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드 라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드 라뮈는 16세기의 프랑스 인문주의자이자 교육 개혁가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반대하며 새로운 논리학과 교육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나바르 대학교에서 스콜라 철학에 반발하며 논쟁을 벌였고, 프랑수아 1세에 의해 강의가 금지되기도 했지만, 앙리 2세의 지원으로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가 되었다. 라뮈는 개신교로 개종한 후 박해를 받아 독일과 스위스로 피신했으며,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때 살해당했다. 그의 사상은 수사학, 변증법, 교육 개혁,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라무스주의는 17세기까지 널리 수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수사학자 -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장프랑수아 리오타르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문학 이론가로서, 특히 "거대 담론의 종말"을 주장한 《포스트모던의 조건》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의 주요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마르크스주의 비판과 함께 지식, 언어, 정의, 미학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사상을 전개했다. - 프랑스의 살해된 사람 - 자크 아멜
자크 아멜은 1930년에 태어나 2016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사제로, 이슬람 국가 추종자들에게 살해당했으며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다. - 프랑스의 살해된 사람 - 마리 트랭티냥
프랑스 배우 마리 트랭티냥은 배우 장루이 트랭티냥과 영화 감독 나딘 트랭티냥 사이에서 태어나 아역 데뷔 후 《여인들의 사건》, 《퐁네프의 연인들》 등에서 활약했으나 2003년 남자친구의 폭행으로 사망했다. - 우아즈주 출신 - 루이 프랑수아 드 부플레르 공작
루이 프랑수아 드 부플레르 공작은 프랑스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여러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지휘 능력으로 프랑스 원수와 공작 작위를 받았으며, 레이스윅 조약 협상에도 참여하는 등 외교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우아즈주 출신 - 펠릭스 가타리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펠릭스 가타리는 질 들뢰즈와 함께 자본주의와 정신 질환의 관계를 탐구하고 권력 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했으며, 사회·정치 활동을 통해 집합적 주체화를 위한 실천적 노력을 보이고 새로운 주체성의 가능성을 탐구하여 포스트구조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피에르 드 라뮈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에르 드 라 라메 |
출생 | 1515년 |
출생지 | 퀴츠, 피카르디 |
사망 | 1572년 8월 26일 |
사망지 | 파리 |
국적 | 프랑스 |
학력 | |
교육 기관 | 콜레주 드 나바르 |
경력 | |
소속 기관 | 콜레주 드 프랑스 |
사상과 업적 | |
주요 관심사 | 논리학, 교육 개혁 |
주요 아이디어 | 라무스주의 |
영향 받은 인물 | 라몬 룰 · 요하네스 슈투름 · 장 칼뱅 |
영향을 준 인물 | 장 보댕 |
주요 저서 | 아리스토텔레스 비판 |
학문 | |
학문 분야 | 서양 철학 |
학파 | 르네상스 인문주의, 라무스주의 |
논문 제목 | Quaecumque ab Aristotele dicta essent, commentitia esse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은 모두 허구이다) |
논문 발표 연도 | 1536년 |
지도 교수 | 요하네스 슈투름 |
지도 학생 | 테오도르 츠빙거 |
2. 생애
피카르디 지방 쿠츠에서 태어난 그는 12세(대략 1527년)에 나바르 대학교에 들어가 하인으로 일하며 공부했다. 당시 스콜라 철학에 대한 반발이 거셌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과도기에 있었다. 1536년 석사 학위 논문으로 ''Quaecumque ab Aristotele dicta essent, commentitia esse''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모든 것은 거짓이다'')를 제시했다고 알려져 있다. 월터 J. 옹은 이를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모든 것은 체계가 제대로 잡혀 있지 않고 임의적인 기억술을 사용해야만 기억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모순된다."[2]라고 의역했다. 옹[3]은 이런 종류의 파격적인 논문이 당시 흔했지만, 라뮈가 실제로 이 논문을 발표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한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그는 피카르디 지방 쿠츠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농부였다. 그는 12세(대략 1527년)에 나바르 대학교에 입학하여 하인으로 일했다. 스콜라 철학에 대한 반발이 한창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과도기에 놓여 있었다. 1536년 석사 학위를 받을 때 라뮈는 그의 논문으로 ''Quaecumque ab Aristotele dicta essent, commentitia esse''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모든 것은 거짓이다'')를 제시했다고 전해지며, 월터 J. 옹은 이를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모든 것은 체계가 제대로 잡혀 있지 않고 임의적인 기억술을 사용해야만 기억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모순된다."[2]라고 번역했다. 옹[3]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파격적인 논문은 당시 흔한 일이었다. 그럼에도 옹은 라뮈가 실제로 이 논문을 발표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4]2. 2. 초기 학문 활동과 논쟁
라뮈는 대학 졸업생으로서 강의를 시작했다. 이 시기에 그는 수많은 논쟁에 휘말렸다. 1543년 한 반대자는 베네딕토회의 조아킴 페리옹( Joachim Périon|조아킴 페리옹프랑스어)이었다.[5] 그는 의학 교수인 자크 샤르팡티에로부터 철학과 종교의 기반을 훼손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라뮈의 제자이자 친구인 아르노 도사는 샤르팡티에에 맞서 그를 변호했다.[6] 라뮈는 고베아누스(안토니오 데 고베아)와 이틀에 걸쳐 논쟁을 벌이게 되었다.[7] 이 문제는 파리 고등법원에 회부되었고, 결국 프랑수아 1세 앞으로 넘어갔다. 프랑수아 1세는 5명의 위원회에 이 문제를 회부했고, 위원회는 라뮈가 "무모하고, 거만하며, 뻔뻔하게 행동했다"고 판결하고 그의 강의를 금지했다(1544).2. 3. 왕실의 후원과 교수 임용
그는 파리에서 물러났지만, 곧 1547년에 즉위한 앙리 2세가 샤를 드 로렌 추기경의 영향으로 그에 대한 포고령을 취소하면서 다시 돌아왔다. 그는 나바르 대학교에 자리를 얻었다.[8][9]1551년 앙리 2세는 그를 콜레주 드 프랑스의 왕립 교수로 임명했지만, 그의 요청에 따라 당시 논란이 되었던 철학 및 웅변술 교수의 독특한 직함을 받았다.[10] 그는 한동안 2,000명에 달하는 청중 앞에서 강의했다. 그곳의 또 다른 교수인 피에르 갈랑|Pierre Galland프랑스어은 ''Contra novam academiam Petri Rami oratio''(1551)를 출판하고 그가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태도 때문에 그를 "존속 살해자"라고 불렀다. 더 심각한 혐의는 그가 '새로운 아카데미 회원', 즉 회의론자였다는 것이다. 오도마루스 탈레우스(오메르 탈롱, c.1510–1581)는 라뮈의 가까운 동맹자로, 키케로가 아르케실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의 학파인 아카데미 회의론에 대해 묘사한 내용에서 파생된 작품을 1548년에 출판했다.[11][12]
2. 4. 개종과 박해

1561년, 개신교를 받아들인 후 그는 심각한 적대감에 직면했다. 파리에서 도망쳐야 했고, 퐁텐블로 궁전에서 피난처를 찾았지만, 그의 집은 약탈당하고 그의 서재는 그가 없는 동안 불태워졌다.[13] 잠시 후 자리를 되찾았지만, 1568년 6월 30일 시몽 보디숑 및 다른 교수들과 함께 국왕 검찰총장 앞으로 소환되었다.[13] 상황이 다시 위협적이어서 그는 여행 허가를 요청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약 2년 동안 독일과 스위스에서 보냈다.[14] 1571년 라 로셸 신앙 고백을 비난하여 테오도르 드 베자와의 관계가 끊어졌고, 라뮈는 하인리히 불링거에게 분노에 찬 편지를 썼다.[15]
프랑스로 돌아온 그는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1572년)의 희생자가 되었다. 잠시 생 자크 거리 근처의 서점에서 숨어 지내다가 폭력 사태 3일째인 8월 26일에 자신의 숙소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그는 기도하는 동안 칼에 찔려 살해당했다.[16] 이후 샤르팡티에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어 왔다.[17] 그의 죽음은 그의 친구이자 동료인 니콜라 드 낭셀|Nicolas de Nancel프랑스어에 의해 키케로의 살해에 비유되었다.[18]
2. 5.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과 죽음
1561년, 개신교를 받아들인 라뮈는 심각한 적대감에 직면했다. 파리에서 도망쳐 퐁텐블로 궁전에서 피난처를 찾았지만, 그의 집은 약탈당하고 서재는 불태워졌다. 잠시 후 자리를 되찾았지만, 1568년 6월 30일 시몽 보디숑 등 다른 교수들과 함께 국왕 검찰총장 앞으로 소환되었다.[13] 상황이 위협적이어서 여행 허가를 요청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했다.
약 2년 동안 독일과 스위스에서 보냈다.[14] 1571년 라 로셸 신앙 고백을 비난하여 테오도르 드 베자와 관계가 끊어졌고, 하인리히 불링거에게 분노에 찬 편지를 썼다.[15]
프랑스 귀국 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1572년)의 희생자가 되었다. 생 자크 거리 근처 서점에 잠시 숨어 지내다가 폭력 사태 3일째인 8월 26일에 숙소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기도하는 동안 칼에 찔려 살해당했다.[16] 이후 샤르팡티에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17] 그의 죽음은 친구이자 동료인 니콜라 드 낭셀|Nicolas de Nancel프랑스어에 의해 키케로의 살해에 비유되었다.[18]
3. 사상
피에르 드 라뮈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기독교를 구원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모세와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단순하게 해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신학은 청교도 신앙이 성경을 우선시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모든 사람이 고유한 판단력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형식 논리는 자연스러운 현상을 관찰하고 실제적인 지식을 통해 구축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라뮈는 로렌조 발라와 루돌프 아그리콜라의 스콜라적 논리 비판을 바탕으로 논증과 논리를 제시했다. 그는 논리와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버질, 호레이스, 오비드 등 고대 로마 작가들의 인용을 통해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라뮈의 사상은 크게 다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반(反)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새로운 논리학: 라뮈는 당시 혼란스럽고 무질서했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기반한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논리학을 제시했다. 그는 삼단논법을 수정하고, 독자적인 논리 체계를 구축하려 했다.[1]
- 수사학과 변증법: 라뮈는 수사학을 변증법(논리)에서 분리하여, 수사학의 범위를 좁히려 했다. 그는 수사학의 전통적인 다섯 가지 기술(발명, 배열, 표현, 기억, 발음) 중 발명과 판단은 변증법의 영역으로, 표현과 전달은 수사학의 영역으로 재정의했다. 기억은 심리학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제외했다.[24] 그는 이진 트리를 활용하여 지식을 체계화하는 방식을 선호했다.[29]
- 교육 개혁: 라뮈는 교육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바탕으로, 철학 및 스콜라 교육에 질서와 단순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그는 1543년에 ''아리스토텔리카에 아님아드버전스''(Aristotelicae Animadversiones)와 ''다이알렉티카에 파르티티오네스''(Dialecticae Partitiones)를 출판하여 기존 논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교과서를 제시했다.
- 수학: 라뮈는 요하네스 슈투름의 제자로 수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유클리드의 무리수 이론을 비판하고, 실용적인 수학을 강조했다.
3. 1. 반(反)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새로운 논리학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으로부터 기독교를 구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형이상학적 전염병에서 나와서 모세와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단순하고 문자적인 해석을 원했다. 이러한 순수한 신학은 청교도의 신앙이 성경을 가장 우선으로 보는 것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모든 사람이 고유의 판단력을 갖고 태어났으며 형식 논리는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고, 실제적인 지식으로 세워져야 한다고 믿었다.라뮈의 논리는 한때 큰 명성을 누렸고, 프랑스, 독일, 스위스, 그리고 네덜란드에서 많은 추종자를 자랑하는 라뮈 학파가 존재했다. 그러나 라뮈의 혁신이 논리사에서 어떤 시대를 표시한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그가 아리스토텔레스를 독립적인 논리 체계로 대체하겠다는 주장은 근거가 거의 없다. 자연 논리, 즉 일상 언어의 내재된 논리와 체계적으로 명시된 동일한 논리 사이의 구분은 논리 핸드북으로 넘어갔다.[1]
그는 삼단논법을 수정했다. 그는 원래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처럼 첫 세 개의 격만을 인정했고, 후기 저작에서는 로렌티우스 발라의 선례를 따라 세 번째 격의 타당성을 공격하기도 했다. 라뮈는 또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는 것처럼, 전제에서의 중간항의 위치로부터 격을 유도하는 현대적 방식을 설정했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중간항과 주항 및 부항의 다른 관계에 기초했다.[1]
3. 2. 수사학과 변증법
그는 논리와 철학을 이해하는 데 주어지는 모든 예시는 버질, 호레이스, 오비드 등 고대 로마 출신 작가들을 인용함으로써 지혜가 온다고 보았다.논증과 논리는 로렌조 발라와 루돌프 아그리콜라가 만든 스콜라적 논리 비판에 기반을 두었다. 주요 쟁점은 라뮈의 반(反)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교육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초기 근대 시대의 스콜라 철학 형태로 낡은 모습을 보이며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상태였다. 라뮈는 다양한 학문의 최우선적인 논리적이고 방법론적 기반으로서의 변증법에 대한 감각을 되살림으로써 철학 및 스콜라 교육에 질서와 단순성을 불어넣고자 했다.
그는 1543년에 ''아리스토텔리카에 아님아드버전스''(Aristotelicae Animadversiones)와 ''다이알렉티카에 파르티티오네스''(Dialecticae Partitiones)를 출판했는데, 전자는 기존 논리학에 대한 비판이었고 후자는 이 학문에 대한 새로운 교과서였다. ''파르티티오네스''(Partitiones)의 실질적으로 새로운 판본은 1547년에 ''인스티튜티오네스 다이알렉티카에''(Institutiones Dialecticae)로, 1548년에 ''스콜라에 다이알렉티카에''(Scholae Dialecticae)로 출판되었으며, 그의 ''변증법(Dialectique)''(1555)은 그의 체계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으로, 프랑스어로 된 이 주제에 관한 가장 초기의 저작이다.
''다이알렉티카에 파르티티오네스''(Dialecticae partitiones)에서 라뮈는 요약, 제목, 인용 및 예시의 사용을 권장한다. 옹(Ong)은 라뮈가 개요를 사용하는 것을 "지식 전체, 나아가 인간의 삶 전체의 재조직"이라고 칭했다.[19]
라뮈의 저작을 연구한 후 옹은 그의 예술 "방법론화"의 결과가 "사색가가 아니라 단지 박식한 교육자일 뿐인 절박한 사람의 아마추어적인 작품"이라고 결론 내렸다.[20] 반면에 그의 저작은 학문적 경계 문제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자들은 17세기 말까지 그의 주장을 대체로 받아들였다.[21]
제임스 야신스키가 설명하듯이, "수사학의 범위는 16세기에 피터 라무스의 작품 덕분에 좁아지기 시작했다."[22] "좁아졌다"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야신스키는 라무스가 수사학을 변증법(논리)에서 분리하려는 주장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수사학 연구와 대중적인 설득 개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움직임이었다. 현대 수사학자들은 라무스의 견해를 거부하고, "광범위한 일상 언어 관행"을 포함하는 수사 예술에 대한 더 광범위하고 (여러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적) 이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23] 전통적으로 수사학에는 ''발명'', ''배열'', ''표현'', ''기억'', ''발음''의 다섯 부분이 있었다. 라뮈는 이중 발명과 판단은 변증법 매뉴얼에서, 표현과 전달은 수사학 매뉴얼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억은 수사학이 아닌 심리학의 일부로 여겨 그의 수사학 및 변증법 아이디어에서 제외했다.[24] 브라이언 비커스는 라무스주의의 영향이 수사학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그것은 ''표현'' 또는 효과적인 언어 사용에 더 집중하고, 라틴어가 아닌 유럽의 토착 언어의 역할을 강조했다. 라무스 개혁은 수사학자들이 스타일에 집중하는 경향을 강화했다.[25] 그 결과 수사학은 문학에 적용되었다.[26]
발명에는 정의, 원인, 효과, 주제, 부속, 차이, 반대, 비교, 유사성, 증언을 포함한 14가지 주제가 포함된다. 스타일에는 은유, 제유, 환유, 아이러니의 네 가지 표현이 포함된다. 또한 시적 운율과 리듬감 있는 산문 규칙, 화자가 취할 수 있는 태도에 해당하는 인물, 반복도 포함된다. 전달은 목소리와 몸짓의 사용을 다룬다.[27]
그의 수사학적 성향은 논리를 ''ars disserendi''로 정의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는 키케로가 청중을 설득한 방식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에 관한 작품(''오르가논'')을 연구하는 것보다 논리의 규칙을 더 잘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라뮈스에 따르면 논리는 발명 (개념 및 정의 처리)과 판단 (적절한 판단, 삼단 논법 및 방법론 포함)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여기서 그는 로돌푸스 아그리콜라의 영향을 받았다.[28] 이러한 분할로 인해 판단 또는 모친적 지혜를 "세쿤다 페트리"로 지칭하는 유머스러운 지정이 생겼다. 그러나 라무스가 여기서 하는 일은 실제로 수사학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논리와 수사학이 각각 두 부분으로 나뉘면서 새로운 구성이 이루어졌다. 수사학은 ''표현''과 ''발음''을 다루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라무스주의는 지식을 조직하는 방법으로 이진 트리를 다루는 것을 좋아했다.[29]
3. 3. 교육 개혁
라뮈의 반(反)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교육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근대 시대의 스콜라 철학 형태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낡고 혼란스러웠으며 무질서한 상태였다. 라뮈는 다양한 학문의 최우선적인 논리적이고 방법론적 기반으로서 변증법에 대한 감각을 되살려 철학 및 스콜라 교육에 질서와 단순성을 부여하고자 했다.그는 1543년에 ''아리스토텔리카에 아님아드버전스''(Aristotelicae Animadversiones)와 ''다이알렉티카에 파르티티오네스''(Dialecticae Partitiones)를 출판했다. 전자는 기존 논리학에 대한 비판이었고, 후자는 이 학문에 대한 새로운 교과서였다. ''파르티티오네스''(Partitiones)의 새로운 판본은 1547년에 ''인스티튜티오네스 다이알렉티카에''(Institutiones Dialecticae)로, 1548년에 ''스콜라에 다이알렉티카에''(Scholae Dialecticae)로 출판되었다. 그의 ''변증법(Dialectique)''(1555)은 그의 체계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으로, 프랑스어로 된 이 주제에 관한 가장 초기의 저작이다.
''다이알렉티카에 파르티티오네스''(Dialecticae partitiones)에서 라뮈는 요약, 제목, 인용 및 예시의 사용을 권장한다. 옹(Ong)은 라뮈가 개요를 사용하는 것을 "지식 전체, 나아가 인간의 삶 전체의 재조직"이라고 칭했다.[19]
라뮈의 저작을 연구한 후 옹은 그의 예술 "방법론화"의 결과가 "사색가가 아니라 단지 박식한 교육자일 뿐인 절박한 사람의 아마추어적인 작품"이라고 결론 내렸다.[20] 반면에 그의 저작은 학문적 경계 문제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자들은 17세기 말까지 그의 주장을 대체로 받아들였다.[21]
3. 4. 수학
그는 요하네스 슈투름의 제자로 수학자로도 알려져 있었다. 슈투름은 1529년에 타르수스의 헤르모게네스에 관해 강의했는데, 여기서 라뮈식 이분법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또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30]그는 제자들을 두었으며,[31] 수학에 관해 존 디와 서신을 주고받았고, 한때 엘리자베스 1세에게 그를 대학교수로 임명할 것을 추천하기도 했다.[32]
라뮈는 수학에 대해 실용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클리드의 무리수 이론이 쓸모없다고 여겼다.[33] 그는 기술적 응용과 공학 수학을 강조했으며, 이는 민족주의에 대한 호소와 결합되었다(프랑스는 이탈리아에 뒤처져 있었고 독일을 따라잡아야 했다).[34]
4. 라무스주의와 영향
라무스의 가르침은 17세기까지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이후 베이컨주의, 범지학, 데카르트주의와 같은 운동들은 여러 방식으로 라무스주의를 기반으로 삼았으며, 라무스주의가 이룩한 단순화(그리고 지나친 단순화)로 인해 열린 공간을 활용했다. 라무스주의의 가장 오래 지속된 흐름은 조직적인 칼뱅주의 신학에서 나타났으며, 라무스주의 틀을 가진 교과서적 설명은 18세기까지, 특히 뉴잉글랜드에서 사용되었다.
라무스 사후에 나온 라무스주의에 관한 최초의 저술은 전기였으며, 일종의 제자들에 의해 쓰였다. 그 저자들은 프라이기우스(1574년 또는 1575년),[35] 바노시우스(1576년),[36] Nancelius|니콜라 드 낭셀프랑스어 (1599년) 등이 있으며, 이들 중 낭셀리우스만이 라무스와 가까운 사이였다.[37] 다양한 분야의 라무스주의 추종자로는 요하네스 알투시우스, 카스파 올레비아누스, 존 밀턴, 요하네스 피스카토르, 루돌프 스넬리우스, 그리고 히에로니무스 트로일러가 있다.[38]
5. 저서
그는 생전에 50권의 저서를 출판했으며, 사후에 9권이 더 출판되었다.
-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비판'' (1543)
- ''브루투스 논쟁'' (1547)
- ''퀸틸리아누스에 대한 수사학적 구분'' (1549)
- ''변증법'' (1555)
- ''산수'' (1555)
- ''고대 갈리아인의 풍습에 관하여'' (파리, 1559; 제2판, 바젤, 1572)
- ''카이사르 군대에 관한 책'' 파리, 1584
- ''파리 대학교 개혁에 대한 경고'', 국왕에게, 파리, (1562)
- 세 권의 문법서: ''라틴어 문법'' (1548), ''그리스어 문법'' (1560), ''프랑스어 문법'' (1562)
- ''학교 물리, 형이상학, 수학'' (1565, 1566, 1578)
- ''수학 서문'' (파리, 1567)
- ''수학 학교 서적 31권'' (바젤, 1569)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 ''기독교 종교에 관한 주석'' (프랑크푸르트, 1576)
6. 참고 문헌
- 김경식, 《페트루스 라무스의 생애와 사상으로 본 서유럽 종교개혁 지형도》
- 페리 밀러,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지성
참조
[1]
웹사이트
Petrus Ramus
https://academic-eb-[...]
[2]
서적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 From the Art of Discourse to the Art of Reason
1958
[3]
서적
Ramus
[4]
서적
Ramus
[5]
간행물
Bartholomew Keckerman and the Anti-Ramist Tradition
2006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rnaud d'Ossat
http://www.newadvent[...]
[7]
서적
Peter Ramus's Attack on Cicero: Text and Translation of Ramus's Brutinae Quaestiones
1992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eter Ramus
http://www.newadvent[...]
[9]
서적
From Humanism to Science 1480-1700
1978
[10]
서적
French renaissance studies : 1540-70 : humanism and the Encyclopedia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76-01-01
[11]
웹사이트
Ramus
http://www.inrp.fr/e[...]
[12]
서적
The History of Scepticim from Erasmus to Spinoza
1979
[13]
서적
Histoire de la ville de Paris
https://books.google[...]
Guillaume Desprez et Jean Desessartz
2021-01-16
[14]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98
[15]
서적
Biblical Authority: A Critique of the Rogers/McKim Proposal
1982
[16]
서적
Sir Philip Sidney: Courter Poet
1991
[17]
웹사이트
John Foxe's Book of Martyrs
http://www.hrionline[...]
[18]
서적
Ramus, Pedagogy and the Liberal Arts: Ramism in Britain and the Wider Worl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
[19]
문서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 From the art of discourse to the art of reason
Harvard
1958
[20]
문서
The Barbarian Within
1962
[21]
서적
Classical Rhetorics and Rhetoricians: Critical Studies and Sources
2005
[22]
문서
Sourcebook on Rhetoric
2001
[23]
문서
Sourcebook on Rhetoric
2001
[24]
서적
Ramus, Pedagogy and the Liberal Arts: Ramism in Britain and the Wider World
2013
[25]
서적
Rhetoric
1971
[26]
서적
In Defence of Rhetoric
1988
[27]
서적
Ramus, Pedagogy and the Liberal Arts: Ramism in Britain and the Wider World
2013
[28]
저널
Petrus Ramus
http://plato.stanfor[...]
2006-05-09
[29]
간행물
Language and Logic
2006
[30]
서적
Rhetoric in the European Tradition
1994
[31]
MathGenealogy
[32]
서적
John Dee
1972
[33]
서적
John Dee
1972
[34]
간행물
Mathematicians, Mechanics, and Experimental Machines in Northern Italy in the Sixteenth Century
1975
[35]
웹사이트
Historische Tabellenwerke - Freigius
http://www.sfb-frueh[...]
2011-03-27
[36]
간행물
Commentariorum de religione Christiana libri quatuor, nunquam antea editi
https://archive.org/[...]
Frankfurt
1576
[37]
논문
Petrus Ramus
http://plato.stanfor[...]
2006-05-09
[38]
웹사이트
Ramus, Petrus
http://www.ccel.org/[...]
[39]
서적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지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