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 맨스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 맨스필드는 1932년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태어난 미국의 정치 철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9년 하버드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정부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 맨스필드는 《정치철학 입문》, 《군주 길들이기》, 《남성다움》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를 공동 번역했다. 그는 정치 철학, 특히 고대 정치 사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구 문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보수적인 정치적 견해를 피력해왔다. 2004년 미국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으며, 2007년 제퍼슨 강연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정치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정치학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유대계 미국인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유대계 미국인 - 이방카 트럼프
이방카 트럼프는 사업가, 전직 모델, 백악관 선임 고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딸이자 트럼프 그룹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무보수 백악관 선임 고문으로 활동하며 여성 기업가 지원, 경제 정책, 인신매매 방지 등의 분야에서 활동했다.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버드 대학교 교수 - 힐러리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아칸소주 영부인, 미국의 영부인,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하비 맨스필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비 클래플린 맨스필드 주니어 |
원어명 | Harvey Claflin Mansfield Jr. |
로마자 표기 | Habi Keullaepullin Maenseupildeu Junieo |
출생일 | 1932년 3월 21일 |
출생지 | 뉴헤이븐, 코네티컷주, 미국 |
직업 | 윌리엄 R. 케넌 주니어 하버드 대학교 정책학 교수 |
학력 |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문학사, 박사) |
경력 | |
재직 기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하버드 대학교 후버 연구소, 스탠퍼드 대학교 |
활동 기간 | 1962년 ~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정보 없음 |
자녀 | 3명 |
수상 | |
수상 내역 | 국가 인문학 메달 (2004년) 구겐하임 펠로십 브래들리 상 필립 메릴 상 |
사상적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마키아벨리 홉스 로크 루소 버크 토크빌 스트라우스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Manliness (2006) |
2. 생애
맨스필드는 델바 윈쓰롭(Delba Winthrop)과 결혼했으며, 그녀와 함께 알렉시 드 토크빌 관련 책을 공동 번역하고 공동 집필했다.[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맨스필드는 1932년 3월 21일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하비 맨스필드(Harvey Mansfield Sr.)는 미국 정치학회지(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편집장을 지냈고, 1988년 83세로 사망할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 명예 루글스 공법 및 정부학 교수였다.[7]맨스필드는 대학 입학 전 공립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949년 하버드 대학교에 정부학 전공으로 입학하여 1953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학부 시절 자유주의자였으며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애들레이 스티븐슨을 지지했다. 졸업 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1년간 영국에서 유학했다.[6]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버지니아주와 프랑스에서 미국 육군 복무를 했다.[8] 1961년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몇 년간 강의한 후 하버드에서 강의했다. 1969년 정교수로 임명되었고, 1973년부터 1976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정부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6]
맨스필드는 델바 윈쓰롭(Delba Winthrop)과 결혼했으며, 그녀와 함께 알렉시 드 토크빌 관련 책을 공동 번역하고 집필했다.
2. 2. 학문 경력
맨스필드는 1949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3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학부 시절 그는 자유주의자였으며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애들레이 스티븐슨을 지지했다.[6] 졸업 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1년 동안 영국에서 유학했다.[6]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버지니아와 프랑스에서 미국 육군 복무를 했다.[8] 이후 하버드로 돌아와 196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맨스필드는 처음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몇 년간 강의를 한 후 하버드에서 강의를 했다. 1969년 정교수로 임명되었고, 1973년부터 1976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정부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6]2. 3. 결혼
맨스필드는 델바 윈쓰롭(Delba Winthrop)과 결혼했으며, 그녀와 함께 알렉시 드 토크빌에 관한 책을 공동 번역하고 공동 집필했다.[6]3. 정치 철학
하비 맨스필드는 자신의 저서와 강연을 통해 정치 철학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 그는 정치철학이 정치와 정치학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저서 ''Taming the Prince영어''에서 맨스필드는 현대 행정 권력 이론을 니콜로 마키아벨리에게서 찾았으며, 자유주의 헌법주의와 양립하기 위해서는 행정 권력이 길들여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0]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그는 서구 문화 강좌를 보존하고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구 문명을 설명하는 책들이 인간 조건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서구 문명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다.[29]
2007년 5월 8일, 맨스필드는 제퍼슨 강연을 통해 인문학에서 비롯된 정치 이해에 대한 두 가지 개선점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투모스 개념 회복과 문학 고유의 이름 사용을 제안했다.[11][12][13]
맨스필드는 미국 헌법이 대통령에게 법률 집행 이상의 "더 큰 범위의 대통령직" 수행을 요구한다고 보았다.[14] 그는 권력 분립을 옹호하며, 법치에 종속된 행정부가 입법부에 종속될 위험을 경고했다.[15]
3. 1. 『정치철학 입문(A Student's Guide to Political Philosophy)』
2001년 출간된 하비 맨스필드의 저서 ''정치철학 입문(A Student's Guide to Political Philosophy)''에서 맨스필드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로크, 루소 등 "최고 수준"의 저술가들이 쓴 "고전"에서 정치철학의 역사를 추적한다.[9] 그는 필연적으로 당파적인 실제 정치에서도 정치철학을 발견하는데, 시민들이 "열정적으로 찬반 양론을 펼치고, 옹호와 비난, 고발과 변호를 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는 정치가 단순히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선택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서로 대립하며 각 진영이 공공선에 호소하려는 시도 속에서 자신의 이익을 옹호한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논쟁에서 이러한 대립적인 진영들이 공공선에 호소하기 때문에, 논쟁을 관찰하는 사람은 자신의 이성적 능력을 사용하여 어느 쪽이 더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그러한 관찰자가 판사가 될 만큼 유능하다면, 그는 정치철학자로 여겨질 수도 있거나 적어도 정치철학에 참여하는 길에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맨스필드는 정치와 정치철학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지만, 정치학은 정치철학의 경쟁자이며 자연과학을 "흉내 내는" 학문으로 여긴다. 맨스필드의 관점에서 정치학은 "선", "정의", "고귀함"과 같은 단어들을 "효용"이나 "선호도"와 같은 다른 단어들로 대체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중립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정치학자의 역할과 관점이 판사에서 소위 "객관적인 관찰자"로 변화함에 따라, 그러한 "과학자"는 어느 주장이 가장 좋은지 판단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그는 상대주의의 희생양이 되는데, 맨스필드에 따르면 상대주의는 "일종의 게으른 독단주의"이기 때문이다.
맨스필드는 학생들에게 정치학이 17세기에 정치철학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19세기 후반의 실증주의 운동에서 자신을 독립적이고 분리된 것으로 선언했음을 상기시킨다. 그는 "오늘날 정치학은 종종 '기술적'이거나 '경험적'이며 사실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정치철학은 가치를 표현하기 때문에 '규범적'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은 합의를 추구하는 정치학과 최선을 추구하는 정치철학 사이의 차이를 더 추상적인 형태로 반복할 뿐이다"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맨스필드에 따르면, 사람들이 정치철학과 정치학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실제로 두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정치철학, 즉 현대적 정치철학과 고대적 정치철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가 강조하는 바와 같이, 현대 정치학과 고대적 대안을 완전히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은 정치철학의 역사에 들어가고 수세기 동안 전해 내려온 전통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전통에 대해 어느 정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스스로 교육받았다고 여길 수 없다. 그것은 인간 삶의 주요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무엇이 시도되었고 무엇이 현재 지배적인지에 대한 감각을 줌으로써, 다른 어떤 출처에서도 얻을 수 없는 깊이에서 ''우리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현대 정치학은 그 뿌리를 살펴볼 의무를 느끼지 않으며, 심지어 그 주제를 실질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폄하할 수도 있지만, 그는 "우리의 추론은 정치철학의 역사가 그 실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함을 보여준다"라고 말한다.
3. 2. 『군주 길들이기(Taming the Prince)』
Taming the Prince영어에서 맨스필드는 현대의 행정 권력 이론을 니콜로 마키아벨리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았다. 그는 자유주의 헌법주의와 양립하기 위해서는 행정 권력을 길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10]3. 3. 서구 문명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맨스필드는 서구 문화에 대한 강좌를 보존하고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주요 주제를 담은 12권 정도의 책을 선정하는 조사 강좌를 제안하기도 했다.[29] 맨스필드는 서구 문명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는데, 그 이유는 서구 문명을 설명하는 책들이 인간의 조건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기 때문이다.[29]2007년 5월 8일, 맨스필드는 제36회 제퍼슨 강연을 했다.[11][12][13] 국립 인문학 재단에 따르면 이 강연은 "인문학 분야에서 탁월한 지적 및 공적 업적에 대해 연방 정부가 수여하는 최고의 영예"이다.[11][12] 그의 강연에서 맨스필드는 "인문학에서 비롯된 오늘날의 정치 이해에 대한 두 가지 개선 ... 첫째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투모스 개념을 되찾는 것 ... [그리고] ... 둘째 ... 과학에는 없고 문학에는 고유한 이름의 사용"을 제안했다.[13] 이는 그의 철학에 대한 언급으로, 단순히 오래전에 살았던 사람들이 말했다는 이유만으로 과거의 지혜를 무시하는 것을 금지한다.
3. 4. 강력한 행정부
맨스필드는 미국 대통령에게는 "군대 지휘, 조약 체결(및 외교 정책 수행), 유죄 판결자 사면 등의 법률 외 권한이 있으며, 법률 집행에 대한 거부권은 말할 것도 없다"고 주장하며, 미국 헌법이 대통령에게 법률을 집행할 서약을 요구하지 않고 오히려 "더 큰 범위의 대통령직"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지적했다.[14]국내 감시에 대해 맨스필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행정부가 견제와 균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통령이 중단되는 의미에서 견제될 수 있다고 말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잘못이다. 대통령은 책임을 질 수 있고 책임을 져야 하지만, 만약 그가 중단될 수 있다면 헌법은 비상 조치에 대한 확실한 수단이 부족할 것이다.[14]
그는 권력 분립을 옹호하며, "법치에 종속된 행정부는 입법부에 종속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15]
4. 정치적 견해
맨스필드는 젠더 역할과 평등, LGBT 권리, 성적 부풀리기와 어펌머티브 액션 등 여러 주제에 대해 보수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는 남성다움이라는 책을 통해 성 역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제시했고, 동성애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성적 부풀리기 현상과 어펌머티브 액션의 연관성을 제기하며 비판했다. 이러한 그의 견해는 여러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4. 1. 젠더 역할과 평등
2006년에 출판된 저서 ''남성다움''에서 맨스필드는 온건 보수적인 성역할에 대한 이해를 옹호하며, "젠더 중립적인" 사회에서 남성다움이라는 미덕의 상실을 한탄했다. ''뉴욕 타임즈'' 인터뷰에서 그는 이 개념을 "위험한 상황에서의 자신감. 남자다운 남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라고 간략하게 정의했다.[16] 그는 책에서 이 개념을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는데, 남자다운 남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필요는 없지만, 그렇게 행동하기만 하면 된다고 보았다. 또한 이 책에서 맨스필드는 호머,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러디어드 키플링, 어니스트 헤밍웨이, 나오미 우드와 같은 다양한 인물들을 참고하여 남성다움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남성다움이 궁극적으로 단호함("완전한 지식 없이 결단력을 갖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사회에서 그 위치에 대해 논쟁이 벌어진다고 주장한다. 빌 크리스톨과의 인터뷰에서 맨스필드는 남성다움에 대한 자신의 옹호는 겸손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남성다움은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위험을 감수하는 모든 사람이 성공할 자격이 있는 것은 아니며, 남성다움은 많은 악행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테러리스트들도 자신이 믿는 원칙을 위해 목숨을 거는 점에서 남자답다고 말할 수 있다고 보았다.[17]''남성다움''은 철학자이자 법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에 의해 2006년 6월 22일자 ''뉴 리퍼블릭''에서 비판을 받았다.[18] 누스바움은 맨스필드가 그가 인용한 고대 그리스와 로마 고전 외에도 많은 페미니스트 및 비페미니스트 텍스트를 잘못 읽거나 읽지 못했다고 비난했다. 그녀는 그의 책이 여성에 대한 폭력에 무관심한 입장을 취하는 공공연한 여성혐오적 가정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맨스필드는 여성이 강간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은 "원치 않는 침해에 대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특정한 여성스러운 겸손함"의 도움으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로렌스 서머스 하버드 대학교 전 총장의 남녀 간 정신적 차이에 대한 논란이 되는 발언과 관련하여, 맨스필드는 여성이 "본질적으로 최고 수준의 과학에서 남성보다 능력이 떨어진다... 최고 과학자들이 누구인지 살펴보면 상식적인 일이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마도 사실"이라고 말했다.[16]
4. 2. LGBT 권리
1993년, 맨스필드는 콜로라도 주 헌법을 개정하여 동성애자, 레즈비언, 양성애자가 차별에 대한 법적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막는 2호 개정안을 지지하는 증언을 했다.[19][20] 그는 증언에서 동성애는 "행복으로 이어지는 삶이 아니다", "수치스럽다"고 주장했고, 아이를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동성애자들은 "사회적으로 책임감이 없다"고 주장했다.[19][20] 같은 재판에서 2호 개정안에 반대하여 증언했던 마사 누스바움은 나중에 맨스필드가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이 불행하다는 주장의 근거가 당대 사회과학 연구가 아니라 플라톤, 알렉시 드 토크빌, 장 자크 루소 등 서양 전통의 고전이었다고 언급했다.[21]4. 3. 성적 부풀리기와 어퍼머티브 액션
맨스필드는 하버드 대학교의 성적 부풀리기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며, 그 원인 중 일부가 어펌머티브 액션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22][23] 비평가들은 성적 부풀리기가 하버드에 흑인 학생들이 상당수 진학하기 전부터 존재했다는 점을 지적했다.[24]1997년 11월, 맨스필드는 어펌머티브 액션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는데, 코넬 웨스트와 마이클 샌델은 찬성 측, 루스 위세와 맨스필드는 반대 측이었다. 이 토론은 1,000명의 하버드 학생들로 이루어진 "대규모 청중"을 끌어들여, 하버드의 샌더스 극장에서 열릴 수 있을 때까지 두 번이나 장소를 변경해야 했다. 샌델 교수는 "이것은 이 세대가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적 논쟁에 대한 무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신화를 종식시킨다"고 말했다.[25]
2013년, 맨스필드는 학장으로부터 "가장 흔한 성적이 A"라는 말을 듣고, 학생들에게 두 가지 성적을 매겼다고 주장했다. 하나는 성적표에 기록되는 성적이고, 다른 하나는 그가 생각하는 학생들이 받아야 할 실제 성적이다. 그는 "나는 학생들이 정확한 성적을 받는 것 때문에 고통받는 유일한 사람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26]
하버드 크림슨에 따르면, 성적 부풀리기에 대한 대응으로 맨스필드는 2006년 "아이러니컬한"(또는 "부풀려진") 성적을 부활시켜, 하버드의 다른 교수들보다 낮은 성적을 매김으로써 학생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그들이 자신의 수업에서 실제로 받아야 할 성적을 알게 하려고 했다. "맨스필드의 '진실되고 진지한' 채점 시스템에서는 학생의 5%가 A를 받고 15%가 A-를 받는다. 하지만 맨스필드는 자신의 조교와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그러한 점수를 아무에게도 공유하지 않는다. ... 반대로, 맨스필드의 '아이러니컬한' 성적—공식 성적표에 기록되는 유일한 성적—은 대학의 평균 성적 분포를 따르며, 약 4분의 1의 학생들이 A를 받고 또 다른 4분의 1의 학생들이 A-를 받는다." 반면, 사적으로 받은 실제(낮은) 성적은 보통 C 또는 C-에 집중되어, 그에게 "하비 C- 마이너스 맨스필드"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27] 이러한 채점 정책은 성적 부풀리기의 원인과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으나, 학생과 교수들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전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8] 맨스필드 자신은 자신의 가운데 이름인 "C"가 연민을 의미한다고 농담했다. "채점에 관해서는 내게 부족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28] 후버 연구소와의 인터뷰에서 맨스필드는 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을 너무 빨리 뛰어난 학생으로 규정한다고 주장했다.[29]
5. 저서 및 번역서
하비 맨스필드는 정치 철학 분야에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주의와 당정치''(1965), ''자유주의 정신''(1978), ''마키아벨리의 새로운 방식과 질서''(1979), ''군주 길들이기''(1989), ''미국의 헌법적 영혼''(1991), ''마키아벨리의 미덕''(1996), ''정치철학 입문서''(2001), ''남성다움''(2006), ''토크빌: 매우 간결한 소개''(2010) 등이 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피렌체사'', ''리비우스 논고''와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를 영어로 번역하여 출간했다.
5. 1. 저서
- Statesmanship and Party Government: A Study of Burke and Bolingbroke영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65.
- The Spirit of Liberalism영어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8.
- Machiavelli’s New Modes and Orders: A Study of the Discourses on Livy영어 코넬 대학교 출판부, 1979. 시카고: 시카고대학교 출판부, 2001 재판.
- Thomas Jefferson: Selected Writings영어 편집 및 서문, H. 데이비슨, 1979.
- Selected Writings of Edmund Burke영어 "버크의 정치 실천 이론"이라는 제목의 서문과 함께 편집,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84.
- Taming The Prince: The Ambivalence of Modern Executive Power영어 프리 프레스, 1989.
- America’s Constitutional Soul영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부, 1991.
- Machiavelli’s Virtue영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96.
- A Student’s Guide to Political Philosophy영어 ISI 북스, 2001.
- Manliness영어 예일 대학교 출판부, 2006.
- Tocqueville: A Very Short Introduction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0.
5. 2. 번역서
-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군주론''(The Prince), 서문, 제2판(수정판) 1985년; 시카고: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98년. (용어 해설 포함)
-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피렌체사''(Florentine Histories), 편집 및 서문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88년. (로라 F. 밴필드와 공동 번역 및 공동 편집)
-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리비우스 논고''(Discourses on Livy), 서문 시카고: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96년. (네이선 타르코브와 공동 번역)
- 알렉시 드 토크빌 저,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cy in America), 서문 시카고: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2000년. (델바 윈스롭과 공동 번역)
6. 수상 및 영예
7. 미디어 출연
참조
[1]
웹사이트
Harvey C. Mansfield, Jr.: The Question of Conservatism
http://www.hcs.harva[...]
2007-06-02
[2]
뉴스
Harvey Mansfield's Last Class
https://www.harvardm[...]
2024-01-31
[3]
웹사이트
G.I. Tom
https://www.national[...]
2018-06-22
[4]
웹사이트
Daily Express: Provocations
http://www.tnr.com/d[...]
2005-01-19
[5]
웹사이트
Harvey Mansfield Transcript
https://conversation[...]
2022-01-23
[6]
뉴스
The Harvey Mansfield Story
https://www.thecrims[...]
2024-02-01
[7]
뉴스
Harvey Mansfield, 83; Taught at Columbia
https://www.nytimes.[...]
2017-02-08
[8]
웹사이트
Appointment of Harvey C. Mansfield, Jr., as a Member of the Board of Foreign Scholarships
https://www.reaganli[...]
2024-02-01
[9]
서적
A Student's Guide to Political Philosophy
ISI Books
2001
[10]
서적
Taming the Prince
The Free Press
1989
[11]
뉴스
Harvey Mansfield, Noted American Author and Political Theorist, to Deliver the 2007 Jefferson Lecture in the Humanities
http://www.neh.gov/n[...]
2007-03-22
[12]
웹사이트
About the Jefferson Lecture
http://www.neh.gov/w[...]
2007-06-16
[13]
웹사이트
How to Understand Politics: What the Humanities Can Say to Science
https://archive.toda[...]
2007-06-16
[14]
웹사이트
The Law and the President: In a National Emergency, Who You Gonna Call?
http://www.weeklysta[...]
2007-02-05
[15]
웹사이트
The Case for the Strong Executive: Under Some Circumstances, the Rule of Law Must Yield to the Need for Energy
http://opinionjourna[...]
2007-06-17
[16]
뉴스
Of Manliness and Men
https://www.nytimes.[...]
2019-03-09
[17]
웹사이트
Conversations with Bill Kristol
http://conversations[...]
2014-10-08
[18]
뉴스
Man Overboard
https://newrepublic.[...]
2022-04-27
[19]
뉴스
Mansfield Speaks In Gay Rights Trial
http://www.thecrimso[...]
2014-04-18
[20]
뉴스
Sodom and Demurrer
https://newrepublic.[...]
2017-03-07
[21]
서적
From Disgust to Humanity: Sexual Orientation and Constitutional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21
[22]
잡지
Point of View: Grade Inflation: It's Time to Face the Facts
https://www.chronicl[...]
2007-06-18
[23]
뉴스
Mansfield Holds To Grade Theory: Links Inflation to Affirmative Action
https://www.chronicl[...]
2021-07-01
[24]
간행물
Harvard Professor Continues His Attack on Black Students
https://www.jstor.or[...]
2022-07-01
[25]
웹사이트
Walking the Walk: Dialogue Is Only a Prelude to Involvement
http://www.digitas.h[...]
2007-02-06
[26]
웹사이트
How to Fix College Grade Inflation: Inflated grades are a serious problem, but there are ways to fix them.
https://www.usnews.c[...]
2015-09-11
[27]
뉴스
'C-minus' Prof to Give More As
http://www.thecrimso[...]
2007-02-09
[28]
뉴스
Professor Fights Grade Inflation, Affirmative Action
http://www.thecrimso[...]
2007-02-06
[29]
Youtube
Harvey Mansfield – The Left on Campus
https://www.youtube.[...]
2016-05-19
[30]
웹사이트
NEG.gov
https://archive.toda[...]
2007-06-03
[31]
뉴스
A Strauss Primer, With Glossy Mansfield Finish
https://www.washingt[...]
2007-06-03
[32]
뉴스
Harvey Mansfield on the Neil Gorsuch Confirmation Hearings
http://conversations[...]
2017-06-02
[33]
뉴스
Harvey Mansfield on Donald Trump and Political Philosophy
http://conversations[...]
2017-06-02
[34]
뉴스
Harvey Mansfield X on Conversations with Bill Kristol
http://conversations[...]
2017-06-02
[35]
뉴스
Harvey Mansfield IX on Conversations with Bill Kristol
http://conversations[...]
2017-06-02
[36]
뉴스
Harvey Mansfield VIII on Conversations with Bill Kristol
http://conversations[...]
2017-06-02
[37]
웹사이트
Harvey Mansfield on Alexis de Tocqueville's Democracy in America
https://conversation[...]
2019-08-09
[38]
간행물
Harvey C. Mansfield, Jr.: The Question of Conservatism
http://www.hcs.harva[...]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