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임 (월드 와이드 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임(Frames)은 HTML에서 웹 페이지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다른 HTML 문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2.0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frameset>, <frame>, <noframes>, <iframe> 등의 태그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프레임은 콘텐츠 관리 단순화, 대역폭 절약, 정보 비교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사용성과 접근성 문제, 검색 엔진 최적화 문제, 저작권 문제, 보안 문제 등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 CSS, 서버 측 포함, 웹 스크립팅 언어, 클라이언트 측 스크립팅, AJAX 등 다양한 대체 기술의 등장으로 프레임의 사용은 점차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1.0 - 전화 접속
    전화 접속은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모뎀과 전화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198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나 광대역 인터넷의 등장으로 2000년대 이후 사용이 줄어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사라지는 추세이다.
  • 웹 1.0 - 자바 애플릿
    자바 애플릿은 웹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자바 기반 프로그램으로, 웹 상호작용성을 높였으나 기술적 문제와 웹 표준 기술 발전에 따라 쇠퇴하여 사용이 중단되었다.
  • HTML - Alt 속성
    `alt` 속성은 HTML의 `img` 및 `area` 태그에서 이미지를 로드할 수 없을 때 대체 텍스트를 지정하며, 스크린 리더 및 SEO에 영향을 미치고, W3C 지침에 따라 이미지의 의미를 전달하거나 장식용 이미지는 빈 문자열로 지정해야 한다.
  • HTML - 폰트 패밀리 (HTML)
    폰트 패밀리(HTML)는 CSS 스타일 시트, 인라인 CSS, HTML `font` 태그를 통해 웹 페이지 글꼴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 글꼴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며, CSS의 `font-family` 속성은 글꼴 모양을 식별하고 제네릭 폰트와 글꼴 대체 메커니즘을 통해 일관된 글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 월드 와이드 웹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월드 와이드 웹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프레임 (월드 와이드 웹)
개요
유형웹 페이지 레이아웃 기술
목적웹 페이지 내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영역 (프레임)을 생성
각 프레임은 별도의 HTML 문서를 표시
역사
도입 시기1990년대 후반
주요 브라우저 지원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 목적웹 페이지 레이아웃 분할, 광고 삽입 등
기술적 특징
HTML 요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