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임 릴레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임 릴레이는 지역 네트워크(LAN) 간 및 광역 네트워크(WAN)의 종단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서비스이다. 데이터를 가변 크기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오류 수정은 종단점에서 처리하여 전송 속도를 높인다. 대부분 영구 가상 회선(PVC)을 제공하여 전용선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프레임 릴레이는 X.25 패킷 교환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고속 패킷 교환 기술을 사용하여 오류 발생 시 프레임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프레임 릴레이는 LAN을 백본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WAN 및 T-1 회선을 통한 사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며, 혼잡 제어를 위해 허용 제어, CIR, BC, BE, FECN, BECN 등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LMI, CIR, FRF.12와 같은 기술을 지원하며, X.25보다 속도가 빠르다. 프레임 릴레이의 속도는 56kbit/s에서 2Mbit/s까지 다양하며, 시장에서는 전용선보다 저렴한 대안으로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링크 프로토콜 -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링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간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담당하며, 주소 지정, 통신 경로 설정,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는 OSI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계층이다.
  • 링크 프로토콜 - 매체 접근 제어
    매체 접근 제어(MAC)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하위 계층으로, 물리적 전송 매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며, 프레임 경계 설정, 주소 지정, 오류 방지, 데이터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MAC 주소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전달한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UUCP
    UUCP는 유닉스 시스템 간 파일 복사, 원격 명령 실행, 이메일 및 유즈넷 뉴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 모음으로, 초기 인터넷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TCP/IP 기반 서비스 보편화로 사용이 감소했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NMEA 0183
    NMEA 0183은 선박용 GPS, 자동식별장치(AIS) 등 항해 장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ASCII 기반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RS-422 전기 표준을 사용하며, 문장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 연결
프레임 릴레이 연결
기본 정보
종류패킷 스위칭 프로토콜
프로토콜 스택데이터 링크 계층 (2계층)
개발자CCITT(현재의 ITU-T)
표준화 기관ITU-T
주요 사용처WAN (광역 통신망)
주 사용국가미국
로마자 표기peureim rillei
기술
대역폭56 kbps ~ 45 Mbps
회선영구 가상 회선(PVC), 스위칭 가상 회선(SVC)
데이터 전송 방식가변 길이 패킷 전송
오류 제어 방식오류 감지 기능 (단순 에러 검출만 수행)
전송 방식연결 지향 전송
주소 지정 방식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다중화 방식통계적 다중화
QoS (서비스 품질)비보장형 서비스
추가 기능우선순위 설정 (우선순위 비트)
흐름 제어
특징
장점높은 처리량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
경제적인 가격
단점데이터 손실 가능성
지연 발생 가능성
네트워크 혼잡 시 성능 저하
대체 기술ATM
IP-VPN
이더넷
보안
보안 방식자체 보안 기능 없음
주의데이터 암호화 필요
외부 공격에 취약
역사
개발 시기1980년대 후반
표준화 완료1990년대 초
주요 발전 배경ISDN의 부족함 보완
X.25의 단점 극복
현재 사용서서히 다른 기술로 대체되는 추세
참고 자료
관련 표준ITU-T I.122, I.233, Q.922
관련 문서RFC 1490

2. 기술 설명

프레임 릴레이 설계자들은 지역 네트워크(LAN) 간 및 광역 네트워크(WAN)의 종단점 간 간헐적 트래픽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프레임 릴레이는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가변 크기의 단위로 나누고, 필요한 오류 수정(예: 데이터 재전송)은 종단점에서 처리한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진다.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네트워크는 영구 가상 회선(PVC)을 제공하며, 이는 고객이 항상 전용 연결을 사용하면서도 전용선을 위한 전일 이용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업체는 각 프레임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기업은 서비스 품질을 선택하여 일부 프레임의 우선 순위를 높이고 다른 프레임의 중요도를 낮출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는 분할 T-1 또는 E1, 또는 전체 T-캐리어 또는 E-캐리어 시스템 캐리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는 기본 속도 ISDN(128 kbit/s 대역폭 제공)과 비동기 전송 모드(ATM)(프레임 릴레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속도는 155.520 Mbit/s~622.080 Mbit/s) 사이의 중간 서비스를 보완하고 제공한다.[1]

프레임 릴레이는 아날로그 음성 회선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이전의 X.25 패킷 교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 오류 확률을 가진 아날로그 신호를 예상한 X.25와 달리, 프레임 릴레이는 전송 오류 확률이 낮은 링크(일반적으로 PDH와 같이 실질적으로 손실이 없는 링크)에서 작동하는 고속 패킷 교환 기술이다. 즉, 프로토콜이 오류를 수정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가 프레임의 오류를 감지하면 해당 프레임을 단순히 삭제한다. 손실된 프레임의 감지 및 재전송은 종단점의 책임이다.(그러나 디지털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네트워크에 비해 극히 낮은 오류 발생률을 제공한다.)

프레임 릴레이는 종종 지역 네트워크(LAN)를 주요 백본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공용 광역 네트워크(WAN) 및 T-1 회선을 통한 전용선을 사용하는 사설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전송 기간 동안 전용 연결이 필요하다. 프레임 릴레이는 꾸준한 전송 흐름을 필요로 하는 음성 또는 비디오 전송에 이상적인 경로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음성 및 비디오 전송에 프레임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 릴레이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ISDN)의 확장으로 시작되었다. 설계자들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가 회선 교환 기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기술은 WAN을 구축하는 독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수단이 되었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는 원격 LAN을 WAN에 연결하기 위한 가상 회선을 생성한다.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라우터인 LAN 경계 장치와 캐리어 스위치 사이에 존재한다. 캐리어가 스위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은 가변적이며 캐리어마다 다를 수 있다(즉, 실제 프레임 릴레이 구현은 자체 전송 메커니즘에만 의존할 필요가 없다).

이 기술의 복잡성 때문에 프레임 릴레이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 프레임 릴레이에 대한 확실한 이해 없이는 성능 문제 해결이 어렵다.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구조는 LAP-D에 대해 정의된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트래픽 분석은 제어 필드가 없다는 점을 통해 프레임 릴레이 형식과 LAP-D를 구분할 수 있다.[2]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는 플래그 필드, 주소 필드, 정보 필드,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필드로 구성된다.

플래그 필드는 고급 데이터 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며, 고유 패턴 01111110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01111110 패턴이 프레임 내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비트 스터핑 및 디스터핑 절차가 사용된다.

주소 필드는 사용 중인 주소의 범위에 따라 2~5 옥텟을 차지할 수 있다. 2옥텟 주소 필드는 EA(주소 필드 확장 비트)와 C/R(명령/응답 비트)로 구성된다.

주소 필드 (2옥텟)


주소 필드에는 DLCI(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비트, FECN, BECN, DE 비트가 포함된다. DLCI는 가상 연결을 식별하여 수신단이 프레임이 어떤 정보 연결에 속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 DLCI는 지역적 의미만 가지며, 단일 물리 채널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연결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FECN(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비트), BECN(역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비트), DE(폐기 적격성 비트)는 혼잡을 보고한다.

정보 필드는 시스템 매개변수에 따라 호스트가 프레임에 포함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바이트 수를 정의한다. 호스트는 호출 설정 시 실제 최대 프레임 길이를 협상할 수 있다. 표준은 최대 정보 필드 크기(모든 네트워크에서 지원 가능)를 최소 262옥텟으로 지정하며, 종단 간 프로토콜이 더 큰 정보 단위를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프레임 릴레이는 최종 사용자의 분할 및 재조립이 필요하지 않도록 네트워크가 최소 1600옥텟의 최대값을 지원할 것을 권장한다.

FCS(프레임 검사 시퀀스) 필드는 매체의 비트 오류율을 고려하여 오류 감지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프레임 릴레이에서 사용되는 오류 감지 메커니즘은 순환 중복 검사(CRC)를 기반으로 한다.

#### 혼잡 제어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는 각 교환 노드에서 단순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링크별 흐름 제어를 생략하여 단순성을 확보한다. 제공 부하가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며, 일부 서비스의 버스트로 인해 제공 부하가 높아지면 네트워크 처리량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잡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혼잡 제어는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

  • 허용 제어(Admission Control): 프레임 릴레이에서 연결 수락 후 리소스 요구 사항을 보장하는 주요 메커니즘이다. 네트워크는 요청된 트래픽 설명자와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의 관계를 기반으로 새 연결 요청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트래픽 설명자는 호 설정 시 또는 서비스 가입 시 교환 노드에 전달되는 매개변수 집합으로 구성되며, 연결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 보장 정보 전송률(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 네트워크가 측정 간격 T 동안 정보 단위를 전송할 것을 보장하는 평균 속도(bit/s)이다.
  • 보장 버스트 크기(BC, Committed Burst Size): 간격 T 동안 전송 가능한 정보 단위의 최대 수이다.
  • 초과 버스트 크기(BE, Excess Burst Size): 네트워크가 간격 동안 전송하려고 시도하는 보장되지 않은 정보 단위(비트)의 최대 수이다.


네트워크가 연결을 설정한 후,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의 에지 노드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실제 사용량이 이 사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연결의 트래픽 흐름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명시적 혼잡 알림(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은 혼잡 회피 정책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네트워크가 원하는 평형점에서 작동하도록 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특정 서비스 품질(QoS)을 충족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특수한 혼잡 제어 비트가 프레임 릴레이의 주소 필드에 통합되었다. FECN과 BECN이다.

  • FECN(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전송 방향에서 혼잡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도록 1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목적지'''에 혼잡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 BECN(역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전송과 반대 방향의 네트워크에서 혼잡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도록 1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송신자'''에게 혼잡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2. 1.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는 플래그 필드, 주소 필드, 정보 필드,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필드로 구성된다.

플래그 필드는 고급 데이터 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며, 고유 패턴 01111110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01111110 패턴이 프레임 내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비트 스터핑 및 디스터핑 절차가 사용된다.

주소 필드는 사용 중인 주소의 범위에 따라 2~5 옥텟을 차지할 수 있다. 2옥텟 주소 필드는 EA(주소 필드 확장 비트)와 C/R(명령/응답 비트)로 구성된다.

주소 필드에는 DLCI(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 비트, FECN, BECN, DE 비트가 포함된다. DLCI는 가상 연결을 식별하여 수신단이 프레임이 어떤 정보 연결에 속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 DLCI는 지역적 의미만 가지며, 단일 물리 채널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가상 연결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FECN(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비트), BECN(역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비트), DE(폐기 적격성 비트)는 혼잡을 보고한다.

정보 필드는 시스템 매개변수에 따라 호스트가 프레임에 포함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바이트 수를 정의한다. 호스트는 호출 설정 시 실제 최대 프레임 길이를 협상할 수 있다. 표준은 최대 정보 필드 크기(모든 네트워크에서 지원 가능)를 최소 262옥텟으로 지정하며, 종단 간 프로토콜이 더 큰 정보 단위를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프레임 릴레이는 최종 사용자의 분할 및 재조립이 필요하지 않도록 네트워크가 최소 1600옥텟의 최대값을 지원할 것을 권장한다.

FCS(프레임 검사 시퀀스) 필드는 매체의 비트 오류율을 고려하여 오류 감지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프레임 릴레이에서 사용되는 오류 감지 메커니즘은 순환 중복 검사(CRC)를 기반으로 한다.

2. 2. 혼잡 제어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는 각 교환 노드에서 단순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링크별 흐름 제어를 생략하여 단순성을 확보한다. 제공 부하가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며, 일부 서비스의 버스트로 인해 제공 부하가 높아지면 네트워크 처리량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잡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혼잡 제어는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

  • 허용 제어(Admission Control): 프레임 릴레이에서 연결 수락 후 리소스 요구 사항을 보장하는 주요 메커니즘이다. 네트워크는 요청된 트래픽 설명자와 네트워크의 잔여 용량의 관계를 기반으로 새 연결 요청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트래픽 설명자는 호 설정 시 또는 서비스 가입 시 교환 노드에 전달되는 매개변수 집합으로 구성되며, 연결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 보장 정보 전송률(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 네트워크가 측정 간격 T 동안 정보 단위를 전송할 것을 보장하는 평균 속도(bit/s)이다.
  • 보장 버스트 크기(BC, Committed Burst Size): 간격 T 동안 전송 가능한 정보 단위의 최대 수이다.
  • 초과 버스트 크기(BE, Excess Burst Size): 네트워크가 간격 동안 전송하려고 시도하는 보장되지 않은 정보 단위(비트)의 최대 수이다.


네트워크가 연결을 설정한 후,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의 에지 노드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실제 사용량이 이 사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연결의 트래픽 흐름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명시적 혼잡 알림(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은 혼잡 회피 정책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네트워크가 원하는 평형점에서 작동하도록 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특정 서비스 품질(QoS)을 충족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특수한 혼잡 제어 비트가 프레임 릴레이의 주소 필드에 통합되었다. FECN과 BECN이다.

  • FECN(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전송 방향에서 혼잡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도록 1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목적지'''에 혼잡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 BECN(역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전송과 반대 방향의 네트워크에서 혼잡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도록 1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송신자'''에게 혼잡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3. 가상 회선

프레임 릴레이는 개방형 시스템 상호접속 (OSI) 7계층 모델의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구현되는 WAN 프로토콜이다. 물리적 네트워크 상에 매핑된 논리적 종단간 링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영구 가상 회로(PVC)와 스위치 가상 회로(SVC) 두 가지 유형의 회선이 존재한다. 후자는 전 세계 전화 네트워크인 공중전화망(PSTN)의 회선 교환 개념과 유사하다.

4. 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프레임 릴레이에 대한 초기 제안은 1984년 CCITT에 제출되었다. 상호 운용성과 표준화 부족으로 1990년까지는 프레임 릴레이가 상당히 배치되지 못했다. 그러다 시스코, DEC, 노던 텔레콤, 그리고 스트라타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발에 집중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그들은 복잡한 상호 네트워킹 환경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이러한 프레임 릴레이 확장 기능을 지역 관리 인터페이스(LMI)라고 한다.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DLCI)는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이는 로컬에서만 의미가 있다. 동일한 물리적 종단점에서 여러 가상 회로가 활성화될 수 있다.

LMI 글로벌 주소 지정 확장 기능은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DLCI) 값에 로컬이 아닌 글로벌 의미를 부여한다. DLCI 값은 프레임 릴레이 WAN에서 고유한 DTE 주소가 된다. 글로벌 주소 지정 확장 기능은 프레임 릴레이 인터네트워크에 기능과 관리 기능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개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최종 노드는 표준 주소 확인 및 검색 기술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는 주변의 라우터에 일반적인 LAN으로 표시된다.

LMI 가상 회로 상태 메시지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 단말 장비(DTE)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비(DCE) 장치 간의 통신과 동기화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PVC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데 사용되므로 데이터가 블랙홀(즉,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PVC를 통해)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LMI 멀티캐스팅 확장 기능을 사용하면 멀티캐스트 그룹을 할당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은 라우팅 업데이트 및 주소 확인 메시지를 특정 라우터 그룹에만 전송하여 대역폭을 절약한다. 또한 업데이트 메시지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의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전송한다.

5. 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

프레임 릴레이 연결에는 종종 약정 정보 전송률(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확장 정보 전송률(EIR, Extended Information Rate)이 할당된다. 제공업체는 연결이 항상 CIR 속도를 지원하며, 대역폭이 충분할 경우 EIR 속도도 지원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CIR을 초과하여 전송된 프레임은 '폐기 가능(DE, Discard Eligible)'으로 표시되며, 이는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이 발생할 경우 삭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EIR을 초과하여 전송된 프레임은 즉시 삭제된다.

6. X.25와의 관계

X.25는 높은 에러율을 가진 링크상에서 오류 없는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프레임 릴레이는 낮은 에러율을 가진 링크를 사용하며 X.25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상당 부분 제거하여 X.25보다 20배의 속도 향상을 이루었다.[3]

X.25는 OSI 모델의 1, 2, 3계층에서의 처리를 명세하지만, 프레임 릴레이는 오직 1, 2계층에서 동작한다. 이는 각 노드에서의 프로세싱 감소와 성능 향상을 의미한다.

X.25는 패킷을 전송하지만, 프레임 릴레이는 프레임을 전송한다. X.25 패킷은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위한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프레임 릴레이에는 이런 필드가 없다.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에는 목적지까지 최소한의 프로세싱으로 프레임을 직접 전송하기 위한 확장된 링크 계층 주소 필드가 포함된다.[3]

X.25는 고정된 대역폭을 사용하는 반면, 프레임 릴레이는 물리 채널 및 논리 채널상에서 호 설정 협상 과정을 통해 동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한다. 프레임 릴레이는 오류를 감지하면 문제의 패킷을 단순히 삭제하는 "최선형 노력" 기술에 의존하는데, 이는 안정적인 데이터 전달에 대한 보장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3]

프레임 릴레이는 X.25 프로토콜의 간소화된 버전으로 시작하여 X.25와 가장 일반적으로 관련된 오류 수정 부담에서 벗어났다. 많은 기본 프로토콜과 기능이 오늘날에도 프레임 릴레이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프레임 릴레이의 원조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4]

7. 속도

프레임 릴레이의 속도는 56kbit/s, 64kbit/s, 128kbit/s, 256kbit/s, 512kbit/s, 1.5Mbit/s, 2Mbit/s로 다양하며 ILEC(incumbent local exchange carrier)에 따라 달라진다.

8. 시장 상황

프레임 릴레이는 기존 물리적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회사가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과잉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고객이 데이터 서비스를 45%의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프레임 릴레이는 과도한 대역폭 과대 예약으로 인해 일부 시장에서 악평을 얻었다.

통신 회사는 종종 전용선보다 저렴한 대안을 찾는 기업에 프레임 릴레이를 판매했다. 지리적 지역에 따른 사용은 정부 및 통신 회사의 정책에 크게 좌우되었다. 초기 프레임 릴레이 제품을 생산한 회사 중에는 스트라타콤(나중에 시스코 시스템즈에 인수됨)과 캐스케이드 커뮤니케이션즈(나중에 어센드 커뮤니케이션즈 그리고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 인수됨)가 있다.

2007년 6월 기준, AT&T는 22개 주에 지역 네트워크와 전국 및 국제 네트워크를 보유한 미국 최대의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제공업체였다.

9. FRF.12

FRF.12는 주로 음성 트래픽을 위해 프레임 릴레이 트래픽에서 조각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프레임 릴레이 포럼(Frame Relay Forum)의 사양이다.[5][6][7][8][9] FRF.12 사양은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을 더 작은 프레임으로 조각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양한 가상 회로 또는 데이터 흐름의 패킷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는 서비스 품질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한 가상 회로의 프레임이 다른 가상 회로에 제공된 서비스 보장을 방해할 만큼 오랫동안 회선을 점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IP 조각화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Frame Relay" on SearchEnterpriseWAN https://web.archive.[...] 2012-04-09
[2] 특허 Method and system for Ethernet and frame relay network interworking Nortel Networks Ltd. 2008-02-19
[3] 웹사이트 Frame Relay http://www.thenetwor[...] 2012-07-14
[4] 웹사이트 Frame relay https://searchenterp[...] techtarget.com
[5] 웹사이트 Frame Relay Fragmentation for Voice http://www.cisco.com[...] 2016-06-17
[6] 웹사이트 How to use FRF.12 to improve voice quality on Frame Relay networks https://supportforum[...] 2009-06-18
[7] 웹사이트 VoIP over Frame Relay with Quality of Service (Fragmentation, Traffic Shaping, LLQ / IP RTP Priority) http://www.cisco.com[...] 2016-06-17
[8] 웹사이트 Frame Relay Fragmentation Implementation Agreement FRF.12 https://www.broadban[...] 2016-06-17
[9] 웹사이트 FRF.12 Frame Relay Fragmentation section in 'Frame Relay' http://www.rhyshaden[...] 2016-06-17
[10] 웹사이트 法人向けデータ通信サービス スーパーリレーFRおよびスーパーリレーCRの提供終了について https://www.ntt.com/[...] NTT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6-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