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다 다마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라다 다마키는 일본의 조선사 연구 학자이다. 오카야마 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히로시마 대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교토 대학, 도쿄 외국어 대학 등에서 시간 강사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객원 연구원, 시마네 대학 조교수를 거쳐 히로시마 여자대학 및 현립 히로시마 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2012년 정년 퇴임했다. 조선학회 회원이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조선의 개국과 근대화』가 있으며,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마네 대학 교수 - 고이즈미 야쿠모
고이즈미 야쿠모는 아일랜드계·그리스계 혼혈 작가이자 일본의 영어 교수로, 일본에 귀화하여 일본 문화를 서구에 소개하는 저서를 남겼으며 메이지 시대 일본의 모습을 서구에 최초로 소개한 인물이다. - 오카야마 대학 동문 - 니시나 요시오
니시나 요시오는 클라인-니시나 공식의 공동 저자이자 이화학연구소에서 사이클로트론을 제작하여 우주선 및 입자 가속기 연구에 기여하고 유카와 히데키, 도모나가 신이치로 등 노벨상 수상자를 지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핵무기 개발 계획을 이끈 일본의 물리학자이다. - 오카야마 대학 동문 - 김병수 (1936년)
김병수(1936년)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총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히로시마 대학 동문 - 후지무라 오사무
일본의 정치인 후지무라 오사무는 일본신당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정당을 거쳐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내각관방장관과 납치 문제 담당 대신을 역임했으며, 교통사고 고아 지원 활동과 나가타초의 도라에몽이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히로시마 대학 동문 - 구보 와타루
구보 와타루는 일본 사회당, 사회민주당, 민주당에서 활동한 정치인으로, 참의원 의원 4선, 무라야마 내각 부총리 겸 재무상, 사회민주당 간사장, 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등을 역임하고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했다.
하라다 다마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라다 다마키 |
원어 이름 | 原田環 |
로마자 표기 | Harada Tamaki |
출생일 | 1946년 |
출생지 | 일본 오카야마현 오치아이정 |
국적 | 일본 |
학문 | |
분야 | 역사학 |
기타 정보 |
2. 경력
오카야마 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1994년 히로시마 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1]
하라다 다마키는 여러 저작을 남겼다. 대표적으로 『조선의 개국과 근대화』, 최길성과 공저한 『식민지의 조선과 대만 역사·문화인류학적 연구』 등이 있다.[2]
교토 대학, 도쿄 외국어 대학 등에서 시간강사를 맡았으며 서울대학교 객원 연구원, 시마네 대학 교육학부 조교수, 히로시마 여자대학 국제문화학부 교수, 현립 히로시마 여자대학 국제문화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현립 히로시마 대학 인간문화학부 교수를 맡다가 2012년 정년 퇴임하였다.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2002~2005, 2007~2010)을 역임했으며, 조선학회 회원이다.
3. 저작
3. 1. 저서
3. 2. 공저
4. 논문
하라다 다마키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학술지 수록 논문
- 「제2차 한일 협약 조인과 고종 황제」 (청구학술논집 24, 2004년)
- 단행본 수록 논문
- 일한역사공동연구위원회편 『일한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분과편』 상권(2005년),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와 근대화―조선과 월남―」[1]
- 일한역사공동연구위원회편 『일한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2기 제3분과회편』(2010년), 「대한국 국제와 제이차일한협약반대운동―대한제국의 국가 양상―」[2]
4. 1. 학술지 수록 논문
- 「제2차 한일 협약 조인과 고종 황제」 (청구학술논집 24, 2004년)
- 「제2차 한일 협약 조인과 대한제국 고종 황제」 (청구학술논집 24, 2004년)
4. 2. 단행본 수록 논문
- 일한역사공동연구위원회편 『일한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분과편』 상권(2005년),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와 근대화―조선과 월남―」[1]
- 일한역사공동연구위원회편 『일한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2기 제3분과회편』(2010년), 「대한국 국제와 제이차일한협약반대운동―대한제국의 국가 양상―」[2]
참조
[1]
문서
博士論文書誌データベース
[2]
문서
崔吉城 (1940~ ),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를 받았다. 일본 세이죠다이가쿠인에서 민속학 전공 박사과정을 마치고 츠쿠바다이가꾸에서 문학박사를 받았다. 대한민국에서는 육군사관학교 교수, 경남대학교 교수, 계명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고 일본에서는 추부다이가꾸 교수를 거쳐 현재 일본 국립 히로시마다이가꾸에서 문화인류학을, 히로시마다이가꾸 다이가쿠인 국제협력연구과 아세아 강좌 교수로서 근무하고 있다. 저서: 『한국무속의 연구』(아세아문화사, 1978년 5월), 『일본학입문』(계명대학교출판부, 1980년 4월), 『조선무속의 현지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87년 6월), 『한국민간신앙의 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89년 10월), 『한국의 조상숭배』(예전학술사상총서 1, 예전사, 1991년 2월), 『한국인의 한』(예전학술사상총서 8, 예전사, 1991년 3월), 『한국무속지 1: 전남ㆍ경남 편』(아세아문화사, 1992년 6월), 『한국무속지 2: 경북ㆍ제주ㆍ서울ㆍ황해도 편』(아세아문화사, 1992년 6월), 『일제시대 한 어촌의 문화변용』(상, 아세아문화사, 1992년 11월), 『일제시대 한 어촌의 문화변용』(하, 아세아문화사, 1992년 11월), 『굿푸리 한푸리』(예전사, 1992년 12월), 『한국 무속의 이해』(예전사, 1994년 7월), 『새로 쓴 한국무속』(아세아문화사, 1999년 9월), 『동아시아 문화읽기』(아세아문화사, 2001년 5월), 『사할린 – 유형과 기민의 땅』(민속원, 2003년 2월), 『위헌함 한일관계 친일과 반일』(다락원, 2004년 2월), 『영상이 말하는 식민지 조선』(민속원, 2009년 2월), 『韓國人의 祖上崇拜와 孝』(민속원, 2010년 6월), 『참새님의 학문과 인생』(민속원, 2011년 6월) 등 다수. 역서: 에틱박물관 編, 『일본 민속학자가 본 1930년대 서해도서 민속』(민속원학술문고 2, 민속원, 2004년 9월), 동양척식주식회사 著, 최길성 譯註, 『조선이주수인초』(민속원, 2008년 5월), 『조선의 풍수』, 『시베리아 샤머니즘』, 『사회인류학입문』 등 다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