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붕괴된 후, 프랑스가 국제 연맹의 위임을 받아 시리아 지역을 통치한 시기를 의미한다. 1918년 영국과 아랍 반란군의 지원을 받아 다마스쿠스에 아랍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프랑스가 레바논 해안 지역을 점령하고 시리아 내륙 지역까지 통치하려 하면서 갈등이 발생했다. 1920년 시리아 국민 회의는 시리아의 독립을 선포하고 파이살 1세를 왕으로 추대했지만, 프랑스는 세브르 조약을 통해 위임 통치권을 확보하고 프랑스-시리아 전쟁을 통해 이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프랑스는 시리아를 여러 국가 및 자치 지역으로 분할하여 통치하며, 시리아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했다. 1930년 시리아는 공화국으로 전환되었고, 1936년 프랑스와 독립 조약을 체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에 동조하던 프랑스는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고, 1946년 프랑스군이 철수하면서 시리아는 독립을 쟁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크스–피코 협정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사이크스–피코 협정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국제 연맹이 영국에 부여한 통치령으로, 현재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지역에 존속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 속에서 1948년 이스라엘 독립과 함께 제1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
  • 레바논의 역사 - 레바논 내전
    레바논 내전은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지속된 다종교, 다국적 분쟁으로, 종파 간 갈등,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유입, 이스라엘의 개입 등으로 발발하여 약 15만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레바논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 레바논의 역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1930년 폐지 - 핀란드 노동조합
    핀란드 노동조합은 1907년 설립되어 핀란드 노동 운동의 역사를 반영하며, 내전과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세력 간의 갈등을 겪다가 1969년 핀란드 중앙 노동조합으로 통합되었다.
  • 1930년 폐지 - 피츠버그 파이리츠 (NHL)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1925년부터 1930년까지 NHL에 참가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 재정난으로 필라델피아로 연고지를 이전하기 전까지 NHL에서 다양한 기록을 남기고 흑금색 배색을 사용한 최초의 피츠버그 팀 중 하나로 기억된다.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2년 작성된 위임통치안
위임통치 문서 표지 (1922년)
문서 이름시리아 및 레바논 위임통치
프랑스어Mandat pour la Syrie et le Liban
아랍어الانتداب الفرنسي على سوريا ولبنان (al-intidāb al-faransī ʻalā sūriyā wa-lubnān)
작성 시기1920년–1922년
비준일1923년
문서 위치UNOG Library; ref.: C.528. M.313. 1922. VI.
서명 국가국제연맹
목적시리아국 (이전의 시리아 연방에서)
대레바논
알라위국
자발 드루즈국
하타이주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공식 명칭 (아랍어)انتداب فرنسي على سوريا (Intidab Fransī ʻAla Sūriyā)
공식 명칭 (프랑스어)Mandat français en Syrie
건국 시기1920년
멸망 시기1946년
이전 국가오스만 제국
계승 국가시리아 제1공화국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국기 (1920년)
국기
수도다마스쿠스
공용어아랍어, 프랑스어
국가حماة الديار (Ḥumāt ad-Diyār, 조국을 지키는 자들이여)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와 레바논 지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레바논 지도
현재 국가시리아
레바논
튀르키예
변천사프랑스 위임통치 (1920년)
독립 선언1944년
독립 승인1946년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1918년 에드먼드 앨런비 경이 이끄는 영국군이 다마스쿠스에 입성했고,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 파이살 1세가 이끄는 아랍 반란 군대가 동행했다. 파이살은 다마스쿠스에 아랍 정부를 수립하고,[8] 알리 리카비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다.

1918년의 시리아 왕국


새로운 아랍 행정부는 주요 시리아 도시에 지방 정부를 구성하고, 범아랍 깃발을 시리아 전역에 게양했다. 아랍인들은 영국과의 약속을 믿고 알레포에서 아덴까지 이르는 광대한 아랍 국가를 희망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9] 시리아를 분할 점령하기로 합의했다. 앨런비 장군은 아랍 행정부에 시리아 내륙(동부 지역)만을 할당했고, 팔레스타인(남부 지역)은 영국이 차지했다. 1918년 10월 8일, 프랑스군은 베이루트에 상륙하여[10] 나쿠라까지의 레바논 해안 지역(서부 지역)을 점령하고 영국군을 대체했으며, 이 지역의 지방 아랍 정부를 해산했다.

1919년의 시리아 국민 회의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완전한 이행을 요구하며 시리아 전체를 자국 통치하에 두려 했다. 1919년 11월 26일, 영국군은 프랑스와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했다.[11] 파이살은 유럽을 방문하여 프랑스와 영국의 입장을 바꾸려 했으나 실패했고, 앙리 구로 장군이 시리아 및 킬리키아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면서 프랑스의 시리아 개입 의지가 확고해졌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파이살은 더욱 약한 입장에 놓였다.

1919년 5월, 시리아 국민 회의 선거가 치러져 보수파가 80%의 의석을 차지했다. 소수파에는 아랍 민족주의 인물들이 포함되었고, 의장은 온건 민족주의자 하심 알-아타시였다. 1919년 6월, 미국의 킹-크레인 위원회가 시리아의 미래에 대한 여론을 조사하기 위해 시리아를 방문했다. 위원회는 시리아인들이 위임 통치와 발포어 선언에 반대하며, 대시리아를 요구한다는 것을 확인했지만,[12] 영국과 프랑스는 이를 무시했다.[1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위임 통치령(시리아 포함)의 인장. 1925년경. 텍스트는 'DOUANES DES ÉTATS SOUS MANDAT FRANÇAIS'(프랑스 위임 통치령 하의 국가 관세)


파이살이 조르주 클레망소 프랑스 총리와 타협하자 시리아에서 불안이 발생했고,[14][15] 하심 왕조 반대 시위와 레바논 산 주변 무슬림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1920년 3월, 시리아 국민 회의는 파이살-클레망소 협정을 거부하고 시리아의 독립을 선포하며 파이살을 왕으로 추대했다. 파이살은 알리 리카비에게 정부 구성을 요청했고,[16] 의회는 이라크와의 연합 및 독립도 요구했다.

1920년 4월 25일, 세브르 조약을 제정하던 연합국 최고 회의는 프랑스에 시리아 위임 통치령(레바논 포함)을, 영국에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트란스요르단 포함)과 이라크를 부여했다. 시리아인들은 격렬히 시위했고, 1920년 5월 7일 하심 알-아타시가 이끄는 새 정부가 구성되어 징병을 결정하고 군대 창설을 시작했다.[17]

1935년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리아 및 레바논의 인구 지도


이러한 결정은 프랑스와 마론파 레바논 산 총대주교청의 반발을 일으켰고, 기독교 언론은 파이살 정부를 비난했다. 레바논 민족주의자들은 1920년 3월 22일 바브다에서 회의를 소집하여 레바논의 독립을 선포했다.[18]

2. 1. 오스만 제국 통치 하의 시리아



1920년 8월 3일, ''프랑스령 시리아 및 레바논 최고 위원부''의 Arrêté 299호는 하스바야, 라샤야, 마알라카, 바알베크의 카자를 당시 레바논 자치 지역으로 알려진 지역에 연결했다. 그 후 1920년 8월 31일, 구로 장군은 대레바논을 구분하는 Arrêté 318호에 서명했으며, 레바논은 시리아의 나머지 지역과 별도로 취급될 것이라는 설명이 포함되었다.[24] 1920년 9월 1일, 구로 장군은 베이루트에서 열린 의식에서 대레바논 (État du Grand Liban|에타 뒤 그랑 리방프랑스어, دولة لبنان الكبير|다울라트 루브난 알카비르ar)의 창설을 공개적으로 선포했다.[25]

구라드 장군이 대레바논의 창설을 선포한다


대레바논은 프랑스가 마론파 인구를 위해 만든 "안전한 피난처"가 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마론파가 다수인 지역인 레바논 산지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다양한 수준의 자치권을 누렸다. 그러나 마론파 무타사리피아 외에도 주로 무슬림 지역이 추가되어 "대" 레바논을 형성했다. 이 지역은 오늘날 북 레바논, 남 레바논, 레바논 계곡, 베이루트에 해당한다.[26] 대레바논의 수도는 베이루트였다. 새로운 국가는 프랑스 국기와 레바논의 삼나무를 결합한 국기를 부여받았다.[27]

마론파는 레바논의 다수였으며 독립을 유지했다. 레바논은 아랍 세계에서 독특한 선례를 만들었는데, 기독교인이 소수가 아닌 최초의 아랍 국가였기 때문이다. 대레바논은 1926년 5월 23일까지 존재했으며, 그 후 레바논 공화국이 되었다.[28]

대레바논의 대부분의 무슬림은 창설 당시 이 새로운 국가를 거부했다. 일부는 시리아와의 재통합을 요구하는 무슬림의 지속적인 요구가 결국 1958년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무력 충돌을 가져왔다고 믿고 있는데, 당시 레바논 무슬림은 새로 선포된 아랍 연합 공화국에 합류하려 했고, 레바논 기독교인은 강력히 반대했다.[29] 그러나 레바논 무슬림 공동체와 그들의 정치 엘리트의 대부분은 1930년대 후반까지 레바논 시민이 된다는 생각에 전념했고, 아랍 민족주의적 정서를 키우는 경향도 있었다.

#넘겨주기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아랍 반란

제1차 세계 대전오스만 제국동맹국으로 참전하면서 중동 지역의 정세가 급변했다. 영국헤자즈후세인 빈 알리후세인-맥마흔 서한을 통해 아랍의 독립을 약속하는 한편, 프랑스와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중동 지역을 분할 점령하기로 합의했다.

1918년,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다마스쿠스에 입성했고,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 파이살이 이끄는 아랍 반란 군대가 동행했다. 파이살은 다마스쿠스에 아랍 정부를 수립하고,[8] 알리 리카비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다.

새로운 아랍 행정부는 주요 시리아 도시에 지방 정부를 구성하고 범아랍 깃발을 게양했다. 아랍인들은 영국과의 약속을 믿고 알레포에서 아덴까지 이르는 광대한 아랍 국가의 독립을 희망했다.

그러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9] 앨런비 장군은 아랍 행정부에 시리아 내륙 지역(동부 지역)만을 할당했다. 팔레스타인(남부 지역)은 영국이, 베이루트를 포함한 레바논 해안 지역(서부 지역)은 프랑스가 점령했다.[10] 프랑스는 이 지역의 지방 아랍 정부를 즉시 해산했다.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완전한 이행을 요구하며 시리아 전체를 자국 통치하에 두려 했다. 1919년 11월 26일, 영국군은 프랑스와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했다.[11]

2. 3. 점령 적국 영토 행정부 (OETA) 설치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영국과 프랑스는 점령 적국 영토 행정부(OETA)를 설치하여 중동 지역을 분할 점령했다.[49] OETA는 셋으로 나뉘었는데, 그중 OETA 동부는 시리아 내륙과 트란스요르단을 포함했으며,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의 부하 알리 리자 엘=리카비ar가 통치했다.[49] 파이살[50]을 수반으로 하는 아랍 정부가 수립되었는데,[49] 이 정부는 시리아를 기반으로 삼고자 했던 파이살에 의해 시리아인 중심으로 구성되었다.[51]

그러나 프랑스는 시리아를 자국의 세력권으로 간주하고 아랍 정부를 적대시했다.[52]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영국으로부터 시리아에서의 권익을 인정받기 위해, 모술 지방의 권리를 포기하고 팔레스타인에서 영국의 독점적 지위를 승인하는 거래를 했다.[53]

1919년 1월, 파리 강화 회의에서 파이살은 오스만 제국령 아랍 지역의 독립과 주권 승인을 요구했으나, 프랑스는 시리아에서의 권익 확보를 굽히지 않았다.[54][55]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4개국이 주민 의향 조사를 위한 위원회를 설치했지만,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불참하여 미국 대표 2명으로만 위원회가 구성되었다.[56] 1919년 6월, 위원회는 현지 조사를 시작했다.[56]

같은 해 4월, 파이살은 귀국했고 6월에는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전 시리아 의회가 개최되었다. 의회는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시리아의 주권과 파이살을 국왕으로 하는 입헌 군주제 국가로의 독립을 의결했다.[56]

1919년 8월, 미국 대표 2명의 조사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보고서는 팔레스타인레바논을 포함한 시리아를 파이살을 국왕으로 하는 단일 입헌 군주제 국가로 하고, 일정 기간 미국 또는 영국의 위임 통치를 받도록 제안했다. 단, 레바논은 기독교도의 자치를 인정하도록 했다.[57]

프랑스는 이 보고서를 영국의 음모라고 비난했고, 영국은 프랑스와의 관계 악화 및 시리아 주둔 경비를 우려했다.[58] 결국 영국은 1919년 9월, 11월에 시리아에서 철수하고, 서부는 프랑스군, 동부는 아랍군에 맡기기로 결정했다.[58] 프랑스는 9월에 시리아 파병을 시작했다.[58] 파이살은 런던에서 이 통보에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프랑스와의 협상을 통해 조건부로 시리아 내륙부에서의 아랍 정부 승인을 얻어냈다.[58]

1920년 1월, 파이살이 귀국하자 시리아 지도자들은 프랑스의 조건을 거부하고 완전 독립을 요구했으며, 파이살도 이에 동조했다.[60] 같은 달, 시리아 각지에서 무장 봉기가 발생하며 프랑스-시리아 전쟁영어이 시작되었다.

3. 시리아 아랍 왕국 (1918-1920)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1918년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이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 헤자즈의 왕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 파이살이 이끄는 아랍 반란 군대도 함께였다. 파이살은 1918년 10월 다마스쿠스에 최초의 전후 아랍 정부를 수립하고,[8] 알리 리카비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다.

새로운 아랍 행정부는 주요 시리아 도시에 지방 정부를 구성하고, 범 아랍 깃발을 시리아 전역에 게양했다. 아랍인들은 영국과의 이전 약속을 믿고, 새로운 아랍 국가가 시리아 북부 알레포에서 남부 예멘아덴까지 모든 아랍 영토를 포함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었고,[9] 앨런비 장군은 아랍 행정부에 시리아 내륙 지역(동부 지역)만을 할당했다. 팔레스타인(남부 지역)은 영국에 할당되었다. 1918년 10월 8일, 프랑스군은 베이루트에 상륙하여[10] 나쿠라까지의 레바논 해안 지역(서부 지역)을 점령하고 영국군을 대체했다. 프랑스는 즉시 이 지역의 지방 아랍 정부를 해산했다.

1919년 11월 26일, 영국군은 프랑스와의 대립을 피하고자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했고, 아랍 정부는 프랑스에 맞서게 되었다.[11] 파이살은 1918년 11월 이후 여러 차례 유럽을 방문하여 프랑스와 영국의 입장을 바꾸려 했으나 실패했다. 앙리 구로 장군이 시리아 및 킬리키아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면서 프랑스의 시리아 개입 의지가 확고해졌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파이살은 유럽 열강이 아랍인들에게 한 약속을 저버리기로 결정하면서 더욱 약해졌다.

1919년 5월, 다마스쿠스에서 시리아 국민 회의를 위한 선거가 치러졌다. 의석의 80%는 보수파가 차지했지만, 자밀 마르담 베이, 슈크리 알-쿠와틀리 등 아랍 민족주의 인사들도 소수파에 포함되었다. 의장은 온건 민족주의자 하심 알-아타시였다.

1919년 6월, 미국의 킹-크레인 위원회가 시리아에 도착하여 지역 여론을 조사했다. 위원회는 알레포에서 브엘세바까지 36개 도시를 방문하여 3,000개 이상의 청원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시리아인들은 위임 통치와 발포어 선언에 반대하며, 팔레스타인을 포함하는 통일된 대시리아를 요구했다.[12] 그러나 위원회의 결론은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무시되었다.[13]

파이살이 프랑스 총리 클레망소와 타협하자 시리아에서 불안이 발생했다.[14][15] 하심 왕조 반대 시위가 일어났고, 레바논 산 주변 무슬림 주민들은 대레바논에 편입될 것을 두려워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3. 1. 시리아 국민 회의와 독립 선언

1921년 프랑스-터키 조약 제7조에 따라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시리아 내 자치주가 되었으며, 이 지역의 튀르크인 거주자는 문화 발전을 위한 편의를, 튀르크어는 공용어 지위를 보장받았다.[36] 1923년 알렉산드레타는 알레포 주에 편입되었고, 1925년에는 특별 행정 지위를 유지한 채 시리아 프랑스 위임통치령에 직접 편입되었다.

1937년 11월, 국제 연맹의 중재로 산자크는 자치권을 얻었다. 외교적으로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와 '분리되지는 않았지만 구별'되었으며, 방위 문제는 프랑스와 터키 양국과 연계되었다.

1938년, 터키군은 시리아 주에 진입하여 대부분의 알라위 아랍인과 아르메니아인 거주자를 추방했다.[37] 이전에는 이들이 알렉산드레타 인구의 다수를 차지했었다.[37] 같은 해 9월 2일, 의회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하타이주로 선포했다.[38] 아타튀르크가 '하타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며, 정부는 터키의 통제를 받았다. 1939년 국민 투표를 거쳐 하타이주는 터키의 주가 되었다.

3. 2. 프랑스와의 갈등과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년 3월 8일, 시리아 의회는 팔레스타인레바논을 포함한 전 시리아가 파이살 1세를 국왕으로 하는 입헌 군주제 국가로서 독립할 것을 재선언했다.[60] 그러나 1920년 4월 산레모 회의에서 시리아는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결정되었고,[60][61] 시리아 의회는 이에 반발하여 5월에 완전 독립 요구와 위임 통치 거부를 결의했다.[60]

1920년 7월 초, 레바논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군은 다마스쿠스를 향해 진군하며 파이살에게 위임 통치 수락 등을 요구했다.[62] 파이살은 독립을 주장하며 격렬하게 반발하는 의회를 해산하고 프랑스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62]

1920년 7월 23일 마이살룬 전투가 벌어졌고, 같은 날 프랑스군은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62] 1920년 7월 28일 프랑스군은 파이살을 다마스쿠스에서 추방했고, 파이살은 이탈리아로 피신했다.[62]

4. 프랑스 위임 통치 (1920-1946)

오스만 제국이 시리아에서 패배한 후, 1918년 에드먼드 앨런비 경이 이끄는 영국군이 다마스쿠스에 진입했고, 헤자즈의 왕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 파이살이 이끄는 아랍 반란 군대가 동행했다.[8] 파이살은 1918년 10월 다마스쿠스에 최초의 전후 아랍 정부를 수립하고, 알리 리카비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다.

새로운 아랍 행정부는 주요 시리아 도시에 지방 정부를 구성하고, 범 아랍 깃발을 시리아 전역에 게양했다. 아랍인들은 영국과의 약속을 믿고 새로운 아랍 국가가 알레포에서 아덴까지 뻗어 있는 모든 아랍 영토를 포함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9] 영국은 아랍 행정부에 시리아 내륙 지역(동부 지역)만을 할당했다. 팔레스타인(남부 지역)은 영국이, 베이루트를 포함한 레바논 해안 지역(서부 지역)은 프랑스가 차지했다.[10] 프랑스는 이 지역의 지방 아랍 정부를 즉시 해산했다.

프랑스는 시리아를 자국 통치하에 두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완전한 이행을 요구했다. 1919년 11월, 영국군은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했고, 아랍 정부는 프랑스에 맞서야 했다.[11] 파이살은 유럽을 방문하여 프랑스와 영국을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앙리 구로 장군이 시리아 및 킬리키아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면서 프랑스의 시리아 개입 의지가 확고해졌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파이살은 더욱 약한 입장에 놓였다.

1919년 5월, 시리아 국민 회의 선거가 치러졌고, 보수파가 80%의 의석을 차지했다. 하심 알-아타시가 의장을 맡았다.

1919년 6월, 미국의 킹-크레인 위원회가 시리아에 도착하여 지역 여론을 조사했다. 위원회는 시리아인들이 위임 통치와 발포어 선언에 반대하며, 통일된 대시리아를 요구한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무시되었다.[12][13]

파이살이 클레망소와 타협하자 시리아에서 불안이 발생했다.[14][15] 하심 왕조 반대 시위와 레바논 산 주변 무슬림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1920년 3월, 다마스쿠스에서 열린 의회는 파이살-클레망소 협정을 거부하고 시리아의 독립을 선포했다. 파이살을 왕으로, 알리 리카비를 총리로 추대했다. 의회는 이라크와의 연합도 선포했다.

1920년 4월 25일, 연합국 최고 회의는 프랑스에 시리아 위임 통치령(레바논 포함)을 부여했다. 시리아인들은 격렬히 항의했고, 1920년 5월 7일 하심 알-아타시가 이끄는 새 정부가 구성되어 징병을 결정하고 군대를 창설하기 시작했다.[17]

이러한 결정은 프랑스와 마론파 레바논 산 총대주교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베이루트의 기독교 언론은 파이살 정부에 적대감을 표명했고, 레바논 민족주의자들은 1920년 3월 22일 바브다에서 회의를 소집하여 레바논의 독립을 선포했다.[18]

1920년 7월 14일, 구로 장군은 파이살에게 최후 통첩을 보냈고, 파이살은 협력하기로 했다.[19] 그러나 국방 장관 유세프 알-아즈마는 거부했다. 프랑스-시리아 전쟁에서 시리아 군대는 마이살룬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패배했고, 아즈마는 전사했다.[20] 1920년 7월 24일 프랑스군은 다마스쿠스를 점령했고, 1922년 7월 24일 런던에서 위임 통치령이 작성되었다.[5]

''Bulletin Officiel des Actes Administratifs du Haut Commissariat'', 1930년 5월 14일, 시리아와 레바논의 프랑스 위임 통치령 내 국가의 헌법을 발표함

4. 1. 위임 통치 체제와 행정 구역 분할

1921년부터 1922년까지 프랑스 위임 통치령의 국가들을 보여주는 지도


프랑스는 레바논에 도착했을 때 기독교 공동체로부터 해방자로 환영받았지만, 시리아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령 시리아는 다음과 같이 6개의 주로 분할되었다.

이러한 주의 경계는 시리아의 종파적 지형을 일부 반영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리아 종파들은 프랑스 위임 통치와 그로 인한 분할에 적대적이었으며, 이는 프랑스가 모든 시리아 주에서 겪었던 수많은 반란에서 나타났다. 반면, 마론파 기독교인들은 레바논 산에서 프랑스 통치하에 독립을 꿈꾸었기에, 대 레바논은 다른 주들과 달리 예외적인 상황이었다.

프랑스는 1920년부터 1923년까지 3년 동안 시리아를 완전히 통제하고, 특히 알라위트 지역, 자발 알-드루즈, 알레포에서 발생한 모든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프랑스는 레반트의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에게 자체적인 토지를 제공하여 통치를 연장하고자 했다. 이는 식민 통치를 종식시키려는 시리아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를 완화하기 위해 이 지역의 다양한 집단을 분열시키려는 의도였다. 주 정부의 행정은 프랑스에 의해 철저히 통제되었고, 지방 당국은 거의 권한이 없었으며 정책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권한이 없었다. 지방 지도자들이 가진 소량의 권력은 프랑스 관리들에 의해 쉽게 무시될 수 있었다. 프랑스는 레반트의 사람들이 자립적인 통치 기구를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다.[21]

1920년 9월 1일, 앙리 구로 장군은 대레바논과 알라위 국가를 창설한 다음 날, 칙령 330호를 통해 이전의 "다마스쿠스 정부"에서 알렉산드레타의 자치 산자크를 포함한 독립 정부인 "알레포 정부"를 분리했다. 이 지역은 행정 자치를 유지했다.[35] "알레포 정부"와 "다마스쿠스 정부"라는 용어는 "알레포 주"와 "다마스쿠스 주"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었다.

알레포 주(1920–1925)에는 다수의 수니파 무슬림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주는 시리아 북부와 시리아 동부의 비옥한 유프라테스강 유역 전체를 포함했다. 이 지역은 시리아의 농업 및 광물 자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자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1923년 알레포 주에 편입되었다. 수도는 알레포였으며, 이곳에는 수니파 무슬림 외에도 대규모 기독교 및 유대교 공동체가 있었다. 이 주는 또한 시아파 및 알라위 소수 민족을 포함했다. 쿠르드족아시리아인은 아랍인과 함께 동부 지역에 거주했다.

다마스쿠스 주는 1920년[41]부터 1925년까지 프랑스 위임 통치령이었다. 수도는 다마스쿠스였다.

알레포 주와 다마스쿠스 주의 주로 수니파 인구는 시리아의 분할에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1925년 프랑스가 알레포 주와 다마스쿠스 주를 시리아국으로 통합하면서 이 분할은 빠르게 종식되었다.

4. 2. 시리아 내 저항 운동과 민족주의

프랑스는 레바논에 도착하여 기독교 공동체로부터 해방자로 환영받았지만, 시리아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21] 위임 통치 지역은 다마스쿠스 주, 알레포 주, 알라위트, 자발 드루즈, 자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현대 하타이 주)로 나뉘었다.[21]

이러한 주의 경계는 부분적으로 시리아의 종파 지리를 기반으로 했다. 많은 시리아 종파들은 프랑스 위임 통치와 그로 인해 조성된 분열에 적대적이었으며, 이는 프랑스가 모든 시리아 주에서 겪었던 수많은 반란에서 나타났다.[21] 프랑스는 1920년부터 1923년까지 3년이 걸려 시리아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얻고 특히 알라위트 지역, 자발 알-드루즈 및 알레포에서 발생한 모든 반란을 진압했다.[21]

프랑스는 의도적으로 레반트의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에 자체적인 토지를 제공하여 통치를 연장하고자 했다. 프랑스는 식민 통치를 종식시키려는 시리아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를 완화하기 위해 이 지역의 다양한 집단을 분열시키기를 희망했다.[21] 주 정부의 행정은 프랑스에 의해 매우 지배되었고, 지방 당국은 권한이 거의 없었다.[21]

프랑스 식민 통치에 반발하여 시리아에서 발생한 1925년부터 1927년에 걸친 시리아 대반란에서 프랑스 측에 의해 교수형에 처해지는 3명의 반란군 병사


1920년 8월 10일 구 연합국이 오스만 제국세브르 조약을 체결했다. 1920년 9월, 프랑스의 구로 고등판무관에 의해 시리아 지역은 대레바논, 다마스쿠스국(자발 알 두루즈 지구 포함), 알레포국(산자크 알렉산드레타 포함) 및 알라위 자치 지구로 4분할되었다.[63]

1921년 5월 1일 자발 알 두루즈 지구가 별개의 국가로 분리되었다.[63]

알레포 주(1920–1925)에는 다수의 수니파 무슬림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주는 시리아 북부와 시리아 동부의 비옥한 유프라테스강 유역 전체를 포함했다. 이 지역은 시리아의 농업 및 광물 자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자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1923년 알레포 주에 편입되었다. 이 주는 또한 시아파 및 알라위 소수 민족을 포함했다. 쿠르드족아시리아인은 아랍인과 함께 동부 지역에 거주했다.

다마스쿠스 주는 1920년부터[41] 1925년까지 프랑스 위임 통치령이었다.

알레포 주와 다마스쿠스 주의 주로 수니파 인구는 시리아의 분할에 강하게 반대했다. 이로 인해 1925년 프랑스가 알레포 주와 다마스쿠스 주를 시리아국으로 통합하면서 이 분할은 빠르게 종식되었다.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알자지라주에서는 일부 아시리아인, 쿠르드족을 중심으로 자치주의적 움직임이 있었으며, 일부 베두인이 이를 지지했다. 이들은 시리아 독립 시 프랑스군이 주에 잔류하기를 원했는데, 이는 민족주의적인 다마스쿠스 정부가 소수 민족 출신 관리들을 수도 출신의 무슬림 아랍인으로 교체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당국은 시리아 내에서 어떤 새로운 자치 지위도 고려하는 것을 거부했다.[42][43][44]

4. 3. 시리아 공화국 수립과 독립 운동

1930년 5월 14일, 시리아국시리아 공화국(1930년-1958년)으로 전환되었다.[63] 1932년 6월 11일에는 :en:Muhammad Ali al-Abid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34년, :en:Muhammad Ali al-Abid는 프랑스와 독립 교섭을 시작했지만, 프랑스 측의 조건에 :en:Hashim al-Atassi 등이 반대하였다. 1936년, :en:Hashim al-Atassi의 호소로 1월 20일부터 3월 6일까지 :en:1936 Syrian general strike가 일어났다. 3월 22일부터 파리에서 :en:Hashim al-Atassi가 프랑스와 협상(3월~9월)을 진행하였으나, 교섭 과정에서 히틀러의 위협(3월 7일, 라인란트 진주)으로 인해 9월 프랑스가 비준을 거부하였다.[63] 9월 27일, :en:Hashim al-Atassi는 시리아로 귀국하였고, 11월 선거에서 승리하였다. 12월 3일, 알라위파 국가(라타키아)와 두루즈파 국가(에드 두르즈)가 시리아 공화국에 병합되었으며, 12월 21일 :en:Hashim al-Atassi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38년 9월 7일, 알렉산드레타 자치 지구가 하타이국(1938년-1939년, 현 터키 공화국 하타이주)로 독립하였다.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게 패배하면서 시리아 주둔 프랑스군은 친독 정권인 비시 정부에 동조하였다. 이에 추축국 측에서 중동에 전개하는 영국군과 대치하게 되었다. 1941년, 영국은 시리아 작전을 전개하여 영국군, 오스트레일리아군, 영국령 인도 제국군, 자유 프랑스군이 시리아의 각 도시를 공격하였다. 영국군이 베이루트 시내에 육박한 1941년 7월 12일, 영국과 자유 프랑스, 비시 정권 사이에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64]

1946년 4월 17일, 프랑스군이 시리아에서 철수하면서 시리아 공화국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5. 제2차 세계 대전과 시리아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알자지라주에서는 아시리아인, 쿠르드족 일부가 자치주의적 움직임을 보였고, 베두인 일부도 이를 지지했다.[42][43][44] 이들은 시리아가 독립할 때 프랑스군이 주에 남기를 바랐는데, 민족주의 성향의 다마스쿠스 정부가 소수 민족 출신 관리들을 수도 출신의 무슬림 아랍인으로 교체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당국은 시리아 내 어떠한 새로운 자치 지위도 고려하지 않았다.

5. 1. 영국군의 시리아-레바논 작전

1941년 영국군자유 프랑스군은 시리아-레바논 작전(시리아 작전)을 전개하여 비시 프랑스군과 전투를 벌였다. 전투 이후 비시 프랑스군은 항복하였고, 양측은 정전 협정을 체결하였다.

5. 2. 시리아의 독립

1946년 프랑스군이 시리아에서 철수하면서 시리아 공화국은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5]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자유 프랑스가 시리아를 점령한 후, 영국의 압력으로 이루어진 결과였다.

6. 위임 통치 이후의 시리아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정당
알라딘 알-드루비1920년 7월 28일1920년 8월 21일
자밀 알-울시1920년 9월 4일1920년 11월 30일


6. 1. 독립 이후 시리아의 정치적 혼란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알자지라주에서는 아시리아인, 쿠르드족을 중심으로 자치주의적 움직임이 있었으며, 일부 베두인이 이를 지지했다.[42][43][44] 이들은 시리아 독립 시 프랑스군이 주에 잔류하기를 원했는데, 이는 민족주의적인 다마스쿠스 정부가 소수 민족 출신 관리들을 수도 출신의 무슬림 아랍인으로 교체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당국은 시리아 내에서 어떤 새로운 자치 지위도 고려하는 것을 거부했다.[42]

6. 2. 시리아 내전으로의 연결

프랑스 위임 통치 시기부터 이어진 종교적, 민족적 갈등과 권위주의 통치는 2011년 발발한 시리아 내전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알자지라주에서는 아시리아인쿠르드족을 중심으로 자치주의적 움직임이 있었고, 일부 베두인이 이를 지지했다.[42][43][44] 이들은 시리아가 독립할 때 프랑스군이 주에 남아있기를 원했다. 민족주의적인 다마스쿠스 정부가 소수 민족 출신 관리들을 수도 출신의 무슬림 아랍인으로 교체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랑스 당국은 시리아 내에서 어떠한 새로운 자치 지위도 고려하는 것을 거부했다.[42][43][44]

7. 주요 인물

파이살 1세는 헤자즈의 왕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로, 1918년 다마스쿠스에 진입하여 최초의 전후 아랍 정부를 수립했다.[8] 1920년 3월, 시리아의 독립을 선포하고 왕으로 추대되었으나,[16] 같은 해 7월 구로 장군의 최후통첩에 따라 프랑스-시리아 전쟁이 발발, 마이살룬 전투에서 패배하고 다마스쿠스가 점령되었다.[5][19]

앙리 구로 장군은 시리아 및 킬리키아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어 프랑스의 시리아 개입 의지를 드러냈으며,[11] 1920년 7월 파이살에게 최후통첩을 보냈다.[19]

유수프 알-아즈마는 시리아 국방부 장관으로, 마이살룬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20]

하심 알아타시는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시리아 대통령직을 수행한 국민 블록 소속 정치인이다.[34]

7. 1. 파이살 1세

파이살 1세는 헤자즈의 왕 후세인 빈 알리의 아들로, 아랍 반란 군대를 이끌고 1918년 다마스쿠스에 진입하여 최초의 전후 아랍 정부를 수립했다.[8] 그는 알리 리카비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다.

새로운 아랍 행정부는 주요 시리아 도시에 지방 정부를 구성하고 범 아랍 깃발을 시리아 전역에 게양했다. 그러나 영국프랑스 간의 비밀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9] 앨런비 장군은 아랍 행정부에 시리아 내륙 지역(동부 지역)만을 할당했다. 1919년 11월 26일, 영국군은 프랑스와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 다마스쿠스에서 철수하여 아랍 정부가 프랑스에 맞서도록 했다.[11]

파이살은 1918년 11월 이후 여러 차례 유럽을 방문하여 프랑스와 영국이 입장을 바꾸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유럽 열강이 아랍인들에게 한 약속을 저버리기로 결정하면서 실패했다.

1920년 3월, 다마스쿠스에서 열린 의회는 시리아의 독립을 선포하고 파이살을 왕으로 추대했다. 파이살은 알리 리카비에게 정부를 구성하도록 요청했다.[16] 그러나 1920년 7월 14일, 구로 장군은 파이살에게 최후 통첩을 발동하여 복종 또는 퇴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19] 파이살은 협력하기로 선택했지만, 국방부 장관 유세프 알-아즈마는 이에 따르기를 거부했다. 프랑스-시리아 전쟁의 결과, 마이살룬 전투에서 시리아 군대는 프랑스군에 패배했고, 아즈마는 전사했다.[20] 1920년 7월 24일, 프랑스군은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5]

이름재위 시작재위 종료
파이살 1세1920년 3월 8일1920년 7월 28일


7. 2. 앙리 구로

앙리 구로 장군은 시리아 및 킬리키아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어 시리아 개입에 대한 프랑스의 의지를 드러냈다.[11] 1920년 7월 14일, 구로 장군은 파이살에게 복종 또는 퇴위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19] 그는 1919년 11월 26일부터 1922년 11월 23일까지 레반트 최고 판무관직을 역임했다.

7. 3. 유수프 알-아즈마

유수프 알-아즈마는 시리아의 국방부 장관으로, 프랑스-시리아 전쟁 중 마이살룬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20] 그는 시리아 군대와 베두인 기병, 민간 자원병으로 구성된 부대를 이끌었으나, 마리아노 고베 장군이 지휘하는 12,000명의 프랑스군에 패배했다.[20]

7. 4. 살리 알-알리

주어진 원본 소스는 '알자지라주'에 대한 내용이고, '살리 알-알리'에 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살리 알-알리' 섹션에는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으므로, 주어진 원본 소스와 요약, 섹션 제목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없다.

7. 5. 하심 알아타시

하심 알아타시는 1936년 12월 21일부터 1939년 7월 7일까지 시리아의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그는 국민 블록 소속이었다.[34]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정당
무함마드 알리 베이 알아비드1932년 6월 11일1936년 12월 21일
하심 알아타시 (1차)1936년 12월 21일1939년 7월 7일국민 블록


8. 주요 사건

1920년 프랑스-시리아 전쟁에서 마이살룬 전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8. 1. 마이살룬 전투

프랑스-시리아 전쟁의 결정적 전투였던 마이살룬 전투는 1920년 7월, 유세프 알-아즈마가 이끄는 시리아군과 마리아노 고베 장군이 지휘하는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졌다. 시리아군은 얼마 남지 않은 병력과 베두인 기병, 민간 자원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프랑스군은 12,000명의 잘 훈련된 병력이었다. 힘의 균형이 불리함을 인지한 파이살 왕은 프랑스에 협력하기로 결정했지만, 아즈마는 이를 거부하고 전투를 강행했다.[19]

전투는 하루도 채 되지 않아 프랑스군의 승리로 끝났다. 아즈마는 많은 시리아 군인들과 함께 전사했고,[20] 살아남은 병력은 뿔뿔이 흩어졌다. 1920년 7월 24일, 프랑스군은 저항 없이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5] 이 전투의 패배로 시리아는 프랑스의 위임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evant | Meaning, Countries,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5
[2]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45,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II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3] 간행물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1922-08
[4] 논문 The Mandate System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zenodo.org/r[...] 1921-01-01
[5] 서적 The Mandates System Longmans, Green and Co.
[6] 웹사이트 11. French Syria (1919-1946) http://uca.edu/polit[...] 2017-01-25
[7] 서적 Syria Infobase Publishing
[8] 서적 Faisal I of Iraq Yal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 The Sykes-Picot Agreement : 1916 http://avalon.law.ya[...] 2017-01-25
[10]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Routledge
[11] 서적 British Pan-Arab Policy, 1915-1922 Transaction Publishers
[12] 웹사이트 King-Crane Commission Report: Index http://www.hri.org/d[...] 2017-01-25
[13] 논문 Faisal and the Lebanese question, 1918–20 2006-12-06
[14] 서적 Faisal I of Iraq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4
[15] 서적 Resolutions of the General Syrian Congress: Syria, July 2, 1919 https://bcc-cuny.dig[...] Yale University Press 2017-01-25
[16] 서적 Urban Notables and Arab Nationalism: The Politics of Damascus 1860–19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Urban Notables and Arab Nationalism: The Politics of Damascus 1860–19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Politics of National Celebrations in the Arab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Faisal I of Iraq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Steel & Silk: Men and Women who Shaped Syria, 1900–2000 Cune Press
[21]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22] 서적 Inventing Lebanon: Nationalism and the State Under the Mandat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3-02-08
[23] 서적 The Origins of the Lebanese National Idea: 1840–192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01-19
[24] 문서 Haut-commissaria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en Syrie et au Liban, Arrete 318: "Attendu que la France en venant en Syrie n'a poursuivi d'autre but que celui de permettre aux populations de la Syrie et du Liban de réaliser leurs aspirations les plus légitimes de liberté et d'autonomie; Considérant qu'il importe, pour le faire, de restituer au Liban ses frontières naturelles telles qu'elles ont été définies par ses représentants et réclamées par les vœux unanimes de ses populations; Que le Grand Liban, ainsi fixé dans ses limites naturelles, pourra poursuivre en tant qu'État indépendant, au mieux de ses intérêts politiques et économiques, avec l'aide de la France le programme qu'il s'est tracé." [Translation: "Whereas France on coming to Syria has pursued no other aim than to enable the populations of Syria and Lebanon to realize their most legitimate aspirations for freedom and autonomy; Considering that it is important, in order to do so, to restore to Lebanon its natural boundaries as defined by its representatives and demanded by the unanimous wishes of its peoples; That Great Lebanon, so set within its natural limits, will be able to pursue, as an independent State, in the best interests of it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with the help of France the program it has drawn up."]
[25] 서적 The Long Peace: Ottoman Lebanon, 1861-192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Religion, National Identity, and Confessional Politics in Lebanon: The Challenge of Islamism Springer
[27] 웹사이트 French Mandate of Greater Lebanon 1920-1943 (Lebanon) http://www.crwflags.[...] 2017-01-25
[28] 웹사이트 MICHEL CHIHA - STATEHOOD http://www.michelchi[...] 2017-01-25
[29] 웹사이트 https://www.sav.sk/j[...] 2017-01-17
[30] 문서 Arrêté 314, 19 August 1920: "...des modifications territoriales apportées aux diverses circonscriptions administratives de la wilayet de Beyrouth en vue de la formation des territoires du Grand Liban et des monts Ansarieh" [Translation: "territorial changes made to the variou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wilayet of Beirut with a view to the formation of the territories of Greater Lebanon and the Ansarieh Mountains"]
[31] 문서 Arrêté 317, 31 August 1920: "que le caza d'Omranié (Massyaf), dépendance de la wilayet de Damas, est peuplé en très grande majorité de populations alaouites et que ce caza doit en conséquence faire partie du groupement Ansarieh actuellement en voie d'organisation" [Translation: "the caza of Omranie (Massyaf), a dependency of the wilayet of Damascus, is overwhelmingly populated by Alaouite populations and that this caza must consequently be part of the Ansarieh grouping currently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
[32] 문서 Arrêté 319, 31 August 1920: "Attendu que la France en venant en Syrie n'a poursuivi d'autre but que celui de permettre aux populations de réaliser leurs aspirations les plus légitimes de liberté et d'autonomie. Considérant que les populations alaouites et les minorités qu'elles renferment ont nettement exprimé à maintes reprises leur désir d'avoir une administration autonome sous l'égide de la France. Que, pour ce faire, il importe de constituer un territoire groupant la majorité de ces populations pour leur permettre de poursuivre leur développement au mieux de leurs intérêts politiques et économiques selon les vœux qu'elles ont exprimés." [Translation: "Whereas France on coming to Syria has pursued no other goal than to enable the populations to realize their most legitimate aspirations for freedom and autonomy. Considering that the Alawite populations and the minorities they contain have clearly expressed their desire to have an autonomous administration under the auspices of France.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territory for the majority of these populations to enable them to pursue their development in the best interests of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expressed by them."]
[33] 서적 Middle East and Afric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Routledge
[34] 문서 Arrêté 265/LR of 2 December 1936 and Arrêté 274/LR of 5 December 1936 incorporated Jebel Druze and the Alawite State into Syria. Both used similar wording: "le territoire du Djebel Druze fait partie de l'État de Syrie... ce territoire bénéficie, au sein de l'État de Syrie, d'un régime spécial administratif et financier... sous réserve des dispositions de ce règlement, le territoire du Djebel Druze est régi par la Constitution, les lois et les règlements généraux de la République syrienne... le présent arrêté... entreront en vigueur... dès ratification du traité franco-syrien" [Translate: "The territory of Djebel Druze is part of the State of Syria ... this territory enjoys, within the State of Syria, a speci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gime ...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territory of Djebel Druze is governed by the Constitution, the laws and general regulations of the Syrian Republic ... this Order ... shall enter into force ... upon ratification of the Franco-Syrian Treaty ".]
[35] 문서 Arrêté 330, 1 September 1920: "...les territories de l'ancien Vilayet d'Alep, précédemment rattachés au Gouvernement de Damas, constitueront un Gouvernement indépendant dénomm "Gouvernement d'Alep"" [Translate: "...the territories of the former Vilayet of Aleppo, formerly attached to the Government of Damascus, will constitute an independent Government called "Government of Aleppo""] Attendu que la France en acceptant le mandat sur la Syrie n'a poursuivi d'autre but que celui de permettre aux populations de réaliser leurs aspirations légitimes de liberté et d'autonomie, tout en assurant la libre jeu et le développement des intérêts économiques communs. Attendu qu'il importe, pour ce faire, de respecter, conformément aux engagements du 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les volontés populaires librement exprimées et, en conséquence, de prendre en considération les vœux des populations des régions de la wilayet d'Alep et encore rattachées au gouvernement de Damas; Attendu qu'il est nécessaire de mettre fin, en même temps, à une situation de fait qui, par une centralisation excessive et désormais inutile, complique l'administration du gouvernement de Damas et entrave la bonne marche des affaire de la circonscription administratives d'Alep." [Translate: "Whereas France accepting the mandate over Syria has pursued no other aim than to enable the people to realize their legitimate aspirations for freedom and autonomy, while ensuring the free play and development of economic interests common. Whereas it is important, in order to do so, to respect, in accordance with the commitments of th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the freely expressed popular will, and consequentl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wishes of the populations of the wilayet regions of Aleppo, still attached to the government of Damascus; Whereas it is necessary at the same time to put an end to a situation which, by excessive and unnecessary centralization, complicates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of Damascus and hampers the smooth running of the affair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Aleppo."
[36] 서적 Fezzes in the River: Identity Politics and European Diplomacy in the Middle East on the Eve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2011
[37] 서적 Ident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River System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38] 서적 Identity and Turkish Foreign Policy: The Kemalist Influence in Cyprus and the Caucasus I.B.Tauris 2010-12-18
[39] 문서
[40]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41] 웹사이트 11. French Syria (1919-1946) http://uca.edu/polit[...] 2017-01-17
[42] 간행물 La situation des chrétiens de Syrie après les affaires de Djézireh Centre d'Études et d'Administration Musulmanes (CHEAM), Paris 1937-11
[43] 간행물 "La questione dell'el-Ǧezīrah secondo il memoriale del Partito Comunista Siriano" 1938
[44] 간행물 "[http://remmm.revues.org/6481 Les territoires de marge de la Syrie mandataire : le mouvement autonomiste de la Haute Jazîra, paradoxes et ambiguïtés d’une intégration « nationale » inachevée (1936–1939)]" 2009-11
[45] 간행물 Les Tcherkesses 1938
[46] 서적 Syria and the French Mandate: The Politics of Arab Nationalism, 1920-1945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47] 서적 1987
[48] 서적 1987
[49] 서적 1985
[50] 서적 1985
[51] 서적 1985
[52] 서적 1985
[53] 서적 1985
[54] 서적 1985
[55] 서적 2010
[56] 서적 1985
[57] 서적 1985
[58] 서적 1985
[59] 서적 1985
[60] 서적 1985
[61] 서적 2010
[62] 서적 1985
[63] 서적 1985
[64] 뉴스 シリアで戦闘再開、英軍がベイルート突入 朝日新聞 1941-07-11
[65] 저널 The Mandate System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zenodo.org/r[...] 1921-01-01
[66] 간행물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1922-08
[67] 웹인용 Levant | Meaning, Countries, Map,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5
[68] 웹인용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1945, The Near East and Africa, Volume VII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69] 서적 The Mandates System Longmans, Green and Co.
[70] 웹인용 11. French Syria (1919-1946) http://uca.edu/polit[...] 2017-01-25
[71] 웹인용 11. French Syria (1919-1946) http://uca.edu/polit[...] 2017-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