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헤르츠 실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크-헤르츠 실험은 수은 증기가 들어있는 가열된 진공관을 사용하여 전자의 에너지 양자화를 입증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전자가 원자와 충돌할 때 특정 에너지 준위에서만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1925년 제임스 프랑크와 구스타프 헤르츠에 의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는 닐스 보어의 원자 모형을 뒷받침하며, 양자 역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네온 가스를 사용한 실험은 시각적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프랑크와 헤르츠는 이 연구로 192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과학 - 1914년 8월 21일 일식
1914년 8월 21일 일식은 캐나다 북극 제도, 그린란드, 유럽, 러시아 제국 등에서 관측된 개기일식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 이론 검증 시도에 영향을 주었고, 사로스 주기 124의 일부이자 일식 계절에 속한다. - 1914년 과학 - 1914년 2월 25일 일식
1914년 2월 25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은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남극에서 관측되었으며, UTC 기준 1시 15분 18초에 시작하여 2시 40분 17초에 최대 일식이 나타났고, 메토닉, 트리토스, 이넥스 연쇄, 하프-사로스 주기, 태양 사로스 119, 졸킨넥스 주기에 속하는 일식이었다. - 초기 양자역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초기 양자역학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은 은 원자의 자기 모멘트가 양자화되어 있음을 증명하고, 전자의 스핀이 양자화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 물리학 실험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은 은 원자의 자기 모멘트가 양자화되어 있음을 증명하고, 전자의 스핀이 양자화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 물리학 실험 - 토리첼리의 실험
토리첼리의 실험은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가 수행한 실험으로, 수은 기둥의 높이를 측정하여 대기압의 존재를 증명하고 최초의 기압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
프랑크-헤르츠 실험 | |
---|---|
개요 | |
이름 | 프랑크-헤르츠 실험 |
영어 이름 | Franck–Hertz experiment |
독일어 이름 | Franck-Hertz-Versuch |
일본어 이름 | フランク=ヘルツの実験 |
분야 | 물리학 |
하위 분야 | 양자역학 |
목표 | 원자의 양자적 특성 입증 |
관련 인물 |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
실험 정보 | |
최초 실시 년도 | 1914년 |
실험 방법 | 진공관 내 전자와 기체 원자의 충돌 |
실험 결과 | 원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에서만 에너지를 흡수 |
의의 | 원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입증 보어 모형의 실험적 증거 제공 |
주요 장치 | 진공관 열음극 격자 전극 집전극 수은 또는 네온 기체 |
측정 변수 | 전자의 운동 에너지 집전극 전류 |
실험 변수 제어 | 격자 전극 전압 조절 |
분석 방법 | 전류-전압 곡선 분석 |
특징적인 결과 | 특정 전압 간격으로 나타나는 전류 감소 |
추가 설명 | 전자가 특정 에너지 이상에서 원자와 비탄성 충돌을 일으키는 현상 관찰 |
수상 | |
노벨 물리학상 수상 년도 | 1925년 |
수상자 |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
수상 이유 | 전자와 원자의 충돌에 관한 법칙 발견 |
참고 문헌 |
2. 실험 방법 및 결과
프랑크-헤르츠 실험에서는 가열된 수은 증기가 채워진 진공관을 사용했다. 진공관에는 전자를 방출하는 뜨거운 음극, 전자를 가속시키는 그리드, 그리고 양극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드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양극에 도달하는 전류를 측정했다.[9]
실험 결과, 전압이 4.9V의 정수배가 될 때마다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전자가 수은 원자와 비탄성 충돌을 일으켜 에너지를 잃기 때문이다.
- 낮은 전위차(4.9V까지): 전류는 전위차가 증가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한다.
- 4.9V: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거의 0에 가까워진다.
- 9.8V(4.9V + 4.9V): 전류가 다시 꾸준히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다.
- 이후 약 4.9V 간격으로 전류 감소 현상이 반복된다.[22]
프랑크와 헤르츠는 실험에서 관찰된 4.9eV의 특성 에너지가 수은 원자가 방출하는 빛의 파장 중 하나와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2] 그들은 4.9eV가 254nm 파장의 빛에 해당한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요하네스 슈타르크와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제시한 양자 관계 및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광전 효과 이론과도 일치했다.[18] 또한, 실험관에서 254nm의 단일 파장의 빛이 방출되는 것을 관찰했다.[13]
2. 1. 전자의 충돌 모델링
프랑크와 헤르츠는 전자가 수은 원자와 탄성 충돌 및 비탄성 충돌을 한다는 점을 들어 실험 결과를 설명했다.[12][15] 느리게 움직이는 전자는 수은 원자와 탄성 충돌을 하는데, 이 경우 전자의 운동 방향은 바뀌지만 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는 전자가 수은 원자보다 약 40만 배 더 가볍기 때문에 수은 원자는 충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다.[16][11]
전자의 속도가 초당 약 130만 미터를 넘어서면,[17] 수은 원자와의 충돌은 비탄성이 된다. 이 속도는 4.9eV의 운동 에너지에 해당하며, 이 에너지는 수은 원자에 축적된다. 비탄성 충돌 후 전자의 속도는 크게 감소하고, 수은 원자는 여기 상태가 된다. 잠시 후, 수은 원자에 축적되었던 4.9eV의 에너지는 254nm 파장의 자외선으로 방출된다. 빛 방출 후, 수은 원자는 원래의 여기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간다.[16][11]
음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격자에 도달할 때까지 자유롭게 이동한다면, 격자에 가해지는 전압에 비례하는 운동 에너지를 얻는다. 1eV의 운동 에너지는 격자와 음극 사이의 1V 전위차에 해당한다.[21] 수은 원자와의 탄성 충돌은 전자가 격자에 도달하는 시간을 늘리지만, 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11]
격자 전압이 4.9V에 도달하면, 격자 근처에서 전자와 수은 원자의 충돌이 비탄성이 되면서 전자의 속도가 크게 느려진다. 전자의 운동 에너지가 크게 감소하여 양극에 도달하지 못하고, 양극 전류가 감소한다. 격자 전압이 더 증가하면, 비탄성 충돌을 겪은 전자가 다시 에너지를 얻어 양극에 도달할 수 있게 되고, 전류는 다시 증가한다. 9.8V에서는 전자가 두 번의 비탄성 충돌을 겪을 수 있게 되어 다시 전류가 감소한다. 이러한 과정은 4.9V 간격으로 반복되며, 전자는 매번 추가적인 비탄성 충돌을 겪는다.[16][11]
2. 2. 실험 결과의 해석
프랑크와 헤르츠는 1914년에 실험 결과를 발표했을 당시에는 이 사실을 알지 못했지만,[14] 1913년에 닐스 보어는 수소 원자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매우 성공적인 원자 모형을 발표했다.[6] 보어 모형의 기본 가정은 전자가 원자핵에 가질 수 있는 결합 에너지에 관한 것이었다. 보어는 전자에 대해 "양자 에너지 준위"에 해당하는 일련의 특정 결합 에너지만 발생한다고 가정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발견되며, 이때 가장 큰 결합 에너지를 갖는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 추가 준위는 결합 에너지가 더 작다. 이러한 준위 사이에 있는 중간 결합 에너지는 허용되지 않았다. 이는 혁명적인 가정이였다.[10]프랑크와 헤르츠는 그들의 실험에서 나타난 4.9V 특성이 음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수은 원자와 충돌하여 발생한다고 제안했다. 1915년에 보어는 프랑크와 헤르츠의 측정 결과가 자신의 원자 모형의 양자 준위 가설과 더 일치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7] 보어 모형에서 충돌은 원자 내의 내부 전자를 최저 준위에서 첫 번째 양자 준위 위로 들뜨게 했다. 또한 보어 모형은 내부 전자가 들뜬 양자 준위에서 최저 준위로 돌아갈 때 빛이 방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빛의 파장은 원자 내부 준위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했으며, 이를 보어 관계라고 불렀다.[19] 프랑크와 헤르츠가 254nm에서 관찰한 방출 또한 보어의 관점과 일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에 프랑크와 헤르츠는 실험 해석에 대해 보어의 관점을 광범위하게 수용했으며, 이는 양자 역학의 실험적 핵심 중 하나가 되었다.[20][15]
빛에 의한 에너지 교환에서 발광 스펙트럼이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다는 것은 원자가 불연속적인 에너지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전장으로 가속된 전자에 의해 여기된 기체 원자도 불연속적인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방전관에 희박한 기체를 넣고, 그 안에 3개의 전극을 설치하여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가속 전압과 게이트를 통과한 전자의 양(전류)을 측정했다. 전자의 가속 전압(전자의 에너지)이 기체 원자에 의해 흡수되는 고유한 에너지 크기의 정수배가 될 때, 에너지 흡수가 일어난다. 전압을 변화시켜가면, 전류의 크기에 주기적인 감소(홈)가 나타나는 것을 보인 실험이다.
3. 초기 양자 이론
프랑크와 헤르츠는 1914년에 실험 결과를 발표했을 당시에는 이 사실을 알지 못했지만,[14] 1913년에 닐스 보어는 원자 수소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매우 성공적인 원자 모형을 발표했다. 이 성질은 일반적으로 기체 방전에서 관찰되었으며,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했다. 백열전구와 같은 일반적인 광원은 모든 파장의 빛을 방출한다. 보어는 수소에서 방출되는 파장을 매우 정확하게 계산했다.[6]
보어 모형의 기본 가정은 전자가 원자핵에 가질 수 있는 결합 에너지에 관한 것이다. 다른 입자와의 충돌로 인해 이 결합 에너지 이상이 공급되면 원자는 이온화될 수 있다. 이는 전자를 원자에서 자유롭게 하여 양전하를 띤 이온을 남긴다. 이는 지구를 공전하는 위성과 유사하다. 모든 위성은 자체 궤도를 가지며, 사실상 모든 궤도 거리와 모든 위성 결합 에너지가 가능하다. 전자는 원자핵의 양전하에 유사한 힘으로 끌리기 때문에, 소위 "고전적인" 계산은 전자에게 모든 결합 에너지가 가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보어는 전자에 대한 "양자 에너지 준위"에 해당하는 일련의 특정 결합 에너지만 발생한다고 가정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발견되며, 이때 가장 큰 결합 에너지를 갖는다. 추가 준위는 더 높은 곳에 위치하며, 결합 에너지가 더 작다. 이러한 준위 사이에 있는 중간 결합 에너지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혁명적인 가정이였다.[10]
프랑크와 헤르츠는 그들의 실험의 4.9V 특성이 음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수은 원자와 충돌하여 발생한다고 제안했다. 1915년에 보어는 프랑크와 헤르츠의 측정 결과가 자신의 원자 모형의 양자 준위 가설과 더 일치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7] 보어 모형에서 충돌은 원자 내의 내부 전자를 최저 준위에서 첫 번째 양자 준위 위로 들뜨게 했다. 보어 모형은 또한 내부 전자가 들뜬 양자 준위에서 최저 준위로 돌아갈 때 빛이 방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빛의 파장은 원자 내부 준위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했으며, 이를 보어 관계라고 불렀다.[19] 프랑크와 헤르츠가 254nm에서 관찰한 방출 또한 보어의 관점과 일치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프랑크와 헤르츠는 실험 해석에 대해 보어의 관점을 광범위하게 수용했으며, 이는 양자 역학의 실험적 핵심 중 하나가 되었다.[20][15] 아브라함 파이스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프랑크와 헤르츠의 연구의 아름다움은 충돌하는 전자의 에너지 손실 ''E''2-''E''1을 측정한 것뿐만 아니라, 그 전자의 에너지가 4.9eV를 초과할 때 수은이 위의 공식에 정의된 특정 주파수 ''ν''의 자외선을 방출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관찰했다는 점에 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처음에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보어 관계에 대한 첫 번째 직접적인 실험적 증거를 제공했다!"[19] 프랑크는 1960년 물리학 연구 위원회(PSSC)가 제작한 프랑크-헤르츠 실험에 관한 영화의 에필로그에서 자외선 방출 실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4]
빛에 의한 에너지 교환에서 발광 스펙트럼이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다는 것은 원자가 불연속적인 에너지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전장으로 가속된 전자에 의해 여기된 기체 원자도 불연속적인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4. 네온을 사용한 실험
교육용 실험에서는 수은 대신 네온 가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네온은 비탄성 충돌 시 진공관에서 주황색 빛을 방출하여 실험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관이 깨지더라도 독성이 없다.[8] 수은 관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수은이 빛을 방출하는 양극과 그리드 사이에 좁은 띠가 있어야 하지만, 그 빛은 자외선이라 보이지 않는다. 반면 네온의 경우, 프랑크-헤르츠 전압 간격은 18.7V이며, 이 전압이 가해지면 그리드 근처에서 주황색 빛이 나타난다. 이 빛은 가속 전위가 증가함에 따라 음극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데, 이는 전자가 네온 원자를 여기시키는 데 필요한 18.7V를 획득한 위치를 나타낸다.[8] 37.4V에서는 두 개의 뚜렷한 빛이 보이는데, 하나는 음극과 그리드 중간에, 다른 하나는 가속 그리드 바로 앞에 나타난다. 18.7V 간격으로 더 높은 전위를 가하면 튜브에 추가적인 빛나는 영역이 나타난다.[8]
네온을 사용하면 튜브를 실온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시 방출의 파장은 보어 관계와 18.7V 간격으로 예측된 것보다 훨씬 길다. 주황색 빛은 최저 수준보다 16.6V와 18.7V 위에 있는 두 개의 원자 수준과 관련이 있다. 18.7V 수준으로 여기된 전자는 16.6V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주황색 빛을 방출한다.[8]
5. 노벨 물리학상
참조
[1]
서적
THÉORIE DU RAYONNEMENT ET LES QUANTA. RAPPORTS ET DISCUSSIONS DELA Réunion tenue à Bruxelles, du 30 octobre au 3 novembre 1911, Sous les Auspices dk M. E. SOLVAY. Publiés par MM. P. LANGEVIN et M. de BROGLIE
1912
[2]
논문
The Genesis of the Bohr At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3]
문서
Bohr model
[4]
웹사이트
Nobel Prize in Physics 1925 – Presentation Speech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1926-12-10
[5]
웹사이트
The vapor pressure of mercury
http://www.boulder.n[...]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2014-04-08
[6]
서적
Niels Bohr: A Centenary Volum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Niels Bohr and the Quantum Atom: The Bohr Model of Atomic Structure 1913-192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Fundamentals of Light Sources and Lasers
John Wiley & Sons
[9]
서적
The harvest of a century: discoveries of modern physics in 100 episod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Revolution in Science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11]
서적
Atoms, Molecules and Photons: An Introduction to Atomic-, Molecular- and Quantum Physics
Springer
[12]
간행물
Über Zusammenstöße zwischen Elektronen und Molekülen des Quecksilberdampfes und die Ionisierungsspannung desselben
https://www.dpg-phys[...]
2017-01-21
[13]
간행물
Über die Erregung der Quecksilberresonanzlinie 253,6 μμ durch Elektronenstöße
[14]
AV media
Franck-Hertz experiment
https://archive.org/[...]
Educational Services
2014-07-01
[15]
서적
Science and Conscience: The Life of James Franck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16]
서적
Experiments in Modern Physics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17]
웹사이트
The speed of electrons
http://www.nuffieldf[...]
Nuffield Foundation
2014-04-18
[18]
서적
Subtle is the Lord: The Science and the Life of Albert Einstei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wentieth Century Physic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Press
[20]
웹사이트
James Franck 1882–1964: A Biographical Memoir
https://www.nasonli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
[21]
서적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2]
서적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