이 있으며, 만딩카족인 콘데 대통령과 풀라족인 디알로 당수는 각각 자신들의 민족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것이 대선에서의 혼란의 요인이 되고 있다.

최고 사법 기관은 최고재판소(''Cour Suprême'')이다.

5. 1. 정당

기니는 대통령 공화국 체제로 대통령과 주요 관료, 공무원이 나라를 이끌어간다.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서로 분리되어 견제하는 삼권 분립 체제이다.

5. 2. 인권

기니에서는 동성애가 불법이다.[88] 2010년 수상은 성적 지향을 정당한 인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20]

툴레인 대학교(Tulane University)의 준교수인 아나스타샤 게이지와 겐트 대학교(Ghent University)의 준교수인 로난 반 로섬에 따르면, 기니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여성 성기 절제(FGM, 때로는 '여성 할례'라고도 함) 비율을 보이는 국가 중 하나이다.[89] 2009년 기준으로 기니 여성의 98% 이상이 여성 성기 절제를 경험했다.[90] 기니에서는 "거의 모든 문화, 종교 및 민족"이 여성 성기 절제를 행한다.[90] 2005년 인구 및 건강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96%가 이 수술을 받았다고 보고되었다.[20]

6. 외교

2017년 9월 28일 알파 콘데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기니는 아프리카 연합, 프랑코포니, 아프리카 개발 은행,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세계은행, 이슬람 개발 은행, 국제 통화 기금(IMF), 그리고 유엔의 회원국이다.

2009년 2월 미국 국무부 성명에 따르면, 기니의 외교 관계, 특히 서아프리카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는 1985년 이후 꾸준히 개선되었다.[83] 2018년 10월 국무부 성명은 "미국이 기니의 2008년 군사 쿠데타를 규탄했지만", 쿠데타 이전에는 기니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2010년 기니 대통령 선거 이후 미국은 정부와 강력한 외교 관계를 재건했다"고 밝혔다. 이 성명은 "2013년 입법 선거와 2015년 두 번째 대통령 선거"를 "민주 개혁"의 징후로 지지했다.[84]

2021년 3월 미국 국무부 보고서는 기니 정부, 보안군 및 기업의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비난했다. 이 보고서는 최근 국민 투표에 대한 광범위한 국제적 비판을 언급했는데, 이 투표는 "헌법을 개정하고 3선 출마를 허용하는 논란이 많은 3월 국민투표 이후 알파 콘데 대통령의 재선(분쟁 결과에도 불구하고) [...]을 가져왔다"고 지적했다.[85] 국무부는 2021년 쿠데타를 규탄했다. 미국은 "우려 사항을 지속 가능하고 투명하게 해결하기 위한 국가 대화"를 촉구했다.[86][87]

유엔은 2021년 쿠데타를 즉각 규탄했고, 기니의 일부 동맹국들도 쿠데타를 비난했다. 아프리카 연합과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모두 제재를 위협했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기니가 서아프리카 통화 연합의 회원국이 아니고 내륙국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위협의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87] ECOWAS는 즉각 기니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키고 콘데 대통령의 무조건 석방을 요구하면서 코나크리에 특사를 파견하여 상황을 "헌법적"으로 해결하려고 시도했다.[65][66] 중화인민공화국(기니의 알루미늄 광석의 절반을 의존하며 축출된 콘데 대통령과의 관계를 통해 이를 용이하게 함)은 쿠데타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했다.[67]

구종주국인 프랑스와의 관계가 깊지만, 항상 우호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1958년 독립 당시 프랑스 내 자치 공화국으로서 반독립을 제안하는 것을 거부하고 즉각적인 완전 독립을 선택했기 때문에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고, 1965년에는 완전히 단교했다. 그 후 점차 관계 개선이 진행되어 1975년에는 양국 관계가 회복되었다.[164] 투레 시대 전반에는 서구 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가 깊었지만, 경제 악화와 함께 서구와의 관계가 점차 개선되었고,[164] 콘테 정권 시대에는 자유주의 경제 도입으로 그 관계가 더욱 깊어졌다.

손원일(당시 주서독 대사) 특사 일행은 1960년 7월, 기니를 친선 방문하고, 상호간의 이해증진과 외교관계 수립에 관하여 원칙적인 합의를 보았다.[219] 대한민국과는 1978년 수교하였지만 2년 후인 1980년에 단교되었다. 그러나 2006년에 양국간 국교가 재개되었다.[219] 북한과는 1960년 수교하였다.[219] 외교관계가 중단되었지만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에서 선수 및 임원단을 파견하였다.[219]

6. 1. 대한관계

손원일(당시 주서독 대사) 특사 일행은 1960년 7월, 기니를 친선 방문하고, 상호간의 이해증진과 외교관계 수립에 관하여 원칙적인 합의를 보았다.[219] 대한민국과는 1978년 수교하였지만 2년 후인 1980년에 단교되었다. 그러나 2006년에 양국간 국교가 재개되었다.[219] 북한과는 1960년 수교하였다.[219] 외교관계가 중단되었지만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에서 선수 및 임원단을 파견하였다.[219]

7. 경제

농업이 주산업으로 커피·카카오가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인광석이 주요 수출품이다. 그 밖의 지하자원으로는 보크사이트·철광석이 유망하다.[92] 2018년 가장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66.2%가 다차원 빈곤 지수(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16.4%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25]

기니 동부 니안단코로(Niandankoro), 캉캉 주(Kankan Region)의 니제르 강에서 고기잡이를 하는 말린케(Malinke) 여성들


키시두구(Kissidougou) 시장


수도 코나크리(Conakry)의 거리 풍경


색깔과 면적으로 나타낸 기니의 수출 품목


기니는 후발개발도상국 중 하나이며, 경제 개발은 매우 뒤처져 있다. 국민총소득은 1인당 930달러(2021년)에 불과하다.[192] 통화는 기니 프랑(franc guinéen)이다.[183]

7. 1. 농업

농업은 기니의 주산업으로, 한때 국민의 약 75%를 고용했다. 2012년 기준으로 노동 인구의 74.8%가 농업에 종사했으며,[191] 주로 벼(쌀), 카사바, 포니오[193]를 재배하는 자급농업 형태이다. 그러나 주식인 쌀의 자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2015년 기준 총 수입의 10.7%를 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기계와 석유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입품이다.[191]

독립 당시에는 바나나, 커피, 땅콩, 팜유 등의 농산물이 주요 수출품이었으나, 독립 직후 광물 수출이 주가 되면서[194] 1978년에는 농산물 수출 비중이 매우 낮아졌다.[195] 이는 투레 정권 시절 농산물 가격 통제와 농업 집단화로 인해 농민의 생산 의욕이 저하되면서 바나나, 커피, 파인애플, 팜유 생산이 1980년대 중반에 거의 붕괴된 결과이다.[196] 이후로도 농업 생산은 저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농법과 작물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해안 평야에서는 맹그로브 지대 간척을 통한 논벼농사와 포니오 재배가 이루어진다. 후타 잘론 산지에서는 계곡에서 포니오를 재배하고 고원에서는 풀라니족이 소를 사육하여 국내 축산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197] 응제레콜레 주 주변 삼림 기니에서는 천수답 벼농사가 성하며, 과거에는 커피 재배도 이루어졌다. 상 기니에서는 옥수수, 수수, 땅콩을 재배하고 축산도 이루어진다.[198]

기니는 신흥 사과 및 배 생산국 중 하나이며, 포도와 석류 농장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수직 수경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딸기 농장도 개발되었다.[91] 벼는 하천과 강 사이의 범람원에서 재배되지만, 국내 생산량으로는 국민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아시아에서 쌀을 수입한다.

넓은 숲으로 인해 임업의 가능성은 있지만, 반출 경로 문제로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어업은 연안에서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7. 2. 광업

기니는 농업이 주산업으로 커피·카카오가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인광석이 주요 수출품이다. 그 밖의 지하자원으로는 보크사이트·철광석이 유망하다. 기니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보크사이트 매장량의 25%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 금 생산량은 17톤이었다.[92] 보크사이트와 알루미나가 가장 주요한 수출품이다.

기니는 250억 톤(메트릭톤) 이상의 보크사이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매장량의 절반에 달할 수도 있다. 기니의 광물 자원에는 40억 톤 이상의 고품위 철광석과 다이아몬드, 매장량, 그리고 우라늄이 포함된다.[93] 기니 북서부의 합작 투자 보크사이트 채굴 및 알루미나 사업은 역사적으로 기니 외환보유고의 약 80%를 차지해왔다. 보크사이트는 알루미나로 정제되며, 이후 제련되어 알루미늄이 된다.

기니 보크사이트 회사(CBG)는 연간 약 1,400만 톤의 고품위 보크사이트를 수출한다. CBG는 기니 정부가 49%를 소유하고, 할코 마이닝 Inc.(알루미늄 생산업체인 알코아(AA), 글로벌 광산업체 리오틴토, Dadco Investments가 지배하는 합작 투자 기업)가 51%를 소유한 합작 투자 기업이다.[94] CBG는 2038년까지 기니 북서부의 보크사이트 매장량과 자원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95]

기니 킨디아 보크사이트 회사(CBK)는 기니 정부와 루살 간의 합작 투자 기업으로, 연간 약 250만 톤을 생산하며, 거의 전량이 러시아와 동유럽으로 수출된다. 이전의 프리고아 컨소시엄을 인수한 기니 알루미나 회사(ACG)는 2004년에 알루미나 정제소의 원료로 약 240만 톤을 생산했다. 정제소는 약 75만 톤의 알루미나를 수출한다.

시만두 광산(Simandou mine)은 철광석 매장지이다.[97] 2010년 3월, 영국-호주 기업인 리오틴토와 최대 주주인 중국알루미늄(Chinalco)은 리오틴토의 철광석 프로젝트 개발에 대한 예비 합의를 체결했다.[98]

기니의 최대 수출품은 전 세계 매장량의 약 3분의 1을 자랑하는 보크사이트이며,[199] 세계 5위의 생산량을 기록하며 2015년 수출의 36.6%를 차지하여[191] 기니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기니의 보크사이트 광산은 모두 해안 부근의 구릉 지대에 위치하며, 북쪽부터 상가레디의 보케 광산, 프리아 광산, 킨디아 광산의 3대 광산이 있다. 프리아 광산은 프랑스 자본에 의해 1950년대부터 개발되었고, 보케 광산과 킨디아 광산은 197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었다.[195] 상가레디 광산의 광석은 캄살 항구에서, 프리아 광산과 킨디아 광산의 광석은 코나크리 항구에서 수출된다. 기니 경제의 또 다른 기둥은 시기리 주변에서 생산되는 이며, 2015년에는 총 수출의 40.1%를 차지하여 1위 수출품이 되었다.[191] 이 외에도 다이아몬드도 생산된다.[200]

니엠바 산에는 라이베리아에서 이어지는 철광석 광상이 존재하지만, 개발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마찬가지로 기니 남동부의 시만두도 미개발 광산으로서 세계 최대급의 철광석 매장량으로 추정되며, 리오 틴토중화인민공화국 기업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201]

2021년, 싱가포르와 중국 등의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202]이 다필롱 항구와 산토우 광상을 잇는 철도를 완성했다.[203]

7. 3. 교통

기니는 농업이 주산업으로 커피·카카오가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인광석이 주요 수출품이다. 그 밖의 지하자원으로는 보크사이트·철광석이 유망하다.

코나크리 국제공항(아메드 세쿠 투레 국제공항)은 기니에서 가장 큰 공항이며, 아프리카의 다른 도시와 유럽으로의 항공편이 있다. 주요 항구는 코나크리 항과 캄사르 항이며, 모두 보크사이트 수출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205]

1904년에서 1910년 사이에 건설된 철도는 코나크리쿠루사를 거쳐 캉캉을 연결했으나, 1995년 운영이 중단되었고,[107] 2007년까지 대부분의 레일이 도난당하거나 고철로 매각되면서 완전히 해체되었다. 한때 철광석 개발 마스터플랜의 일환으로 여객 노선을 재건설한다는 계획이 있었고, 2010년 공사 시작이 발표되었지만, 부패 혐의로 마스터플랜 전체가 중단되었으며, 기존 노선과 평행하게 칼리아 광산까지 105km의 광물 운송 철도로 재건되었다.[108] 상가레디의 보크사이트 광산과 캄사르 항구(137km)를 잇는 국영 광물 운송 철도와, 러시아 알루미늄 생산업체인 루살(RusAl)이 1960년대에 건설한 프리아(143km) 광산으로 가는 협궤 철도가 있다.

시만두 1, 2 구역의 철광석 채굴 재개 계획의 일환으로, 새로운 개발 컨소시엄은 2019년 대서양 연안의 마타콩에 새로운 중량급 표준궤 철도 건설 자금을 지원하고 심해항 개발에 약 2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을 약속했다.[109] 650km의 노선은 2019년 10월 타당성 조사에서 대안으로 고려되었던 리베리아 부캐넌 항구 남쪽으로 향하는 대안 노선보다 길다.[110] 기니에는 상가레디에서 보케를 거쳐 캄살 항까지 연결되는 보케 철도를 비롯하여, 프리아 광산과 킨디아 광산도 코나크리 항까지 보크사이트 수송용 철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3대 광산이 모두 각각의 광산 철도를 소유하고 있다.[204] 코나크리에서 출발하는 오래된 철도는 1913년에 킨디아와 마무를 거쳐 캉캉까지 개통되었으나, 노후화가 심해 오랫동안 운행되지 않고 있다.

8. 인구

2021년 기니 인구는 약 13.5백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수도이자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인 코나크리(Conakry)는 경제, 상업, 교육, 문화의 중심지이다. 2014년 기니의 합계출산율(TFR)은 여성 1명당 4.93명으로 추산되었다.[111]

기니 인구
연도백만 명
19503.0
20008.8
|R}}/1e6 round 1}}



2014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기니에서 가장 큰 도시는 다음과 같다.[112]


  • 코나크리(Conakry): 1,660,973명
  • 녜레코레(Nzérékoré): 195,027명
  • 캉캉(Kankan): 190,722명
  • 마네아(Manéah): 167,354명 (킨디아(Kindia) 지역)
  • 두브레카(Dubréka): 157,017명 (킨디아(Kindia) 지역)
  • 킨디아(Kindia): 138,695명
  • 시기리(Siguiri): 127,492명 (캉캉(Kankan) 지역)
  • 키시두구(Kissidougou): 99,931명 (파라나(Faranah) 지역)
  • 라베(Labé): 92,654명
  • 캄사르(Kamsar): 83,428명 (보케(Boké) 지역)


녜레코레(Nzérékoré)


기니에서는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다. 2018년 기준으로 인구의 33.9%가 모어로 풀라어를 사용했고, 다음으로 만딩카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29.4%였다.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모어는 수수어이며, 2018년 인구의 21.2%가 모어로 사용했다. 나머지 인구는 키시어, 크펠레어를 포함한 다른 모어를 사용한다.[1]

기니 인구는 약 24개의 민족으로 구성된다. 만딩카족(만딩고 또는 말린케라고도 함)은 인구의 29.4%를 차지하며,[113] 주로 기니 동부, 특히 캉캉현과 키시두구현에 집중되어 있다.[12] 풀라족 또는 풀라니족[81]은 인구의 33.4%를 차지하며,[113] 주로 푸타 얄론(Futa Djallon) 지역에 거주한다. 인구의 21.2%를 차지하는 수수족(Soussou)은 수도 코나크리(Conakry), 포레카리아(Forécariah), 킨디아(Kindia) 주변 서부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크펠레족, 키시족, 지알로(Zialo), 토마족 등 기타 소수 민족이 나머지 16%[113]를 차지한다.[12] 2017년 기니에는 약 1만 명의 아프리카계 이외 외국인이 거주했으며, 대부분 레바논인, 프랑스인 및 기타 유럽인이었다.[114]

기니의 인구는 급증을 계속하고 있으며, 1963년 335만 명이었던[194] 인구는 1986년 622만 명[206], 2017년에는 1271만 명으로 증가했다.[207]

== 민족 ==

기니의 주민은 풀라니족, 말링케족, 수수족 등이고, 외국인도 약간 거주하고 있다.[208][191] 주로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수수족(12.2%, 2000년), 후타잘롱 산지에 거주하는 풀라니족(38.3%, 2000년), 내륙 사바나 지대에 거주하는 말링케족(25.6%, 2000년)의 세 민족이 중심이다.[208][191] 이 세 대 민족은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있으며, 정치 불안의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사바나 지대는 위 세 민족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남부 내륙 열대 우림 지대에서는 어떤 단일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지 않고, 키시족 등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206]

기니의 어린이들


== 언어 ==

프랑스어공용어(1990년 헌법, 1조 4항)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각 민족의 언어를 사용한다.[209] 풀라어(Fula), 풀라어/Pular language영어, 만딩어군의 마닌카어(Maninka), 만딩어(N'Ko), 수수어(Susu), 키시어/Kissi language영어, 쿠펠레어(Kpelle), 로마어/Loma language영어, 바사리어/Bassari language영어, 와메이어/Wamey language영어 등이 사용된다.

== 종교 ==

기니의 종교는 무슬림이 약 85%로 다수를 차지하고, 기독교가 8%, 부족들의 전통 신앙이 7%를 차지한다.[220][191] 2023년 종교 데이터 아카이브 협회(ARDA)는 기니 인구의 86.8%가 이슬람교도, 3.52%가 기독교인, 9.42%가 애니미스트라고 밝혔다.[115] 과거 이슬람교도와 기독교인들은 토착 아프리카 신앙을 자신의 신앙관에 통합하기도 했다.[116]

2020년 기니 종교 집단[115]
종교비율
이슬람교86.8%
아프리카 전통 종교9.42%
기독교3.52%



기니 이슬람교도 대다수는 수니파 이슬람교 중 말리키 법학파에 속하며, 수피즘의 영향을 받았다.[117] 기독교 집단으로는 로마 가톨릭, 앵글리칸, 침례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복음주의 단체들이 있다. 여호와의 증인과 바하이교 공동체도 존재하며, 외국인 거주자 공동체에는 힌두교도, 불교도, 그리고 전통 중국 종교 집단이 있다.[118] 1967년 사회주의 정부에 의해 가톨릭 선교사들과 개신교 선교사들이 추방당한 바 있다.[220]

2013년 7월, Nzerekore시에서 민족 종교 갈등이 발생하여 최소 54명이 사망했다.[80][119] 기독교인 또는 애니미스트인 Kpelle족과 이슬람교도이며 Malinke 민족 집단과 가까운 Konianke족 사이의 분쟁이었으며, 기니 군의 통금령과 콘데 대통령의 TV 진정 호소 후 폭력 사태는 종식되었다.[119] 2021년에는 하부 기니의 Kendoumaya에서 토지 권리 분쟁과 관련된 폭력이 발생하기도 했다.[120]

== 교육 ==

2010년 기준, 기니의 성인 문해율은 41%(남성 52%, 여성 30%)로 추산되었다.[121] 초등 교육은 6년 동안 의무 교육이다.[122] 1999년 초등학교 취학률은 40%였으며, 특히 여아들은 부모의 가사 또는 농업 활동을 돕거나[123] 조혼을 위해 학교에 가지 못했다. 2015년 기니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동 결혼율 중 하나를 기록했다.[124]

기니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6년이다.[212] 교육 언어는 프랑스어이다.[191] 문해율은 매우 낮아 2015년에는 30.5%에 불과했다.[191]

== 보건 ==

2024년 세계 기아 지수에서 기니는 23.2점으로 127개국 중 95위를 차지하여 심각한 수준의 기아를 겪고 있다.[125] 2014년에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기니의 멜리안두(Meliandou) 마을에서 처음 발생했다.[126] 보건부는 질병 전파를 막기위해 박쥐의 판매 및 섭취를 금지했고,[126] 바이러스는 코나크리[127]를 거쳐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로 확산되었다. 기니는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에서 더 많은 사례가 보고되자 국경을 폐쇄하기도 했다.

"안전하지 않은 매장"은 질병 전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 사회와의 소통 부재를 문제점으로 지적했고,[128] 2016년 3월 29일에 국제적 관심사에 대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종식시켰다.[129] 그러나 그 후 2주 동안 5건의 추가 사례가 확인되었고, 그중 1건은 2014년 11월 발생 사태와 관련이 있었다.[130] 에볼라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의료 시스템에 대한 불신은 의료 이용률 감소를 야기했고, 에볼라 발생은 HIV/AIDS 치료에도 영향을 미쳤다.[131] 에볼라는 2021년 1월~2월에 기니에서 다시 발생했다.[132]

2004년 말 기준으로 약 17만 명의 성인과 어린이가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산된다.[133][134] HIV는 주로 다수의 성 파트너와의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성매매 종사자, 군인, 트럭 운전사, 광부, 결핵 환자 등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135]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문맹, 빈곤, 불안정한 국경, 난민 이동 등이 HIV/AIDS 유행의 주요 원인이다.[135]

말라리아는 연중 발생하며, 특히 7월부터 10월까지 전파가 최고조에 달한다.[136] 기니에서 말라리아는 장애의 원인이 된다.[137] 코로나19는 2020년 3월 13일에 첫 사례가 보고되었고,[138] 2020년 말까지 13,722건이 확인되었으며, 81명이 사망했다.[139]

2021년 기니의 인구 10만 명당 산모 사망률은 576명이다.[140] 1,000명당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은 146명이며, 임산부의 평생 사망 위험은 26명 중 1명이다.[141] 기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여성 성기 절제 관행 유병률을 보인다.[142][143]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영양실조율은 지역에 따라 34%에서 40%까지 다양하며, 급성 영양실조, 만성 영양실조, 빈혈을 겪는 어린이들이 많았다.[144]

8. 1. 민족

기니의 주민은 풀라니족, 말링케족, 수수족 등이고, 외국인도 약간 거주하고 있다.[208][191] 주로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수수족(12.2%, 2000년), 후타잘롱 산지에 거주하는 풀라니족(38.3%, 2000년), 내륙 사바나 지대에 거주하는 말링케족(25.6%, 2000년)의 세 민족이 중심이다.[208][191] 이 세 대 민족은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있으며, 정치 불안의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사바나 지대는 위 세 민족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남부 내륙 열대 우림 지대에서는 어떤 단일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지 않고, 키시족 등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206]

8. 2. 언어

프랑스어공용어(1990년 헌법, 1조 4항)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각 민족의 언어를 사용한다.[209] 풀라어(Fula), (풀라어), 만딩어군의 마닌카어(Maninka), 만딩어(N'Ko), 수수어(Susu), (키시어), 쿠펠레어(Kpelle), (Toma language) (로마어), , (Konyagi language) (와메이어) 등이 사용된다.

8. 3. 종교

기니의 종교는 무슬림이 약 85%로 다수를 차지하고, 기독교가 8%, 부족들의 전통 신앙이 7%를 차지한다.[220][191] 2023년 종교 데이터 아카이브 협회(ARDA)는 기니 인구의 86.8%가 이슬람교도, 3.52%가 기독교인, 9.42%가 애니미스트라고 밝혔다.[115] 과거 이슬람교도와 기독교인들은 토착 아프리카 신앙을 자신의 신앙관에 통합하기도 했다.[116]

2020년 기니 종교 집단[115]
종교비율
이슬람교86.8%
아프리카 전통 종교9.42%
기독교3.52%



기니 이슬람교도 대다수는 수니파 이슬람교 중 말리키 법학파에 속하며, 수피즘의 영향을 받았다.[117] 기독교 집단으로는 로마 가톨릭, 앵글리칸, 침례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복음주의 단체들이 있다. 여호와의 증인과 바하이교 공동체도 존재하며, 외국인 거주자 공동체에는 힌두교도, 불교도, 그리고 전통 중국 종교 집단이 있다.[118] 1967년 사회주의 정부에 의해 가톨릭 선교사들과 개신교 선교사들이 추방당한 바 있다.[220]

2013년 7월, Nzerekore시에서 민족 종교 갈등이 발생하여 최소 54명이 사망했다.[80][119] 기독교인 또는 애니미스트인 Kpelle족과 이슬람교도이며 Malinke 민족 집단과 가까운 Konianke족 사이의 분쟁이었으며, 기니 군의 통금령과 콘데 대통령의 TV 진정 호소 후 폭력 사태는 종식되었다.[119] 2021년에는 하부 기니의 Kendoumaya에서 토지 권리 분쟁과 관련된 폭력이 발생하기도 했다.[120]

8. 4. 교육

2010년 기준, 기니의 성인 문해율은 41%(남성 52%, 여성 30%)로 추산되었다.[121] 초등 교육은 6년 동안 의무 교육이다.[122] 1999년 초등학교 취학률은 40%였으며, 특히 여아들은 부모의 가사 또는 농업 활동을 돕거나[123] 조혼을 위해 학교에 가지 못했다. 2015년 기니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동 결혼율 중 하나를 기록했다.[124]

기니의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6년이다.[212] 교육 언어는 프랑스어이다.[191] 문해율은 매우 낮아 2015년에는 30.5%에 불과했다.[191]

8. 5. 보건

2024년 세계 기아 지수에서 기니는 23.2점으로 127개국 중 95위를 차지하여 심각한 수준의 기아를 겪고 있다.[125] 2014년에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기니의 멜리안두(Meliandou) 마을에서 처음 발생했다.[126] 보건부는 질병 전파를 막기위해 박쥐의 판매 및 섭취를 금지했고,[126] 바이러스는 코나크리[127]를 거쳐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로 확산되었다. 기니는 시에라리온과 라이베리아에서 더 많은 사례가 보고되자 국경을 폐쇄하기도 했다.

"안전하지 않은 매장"은 질병 전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 사회와의 소통 부재를 문제점으로 지적했고,[128] 2016년 3월 29일에 국제적 관심사에 대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종식시켰다.[129] 그러나 그 후 2주 동안 5건의 추가 사례가 확인되었고, 그중 1건은 2014년 11월 발생 사태와 관련이 있었다.[130] 에볼라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의료 시스템에 대한 불신은 의료 이용률 감소를 야기했고, 에볼라 발생은 HIV/AIDS 치료에도 영향을 미쳤다.[131] 에볼라는 2021년 1월~2월에 기니에서 다시 발생했다.[132]

2004년 말 기준으로 약 17만 명의 성인과 어린이가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산된다.[133][134] HIV는 주로 다수의 성 파트너와의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성매매 종사자, 군인, 트럭 운전사, 광부, 결핵 환자 등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135]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문맹, 빈곤, 불안정한 국경, 난민 이동 등이 HIV/AIDS 유행의 주요 원인이다.[135]

말라리아는 연중 발생하며, 특히 7월부터 10월까지 전파가 최고조에 달한다.[136] 기니에서 말라리아는 장애의 원인이 된다.[137] 코로나19는 2020년 3월 13일에 첫 사례가 보고되었고,[138] 2020년 말까지 13,722건이 확인되었으며, 81명이 사망했다.[139]

2021년 기니의 인구 10만 명당 산모 사망률은 576명이다.[140] 1,000명당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은 146명이며, 임산부의 평생 사망 위험은 26명 중 1명이다.[141] 기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여성 성기 절제 관행 유병률을 보인다.[142][143]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영양실조율은 지역에 따라 34%에서 40%까지 다양하며, 급성 영양실조, 만성 영양실조, 빈혈을 겪는 어린이들이 많았다.[144]

9. 문화

기니 딩기라예현의 채소를 파는 시장 가판대


}}

;음악

기니의 전통 악기는 , 코라, 발라(bala), 코니(koni)이다.[11]
코라(Kora), 악기 중 하나가 여기에 나와 있습니다.
서아프리카 지역, 특히 기니에서 사용되는 타악기 젬베가 유명하다. 젬베를 세계적으로 알린 마마디 케이타는 기니 출신이다.[214]

;스포츠

축구기니에서 농구와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145] 축구 운영은 기니 축구 연맹에서 담당한다.[147] 연맹은 국가대표팀과 국내 리그를 관리한다.[145] 1960년에 설립되었으며, 1962년 FIFA에, 1963년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가입했다.[148][149] ''실리 나시오날''(국가 코끼리)이라는 별명을 가진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2년부터 국제 축구 경기를 치렀다.[145] 첫 상대는 동독이었다.[145]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으며,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모로코에 준우승을 차지했다.[145]

기니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기니 축구의 최상위 리그이다. 1965년 창설된 이후, 3개 팀이 기니 쿠프 나시오날 우승을 놓고 경쟁해왔다.[150] 호로야 AC는 최소 1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7-2018 시즌 챔피언이다. 하피아 FC(1960년대에는 코나크리 II로 알려짐)는 최소 15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대와 70년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AS 칼룸 스타(1960년대에는 코나크리 I로 알려짐)는 최소 13회 우승을 차지했다. 세 팀 모두 코나크리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 하피아 FC는 아프리카 챔피언스컵에서 1972년, 1975년, 1977년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호로야 AC는 1978년 아프리카 컵 위너스컵에서 우승했다.[151]

기니에서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단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에서는 기권했고,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기니 정부가 대표팀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되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13번 출전했으며, 197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요리

기니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이 주식이다.[154] 카사바도 섭취한다.[154] 서아프리카 요리의 일부인 기니의 음식에는 예티세, 땅콩 소스, 오크라 소스 및 타팔라파 빵이 포함된다. 시골 지역에서는 집 밖에서 "큰 접시"에 음식을 담아 손으로 먹는다.[155]

9. 1. 음악

기니의 전통 악기는 , 코라, 발라(bala), 코니(koni)이다.[11] 서아프리카 지역, 특히 기니에서 사용되는 타악기 젬베가 유명하다. 젬베를 세계적으로 알린 마마디 케이타는 기니 출신이다.[214]

9. 2. 스포츠

축구기니에서 농구와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145] 축구 운영은 기니 축구 연맹에서 담당한다.[147] 연맹은 국가대표팀과 국내 리그를 관리한다.[145] 1960년에 설립되었으며, 1962년 FIFA에, 1963년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가입했다.[148][149] ''실리 나시오날''(국가 코끼리)이라는 별명을 가진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2년부터 국제 축구 경기를 치렀다.[145] 첫 상대는 동독이었다.[145]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으며,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모로코에 준우승을 차지했다.[145]

기니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기니 축구의 최상위 리그이다. 1965년 창설된 이후, 3개 팀이 기니 쿠프 나시오날 우승을 놓고 경쟁해왔다.[150] 호로야 AC는 최소 1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7-2018 시즌 챔피언이다. 하피아 FC(1960년대에는 코나크리 II로 알려짐)는 최소 15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대와 70년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AS 칼룸 스타(1960년대에는 코나크리 I로 알려짐)는 최소 13회 우승을 차지했다. 세 팀 모두 코나크리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 하피아 FC는 아프리카 챔피언스컵에서 1972년, 1975년, 1977년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호로야 AC는 1978년 아프리카 컵 위너스컵에서 우승했다.[151]

기니에서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단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에서는 기권했고,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기니 정부가 대표팀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되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13번 출전했으며, 197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9. 3. 요리

기니 요리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이 주식이다.[154] 카사바도 섭취한다.[154] 서아프리카 요리의 일부인 기니의 음식에는 예티세, 땅콩 소스, 오크라 소스 및 타팔라파 빵이 포함된다. 시골 지역에서는 집 밖에서 "큰 접시"에 음식을 담아 손으로 먹는다.[155]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Cia.gov 2020-12-26
[2] 웹사이트 Guine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03-02
[3] 위키 National Assembly is currently suspended in the wake of the 2021 Guinean coup d'état.
[4] 웹사이트 Guine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6-22
[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Guine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6] 웹사이트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01-10
[7]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022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2-09-30
[8] 웹사이트 Guinea-Conakry http://www.uiowa.edu[...] 2009-02-11
[9] 웹사이트 Music Videos of Guinea Conakry http://www.musicvide[...] 2018-04-12
[10] 웹사이트 The Anglican Diocese of Ghana http://netministries[...] 2017-07-23
[11] 웹사이트 CFI – Africa – Guinea Conakry http://www.cfi.fr/pa[...] 2009-02-11
[12] 웹사이트 Nations Online: Guinea – Republic of Guinea – West Africa http://www.nationson[...] Nations Online 2014-08-25
[13] 뉴스 West Africa economic bloc suspends Guinea after military coup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1-09-08
[14] 뉴스 Military Faction Stages Coup in Mineral-Rich Guinea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21-09-05
[15] 뉴스 EXPLAINER: Why is history repeating itself in Guinea's coup?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1-09-07
[16] 뉴스 Here's what we know about the unfolding coup in Guinea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21-09-06
[17] 뉴스 Guinea Votes in Its First Democratic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11-07
[18] 웹사이트 Guinea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1
[19] 뉴스 Guinea President Conde vows to tackle corruption during third term https://www.reuters.[...] Reuters 2020-12-15
[20]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1: Guinea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2-08-27
[21] 웹사이트 Religion in Guinea http://www.visualgeo[...] Visual Geography 2017-07-23
[22] 웹사이트 The Pan African Bank http://www.ecobank.c[...] Ecobank 2017-07-23
[23] 웹사이트 Guinea Conakry: Major Imports, Exports, Industries & Business Opportunities in Guinea Conakry, Africa http://www.africa-im[...] 2014-10-15
[24] 웹사이트 Guinea Conakry Support – Guinee Conakry Trade and Support. (GCTS) http://www.guineacon[...] 2014-10-15
[25] 웹사이트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2023 Guinea https://hdr.undp.org[...] 2024-07-29
[26] 웹사이트 Guinea: Hopes for Reform Dashed Again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9-01-02
[27] 웹사이트 UN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http://hdrstats.undp[...] Hdrstats.undp.org 2010-03-28
[28] 뉴스 Africa {{pipe}} Guineans mark '50 years of poverty'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02
[29] 웹사이트 John Lovell http://www.historyof[...]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website 2021-09-25
[30] 웹사이트 America and West Indies: October 1653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website 2021-09-25
[31] 웹사이트 Macron Isn't So Post-Colonial After All https://foreignpolic[...] 2024-10-16
[32] 웹사이트 La déstabilisation en Afrique : opérations secrètes pour la préservation du "pré carré" africain francophone https://www.isd.sorb[...] 2018-12-20
[33] 뉴스 Black revolt https://www.economis[...] 2024-10-11
[34] 웹사이트 Welcome Guinea Forum: Cornered, General Lansana Conte can only hope http://www.guinea-fo[...] 2017-07-23
[35] 웹사이트 Failed States list 2008 https://foreignpolic[...] Fund for Peace 2008-06-27
[36] 뉴스 Civil war fears in Guinea http://news.bbc.co.u[...] 2000-10-23
[37] 뉴스 Guinea head blames neighbours http://news.bbc.co.u[...] 2001-01-06
[38] 웹사이트 Austrian Study Centre for Peace and Conflict Resolution (ASPR) Peace Castle Austria http://www.aspr.ac.a[...] ASPR
[39] 뉴스 Lansana Conté profile: Death of an African 'Big Man' https://www.theguard[...] 2008-12-23
[40] 뉴스 Army steps in after Guinea president Lansana Conté dies https://www.theguard[...] 2008-12-23
[41] 뉴스 Guinea massacre toll put at 157 http://news.bbc.co.u[...] BBC 2009-09-29
[42] 뉴스 U.N. Panel Calls for Court in Guinea Massacre https://www.nytimes.[...] 2009-12-21
[43] 웹사이트 Guinean soldiers look for ruler's dangerous rival http://www.malaysian[...] malaysianews.net 2009-12-05
[44] 뉴스 Guinea's presidential guard explains assassination motive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09-12-16
[45] 뉴스 Signature, à Ouagadougou, d'un accord de sortie de crise. (French) 2010-01-17
[46] 뉴스 afrol News – Election date for Guinea proposed http://www.afrol.com[...] Afrol.com
[47] 뉴스 Guinea to hold presidential elections in six months _English_Xinhua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10-01-16
[48] 뉴스 Guinea sets date for presidential run-off vote https://www.bbc.co.u[...] 2010-08-09
[49] 뉴스 Guinea sees big turnout in presidential run-off poll https://www.bbc.co.u[...] BBC 2010-11-07
[50] 뉴스 Conde declared victorious in Guinea – Africa http://www.iol.co.za[...] IOL.co.za 2010-11-16
[51] 뉴스 Guinea opposition pulls out of legislative elections process https://www.reuters.[...] 2013-02-24
[52] 뉴스 Security forces break up Guinea opposition funeral march http://uk.reuters.co[...] 2013-03-08
[53] 뉴스 Two more killed in Guinea as protests spread https://www.reuters.[...] 2013-03-05
[54] 뉴스 Ethnic Clashes Erupt in Guinea Capital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3-03-01
[55] 뉴스 Guinea election talks fail, opposition threatens protests https://www.reuters.[...] 2013-03-26
[56] 웹사이트 Previous Updates: 2014 West Africa Outbreak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57] 웹사이트 Ebola: Patient zero was a toddler in Guinea – CNN http://edition.cnn.c[...] CNN 2014-10-28
[58] 뉴스 Arrests Made in Killings of Guinea Ebola Education Team 2014-09-19
[59] 웹사이트 Ebola Situation Report – 4 November 2015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0] 웹사이트 Timeline: A year of bloody protests in Guinea https://www.aljazeer[...] 2020-10-14
[61] 웹사이트 Guinea elections: Alpha Condé wins third term amid violent protests https://www.bbc.com/[...] 2020-10-24
[62] 웹사이트 Army colonel on Guinean TV says govt dissolved, borders shut https://apnews.com/a[...] 2021-09-05
[63] 웹사이트 Coup d'État en Guinée, le président Alpha Condé capturé par les putschistes https://ici.radio-ca[...] 2021-09-05
[64] 웹사이트 Changement de pouvoir en Guinée : Lamine Keïta remplace Mohamed Gharé au gouvernorat de N'Zérékoré https://guineematin.[...] 2021-09-06
[65] 뉴스 West African leaders due in Guinea as post-coup calm pervades Conakry https://www.reuters.[...] Reuters News Service 2021-09-09
[66] 뉴스 West African leaders suspend Guinea from Ecowas following coup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9-09
[67] 뉴스 China Is OK With Interfering in Guinea's Internal Affairs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21-09-08
[68] 뉴스 Guinea coup leader sworn in as interim president https://www.aljazeer[...]
[69] 뉴스 Anti-government riots flare in Guinea after seven reported dead https://www.reuters.[...] 2023-05-11
[70] 웹사이트 The Senegal River basin http://www.fao.org/d[...]
[71] 웹사이트 The Niger River basin http://www.fao.org/d[...] 2017-07-23
[72] 웹사이트 The West Coast http://www.fao.org/d[...] 2017-07-23
[73]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74]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75] 뉴스 Guinea's Supreme Court rejects election challenges https://www.reuters.[...] 2013-11-16
[76] 웹사이트 Guinea president postpones parliamentary elections indefinitely http://www.rnw.nl/af[...] Radio Netherlands Worldwide 2012-04-28
[77] 뉴스 Guinea election body sets legislative polls for September 24 https://www.reuters.[...] 2013-07-09
[78] 뉴스 Guinea's Supreme Court upholds election result https://www.bbc.com/[...] 2013-11-16
[79] 뉴스 Guinea profile - Leaders https://www.bbc.com/[...] 2011-05-18
[80] 뉴스 "Guinea's Conde appeals for calm after 11 killed in ethnic clashes", Reuters, 16 July 2013. https://www.reuters.[...] 2013-07-17
[81] 기타
[82] 웹사이트 Guinea https://www.cia.gov/[...] 2021-09-23
[83]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Guine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9-02-00
[84]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Guinea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8-10-30
[85] 웹사이트 2020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Guinea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21-03-30
[86] 웹사이트 On the Military Seizure of Power in Guinea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1-09-05
[87] 뉴스 Guinea coup leader bars foreign travel for government officials https://www.reuters.[...] Reuters News Service
[88] 뉴스 Here are the 10 countries where homosexuality may be punished by death https://www.washingt[...] 2016-06-16
[89] 논문 The effect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on the onset of sexual activity and marriage in Guinea
[90] 논문 The effects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on the onset of sexual activity and marriage in Guinea
[91] 논문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Guinea of R&D Investment, Foreign Aid and Climate Change https://twasp.info/j[...]
[92] 웹사이트 Our world in data- Gold production https://ourworldinda[...]
[93] 뉴스 How a diamond tycoon lost his shine in 'difficult places' A bribery case goes beyond a mine in Guinea The Sunday Times 2019-08-25
[94] 뉴스 Guinea bauxite miner CBG plans $1 bln expansion to meet demand https://af.reuters.c[...] 2015-05-29
[95] 웹사이트 Dadco Alumina & Chemicals http://www.dadcoalum[...]
[96] 뉴스 One dead in Guinea protest, mine trains stop http://www.minesandc[...] 2008-11-01
[97] 웹사이트 Faits et chiffres http://www.riotintos[...] riotintosimandou.com
[98] 뉴스 Rio Tinto, Chinalco, agree to develop Guinea iron ore field http://www.news.com.[...] 2010-03-19
[99] 뉴스 SFO says it is investigating Rio Tinto over Guinea operations https://www.theguard[...] 2017-07-25
[100] 웹사이트 TIGUI CAMARA: Leading In The Male Dominated Mining Industry https://www.africanl[...] 2018-05-16
[101] 웹사이트 Hyperdynamics Corporation – Jasper Explorer Drill Ship En Route to Hyperdynamics' First Exploration Drilling Site Offshore Guinea http://investors.hyp[...]
[102] 웹사이트 Hyperdynamics completes drilling at Sabu-1 well offshore Guinea-Conakry http://www.offshore-[...] 2012-02-14
[103] 웹사이트 Tullow Oil Agrees Farm-in to Guinea Concession http://www.tullowoil[...]
[104]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Guinea Project http://www.hyperdyna[...]
[105] 웹사이트 Tullow Oil https://doc.research[...] Credit Suisse 2014-01-21
[106]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3, 15th Edition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23-10-29
[107] 뉴스 Kankan : Le chemin de fer Conakry-Niger à quand sa réhabilitation ? http://guineenews.or[...] Guinee News 2015-05-14
[108] 웹사이트 Georges Pilot's history of railways in West Africa (in French) http://www.planete-t[...] 2021-01-02
[109] 웹사이트 Africa Confidential December 2019 https://www.africa-c[...]
[110] 웹사이트 SP Global report, November 2019 https://www.spglobal[...]
[11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4-10-15
[112] 웹사이트 Cities and Regions http://citypopulatio[...] 2021-07-23
[11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Cia.gov 2018-04-12
[114] 웹사이트 US State Dept 2017 report https://2009-2017.st[...] 2017-07-23
[115]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 World Religion https://www.thearda.[...]
[116] 간행물 Guinea 2012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117] 논문 A Sufi Interpretation of 'Le Regard du Roi'
[118] 웹사이트 US State Dept 2022 report https://www.state.go[...]
[119] 뉴스 Guinean troops deployed after deadly ethnic clashes https://www.bbc.com/[...] 2013-07-17
[120] 웹사이트 US State Dept 2022 report https://www.state.go[...]
[12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122]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5: Guinea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23] 웹사이트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ILAB) 2001 – U.S. Department of Labor http://www.dol.gov/i[...]
[124] 웹사이트 The 10 countries with the highest rates of child marriage https://www.who.int/[...]
[125]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126] 웹사이트 Ground zero in Guinea: the Ebola outbreak smoulders – undetected – for more than 3 months https://www.who.int/[...] 2015-09-04
[127] 뉴스 Ebola: Guinea outbreak reaches capital Conakry https://www.bbc.com/[...] BBC 2014-03-28
[128] 웹사이트 Ebola Situation Report – 4 March 2015 Ebola http://apps.who.int/[...]
[129] 웹사이트 Ebola is no longer a public health emergency https://www.who.int/[...]
[130] 웹사이트 Ebola Situation Report – 30 March 2016 Ebola http://apps.who.int/[...]
[131] 논문 Prevention of HIV spread during the Ebola outbreak in Guinea http://www.thelancet[...] 2015-04-00
[132] 뉴스 Guinea declares Ebola epidemic: First deaths since 2016 https://www.bbc.com/[...] BBC
[133] 웹사이트 Status of HIV/AIDS in Guinea, 2005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34] 웹사이트 Epidemiological Fact Sheets: HIV/AIDS and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December 2006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12-00
[135] 웹사이트 Health Profile: Guinea https://web.archive.[...] USAID 2005-03-00
[13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mi.gov/d[...]
[1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ealthdat[...]
[138] 뉴스 EU employee tests positive for coronavirus in Guinea's first case https://www.reuters.[...] 2020-03-13
[139] 웹사이트 COVID-19 and W/Africa: 1,994 new cases, 31 new deaths in 24 hours http://apanews.net/e[...] APA 2020-12-31
[140] 웹사이트 Impact Brief: Guinea https://www.usaid.go[...] 2021-05-21
[141]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Midwifery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1-08-25
[142] 웹사이트 WHO – Female genital mutilation and other harmful practices https://web.archive.[...] 2014-10-15
[143]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A statistical overview and exploration of the dynamics of change – UNICEF DATA http://www.unicef.or[...] 2013-07-22
[144] 웹사이트 Enquête nationale nutrition-santé, basée sur la méthodologie SMART, 2011–2012 http://home.wfp.org/[...] World Food Programme 2014-05-12
[145]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3 volumes]: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2-14
[146] 서적 Guinea, Post Report https://play.googl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1-09-08
[147] 웹사이트 At a glance: Guinea – Football boosts girls' education http://www.unicef.or[...] UNICEF 2013-12-03
[148] 웹사이트 Associations: Guinea https://web.archive.[...] FIFA 2018-12-24
[149]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s: Fédération Guinéenne de Football (FGF)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8-12-24
[150] 웹사이트 Guinea: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2018-12-24
[151] 서적 Soccer vs. the State: Tackling Football and Radical Politics https://books.google[...] PM Press 2011-03-15
[152] 웹사이트 Articles 315–319 https://web.archive.[...] Republic of Guinea 2013-05-21
[153] 웹사이트 Polygamy is rare around the world and mostly confined to a few regions https://www.pewresea[...] 2020-12-07
[154] 웹사이트 Recipes & Cookbooks https://web.archive.[...] Friends of Guinea 2017-07-23
[155] 웹사이트 Eating in the Embassy: Guinean Embassy Brings West African Food To Washington https://web.archive.[...] WAMU 2017-07-23
[15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1-07
[157]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19
[158] 웹사이트 ギニア共和国(Republic of Guinea)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22-08-28
[159] 웹사이트 République de Guinée/Constitution du 14 mai 1982. https://mjp.univ-per[...] 2024-01-27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各国別世界の現勢 第1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뉴스 ゼネスト長期化、大統領が戒厳令を発令 - ギニア https://www.afpbb.co[...] 2021-09-01
[170] 뉴스 新首相の任命に合意でゼネスト中止へ - ギニア https://www.afpbb.co[...] 2021-09-01
[171] 뉴스 ギニアでクーデター、政府は「依然権力を掌握」と主張 https://www.afpbb.co[...] 2021-09-01
[172] 뉴스 ギニア、クーデター側が外出禁止令を発令 実権掌握強める https://www.afpbb.co[...] 2021-09-01
[173] 뉴스 ギニア軍事評議会、国際社会との会合求める 首相は権限移譲を表明 https://www.afpbb.co[...] 2021-09-01
[174] 뉴스 軍事政権への抗議デモに発砲、87人死亡 ギニア https://www.afpbb.co[...] 2021-09-01
[175] 뉴스 ギニア大統領、側近に撃たれ負傷 9月のデモ鎮圧に関連か https://www.afpbb.co[...] 2021-09-01
[176] 뉴스 ギニアで非常事態宣言、大統領選結果めぐる混乱で死者7人 https://www.afpbb.co[...] 2010-11-18
[177] 뉴스 ギニアで謎の病気発生、6週間で23人死亡 https://www.afpbb.co[...] 2014-03-21
[178] 뉴스 ギニアの伝染病、エボラ出血熱と確認 死者59人に https://www.afpbb.co[...] 2014-03-23
[179] 뉴스 ギニアで発生したエボラ出血熱、隣国リベリアに拡大か https://www.afpbb.co[...] 2014-03-25
[180] 뉴스 ギニアで発生のエボラ出血熱、隣国シエラレオネにも拡大か https://www.afpbb.co[...] 2014-03-26
[181] 뉴스 ギニアで発生のエボラ出血熱、隣国シエラレオネにも拡大か https://www.afpbb.co[...] 2014-08-14
[182] 뉴스 ギニアのエボラ終息を宣言 WHO https://www.afpbb.co[...] 2015-12-29
[183] 웹사이트 ギニア共和国 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외務省 2021-03-03
[184] 뉴스 ギニア大統領選で現職再選 野党は無効を主張 https://www.47news.j[...] 2015-10-18
[185] 뉴스 ギニアでクーデター 特殊部隊が大統領拘束 https://web.archive.[...] 2021-09-06
[186] 뉴스 ギニア、暫定大統領が就任 https://nordot.app/8[...] 共同通信社 2021-10-19
[187] 뉴스 Guinea to move to civilian rule in three years https://www.bbc.com/[...] 2022-05-01
[188] 웹사이트 Guinea junta agrees to leave power after two years - ECOWAS https://www.africane[...] 2022-10-22
[189] 뉴스 西アフリカのギニア、軍の特殊部隊が大統領拘束 憲法停止を宣言 https://jp.reuters.c[...] 2021-09-06
[190]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98
[191] 서적 데이터북 오브 더 월드 2018
[192] 웹사이트 GNI Per Capita Ranking, Atlas Method And PPP Based https://databank.wor[...] 세계은행 2021-02-12
[193] 간행물 ギニアのフォニオは今 公益社団法人国際農林業協働協会 2023-07-31
[194] 논문 각국별 세계의 현세 제1 1964
[195]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89
[196]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2017
[197]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2017
[198]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2017
[199] 보고서 세계의 광업의 추세 2018 기니아 https://mric.jogmec.[...]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 2018-08-13
[200]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98
[201] 뉴스 유전의 기니 광산 개발에 진전/관민으로 합자 설립, 중국이 적극 관여 2022-08-25
[202] 웹사이트 기니아 월보(2020년 11월) https://www.gn.emb-j[...] 주기니아 일본국 대사관 2020-11
[203] 뉴스 중국 기업이 건설을 맡은 기니아의 철도가 개통 https://web.archive.[...] 2021-06-19
[204]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98
[205]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98
[206]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89
[207] 서적 데이터북 오브 더 월드 2018
[208] 논문 (저서명 추정 불가) 1998
[209] 보고서 기니아 https://www.moj.go.j[...] 법무성 입국관리국 2006-04-13
[210] 웹사이트 Articles 315-319, Civil Code of the Republic of Guinea (Code Civil de la Republique de Guinee) http://ddata.over-bl[...]
[211] 간행물 Early Marriage A Harmful Traditional Practice – A Statistical Exploration http://www.unicef.or[...] UNICEF 2005
[212] 웹사이트 国・地域の詳細情報 ギニア共和国 https://web.archive.[...] 外務省 2020-01-07
[213] 웹사이트 ギニア 安全対策基礎データ「犯罪発生状況、防犯対策」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1-09-01
[214] 웹사이트 ジャンベスクール 鹿児島県三島村 http://mishimamura.c[...] 2023-05-13
[215]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Guinea)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5
[216]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022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2-09-30
[217] 웹사이트 Guinea Bissau http://www.everycult[...]
[218] 백과사전 기니
[219] 뉴스 阿洲六國과修交...孫親善特使合意報告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7-22
[2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02-27
[221] 일반
[22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