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로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로린은 피렌체 공화국에서 처음 사용된 유럽 최초의 금화로, 1252년에 주조되었다. 14세기에는 150여 개의 유럽 국가와 지역에서 플로린을 모방한 화폐가 발행되었으며, 헝가리 포린트가 대표적이다. 플로린은 백합 문양과 세례자 요한의 도안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되었다. 플로린은 네덜란드 길더, 영국 플로린, 아일랜드 플로린, 헝가리 포린트 등 다양한 통화의 명칭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통화 - 두카트
    두카트는 시칠리아에서 은화로, 베네치아에서 금화로 처음 발행된 후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국제 무역에서 널리 사용된 역사적인 화폐로, 여러 국가에서 모방되었으며 현재는 수집 및 투자용으로 발행된다.
  • 중세 통화 - 문 (화폐)
    문은 고려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사용된 화폐 단위로, 주화 발행 시도와 상평통보 유통, 당백전 발행 등의 변천을 겪으며 양으로 대체되었다.
  • 굴덴 - 헝가리 포린트
    헝가리 포린트는 1325년 플로린 금화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굴덴의 헝가리어 명칭으로도 쓰였으며, 1946년 헝가리 펭괴의 초인플레이션 이후 통화 개혁을 통해 도입된 헝가리의 통화이다.
  • 굴덴 - 아루바 플로린
    아루바 플로린은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길더를 대체하여 도입된 아루바의 통화로, 1.79 플로린 = 1 미국 달러의 고정 환율을 가지며 동식물과 문화유산을 담은 "아루바의 삶"을 주제로 디자인된 지폐가 발행되고 100 플로린 지폐는 "올해의 지폐"로 선정되기도 했다.
  • 금화 - 아우레우스
  • 금화 - 크루거랜드
    크루거랜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인의 금 보유를 위해 발행된 금화로, 폴 크루거 초상과 스프링복이 새겨져 있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수입 금지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지금형 금화의 효시이다.
플로린
개요
종류금화
액면 가치해당 없음 (금의 가치에 따라 변동)
통용피렌체 공화국
역사
최초 발행1252년
단종1533년 (실질적인 생산 중단), 1567년 (법적 지위 상실)
발행 기관피렌체 공화국
디자인
앞면세례자 요한 형상
뒷면플뢰르 드 리스 (피렌체 문장)
재료 및 무게
재료
순도24 캐럿 (약 99.5%)
무게
금 함량(금)
가치
역사적 가치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 구매 가능, 시대에 따라 변동
현대적 가치금 함량 및 희소성에 따라 결정
기타
영향유럽 전역의 통화 시스템에 영향, 국제 무역 촉진
관련 용어굴덴, 플로린

2. 역사

금 플로린 또는 "Beiersgulden", 홀란드에서 바이에른의 요한 치하에서 주조됨


금 플로린 또는 "Philippus goudgulden", 미남왕 필리프 치하의 도르드레흐트에서 주조됨


'플로린'이라는 용어는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차용되었다. 1354년부터 일련의 통화 협약을 통해 라인강 유역의 상업 중심지를 포함하는 여러 독일 국가에서 라인길덴이 주조되었는데, 초기에는 피렌체 플로린과 거의 동일한 표준(금 98%, 3.54g)이었다. 1419년까지 무게가 약간 감소(3.51g)했고 합금의 금 함량도 크게 감소(79%)했다. 1626년까지 합금의 금 함량은 다시 약간 감소(77%)했으며, 무게는 더 크게 감소(3.240g)했다. 1409년, 라인길덴 표준(당시 금 91.7%)이 신성 로마 제국의 라이히스길덴에 채택되었다.[6]

네덜란드 길더는 Fl. 또는 ƒ로 표시되는데, 이는 플로린(florijn)을 의미한다.

1344년 영국에서 최초 발행된 플로린은 원래 6실링의 가치를 지녔으며, 순도 23캐럿 그레인(또는 캐럿)의 금 108그레인(6.99828그램)으로 구성되었다.[7][8] 1849년부터 1967년 사이에는 영국 십진법 이전의 은화(후기 백동) 플로린이 주조되었으며(1993년까지 십진법 10펜스 동전과 함께 유통), 24페니 또는 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진 2실링(또는 2밥) "비트" (약어 2/-)로도 알려져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1928년과 1943년 사이에 플로린 은화(아일랜드 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지며, 아일랜드어로 flóirínga이라고 표기됨)가 주조되었으며, 1943년에 구리-니켈로 바뀌었고 1994년 6월 1일에 사용이 중단되었다.[9]

헝가리 포린트는 플로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2. 1. 피렌체 플로린의 기원과 발전

피오리노 도로(fiorino d'oro, 금 플로린)는 피렌체 공화국에서 사용되었으며, 7세기 이후 상업적 역할을 할 정도로 충분한 양으로 주조된 최초의 유럽 금화였다. 플로린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인정받았다. 리라와 플로린의 영토 사용은 종종 겹쳤다. 리라가 더 작은 거래(임금, 식료품 구매)에 사용된 반면, 플로린은 지참금, 국제 무역 또는 세금 관련 문제와 같은 더 큰 거래에 사용되었다.[4]

플로린은 1252년에 처음 주조되었다. 당시 플로린의 가치는 ''리라''와 같았지만, 1500년까지 플로린의 가치는 상승하여 7''리라''가 1플로린에 해당했다.[4]

14세기에 약 150개의 유럽 국가와 지방 화폐 발행 당국이 플로린을 자체적으로 복제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헝가리 포린트였는데, 헝가리 왕국이 유럽 금의 주요 공급원이었기 때문이다.

원래 피렌체 플로린의 디자인은 한 면에 도시의 독특한 백합 배지, 다른 면에는 성 요한 세례자[5]의 서 있는 정면 모습이었으며 거친 털옷을 입고 있었다. 다른 국가의 플로린에서는 비문이 변경되었고 (백합 주변의 "Florentia"와 다른 면의 성인 이름), 백합 대신 지역 문장 장치가 사용되었다. 나중에 다른 인물들이 종종 성 요한을 대신했다. 헝가리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이 헝가리의 초기 기독교 왕이자 수호 성인인 성 라디슬라우스로 바뀌었고, 원래의 홀 대신 전투 도끼가 사용되었다. 점차적으로 이미지는 더 왕족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피렌체 공화국에서 발행된 플로린 금화는 7세기부터 유럽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주조되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렌체의 많은 은행은 유럽 전역에 지점을 둔 국제적인 대기업이었기 때문에 플로린 금화는 서유럽의 대규모 거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금화로 급부상하여 마르크 단위(트로이 중량의 8온스 또는 3분의 2파운드에 해당하는 물리 단위)의 은괴를 대체하게 되었다.

14세기에는 150개의 유럽 국가(및 지역 화폐 발행국)가 플로린 금화를 모방한 화폐를 주조했다. 이 화폐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헝가리의 포린트 화폐이다. 헝가리 왕국 (더 정확하게는 슬로바키아트란실바니아)의 산맥)은 유럽에서 거의 유일한 금 채굴지였기 때문이다.

2. 2. 유럽 전역으로의 확산

피오리노 도로(fiorino d'oro, 금 플로린)는 피렌체 공화국에서 사용되었으며, 7세기 이후 상업적 역할을 할 정도로 충분한 양으로 주조된 최초의 유럽 금화였다. 플로린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인정받았다. 리라와 플로린의 영토 사용은 종종 겹쳤다. 리라가 더 작은 거래(임금, 식료품 구매)에 사용된 반면, 플로린은 지참금, 국제 무역 또는 세금 관련 문제와 같은 더 큰 거래에 사용되었다.[4]

플로린은 1252년에 처음 주조되었다. 당시 플로린의 가치는 ''리라''와 같았지만, 1500년까지 플로린의 가치는 상승하여 7''리라''가 1플로린에 해당했다.[4]

14세기에 약 150개의 유럽 국가와 지방 화폐 발행 당국이 플로린을 자체적으로 복제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헝가리 포린트였는데, 헝가리 왕국이 유럽 금의 주요 공급원이었기 때문이다. (신세계의 채굴이 16세기와 17세기에 공급에 기여하기 시작할 때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금의 대부분은 아프리카에서 나왔다.)

원래 피렌체 플로린의 디자인은 한 면에 도시의 독특한 백합 배지, 다른 면에는 성 요한 세례자[5]의 서 있는 정면 모습이었으며 거친 털옷을 입고 있었다. 다른 국가의 플로린에서는 비문이 변경되었고 (백합 주변의 "Florentia"와 다른 면의 성인 이름), 백합 대신 지역 문장 장치가 사용되었다. 나중에 다른 인물들이 종종 성 요한을 대신했다. 헝가리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이 헝가리의 초기 기독교 왕이자 수호 성인인 성 라디슬라우스로 바뀌었고, 원래의 홀 대신 전투 도끼가 사용되었다. 점차적으로 이미지는 더 왕족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피렌체 공화국에서 발행된 플로린 금화는 7세기부터 유럽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주조되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렌체의 많은 은행은 유럽 전역에 지점을 둔 국제적인 대기업이었기 때문에 플로린 금화는 서유럽의 대규모 거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금화로 급부상하여 마르크 단위(트로이 중량의 8온스 또는 3분의 2파운드에 해당하는 물리 단위)의 은괴를 대체하게 되었다.

14세기에는 150개의 유럽 국가(및 지역 화폐 발행국)가 플로린 금화를 모방한 화폐를 주조했다. 이 화폐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헝가리의 포린트 화폐이다. 헝가리 왕국 (더 정확하게는 슬로바키아트란실바니아)의 산맥)은 유럽에서 거의 유일한 금 채굴지였기 때문이다 (16, 17세기에 신세계가 금을 공급하게 되기 전까지 유럽에서 사용되는 금의 대부분은 아프리카산이었다).

2. 3. 디자인의 변화

피렌체 공화국의 원조 플로린 금화는 한 면에 특징적인 백합 문양의 도시 문장이, 반대쪽에는 피렌체의 수호 성인인 세례자 요한의 정면 입상이 디자인되어 있었다. 다른 국가에서 발행한 플로린 금화에서는 먼저 글자(백합 문양 주변의 "Florentia" 글자와 반대쪽 성인의 이름)가 바뀌었고, 그 다음에는 지역 문장의 디자인이 백합 문양에서 대부분 성모 마리아로 대체되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초상이 성 요한을 대체했다. 헝가리의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상이 헝가리의 수호 성인이자 초창기 기독교 신자인 왕 성 라슬로 1세로, 플로린 금화에서는 홀이었던 것이 전투용 도끼로 대체되었다. 그 상은 점점 더 웅장해졌다.[5]

3. 각국의 플로린

플로린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독일)''': 1754년부터 1873년까지 1 제국 플로린은 1 제국 굴덴, 1.3 플로린, 20 그로셴, 또는 60 크로이처와 같았다.
  • '''프랑스''': 1 리브르는 1 네덜란드 길더 또는 0.9 플로린과 같았고, 1 에쿠스는 18세기 말 기준으로 현재 가치 25달러에 해당했다.

1266년에 프랑스의 루이 9세가 발행한 첫 번째 " ecus "

  • '''스페인''': 1 에스쿠도는 0.9 스페인 두캇, 0.8 스페인 두카도, 또는 2.21 플로린과 같았다.
  • '''덴마크'''와 '''스웨덴''': 1 릭스달러는 2 플로린과 같았다.
  • '''베네치아''': 1 베네치아 두캇은 2 플로린과 같았다.
  • '''아일랜드''': 1928년부터 1943년까지 플로린 은화가 주조되었으며, 아일랜드 파운드의 10분의 1 가치를 가졌다. 아일랜드어로 flóirínga이라고 표기되었다. 1943년에 구리-니켈로 바뀌었고 1994년 6월 1일에 사용이 중단되었다.[9]


이 통화 단위는 시대와 정세에 따라 변동이 컸으며, 제시된 내용은 근대 시대(16~17세기)를 기준으로 한다.[11]

3. 1. 라인 굴덴

'플로린'이라는 용어는 유럽 다른 지역에서도 차용되었다. 1354년부터 일련의 통화 협약을 통해 라인강 유역의 상업 중심지를 포함하는 여러 독일 국가에서 라인길덴이 주조되었는데, 초기에는 피렌체 플로린과 거의 동일한 표준(금 98%, 3.54g)으로 주조되었다.[6] 1419년까지 무게가 약간 감소(3.51g)했고 합금의 금 함량도 크게 감소(79%)했다.[6] 1626년까지 합금의 금 함량이 다시 약간 감소(77%)했으며, 무게는 더 크게 감소(3.240g)했다.[6] 1409년, 라인길덴 표준(당시 금 91.7%)이 신성 로마 제국의 라이히스길덴에 채택되었다.[6]

14세기 말까지 플로린 금화보다 합금 기준을 낮추고 경량으로 주조된 동전이 독일의 여러 지역에서 발행되었으며, 이것이 "라인 굴덴(Rheingulden)"으로 널리 독일 전반에서 사용되었다. 15세기에는 라인 굴덴이 신성 로마 제국에 의해 채택되어 "제국 굴덴(Reichsgulden)"이 되었다.

3. 2. 네덜란드 길더

네덜란드 길더는 Fl. 또는 ƒ로 표시되며, 이는 플로린(florijn)을 의미한다.[11] 1.1 길더(Guilder)는 1플랑드르 플로린(이하 플로린)과 같았으며, 1680년부터 2002년까지 통용되었다.

3. 3. 영국 플로린

영국에서는 1344년에 처음으로 플로린이 발행되었다. 이 플로린은 원래 6실링의 가치를 지녔으며, 순도 23캐럿 그레인(또는 캐럿)의 금 108그레인(6.99828그램)으로 구성되었다.[7][8]

1849년부터 1970년까지는 은화(후기에는 백동) 영국 플로린이 통용되었는데, 2실링 또는 2밥 "비트" (약어 2/-)라고도 불렸다. 이 동전은 24페니, 즉 1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졌다. 1993년까지 십진법 10페니 동전과 함께 유통되다가 크기 조정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3. 4. 헝가리 포린트

헝가리피렌체 공화국의 플로린을 모방하여 포린트 화폐를 발행했다.[10] 헝가리 왕국은 유럽의 주요 금 생산지였기 때문에 헝가리 포린트는 중요한 통화로 자리 잡았다. 헝가리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 대신 헝가리의 초기 기독교 왕이자 수호 성인인 성 라디슬라우스가 등장했고, 원래 홀 대신 전투 도끼가 사용되었다. 점차적으로 이미지는 더 왕족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3. 5. 그 외 국가

네덜란드 길더는 Fl. 또는 ƒ로 표시되며, 이는 플로린(florijn)을 의미한다.[11] 1.1 길더(Guilder)는 1 플랑드르 플로린(이하 플로린)과 같았으며, 1680년부터 2002년까지 통용되었다.

신성로마제국(독일)에서는 1 제국 플로린 = 1 제국 굴덴 = 1.3 플로린 = 20 그로셴(groschens) = 60 크로이처 (Kreuzers) 이었고, 1754년~1873년까지 통용되었다. 1409년, 라인길덴 표준(당시 금 91.7%)이 신성 로마 제국의 라이히스길덴에 채택되었다.[6]

프랑스에서는 1 리브르 (Livre) = 1 네덜란드 길더 = 0.9플로린, 1 에쿠스(Ecus) = 현가치 25USD(18C말) 였다.

스페인에서는 1 에스쿠도 (Escudo) = 0.9 스페인 두캇 (Ducat) = 0.8 스페인 두카도 (Ducado) = 2.21 플로린 이었다.

덴마크에서는 1 릭스달러 (Rigsdaler) = 2 플로린 이었다.

스웨덴에서는 1 릭스달러 (Rixdaler) = 2 플로린 이었다.

영국에서는 1플로린 = 6실링(1344년), 1플로린 = 0.84 크라운(crown) 이었고, 1 파운드 (Pound) = 8.71 플로린 이었으며, 2실링(shilling) = 1영국 플로린 = 0.871플로린(1849년부터 1970년까지) 이었다. 현재 13.76실링= 1 유로 이다. 영국의 1344년 최초 발행된 동전은 플로린으로 알려져 있는데, 원래 6실링의 가치를 지녔으며, 순도 23캐럿에 그레인(또는 캐럿)의 금 108그레인 (6.99828그램)으로 구성되었다.[7][8]

베네치아에서는 1 베네치아 두캇 (Ducat) = 2 플로린 이었다.

헝가리에서는 1 헝가리 두캇 (Ducat) = 4 플로린 이었다. 헝가리 포린트는 플로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아일랜드에서는 1928년과 1943년 사이에 플로린 은화(아일랜드 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지며, 아일랜드어로 flóirínga이라고 표기됨)가 주조되었으며, 1943년에 구리-니켈로 바뀌었고 1994년 6월 1일에 사용이 중단되었다.[9]

그러나 이 통화 단위는 시대와 정세에 따라 지금 세계 각국 환율처럼 많은 변천이 있었기에, 근대시대(16~17C)를 기준으로 하였다.[11]

4. 중세, 근대 유럽 각국의 플랑드르 플로린과 화폐 비교

Fiorinoit 금화는 1252년부터 피렌체 공화국에서 주조된 동전으로, 한 면에는 백합 문양의 도시 문장이, 반대쪽에는 세례자 요한의 정면 입상이 디자인되어 있었다. 다른 국가에서 발행한 Fiorinoit 금화에서는 글자가 바뀌었고, 지역 문장의 디자인이 백합 문양에서 성모 마리아나 다른 초상으로 대체되었다.[11] 헝가리의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상이 성 라슬로 1세로, 홀이 전투용 도끼로 대체되었다.[11]

1252년1리라의 계수 통화 무게 기준으로 Fiorinoit 금화 원본이 선택되었다. 인플레이션으로 1 Fiorinoit 금화가 7 Fiorinoit 리라와 등가였던 1500년까지도 금 함량은 변하지 않았다. 타국의 등가 가치는 끊임없이 변동했기 때문에 Fiorinoit 금화는 환율 업무에서 기준 가치를 결정하는 화폐로 사용되었다.[11]

14세기 말, 독일의 여러 지역에서 Fiorinoit 금화보다 합금 기준을 낮추고 경량으로 주조된 동전이 발행되었으며, "Rheinguldende"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15세기에는 라인 굴덴이 신성 로마 제국에 의해 채택되어 "제국 굴덴(Reichsgulden)"이 되었다.[11]

근대시대(16~17C)를 기준으로 주요 국가들의 플로린 가치는 다음과 같았다.[11]

국가통화 단위 비교
네덜란드1.1 길더(Guilder) = 1플랑드르 플로린
신성로마제국(독일)1 제국 플로린 = 1 제국 굴덴 = 1.3 플로린 = 20 그로셴(groschens) = 60 크로이처 (Kreuzers)
프랑스1 리브르 (Livre) = 1 네덜란드 길더 = 0.9플로린, 1 에쿠(Ecus) = 25USD(18C말)
스페인1 에스쿠도 (Escudo) = 0.9 스페인 두캇 (Ducat) = 0.8 스페인 두카도 (Ducado) = 2.21 플로린
덴마크1 릭스달러 (Rigsdaler) = 2 플로린
스웨덴1 릭스달러 (Rixdaler) = 2 플로린
영국1플로린 = 6실링(1344년), 1플로린 = 0.84 크라운(crown) 1 파운드 (Pound) = 8.71 플로린, 2실링(shilling) = 1영국 플로린 = 0.871플로린(1849년부터 1970년까지)
베네치아1 베네치아 두캇 (Ducat) = 2 플로린
헝가리1 헝가리 두캇 (Ducat) = 4 플로린



5. 관련 통화

'플로린'이라는 용어는 유럽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1354년부터 라인 강 유역의 상업 중심지를 포함하는 여러 독일 국가에서 라인길덴이라는 플로린의 변형 통화를 주조했는데, 초기에는 피렌체 플로린과 거의 같은 표준(금 98%, 3.54g)이었다. 1419년까지 무게가 약간 감소(3.51g)했고 합금의 금 함량도 크게 감소(79%)했다. 1626년에는 합금의 금 함량이 다시 약간 감소(77%)했으며, 무게는 더 크게 감소(3.240g)했다. 1409년, 라인길덴 표준(당시 금 91.7%)은 신성 로마 제국의 라이히스길덴에 채택되었다.[6]

네덜란드 길더는 Fl. 또는 ƒ로 표시되는데, 이는 플로린(florijn)을 의미한다.

영국의 1344년 최초 발행된 동전은 플로린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6실링의 가치를 지녔으며, 순도 23캐럿 3.5 그레인(또는 23.875 캐럿)의 금 108그레인 (6.99828그램)으로 구성되었다.[7][8] 1849-1967년 사이에 주조되었지만(크기 조정으로 인해 폐지된 1993년까지 십진법 10페니 동전과 함께 유통됨), 영국 십진법 이전의 은화 (후기 백동)와 관련되어 있으며, 24페니 또는 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진 2실링(또는 2밥) "비트" (약어 2/-)로도 알려져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1928년과 1943년 사이에 플로린 은화(아일랜드 파운드의 10분의 1의 가치를 가지며, 아일랜드어로 flóirínga이라고 표기됨)가 주조되었으며, 1943년에 구리-니켈로 바뀌었고 1994년 6월 1일에 사용이 중단되었다.[9]

헝가리 포린트는 플로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피렌체 공화국의 원조 플로린 금화는 한 면에 특징적인 백합 문양의 도시 문장이, 반대쪽에는 (피렌체의 수호 성인인) 낙타 털옷을 입은 세례자 요한의 정면 입상이 디자인되어 있다. 다른 국가에서 발행한 플로린 금화에서는 먼저 글자(백합 문양 주변의 "Florentia"의 글자와 반대쪽 성인의 이름)가 바뀌었고, 그 다음에는 지역 문장의 디자인이 백합 문양에서 대부분 성모 마리아로 대체되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초상이 성 요한으로 대체되었다. 헝가리의 포린트에서는 성 요한상이 헝가리의 수호 성인이자 초창기 기독교 신자인 왕 성 라슬로 1세로, 플로린 금화에서는 홀이었던 것이 전투용 도끼로 대체되었다. 그 상은 점점 더 웅장해졌다.

피렌체 공화국의 플로린 금화 원본은 1252년1리라의 계수 통화의 무게 기준으로 선택되었다.

6. 기타

이 통화 단위는 시대와 정세에 따라 지금 세계 각국 환율처럼 많은 변천이 있었기에, 근대 시대(16~17세기)를 기준으로 하였다.[11]

게임 미디블 토탈워에서 나오는 플로린은 피렌체 플로린이다.

참조

[1] 문서 Ricordanze di S. Maria di Cafaggio
[2] 서적 Le monete della repubblica fiorentina Leo S. Olschki Editore
[3] 서적 Il paradosso francescano tra povertà e società di mercato https://books.google[...] Effatà Editrice
[4] 서적 The Medici https://books.google[...] Head of Zeus
[5] 서적 Walks in Florence and Its Environs Smith
[6] 서적 The History of Currency 1252–1894 Augustus Kelley
[7] 서적 Dye's coin encyclopædia: a complete illustrated history of the coins of the world ... https://books.google[...] Bradley & company 2012-02-22
[8] 서적 Dictionary of political economy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2012-02-22
[9] 간행물 Coinage (Calling In) Order 1993 1993-09-16
[10]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https://www.worldcat[...] I.B. Tauris 2001
[11] 웹인용 시대별 직업의 수당비교 http://historykr.com[...] 200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