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핑크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핑크베리는 2005년 캘리포니아 주 웨스트 할리우드에서 시작된 프로즌 요거트 전문점이다. 고급스러운 매장 디자인과 다양한 토핑을 제공하며, 2007년 스타벅스 경영진이 설립한 벤처 펀드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여 미국 전역으로 확장했다. 2015년에는 과도한 확장으로 인한 매출 부진으로 카할라 브랜드에 인수되었다. 핑크베리는 오리지널, 녹차, 커피 맛 등의 프로즌 요거트와 다양한 토핑, 셰이브드 아이스, 스무디 등을 판매하며, 한때 제품의 유산균 함량 미달로 논란이 있었으나 레시피 변경을 통해 해결했다. 또한, 핑크베리는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리조나주의 음식점 - 피에프창
    피에프창은 폴 플레밍과 장순윈에 의해 1993년 설립된 아시아 퓨전 요리 전문 레스토랑으로, 미국에서 시작하여 비스트로 레스토랑 인수, 냉동 식품 브랜드 출시, 사모 펀드 회사 인수 등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메뉴와 음료를 제공한다.
  • 애리조나주의 음식점 - 하트 어택 그릴
    하트 어택 그릴은 고칼로리 메뉴와 독특한 콘셉트로 운영되는 미국의 레스토랑으로, 과감한 마케팅 전략과 건강 문제 논란으로 유명하다.
  • 캘리포니아주의 음식점 - 맥도날드
    맥도날드는 194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으로, 햄버거와 감자튀김 등의 메뉴와 마케팅으로 유명하지만, 사회적 논란에도 직면해 있다.
  • 캘리포니아주의 음식점 - 타코벨
    타코벨은 1948년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멕시코 음식 프랜차이즈로, 타코를 주 메뉴로 전 세계적으로 매장을 운영하며 얌! 브랜드의 자회사이다.
  • 미국의 패스트푸드 체인 - 맥도날드
    맥도날드는 194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으로, 햄버거와 감자튀김 등의 메뉴와 마케팅으로 유명하지만, 사회적 논란에도 직면해 있다.
  • 미국의 패스트푸드 체인 - 타코벨
    타코벨은 1948년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멕시코 음식 프랜차이즈로, 타코를 주 메뉴로 전 세계적으로 매장을 운영하며 얌! 브랜드의 자회사이다.
핑크베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핑크베리 로고
핑크베리 로고
종류자회사
설립2005년 1월,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
설립자황혜경
이영
소재지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서비스 제공 지역바레인
캐나다
가봉
가나
일본
요르단
쿠웨이트
이라크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오만
파나마
페루
필리핀
카타르
사우디 아라비아
태국
터키
아랍 에미리트
영국
미국
카메룬
주요 인물에릭 르페브르, CEO
소유주MTY 푸드 그룹
모회사카할라 브랜드 (2015년~현재)
산업레스토랑
제품냉동 요구르트
스무디
과일 파르페
신선한 과일 볼
매장 수260개 레스토랑
공식 웹사이트핑크베리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두바이 몰 오브 에미리트에 위치한 핑크베리 매장


황혜경과 이영은 2005년 1월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에 핑크베리를 창업했다.[19] 초기에는 영국식 찻집을 열 계획이었으나, 영업 허가 문제로 프로즌 요거트 전문점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했다.[19] 핑크베리는 독특한 맛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2006년부터 캘리포니아와 뉴욕 등지로 매장을 확장해 나갔다.

2007년에는 스타벅스 창업자 하워드 슐츠의 투자 회사로부터 275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하여 미국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했다.[7] 2009년에는 쿠웨이트에 첫 해외 매장을 열었고, 이후 중동 지역과 미국 내 공항 등으로 매장을 늘려나갔다.[8] 2010년에는 미국 남부로 확장했으며, 같은 해 4월, 웨스트 할리우드의 핑크베리 매장은 폐쇄되어 행정 빌딩으로 전환되었다.[9]

2015년, 과도한 확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핑크베리는 카할라 브랜드에 인수되었다.[10]

2. 1. 창업과 초기 성장 (2005-2007)

원조 핑크베리 레스토랑. 웨스트 할리우드 산타 모니카 불버드 헌틀리 드라이브에 위치함.


황혜경이 처음으로 시작한 사업은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할리우드의 작은 주택가 골목인 헌틀리 드라이브(Huntley Drive|헌틀리 드라이브영어)에 문을 연 전통적인 영국식 찻집이었다.[19] 그러나 시 당국이 황혜경과 그녀의 동업자이자 건축가인 이영에게 영업 허가를 내주지 않자, 이들은 1980년대 프로즌 요거트 열풍을 되살려 프로즌 요거트 점포를 열기로 결정했다.[19][20]

핑크베리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고객에게 심어주기 위해 스타벅스가 커피 판매대를 점포 안으로 들여놓은 것처럼 프로즌 요거트 판매대를 점포 안으로 들여놓았다.[19][20] 얼마 지나지 않아 점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사람들은 다른 동네에서 차를 몰고 와 아무데나 주차한 후, 20~30분씩 줄을 서서 "1000여 개의 주차 위반 딱지를 끊게 한 그 맛"[18]의 프로즌 요거트를 사 가곤 했다.

두 번째 점포는 2006년 8월에, 세 번째 매장은 2006년 9월 초에 라 브레아(La Brea)와 멜로즈 애비뉴(Melrose avenues)에 문을 열었다.[6] 이후 남 캘리포니아 지역 및 뉴욕 시 지역에도 매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2007년 10월 16일, 핑크베리사는 스타벅스의 경영자인 하워드 슐츠가 세운 벤처 펀드인 매버론(Maveron|매버론영어)사로부터 27500000USD의 투자를 받았다. 이는 프랜차이즈를 미국 전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다.[21]

2. 2. 투자 유치 및 확장 (2007-2015)

2007년 10월 16일, 핑크베리는 스타벅스 창업자 하워드 슐츠가 설립한 벤처 펀드 매버론으로부터 2,750만 달러(275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21] 이는 핑크베리가 미국 전역으로 확장하는 기반이 되었다.[21]

2009년 5월 1일, 핑크베리는 투자자로부터 2차로 900만 달러(900만달러)의 자금을 유치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 확장을 발표했다.[8] 핑크베리는 쿠웨이트 소매 대기업 M.H. 알샤야와 제휴하여 중동 여러 국가에 매장을 열고, HMSHost와 계약하여 전국 공항에 매장을 열었다.[8] 2009년 10월, 핑크베리는 쿠웨이트 쿠웨이트주에 있는 아베뉴 쇼핑몰에 첫 해외 매장을 열었다. 2010년에는 미국 남부 지역으로 확장했다.[9]

2. 3. 인수 및 브랜드 재건 (2015-현재)

2015년, 핑크베리는 과도한 확장으로 인해 매출이 부진해지고 여러 매장이 문을 닫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할라 브랜드가 핑크베리를 인수하여 18번째 브랜드로 편입시켰다.[10] 공동 창업자인 황혜경과 이영은 카할라 브랜드에 핑크베리를 매각하였으나, 얼마에 매각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1] 현재 황혜경은 핑크베리의 최고 제품 책임자이자 이사회 이사로 활동하며 브랜드 재건에 힘쓰고 있다.[11]

3. 메뉴

핑크베리는 프로즌 요구르트 외에도 생과일 혹은 녹차 셰이브드 아이스(shaved ice), 2종류의 스무디를 제공한다.[23]

3. 1. 프로즌 요구르트

미디엄 크기 오리지널맛 프로즌 디저트


핑크베리의 프로즌 요구르트 메뉴는 오리지널, 녹차, 커피 맛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커피 맛은 2008년 1월 핑크베리 3주년을 기념하여 새로 출시되었다.

프로즌 요구르트는 스몰 (약 141.75g), 미디엄 (약 226.80g), 라지 (약 368.54g) 세 가지 크기로 제공된다. 각 맛의 영양 정보는 다음과 같다.

칼로리 (1/2컵 기준)지방설탕
오리지널70cal0g5g (1.4 티스푼)
커피90cal0g5g (1.4 티스푼)
녹차50cal0g5g (1.4 티스푼)



토핑으로는 매장에서 직접 자른 신선한 과일 토핑과 드라이 토핑이 제공된다. 과일 토핑은 딸기, 나무딸기, 블루베리, 블랙베리, 바나나, 키위, 망고, 파인애플 등이 있다. 드라이 토핑으로는 아몬드, 캐럽 칩, 체스트넛, 초콜릿 칩, 코코아 페블, 프루이티 페블, 코코넛, 모치, 요구르트 칩, 쿠키'n 크립, 그라놀라(납작 귀리에 건포도나 황설탕을 섞은 아침 식사용 건강 식품[23]), 캡'n 크런치 등이 있다. 계절별 토핑으로는 석류 씨, 여지 열매 등이 있다.

3. 2. 토핑

핑크베리 프로즌 요구르트에는 여러 가지 토핑을 곁들여 먹을 수 있다.

과일 토핑은 매장에서 직접 잘라 제공한다. 종류로는 딸기, 나무딸기, 블루베리, 블랙베리, 바나나, 키위, 망고, 파인애플 등이 있다.

드라이 토핑으로는 아몬드, 캐럽 칩, 체스트넛, 초콜릿 칩, 코코아 페블, 프루이티 페블, 코코넛, 모치, 요구르트 칩, 쿠키'n 크립, 그라놀라, 캡'n 크런치 등이 있다.

계절별 토핑으로는 석류 씨, 여지 열매 등이 있다.

3. 3. 기타 메뉴

핑크베리는 생과일 혹은 녹차 셰이브드 아이스(shaved ice), 2종류의 스무디 메뉴를 제공한다.[23]

4. 영양

핑크베리의 "오리지널맛 프로즌 요구르트"는 1회 제공량(1/2컵) 기준 70칼로리이며, 지방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주요 영양 성분으로는 탄수화물 14g, 단백질 3g, 나트륨 55mg 등이 있으며, 비타민 C는 1일 권장 섭취량의 8%, 칼슘은 10%를 함유하고 있다.[24]

4. 1. 오리지널 맛 영양 정보

보통, 핑크베리의 "오리지널맛 프로즌 요구르트" 1인분은 1/2컵이다.[24]

크기차림칼로리설탕 (g)설탕 (티스푼)
스몰1.40.79816.8약 4
미디엄2.21.115426.4약 6
라지3.61.825243.2약 10



오리지널 핑크베리 프로즌 요구르트 1/2컵의 영양소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칼로리: 70
  • 지방에서 나오는 칼로리: 0
  • 총 지방: 0g
  • * 포화지방: 0g
  • * 트랜스지방: 0g
  • 콜레스테롤: 5mg
  • 나트륨: 55mg
  • 총 탄수화물: 14g
  • * 식이 섬유: 0g
  • * 설탕: 12g
  • 단백질: 3g
  • 비타민 A: 0%
  • 비타민 C: 8%
  • 칼슘: 10%
  • 철분: 0%[24]


핑크베리의 오리지널 맛 프로즌 요구르트는 팻-프리(fat-free)이다. 단, 토핑을 추가하면 칼로리, 설탕, 지방 등이 추가된다.

4. 2. 토핑 추가 시 영양 변화

핑크베리의 오리지널 맛 프로즌 요구르트는 무지방(fat-free)이다. 그러나 토핑을 추가하면 칼로리, 설탕, 지방 등이 추가된다.[24]

5. 경쟁

핑크베리가 성공을 거두자, 스월스[25], 키위베리, 베리 굿, 요겔리나, 요구르베리 등 여러 경쟁 업체들이 프로즌 요구르트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다.[26] CIELO USA와 같이 핑크베리와 유사한 사업을 하는 업체에 프로즌 요구르트 믹스를 공급하는 업체들로 인해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다.[26] 당시 업계에서는 하루 평균 한 점포에 1500명의 고객이 방문하고, 한 달에 점포당 25만달러 (약 2.5억)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쟁 심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27]

일부에서는 핑크베리가 대한민국 프로즌 요구르트 업체인 레드 망고를 모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28]

5. 1. 경쟁 업체 등장

핑크베리가 성공하자 다른 기업들이 프로즌 요구르트 시장에 뛰어들었다. 경쟁이 격화되었으며 시장이 혼잡해졌다. 스월스[25], 키위베리, 베리 굿, 요겔리나, 요구르베리 등 많은 경쟁자가 등장하였다. 핑크베리사와 비슷한 사업을 시작한 사업주들에게 프로즌 요구르트 믹스를 공급하는 업체인 CIELO USA 등에 의해 경쟁이 격화되었다.[26] 업계는 점포 당 1일 평균 1500명의 고객이 방문하며, 1달에 점포 당 25만달러 (한화 환산 약 2.5억)의 매출을 내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쟁 심화는 당연한 것이었다.[27] 많은 프로즌 요구르트 애호가들은 핑크베리가 사실은 대한민국의 프로즌 요구르트 업계의 거인 레드 망고를 모방한 것이라 여기고 있다. 레드 망고는 최근 미국에 진출하여 웨스트우드 빌리지, 샌디에이고, 팔로 알토, 라스베이거스, 뉴욕 시 14번가, 뉴욕 시 32번가 등에 점포를 낸 바 있다.[28]

5. 2. 레드망고와의 관계

많은 프로즌 요구르트 애호가들은 핑크베리가 사실은 대한민국 프로즌 요구르트 업계의 레드 망고를 모방한 것이라고 여긴다.[28] 레드 망고는 미국에 진출하여 웨스트우드 빌리지, 샌디에이고, 팔로 알토, 라스베이거스, 뉴욕 시 14번가 및 32번가 등에 점포를 냈다.[28]

한편, 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핑크베리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F&B 브랜드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6. 점포 디자인

핑크베리의 성공에는 필립 스탁의 가구와 르 크린트(Le Klint)의 조명을 사용한 점포 디자인이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저칼로리, 저지방 프로즌 요구르트 디저트 제품과 잘 어울렸다.[29] 벽면은 파스텔 색상으로 칠하고, 바닥에는 자연석 조약돌을 깔아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했다.[30]

6. 1. 디자인 콘셉트

핑크베리 로스앤젤레스 멜로즈 애비뉴점.


핑크베리는 필립 스탁의 가구와 르 크린트(Le Klint)의 조명을 사용하여 점포를 디자인하였다. 이는 저칼로리, 저지방 프로즌 요구르트 디저트 제품과 조화를 이루었다.[29] 핑크베리 점주들은 벽면을 파스텔 색상으로 칠하고, 바닥에는 자연석 조약돌을 깔았다. LA의 디자인 회사인 페로콘크리트(Ferroconcrete|페로콘크리트영어)는 핑크베리의 공식 웹사이트를 제작하였다.[30]

6. 2. 브랜딩



핑크베리 브랜드는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브랜딩 회사인 페로콘크리트(Ferroconcrete영어)에 의해 디자인되고 관리되었다.[12] 페로콘크리트는 핑크베리의 공식 웹사이트도 만들었다.[30]

핑크베리는 여러 미디어에 등장했다. HBO의 ''Curb Your Enthusiasm''(시즌 8, 에피소드 5, '침묵의 맹세')와 2021년의 "And Just Like That"(시즌 1, 에피소드 3, '로마에 가면') 에피소드에 등장했다. 코미디 센트럴 만화 ''어글리 아메리칸즈''(시즌 2, 에피소드 9, '릴리와 야수')와 TBS 애니메이션 시트콤 ''American Dad''의 두 에피소드 (시즌 6, 에피소드 17, '홈 레커' 및 시즌 11, 에피소드 2, '스티브 스미스와의 수중 생활')에 언급되었으며, 2014년 영화 ''Still Alice''의 몇몇 장면에도 등장했다. 핑크베리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Be More Chill''에 등장했으며, 콜린 후버(Colleen Hoover)의 소설 ''11월 9일''과 2014년 영화 ''Horrible Bosses 2''에도 언급되었다.

7. 논란

핑크베리는 초기에 '프로즌 요구르트'로 제품을 홍보했으나, 캘리포니아 주법상 요구되는 유산균 함량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논란이 되었다. 이에 핑크베리는 제품의 제조법을 변경하여 2008년 4월 17일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로부터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을 획득하였다.[33]

이전에 핑크베리 매장 벽에 게시되었던 대장암 치료, 효모 감염 퇴치 등 요구르트의 입증되지 않은 효능은 제거되었다.[17] 또한, 핑크베리 웹사이트에서 들을 수 있었던 징글은 1980년대 음악가 L'Trimm의 Tigra가 불렀는데, 제품이 "진짜 요구르트"가 아니라는 소송에 대응하여 가사 없이 후렴구의 "핑크베리"라는 단어만 반복되도록 변경되었다.[16]

7. 1. 프로즌 요구르트 정의 논란

핑크베리는 처음에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광고되었지만, 실제로는 캘리포니아주 식품농업청의 프로즌 요구르트 정의에 부합하지 않았다. 이는 온스당 박테리아 배양균(유산균) 함량이 기준치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핑크베리 제품 샘플을 연구실에 보내 분석한 결과, 핑크베리 제품에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기는 하지만, 캘리포니아 주법에 따라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부르기에는 그 수가 적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1]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배스킨 로빈스 제품에는 그램당 20만 개의 유산균이 함유된 반면, 핑크베리 제품에는 6만 9천 개의 유산균만이 들어 있었다.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The National Yogurt Association|더 내셔널 요거트 어소시에이션영어)는 생 유산균(live and active culture) 요구르트 인증 기준을 두고 있는데, 냉장 요구르트는 제조 시 그램당 1억 개, 프로즌 요구르트는 그램당 1천만 개의 살아있는 유산균을 함유해야 한다. 이 기준은 살아있는 유산균 요구르트에 대한 연구 결과에 기반한 것이었다.[32]

이에 핑크베리는 디저트 제조법을 변경하여 진짜 요구르트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2008년 4월 17일에 이르러서야 핑크베리는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The National Yogurt Assocication|더 내셔널 요거트 어소시에이션영어)로부터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을 획득하였다. 이는 "진짜" 요구르트 소송이 제기된 지 3년 만이었다.[33]

캘리포니아주랜초 쿠카몽가에 있는 핑크베리 매장 내부

7. 2.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핑크베리 제품 샘플을 연구실에 보내 분석한 결과, 핑크베리 제품에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기는 하지만 캘리포니아 주법에 따라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부르기에는 그 수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31]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배스킨 로빈스 제품에는 그램 당 20만 개의 유산균이 함유된 반면, 핑크베리 제품에는 6만 9천 개의 유산균이 들어 있었다.[32]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The National Yogurt Association영어)는 생 유산균(live and active culture) 요구르트 인증 기준을 정립했는데, 냉장 요구르트는 제조 시 그램 당 1억 개, 프로즌 요구르트는 그램 당 1천만 개 이상의 살아있는 유산균을 함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기준은 살아있는 유산균 요구르트 관련 건강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32]

7. 3. 전미 요구르트 협회 인증

핑크베리가 판매하는 프로즌 요구르트는 처음에는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광고되었지만, 실제로는 캘리포니아주 식품농업청의 프로즌 요구르트 정의에 맞지 않았다. 온스당 유산균 함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조사 결과, 핑크베리 제품에는 유산균이 있기는 하지만, 캘리포니아 주법상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부를 수 없을 정도로 적은 양이었다.[31] 배스킨 로빈스 제품에는 20만 개의 유산균이 있었던 반면, 핑크베리 제품에는 6만 9천 개의 유산균만이 들어 있었다.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The National Yogurt Association|더 내셔널 요거트 어소시에이션영어)는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 기준을 가지고 있다. 냉장 요구르트는 생산 당시 그램 당 1억 개, 프로즌 요구르트는 그램 당 1천만 개 이상의 살아있는 유산균을 함유해야 한다. 이 기준은 살아있는 유산균 요구르트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32]

이에 핑크베리는 디저트 제조법을 바꾸어 진짜 요구르트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2008년 4월 17일, 핑크베리는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로부터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을 획득했다. 이는 "진짜" 요구르트 소송이 제기된 지 3년 만이었다.[33]

7. 4. 레시피 변경

핑크베리가 판매하는 프로즌 요구르트는 처음에는 "프로즌 요구르트"라고 광고되었지만, 실제로는 캘리포니아주 식품농업청의 프로즌 요구르트 정의에 부합하지 않았다. 이는 온스당 박테리아 배양균(유산균) 함량이 기준치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배스킨 로빈스 제품에는 20만 개의 유산균이 있었던 반면, 핑크베리 제품에는 6만 9천 개의 유산균만이 들어 있었다.[31]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The National Yogurt Association영어)는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냉장 요구르트는 생산 당시 그램당 1억 개, 프로즌 요구르트는 그램당 1천만 개의 살아있는 유산균을 함유해야 한다.[32]

이에 핑크베리는 디저트 레시피를 변경하여 '진짜 요구르트'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핑크베리는 "진짜 요구르트" 소송이 제기된 지 3년 만인 2008년 4월 17일에 공식적으로 미국 전미 요구르트 협회로부터 생 유산균 요구르트 인증을 획득하였다.[33]

8. 광고 및 마케팅

핑크베리는 스타벅스가 커피 판매대를 점포 안으로 들여놓았듯이 프로즌 요구르트 판매대를 점포 안으로 들여놓아 고급 이미지를 고객에게 심어주었다.[19][20] 얼마 안 있어 점포는 크게 성공하여, 다른 동네에서 사람들이 차를 몰고 와서 핑크베리 프로즌 요구르트를 사가곤 하였다.[18]

2007년 10월 16일, 핑크베리사는 하워드 슐츠가 세운 벤처 펀드인 매버론(Maveron영어)사로부터 27500000USD의 투자를 받았다. 이는 프랜차이즈를 미국 전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다.[21]

8. 1. 입소문 마케팅

핑크베리는 주로 입소문으로 광고한다.

최근에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사의 플럼 카드 광고에 등장하였다. 2008년 1월에는 엘런 디제너러스 쇼에 나왔는데, 600명의 방청객에게 한 컵씩 돌아갔다. 조나스 브라더스 등 여러 연예인들이 핑크베리를 극찬하고 있다.[34]

핑크베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고객과 소통하여 주요 타겟층의 트렌드에 부합하고 있다. 핑크베리 홈페이지 내 '그루피(groupie)' 코너는 고객이 개인 블로그처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인 프로필, 사진, 이야기 등을 올려 핑크베리와 관련된 경험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핑크베리는 웰빙 디저트라는 프리미엄 디저트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8. 2. 제휴 마케팅

핑크베리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의 플럼 카드 광고에 등장하여 제휴 마케팅을 진행했다. 2007년 말부터 여배우 로렌 그라함의 목소리로 핑크베리와 플럼 카드를 홍보했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카드에 배타적인 분위기를 부여하기 위해 초기에 10000여 장만 발급했다.[22] 핑크베리는 이 중 #1170번 카드를 받았다.

2008년 1월에는 엘런 디제너러스 쇼에 핑크베리가 등장하여 600명의 방청객에게 한 컵씩 제공되었다. 조나스 브라더스 등 여러 연예인들도 핑크베리를 칭찬했다.[34]

또한, 핑크베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주요 타겟층의 트렌드에 부합하고자 했다. 핑크베리 홈페이지 내 '그루피(groupie)' 코너는 고객들이 개인 블로그처럼 활용하여 프로필, 사진, 이야기 등을 올리고 핑크베리 관련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를 통해 핑크베리는 웰빙 디저트라는 프리미엄 디저트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8. 3. 유명인 마케팅

핑크베리는 주로 입소문을 통해 광고한다.

엘런 디제너러스 쇼에 2008년 1월 출연하여 방청객 600명에게 핑크베리를 한 컵씩 제공하였다. 조나스 브라더스 등 여러 연예인들이 핑크베리를 극찬하고 있다.[34]

8. 4. 온라인 커뮤니티

핑크베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고객과 소통하여 주요 대상층의 트렌드에 부합하고 있다. 핑크베리 홈페이지 내 '그루피(groupie)' 코너는 고객이 개인 블로그처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인 프로필, 사진, 이야기 등을 올려 핑크베리와 관련된 경험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핑크베리는 웰빙 디저트라는 프리미엄 디저트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34]

9. 대중문화 속 핑크베리

HBO의 ''Curb Your Enthusiasm''(시즌 8, 에피소드 5, '침묵의 맹세')와 2021년의 "And Just Like That"(시즌 1, 에피소드 3, '로마에 가면') 에피소드에 핑크베리가 등장했다.[12] 코미디 센트럴 만화 ''어글리 아메리칸즈''(시즌 2, 에피소드 9, '릴리와 야수')와 TBS 애니메이션 시트콤 ''American Dad''의 두 에피소드(시즌 6, 에피소드 17, '홈 레커' 및 시즌 11, 에피소드 2, '스티브 스미스와의 수중 생활')에도 핑크베리가 언급되었다. 2014년 영화 ''Still Alice''의 몇몇 장면에도 등장했다. 핑크베리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Be More Chill''에 등장했으며, Colleen Hoover의 소설 ''11월 9일''과 2014년 영화 ''Horrible Bosses 2''에 언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TY Food Group names Eric Lefebvre as new CEO https://www.verdictf[...] 2018-05-03
[2] 뉴스 Pinkberry co-founder Young Lee accused of chasing, beating transient https://www.latimes.[...] 2012-01-18
[3] 웹사이트 Contact http://www.pinkberry[...] 2015-12-14
[4] 뉴스 The Taste That Launched 1,000 Parking Tickets https://www.latimes.[...] 2007-01-25
[5] 웹사이트 Pinkberry's Success Story - Small Biz Scene (usnews.com) https://www.usnews.c[...]
[6] 웹사이트 The taste that launched 1,000 parking tickets https://www.latimes.[...] 2020-09-17
[7] 웹사이트 Pinkberry Raises $27.5M - socaltech.com http://www.socaltech[...]
[8] 뉴스 Fro-yo chains in heated battle to ice competition http://www.nrn.com/a[...] 2009-05-11
[9] 뉴스 Frozen yogurt seller Pinkberry to close original store in West Hollywood https://www.latimes.[...] 2010-05-10
[10] 웹사이트 Kahala Brands buys Pinkberry http://www.nrn.com/m[...] 2017-11-18
[11] 웹사이트 Pinkberry frozen yogurt chain is sold to Cold Stone Creamery owner https://www.latimes.[...] 2015-12-15
[12] 웹사이트 Pinkberry: Branding/Design http://ferroconcrete[...] 2017-01-22
[13] 뉴스 Pinkberry passes test, but cold war goes on https://pqasb.pqarch[...] 2007-06-21
[14] 웹사이트 National Yogurt Association Home http://www.aboutyogu[...] 2007-06-22
[15] 뉴스 After Three Years, Pinkberry Finally Approved as 'Frozen Yogurt' http://www.seriousea[...] seriouseats.com 2008-08-17
[16] 뉴스 Dessert Trend: What's In Pinkberry? https://www.npr.org/[...]
[17] 뉴스 Pinkberry's Legal Jam http://www.laobserve[...] LAObserved.com 2007-06-14
[18] 뉴스 http://www.latimes.c[...] 2007-01-25
[19] 뉴스 http://article.joins[...]
[20] 웹인용 http://www.usnews.co[...] 2008-08-02
[21] 웹사이트 Pinkberry Raises $27.5M http://www.socaltech[...]
[22] 웹인용 http://careersthatdo[...] 2008-08-02
[23] 웹인용 http://endic.naver.c[...]
[24] 웹인용 http://www.pinkberry[...] 2008-08-02
[25] 웹인용 http://www.goswirls.[...] 2008-08-02
[26] 뉴스 http://www.nytimes.c[...] 2007-03-29
[27] 뉴스 http://money.cnn.com[...] 2007-06-20
[28] 웹사이트 Los Angeles Business Journal Online - business news and information for los angeles california http://www.labusines[...]
[29] 뉴스 http://www.nysun.com[...] 2007-04-21
[30] 웹사이트 Ferroconcrete http://www.ferro-con[...]
[31] 뉴스 http://pqasb.pqarchi[...] 2007-06-21
[32] 웹인용 http://www.aboutyogu[...] 2008-08-03
[33] 뉴스 http://www.seriousea[...] 2008-08-17
[34] 웹사이트 Company Doctor: Is Pinkberry a fad or a trend? - Small Business Times http://www.biz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