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스트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스트볼은 두 팀이 네트를 사이에 두고 팔이나 주먹으로 공을 쳐서 득점을 겨루는 구기 종목이다.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유럽 남부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귀족들의 오락으로 인기를 얻었다. 1870년 독일로 전파된 후 체조 스포츠의 일부로 발전했으며, 1960년 국제 피스트볼 연맹이 설립되어 국제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주요 대회로는 4년마다 열리는 피스트볼 세계 선수권 대회가 있으며, 유럽, 아시아 등 대륙별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경기는 5명의 선수로 구성된 두 팀이 득점을 겨루며, 배구와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공이 한 번 바운드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스트볼 - 국제 피스트볼 협회
    국제 피스트볼 협회는 피스트볼의 국제 규칙 제정,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 등을 통해 피스트볼의 세계화를 주도하는 국제 스포츠 연맹이다.
  • 피스트볼 - 세계 피스트볼 선수권 대회
    세계 피스트볼 선수권 대회는 남자, 여자, U-18 남녀 부문으로 나뉘어 각 부문별 세계 챔피언을 결정하는 권위 있는 국제 피스트볼 대회이며, 특히 독일이 남자, U-18 남자, U-18 여자부에서 압도적인 우승 횟수를 기록하고 있다.
  • 단체 스포츠 - 롤러하키
    롤러하키는 쿼드 스케이트, 스틱, 볼을 사용하여 상대 골대에 득점하는 스포츠이며, 1878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롤러스포츠 연맹에서 규칙을 관장한다.
  • 단체 스포츠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구기 - 롤러하키
    롤러하키는 쿼드 스케이트, 스틱, 볼을 사용하여 상대 골대에 득점하는 스포츠이며, 1878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롤러스포츠 연맹에서 규칙을 관장한다.
  • 구기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피스트볼
스포츠 정보
이름피스트볼
그림Faustball Frauen.jpg
별칭빅 볼
기원240년 (최초 언급), 1894년 (최초 조직화된 경기)
인원팀 당 5명
혼성아니오
경기 장소구기
장비피스트볼, 네트
경기장야외 (여름) 및 실내 (겨울) 코트
올림픽아니오
국제 월드 게임1985 ~ 현재
국제 연맹국제 피스트볼 협회(IFA)

2. 역사

피스트볼의 기원은 고대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게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240년 로마 황제 고르디아누스 3세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1] 1555년 안토니우스 스카이오노가 이탈리아식 규칙을 기록했다.[1]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에는 귀족 스포츠로 인기를 얻었으며, 1786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저서 ''이탈리아 기행''에도 언급되었다.[2][3]

1870년 게오르크 베버에 의해 독일에 소개되어 체조 스포츠의 일부로 발전했다. 1894년 베버와 하인리히 슈넬 박사가 최초의 독일 규칙을 제정했으나, 당시의 규칙은 현재와는 많이 달랐다.

1913년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독일 체조 페스티벌에서 최초의 독일 남자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14년부터 1920년까지 선수권 대회가 중단되기도 했다. 1921년에는 여자 선수권 대회도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발전이 중단되었다가, 1947년 독일 선수권 대회가 재개되었다.

1960년 국제 피스트볼 연맹(IFA)이 설립되어 전 세계 피스트볼 협회를 총괄하게 되었다. 1968년 첫 번째 남자 세계 선수권 대회가, 1994년 첫 번째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현재 세계 선수권 대회는 4년 주기로 열리고 있다.

2013년 호주,[4] 201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새로운 국가에서도 피스트볼 연맹이 설립되며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2. 1. 한국의 피스트볼 역사

한국의 피스트볼 역사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도입 시기 및 과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상황이다. 1997년 월드 게임즈 라흐티 대회에서 일본 월드 게임즈 협회(JWGA) 관계자들이 피스트볼을 접하고 일본에 도입했다.[1] 1998년 일본 피스트볼 협회가 설립되어 국제 스포츠 연맹에 가입했고, 같은 해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일본 대표 시찰단을 파견했다.[1] 1999년 남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일본 대표 선수단을 파견했으며, 2001년 월드 게임즈에서는 남자 경기 5위를 기록했다.[1]

향후 한국 피스트볼 협회 설립 및 관련 자료 발굴을 통해 한국 피스트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3. 규칙

피스트볼은 두 팀이 코트 중앙의 네트를 사이에 두고 경쟁하는 스포츠이다. 각 팀은 5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팔이나 주먹만을 사용하여 공을 쳐서 상대편 코트로 넘겨야 한다. 네트를 넘긴 후, 공은 각 팀 선수들에 의해 최대 3번 터치될 수 있으며, 각 터치 전에 바운스가 허용된다. 그러나 한 선수가 반복해서 공을 칠 수는 없다.

3. 1. 경기 진행

피스트볼은 두 팀이 배구와 유사하게 두 개의 반쪽 코트에서 서로 경쟁하는 팀 스포츠이다. 두 팀은 중앙선과 높이 2m까지의 두 기둥 사이에 쳐진 네트로 구분된다. 경기 중 선수나 공이 네트 또는 기둥에 닿으면 실책으로 간주된다.

피스트볼 팀 방어


각 팀은 5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선수들은 팔이나 주먹만 사용하여(오픈 핸드가 허용되는 배구와 달리) 상대방이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플레이 코트의 한쪽 반쪽에서 상대방의 반쪽으로 공을 네트 너머로 넘기려고 시도한다. 네트를 넘긴 후, 공은 각 팀의 선수에 의해 최대 3번 터치될 수 있으며, 각 터치 전에 바운스가 허용된다(바운스가 허용되지 않는 배구와도 다름). 그러나 한 선수가 반복해서 공을 칠 수는 없다. 배구와 유사하게, 3번의 터치는 이상적으로 세이브, 세트, 스파이크를 사용하여 공을 상대편으로 되돌리는 데 사용된다.

공은 플레이어가 터치하기 전에 한 번 바운드하는 것이 허용된다. 두 번 바운드하는 것은 반칙이 된다. 1턴 당 최대 3명의 다른 플레이어가 공을 터치할 수 있으며, 늦어도 3번째 플레이어가 공을 상대 코트로 넘겨야 한다.[2]

공은 팔이나 주먹으로 쳐야 한다. 손을 펴서 치는 것과 팔 이외의 부분으로 치는 것은 반칙이다.[3]

3. 2. 득점

상대 팀이 공을 되돌려 보내지 못하거나 반칙을 하면 득점으로 인정된다. 파울을 한 팀이 서브권을 얻는다. 마지막 점수를 잃거나 마지막 실수를 범한 팀이 다음 서브를 한다. 한 세트는 한 팀이 11점을 먼저 얻고 2점 이상 앞설 때(예: 최소 11:9) 종료된다. 10-10 동점 상황에서는 두 팀 중 한 팀이 2점 차로 앞서거나 15점을 먼저 얻을 때까지 경기가 자동으로 연장된다(따라서 점수는 15-14로 끝날 수 있다). 경기 승리에 필요한 세트 수는 대회에 따라 다르다. 보통 5세트 중 3세트 또는 3세트 중 2세트를 먼저 이기는 팀이 승리한다. 제1회 파우스트볼 분데스리가에서는 5세트 선취제였다. 제2회 파우스트볼 분데스리가에서는 3세트 선취제였다.

3. 3. 반칙

다음은 상대팀에게 득점이 되는 파울이다.[1]

  • 공 또는 선수가 네트나 기둥에 닿는 경우[1]
  •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가는 경우[1]
  • 공이 한 팀 코트에서 두 번 바운드되는 경우[1]
  • 공이 네트 아래 또는 기둥 옆으로 넘어가는 경우[1]
  • 한 팀에서 3명 이상의 선수가 공을 터치하는 경우[1]
  • 한 선수가 연속해서 공을 터치하는 경우[1]
  • 서브 시 서버가 서비스 라인을 밟거나 넘어가는 경우[1]
  • 공이 팔뚝이나 주먹 이외의 신체 부위(손바닥 포함)에 닿는 경우[1]

4. 경기장

피스트볼 코트는 길이 50m, 너비 20m의 직사각형이다(실내는 40m x 20m). 코트 중앙에는 높이 2m(여자 1.9m)의 붉고 흰색 리본 모양 네트가 설치된다. 이 네트는 망 형태로 되어있다. D-유스(12세 미만)의 경우 네트 높이는 1.60m, C-유스(14세 미만)의 경우 1.80m이다.

서비스 라인은 중앙선에서 3m 떨어져 있다. 서브를 넣을 때 서버의 고정된 발(스탠딩 서브) 또는 첫 번째 착지 발(점핑 서브)은 이 라인 뒤에 완전히 위치해야 한다.

코트 경계선은 코트의 일부이므로, 공이 라인에 닿아도 경기는 계속된다. 실외 경기장에는 런오프 구역(후방 8m, 측면 6m)이 있지만, 실내 경기장에서는 벽이나 관람석으로 제한된다.

실외 피스트볼 경기장의 치수


파우스트볼 코트

5. 경기 전술 및 전략

피스트볼은 배구와 유사하게 선수들이 고정된 포지션을 가지고 경기하지만, 선수 간 로테이션은 없다. 각 팀은 5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이들은 팔이나 주먹만을 사용하여 상대방 코트로 공을 넘겨야 한다. 공은 각 팀에서 최대 3번까지 터치할 수 있으며, 각 터치 사이에 한 번의 바운드가 허용된다.

피스트볼 경기장은 배구 경기장보다 넓고, 공의 바운드 특성 때문에 배구와는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선수들은 넓은 공간을 커버해야 하며, 공의 바운드를 예측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5. 1. 포메이션

야외(A) 및 실내(B)에서 사용되는 포메이션


배구와 달리 피스트볼에서는 선수들이 로테이션을 하지 않고, 각 선수마다 고정된 포지션을 갖는다. 선수들이 경기 중에 다른 포지션으로 로테이션할 수 있지만, 각 선수가 자신의 포지션에서 전문성을 갖기 때문에 이는 드물다. 피스트볼 경기장이 배구 경기장보다 훨씬 크고, 피스트볼 팀은 배구 팀보다 한 번에 더 적은 수의 선수가 필드에 있기 때문에 피스트볼 선수들은 경기 중에 훨씬 더 넓은 공간을 커버해야 한다. 공이 각 선수의 히트 사이에 한 번 튀어 오를 수 있다는 점이 배구와 다른 전략을 필요하게 하는 주요 이유이다.

경기 조건(나무 바닥 또는 잔디, 젖은 바닥 등)에 따라 포메이션이 변경될 수 있다.

  • '''팀 A'''는 잔디 위에서 야외 경기를 위한 전형적인 포메이션으로 W자 모양을 보여준다. 세터는 상대방이 짧게 플레이하는 볼(예: 드롭 샷)에 대비하기 위해 전면 중앙을 커버한다. 그러나 세터는 상대방이 중앙을 통해 강하게 공격하는 샷에도 대비해야 하며, 이러한 샷을 방어하려면 빠른 반사 신경이 필요하다.

  • '''팀 B'''는 나무 바닥 위에서 실내 경기를 위한 전형적인 포메이션으로 U자 모양을 보여준다. 실내에서 공의 바운스가 더 예측 가능하므로 짧은 볼이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세터는 수비를 돕기 위해 후방 파울 라인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세터는 공격자에게 공을 세팅하기 위해 매 수비 후 끊임없이 앞으로 달려간다.


국제 수준에서는 야외 피스트볼도 U자 모양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빠르고 강력한 공격 샷에 대한 더 나은 수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수준에서 플레이하는 선수들은 수비와 공격 히트 모두를 위해 코트를 커버하기 위해 상당한 속도와 체력을 갖추어야 한다.

드물지만 또 다른 포메이션 옵션은 V자 모양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젖은 잔디 위에서 플레이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세터는 베이스라인 뒤에 서고 두 명의 수비 선수는 대각선으로 안쪽으로 이동하여 V자 모양을 형성한다. 젖은 잔디에서 공격 샷을 하면 공이 더 미끄러지고 덜 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포메이션은 팀이 공의 바운스 아래로 들어가 위로 쳐서 되돌려 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한다.

5. 2. 서브

힘, 정확성, 유연한 신체 움직임은 서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서브를 통해 득점을 올리거나, 상대방이 첫 타격을 어렵게 만들어 공격을 방해할 수 있다. 공은 주로 주먹 안쪽 면으로 타격하지만, 강한 타격을 원할 경우 주먹을 쥔 손의 가장자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해머 히트"라고 하는데, 타격 면적이 작아 실패 위험이 크다.

서브를 하는 선수는 상대방이 반격하기 어려운 코트 구역으로 공을 보내려 한다. 예를 들어, 뒷선으로 길게, 상대 선수 발 바로 아래, 코트를 가로질러 대각선, 네트 바로 위로 짧게 치는 방식 등이 있다.

피스트볼 선수가 서브를 준비하고 있다


타격에 곡선을 추가하는 것은 어렵지만 매우 효과적인 서브 방법이다. 주먹 안쪽 면으로 공을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그 반대로 쓸어 치면 공이 상대방에게서 멀어지거나 휘어져 돌아가게 만들어 반격을 어렵게 한다.

서브를 준비할 때는 서비스 라인(3미터 라인) 뒤에 서야 한다. 서브 후 첫 착지는 서비스 라인 뒤여야 한다. 점프 서브 시 착지 발은 라인 뒤에 있어야 하며, 두 번째 발은 라인 앞에 착지할 수 있다. 이는 서서 하는 서브에도 적용된다. 이를 어기면 폴트로 상대방이 득점한다. 또한, 공은 타격 전 눈에 띄게 손에서 떨어져야 한다 (던져야 한다). 잡고 있던 손에서 밀어내는 것은 오류로 간주된다.

상대 수비수에게 향하는 표준 서브의 궤적

5. 3. 수비

방어된 공의 이상적인 궤적


온 힘을 다해 공을 방어하는 피스트볼 선수


수비수는 팀이 효과적인 공격을 시작할 수 있도록 기술이 뛰어나야 한다. 수비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강력한 공격 기회를 잡기 어렵다. 상대의 강한 공격이나 서브에서 오는 공은 막아내기 매우 어려울 수 있으며, 성공적인 수비는 대부분 공을 잡기 위해 열심히 달린 결과이다. 선수들은 공이 두 번째로 바닥에 닿기 전에 공에 도달하기 위해 점프하거나 몸을 던져야 할 때도 있다.

좋은 수비는 네트를 향해 공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팔뚝 안쪽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팔뚝 안쪽이 공 뒤에 정확히 있지 않으면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튈 수 있다. 특히 공이 젖어 있을 때 더욱 그렇다.

타격 시 물리적 충격을 줄이기 위해 타격 순간 팔을 조심스럽게 뒤로 뺄 수도 있지만, 이는 숙련된 선수만이 구사할 수 있는 기술이다. 훌륭한 수비수는 뛰어난 민첩성, 속도, 반응 속도, 기술, 위치 선정 능력, 그리고 몸을 아끼지 않는 용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수들의 헌신적인 플레이는 피스트볼 경기의 역동성을 만들어내는 바탕이 된다.

5. 4. 세팅

일반적인 간접 세트의 궤적


피스트볼 선수가 공을 세팅하고 있다


세터는 공격수가 공격하기 쉽도록 공을 공중에 띄워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공격의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세터는 공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을 공중과 코트 위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 히트는 베이스라인, 네트 근처, 심지어 코트 밖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공을 공중에 쳐서 바운스되도록 세팅하는 경우, 이를 간접 세트라고 한다. 세터는 히트의 궤적을 계산하여 바운스가 약 2.5m~3m 높이의 최고점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공격자가 점프하여 네트 너머로 공을 쳐내기에 가장 효과적인 높이기 때문이다. 세팅을 수행할 때 코트 상태, 네트까지의 거리, 바람의 방향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이상적으로는 공에 약간의 전방 회전을 주어 공격자가 공격 히트 시 이 전방 운동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터는 또한 공이 먼저 땅에 닿지 않고 공격자에 의해 직접 쳐지도록 공을 칠 수 있는데, 이를 직접 세트라고 한다. 세터는 종종 세트 전에 "직접" 또는 "간접"을 외쳐 공격자가 접근 방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대부분의 세트는 세터가 수행하지만, 포지셔닝이나 세터가 이미 수비에서 히트를 해야 했던 상황으로 인해 많은 상황에서 공격자 중 한 명이 세팅을 해야 할 때가 있다. 훌륭한 공격자는 공을 세팅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5. 5. 공격

훌륭한 공격수는 높은 타점에서 공을 칠 수 있어야 하며(좋은 타구는 시속 100km/h 이상을 기록한다), 상대의 위치 선정에서 약점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훌륭한 공격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1] 주 공격수는 서버 옆에 위치하며, 서버는 부 공격수 역할을 한다.[1] 공격수는 세터가 정확하게 배치한 공의 전진 회전을 이용하여 점프하여 최대 힘으로 상대 수비의 틈새를 공략한다.[1]

공격자의 장거리 타구 궤적


공격자가 공을 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공격수는 상대에게 예측 불가능해야 하며, 공격의 방향과 속도가 타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수비에 의해 예측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1] 서버와 마찬가지로, 공격수 역시 다양한 공격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각 타격의 선택과 효과는 수비로부터 공격을 준비하는 팀의 능력의 성공 또는 실패에 특히 달려 있다.[1]

실내 피스트볼의 경우, 코트의 크기가 공격 방식을 변화시킨다.[1] 실내 경기의 런 아웃(run-out) 구역은 벽과의 근접성 때문에 보통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다.[1] 이러한 사실은 세터에 의해 활용되는데, 세터는 공격수가 코트 반대편으로 날카롭게 공을 칠 수 있도록 네트 바로 위로 공을 배치하여, 상대가 공이 벽에 맞기 전에 공 뒤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1]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상대는 배구와 유사하게 네트에서 공을 블로킹해야 한다.[1] 이는 수비 팀의 포메이션과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1]

6. 주요 대회

국제 경기 중 피스트볼 선수


피스트볼의 가장 큰 국제 대회는 4년마다 열리는 피스트볼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국제 피스트볼 협회(IFA) 회원국은 모두 대회에 초청되며, 보통 10~12개 팀이 참가한다. 대회 장소는 매번 바뀌지만, 주로 유럽이나 남아메리카에서 열린다. 여자 피스트볼 세계 선수권 대회는 남자 대회 1년 전에 열리며, 보통 남자 대회가 열리는 국가와 다른 국가에서 개최된다. 남자 대회에서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나미비아, 이탈리아가 1990년 이후 모든 대회에 참가했으며, 세르비아, 미국, 일본도 자주 참가한다.

남자 피스트볼 세계 선수권 대회 상위 5개 팀은 4년마다 열리는 월드 게임의 피스트볼 종목에도 초청된다. 개최국이 IFA 회원국이면 6위 팀은 개최국의 피스트볼 팀이며, 그렇지 않으면 가장 최근 세계 선수권 대회 6위 팀이 초청된다. IFA가 직접 주관하지는 않지만, 이 대회는 상당한 권위를 가진다.

세계 선수권 대회 외에도, 유럽, 남아메리카, 그리고 최근에는 아시아 선수권 대회와 같은 국제 대륙별 선수권 대회가 열린다.

클럽 대회의 경우, 실내 및 실외 경기를 위해 매년 피스트볼 월드컵이 개최되며, 세계 최고의 클럽들이 경쟁한다. 클럽을 위한 개별 유럽 및 남아메리카 선수권 대회도 열리며, 이는 월드컵 대회 출전 자격으로 사용된다.

7. 심판

피스트볼 심판


피스트볼 경기는 심판 1명과 두 명의 선심의 보조를 받아 진행된다.

심판은 단독적인 의사 결정 권한을 가지며, 모든 득점 또는 반칙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린다.[1] 심판은 자신의 쪽 경기장의 사이드라인을 관찰할 책임도 있다.[1]

선심은 심판과 마주보는 경기장 구석에 위치하며, 깃발을 사용하여 판정을 신호한다.[1] 선심의 임무는 축구 선심과 유사하게 라인 콜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다.[1] 두 선심의 관찰 구역은 현재 공격 중인 팀과 수비 중인 팀에 따라 달라진다.[1] 공격 측 선심은 사이드라인 전체를 담당하므로 사이드라인을 향해 몸을 돌린다.[1] 수비 측 선심은 베이스라인과 동일 선상에 있으며, 그 라인을 관찰하는 역할을 한다.[1] 선심은 공격과 수비 사이에서 플레이가 바뀔 때 관찰 구역을 변경한다.[1]

심판은 아웃 볼(깃발을 위로 든 상태) 또는 인 볼(깃발을 아래로 든 상태)을 표시하는 것 외에도 반칙, 교체, 부상,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 등과 같은 기타 중요한 경기 상황을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origins & birth of Fistball https://www.fistball[...] fistball.com
[2] 문서 1786-09-16
[3] 서적 Italienische Reise Gutenberg
[4] 웹사이트 Fistball Federation of Australia http://fistball.com.[...] 2020-08-01
[5] 웹사이트 Faustballとは - 日本ファウストボール協会 http://faustball.we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