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푸스 아라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푸스 아라브스는 244년부터 249년까지 로마 황제였다. 시리아 출신의 아랍인으로, 고르디아누스 3세 치세에 프라이토리아니의 장관을 거쳐 황위에 올랐다. 그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샤푸르 1세와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과도한 세금 부과와 군사적 실패로 인해 데키우스의 반란에 직면하여 사망했다. 필리푸스는 로마 건국 1000주년을 기념하고 고향을 필리포폴리스로 개명하는 등 통치 기간 동안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일부 자료에서는 그를 최초의 기독교 황제로 묘사하지만, 역사적으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4년 출생 - 제갈교
    제갈교는 삼국시대 촉한의 인물로 제갈근의 아들이었으나 제갈량의 양자가 되었고, 유선의 누이와 혼인하여 부마도위에 임명되어 제갈량을 따라 한중에서 활동하다 젊은 나이에 병사했다.
  • 204년 출생 - 진표 (삼국지)
    진표는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수로, 산월 토벌과 파양 반란 진압 등 군사적 공을 세우고 무난독 병사 시명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하여 손권의 신임을 얻었으며, 34세에 사망했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율리우스 파울루스
    율리우스 파울루스는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방대한 법률 저술을 통해 로마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 시대에 활동하며 무죄추정의 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일부 저술의 위작 논란과 초기 생애에 대한 정보 부족이 있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는 2~3세기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파피니아누스의 제자로서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황제 시기에 근위대장관까지 지냈으나 살해되었으며, 그의 법학 이론은 로마법 대전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법과 사법의 구분을 제시하고 "원수는 법에 구속되지 않는다"라는 법 해석을 남겼다.
  • 249년 사망 - 왕필
    왕필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자 현학 연구가로, 『노자』와 『주역』에 대한 주석을 통해 중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하안의 사상을 비판하며 자신만의 철학적 견해를 드러냈고, 젊은 나이에 요절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49년 사망 - 하안
    하안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현학의 창시자이며 조조의 양자로 조비, 조예와 함께 자랐고, 조조의 딸과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으나 사마의의 고평릉의 변으로 처형되었으며, 유교와 도교를 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
필리푸스 아라브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필리프의 흉상
필리프 1세의 흉상 (에르미타주 미술관, 상트페테르부르크, 2010년)
이름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로마자 표기Marcus Julius Philippus
별칭필리푸스 아라브스
출생기원후 204년경
출생지아라비아 페트라에아 속주 필리포폴리스
사망기원후 249년 9월 (45세)
사망지이탈리아 베로나
종교로마 다신교 (공식), 기독교 (추정)
배우자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234년 결혼)
자녀필리프 2세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 기간244년 2월 - 249년 9월
선임자고르디아누스 3세
후임자데키우스
공동 통치자필리프 2세 (248년–249년)
가문
아버지율리우스 마리누스

2. 초기 생애

필리푸스 아라브스의 어린 시절과 초기 정치 경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오늘날 시리아의 샤흐바에서 태어났으며, "아라브스"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아랍인계 로마 시민이었다. 아버지는 율리우스 마리누스였고, 어머니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형제로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리스쿠스가 있었다. 필리푸스는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와 결혼하여 238년에 아들 필리푸스 2세를 낳았다.

2. 1. 출신 배경

필리푸스는 오늘날 시리아의 샤흐바에서 남동쪽으로 약 90km 떨어진 트라코니티스에서 태어났다.[3][4][5] 그의 출생지는 이후 필리포폴리스로 개명되었으며, 당시 로마 속주 아라비아 페트라에의 일부였다.[6]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필리푸스가 아랍인이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3][4][5] 그는 지역 시민인 율리우스 마리누스의 아들이었는데, 어느 정도 중요한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필리푸스의 어머니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리스쿠스라는 형제가 있었으며, 그는 기사 계급이었고 고르디아누스 3세 치하에서 프라이토리아 근위대의 일원이었다.

2. 2. 가족 관계

필리푸스는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와 결혼하여 238년에 아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를 낳았다. 그의 형제 Gaius Julius Priscus|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리스쿠스영어고르디아누스 3세 치하에서 근위대의 일원이었다.[14]

3. 황제 즉위 과정

필리푸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의 페르시아 원정 중 근위대장(Praetorian Prefect) 티메시테우스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었다. 필리푸스가 두각을 나타낸 것은 그의 형제 프리쿠스의 개입 덕분이었는데, 프리쿠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 치하에서 중요한 관료였다. 243년 고르디아누스 3세의 페르시아 샤푸르 1세 원정 당시 티메시테우스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사망하자, 프리쿠스의 제안으로 필리푸스가 새로운 근위대장이 되었다. 이는 두 형제가 어린 황제를 통제하고 로마 세계를 비공식적인 섭정으로 통치하려는 의도였다.

3. 1. 고르디아누스 3세의 죽음

군사적 패배 이후, 고르디아누스 3세는 244년 2월에 사망했는데, 그 정황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일부에서는 필리푸스가 고르디아누스 3세의 살해에 공모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설명(페르시아의 관점에서 나온 설명 포함)은 고르디아누스 3세가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진술한다. 어쨌든, 필리푸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의 죽음 이후 자주색 옷을 입었다.

3. 2. 권력 장악

필리푸스는 이전 찬탈자들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자신의 지위를 로마 원로원에서 확보하기 위해 로마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7] 그러나 그의 최우선 과제는 샤푸르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잠재적으로 재앙적인 상황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것이었다.[7][8] 필리푸스는 영토를 포기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실제 평화 조건은 그럴 수 있었던 것만큼 굴욕적이지는 않았다.[8] 필리푸스는 티메시테우스가 재정복한 오스로에네와 로마 메소포타미아를 유지한 것으로 보이지만, 로마 아르메니아가 페르시아의 세력권 안에 있다는 데 동의해야 했다.[9] 그는 또한 페르시아인에게 50만 데나리우스, 즉 의 엄청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9][8] 필리푸스는 즉시 자신이 페르시아와 평화를 맺었다는 것을 선언하는 동전을 발행했다 (''pax fundata cum Persis'').[8]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군대를 이끌고 키르케시움 남쪽으로 돌아온 필리푸스는 고르디아누스 3세를 기리기 위해 켄타프를 세웠지만, 그의 유해는 로마로 보내졌고, 그는 고르디아누스 3세를 신격화하도록 조치했다.[7][9] 안티오크에서 그는 그의 형제 프리쿠스를 동부 지방의 특별 통치자로 남겨두고, "동방 총독"(''rector Orientis'')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7][8][6]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그는 그의 매형 세베리아누스에게 모에시아와 마케도니아 지방을 통제하도록 했다.[10] 그는 244년 늦여름에 로마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아우구스투스로 확정되었다.[7] 그 해가 끝나기 전에 그는 그의 어린 아들을 ''카이사르'' (상속자)로 지명했고, 그의 아내인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는 ''아우구스타''로 명명되었으며, 그는 또한 아버지 마리누스를 신격화했는데, 후자는 황제가 된 적이 없었다.[8] 로마에 있는 동안 필리푸스는 또한 "페르시쿠스 막시무스", "파르티쿠스 막시무스" 및 "아디아베니쿠스"라는 칭호로 페르시아와의 승리를 주장했다 (후자는 아마도 비공식적으로).[10]

4. 통치 기간

필리푸스는 원로원과의 관계를 중요시하여 로마의 전통을 존중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은 외침과 내란, 경제난으로 점철되었다. 그는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금을 가혹하게 인상하고 다뉴브강 북쪽 부족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12] 이러한 조치들은 이후 제국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12]

4. 1. 주요 정책

필리푸스는 자신의 통치를 강화하고자 원로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으며, 즉위 초부터 고대 로마의 미덕과 전통을 재확인했다.[11] 그는 고향인 샤흐바를 필리포폴리스로 개명하고 도시 지위를 격상시키는 대규모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12] 또한 아라비아의 수도 보스트라에서 악티아-두사리아 게임을 도입했는데, 이 축제는 두사라 숭배와 악티움 해전 기념을 로마 황제 숭배와 결합한 것이었다.[13]

로마 건국 1000주년을 기념하는 메달. 전설: ("황제들의 화합, 새로운 시대").


새 도시 건설, 페르시아 공물, 군대 도나티붐 지급으로 인해 필리푸스는 자금 부족에 시달렸다.[1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금을 가혹하게 인상하고 다뉴브강 북쪽 부족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12]

247년 8월, 필리푸스는 로마로 돌아와 세속적인 축제에 많은 돈을 쏟아부었다.[14] 이 축제는 로마 건국 1000주년과 일치했다.[14] 248년 4월, 필리푸스는 로마 건국 1000주년 기념 축제를 이끌었다.[14] 기념 주화가 대량 발행되었고, 축제는 웅장했으며 화려한 게임, 세속 게임, 연극 공연이 도시 전역에서 열렸다.[15] 콜로세움에서는 1,000명 이상의 검투사와 수백 마리의 이국적인 동물들이 죽임을 당했다.[11] 이 행사는 아시니우스 콰드라투스의 ''천 년의 역사'' 등 여러 출판물로도 기념되었다.[16]

4. 2. 대외 관계

필리푸스는 즉위 초 사산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지만, 이후 다뉴브 강 유역의 카르피족(Carpi), 고트족(Goths) 등 이민족의 침입에 직면해야 했다. 245년, 카르피족은 다키아를 통과하여 다뉴브 강을 건너 모에시아에 나타나 발칸 반도를 위협했다. 필리푸스는 플로브디프(Philippopolis)에 본부를 두고 카르피족을 다뉴브 강 너머로 몰아내어 다키아로 쫓아냈고, 246년 여름까지 그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어 "카르피쿠스 막시무스"(Carpicus Maximus)라는 칭호를 얻었다. 한편, 아르사케스 왕조아르메니아는 페르시아 왕 샤푸르 1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같은 해 페르시아와의 전쟁이 다시 발발했다.

5. 몰락

249년,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데키우스가 판노니아와 모이시아 지역 군대를 이끌고 황제를 칭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데키우스는 베로나 전투에서 필리푸스 군대를 격파했고, 필리푸스는 249년 9월경 전투 중 사망하거나 자신의 병사들에게 암살되었다.[10][9][1] 필리푸스의 열한 살 된 아들이자 후계자는 아버지와 함께 사망했고, 프리스쿠스는 실종되었다.[10]

5. 1. 데키우스의 반란

판노니아와 모에시아 군단은 카르피족과의 전쟁 결과에 불만을 품고 248년 말 반란을 일으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파카티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했다.[1] 이 혼란을 틈타 콰디와 다른 게르만족 부족들이 국경을 넘어 판노니아를 침략했다.[2] 동시에 고트족은 다뉴브강 국경을 넘어 모에시아와 트라키아를 침공하여 마르키아노폴리스를 포위했고,[3] 카르피족은 고트족의 침략에 고무되어 다키아와 모에시아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2] 한편, 동방에서는 마르쿠스 요타피아누스가 프리스쿠스의 억압적인 통치와 동방 속주의 과도한 세금 징수에 반발하여 또 다른 봉기를 일으켰다.[4][5] 마르쿠스 실바나쿠스와 같은 다른 황제 참칭자들도 반란을 일으켰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

아우레우스 필리푸스.


침략과 찬탈자들의 증가에 당황한 필리푸스는 사임을 제안했지만, 원로는 황제를 지지하기로 결정했고, 특히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데키우스가 가장 적극적으로 지지했다.[6] 필리푸스는 그의 지지에 감명을 받아 데키우스를 판노니아와 모에시아 속주 전체를 통괄하는 특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그 지역으로 보냈다. 이는 파카티아누스의 반란을 진압하고 야만족의 침략에 대처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6][2]

데키우스가 반란을 진압했지만, 군단의 불만은 커져갔다.[7] 데키우스는 249년 봄 다뉴브 군대에 의해 황제로 선포되었고 즉시 로마로 진격했다.[8][1] 그러나 그가 그 지역을 떠나기도 전에 필리푸스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그는 안토니니아누스의 가치를 떨어뜨려야 했고, 이집트에서 폭동이 일어나 로마의 밀 공급에 차질이 생겼으며, 수도에서 필리푸스의 지지가 더욱 약화되었다.[9]

데키우스는 필리푸스와 화해하려 했지만,[6] 필리푸스의 군대는 그해 여름 현대 베로나 근처에서 찬탈자와 만났다. 데키우스는 전투에서 쉽게 승리했고, 필리푸스는 249년 9월경 전투 중이거나 새 통치자를 기쁘게 하려는 자신의 병사들에게 암살되었다.[10][9][1] 필리푸스의 열한 살 된 아들과 후계자는 아버지와 함께 죽었을 것이고 프리스쿠스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10]

5. 2. 최후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데키우스는 베로나 전투에서 승리했고, 필리푸스는 249년 9월경 전투 중 사망하거나 새로운 통치자에게 충성하려는 자신의 병사들에게 살해되었다.[4] 그의 아들 Marcus Iulius Severus Philippus|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la 역시 아버지와 함께 목숨을 잃었고, 그의 형제 프리스쿠스는 소식이 끊겼다.[4]

6. 종교 정책과 기독교 관련 논란

일부 후대의 기록에서는 필리푸스를 최초의 기독교인 로마 황제로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학계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유세비우스는 ''교회사''에서 필리푸스가 기독교인이었다고 주장했지만, 비기독교 작가들은 이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고 필리푸스가 통치 기간 동안 주화를 비롯한 외관상 국교를 계속 따랐다는 점 때문에 학자들은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13]

6. 1. 기독교인 황제설

역사가 유세비우스는 자신의 저서 ''교회사''에서 필리푸스가 최초의 기독교인 로마 황제였다고 주장했다.[13]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교회사'' VI.34), 필리푸스는 기독교인이었지만, 죄를 고백하고 참회자들 사이에 앉도록 명령받은 후에야 부활절 전야 예배에 들어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기꺼이 그렇게 했다. 후대 버전들은 이 사건을 안티오크에서 일어난 일로 묘사했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임종 직전에 세례를 받은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최초의 기독교 황제로 여기며, 필리푸스의 기독교 개종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이는 비기독교 작가들이 이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고, 필리푸스의 통치 기간 내내 그가 외관상 (주화 등) 국교를 계속 따랐기 때문이다.[13] 비평가들은 유세비우스의 주장이 필리푸스가 기독교인들에게 보인 관용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7. 참고 문헌


  • 팻 서던, ''로마 제국: 세베루스부터 콘스탄티누스까지'', 루트리지, 2001년
  • 데이비드 스톤 포터, ''위기에 놓인 로마 제국, 180-395년'', 루트리지, 2004년
  • 앨런 K. 보먼, ''케임브리지 고대사: 제국의 위기, 193-33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5년
  • 알렉산더 칸두치, ''승리와 비극: 로마 불멸의 황제들의 흥망성쇠'', Pier 9, 2010년, ISBN 978-1-74196-598-8
  • [https://www.roman-emperors.org/philarab.htm 마이클 L. 메클러, "필리푸스 아라브스 (244-249년)", ''로마 황제들'' (1999년)]

7. 1. 1차 문헌


  •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http://www.roman-emperors.org/epitome.htm ''황제 요약'']
  • 오로시우스, [http://attalus.org/translate/orosius7A.html#20 ''이교도 반대 역사'', vii.20]
  • 요안네스 조나라스, 역사 요약 [https://web.archive.org/web/20080521191250/http://www.ancientsites.com/aw/Post/1049415 발췌: 조나라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까지: 222–284]
  • 조시무스, [http://www.tertullian.org/fathers/zosimus01_book1.htm ''새로운 역사'']

7. 1. 1. 영어 위키백과


  • Aurelius Victor, [http://www.roman-emperors.org/epitome.htm ''Epitome de Caesaribus'']
  • Joannes Zonaras, Compendium of History [https://web.archive.org/web/20080521191250/http://www.ancientsites.com/aw/Post/1049415 extract: Zonaras: Alexander Severus to Diocletian: 222–284]
  • Zosimus, [http://www.tertullian.org/fathers/zosimus01_book1.htm ''Historia Nova'']

7. 2. 2차 문헌


  • 워릭 볼, 《동방의 로마: 제국의 변환》, Routledge, 2000년
  • 앨런 보먼 외, 《케임브리지 고대사 12권, 제국의 위기, AD 193–337》,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5년 9월 8일
  • 글렌 워렌 바우어스톡, 《로마 아라비아》,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83년
  • 데이비드 스톤 포터, 《위기에 놓인 로마 제국: AD 180–395》, Routledge, 2004년
  • 이르판 샤히드, 《로마와 아랍: 비잔티움과 아랍 연구를 위한 서설》, Dumbarton Oaks 연구 도서관 및 컬렉션, 1984년
  • 팻 서던, 《세베루스부터 콘스탄티누스까지의 로마 제국》, Routledge, 2001년

7. 2. 1. 영어 위키백과

필리푸스 아라브스에 대한 영어 위키백과 자료는 다음과 같다.

  • 팻 서던(Pat Southern), ''로마 제국: 세베루스부터 콘스탄티누스까지(The Roman Empire from Severus to Constantine)'' (Routledge, 2001)
  • 데이비드 스톤 포터(David Stone Potter), ''로마 제국, 180-395년(The Roman Empire at Bay, AD 180-395)'' (Routledge, 2004)
  • 앨런 K. 보먼(Alan K. Bowman), ''케임브리지 고대사: 제국의 위기, 193-337년(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알렉산더 칸두치(Alexander Canduci), ''승리와 비극: 로마 불멸의 황제들의 흥망성쇠(Triumph & Tragedy: The Rise and Fall of Rome's Immortal Emperors)'' (Pier 9, 2010) ISBN 978-1-74196-598-8
  • 마이클 L. 메클러(Michael L. Meckler), "필리푸스 아라브스 (244-249년)(Philip the Arab (244-249 A.D.))", ''로마 황제들(De Imperatoribus Romanis)'' (1999)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15
[3] 웹사이트 Philip {{!}}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020-07-15
[4] 서적 Passages from Antiquity to Feudalism NLB 1974
[5] 서적 Roman Conquests: Mesopotamia and Arabia https://books.google[...] Pen & Sword Military 2020
[6] 서적 Chronicon Paschale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Šāpur I: Rovk Reliefs http://www.iranicaon[...]
[8] 서적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16
[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https://archive.org/[...] WBG
[11] 문서 M. Valerii Martialis Liber Spectaculorum Kathleen M. Coleman 2006
[12] 기타 The Fall [Television series episode]. In T. Graham (Producer), Rome: Power and Glory. Military Channel 2000
[13] 서적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Hendrickson Publishers 1998
[14] 서적 キリスト教の興隆とローマ帝国 南窓社 1994
[15] 인용 according to John Chrysostom
[16] 인용 according to Eusebi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