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문화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사상 또는 정책을 의미하며, 고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부터 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20세기 후반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정책으로 채택되었으며, 캐나다와 호주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에는 네덜란드, 덴마크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 정책을 철회하거나 재검토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비교적 단일 민족 국가였으나, 개항 이후 외국 문화 유입과 이민자 증가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문화 정책 추진과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사회적 신뢰 감소, 국가 정체성 훼손 등의 비판과, 여성의 평등권 침해, 문화의 경계성 문제 등 다양한 논쟁을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정치 - 다민족 국가
    다민족 국가는 두 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상당한 규모로 공존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족 간 통합 및 갈등, 소수 민족 권리, 국가 정체성 확립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문화 정치 - 소외
    소외는 개인 또는 집단이 사회, 타인, 자신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단절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의 소외, 무력감, 고립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예술과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 다문화주의 - 다민족 국가
    다민족 국가는 두 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상당한 규모로 공존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족 간 통합 및 갈등, 소수 민족 권리, 국가 정체성 확립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다문화주의 - 다민족
    다민족은 사회가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상태를 의미하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정치, 사회,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복잡한 쟁점을 야기한다.
  • 정치와 인종 -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민족 공동체의 자결권을 핵심으로 하는 이념으로, 세계대전 이후 국제 정치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배타적 토착주의 확산과 사회 갈등 심화, 극단적 형태의 집단 학살 및 민족 청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정치와 인종 - 백호주의
    백호주의는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비유럽계 이민을 제한하기 위해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으며, 인종 갈등, 노동 운동의 영향, 그리고 인종차별적 정책 시행과 맞물려 시행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완화되어 1975년 완전히 불법화되었으나 현대 호주 사회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문화주의
지도 정보
개요
설명한 국가 또는 사회 내에 여러 문화적 전통이 공존하는 현상
관련 개념문화적 다원주의, 샐러드 볼 이론, 문화 모자이크
반대 개념문화 동화, 멜팅 팟
관련 분야사회학, 정치학, 교육학, 철학
특징
다양한 문화의 공존다양한 인종, 민족, 언어, 종교, 가치관 등이 함께 존재
문화적 차이 존중각 문화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
사회적 통합 노력다양한 문화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
철학적 관점
사회 발전현대 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철학적 개념
주요 국가 및 지역
캐나다문화 모자이크 개념을 사용하는 국가
미국샐러드 볼 이론을 지향하는 경향
세계 여러 지역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를 형성
논쟁 및 비판
사회 통합 문제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분열의 가능성
정체성 문제개인의 문화적 정체성 혼란 발생 가능성
소수 문화 차별다수 문화에 의해 소수 문화가 차별받을 수 있는 가능성
문화 상대주의모든 문화를 동등하게 평가하는 것에 대한 비판
용어
다른 언어 표기영어: multiculturalism
일본어: 多文化主義(다분카슈기)

2. 역사

키루스 대왕이 세운 아케메네스 제국은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존중하는 정책을 펼쳐 다문화주의의 초기 개념을 보여주었다.[6]

민족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도


근대에는 1918년에 해체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 다문화주의의 대표적인 예시로 꼽히지만, 마리아 테레지아 통치 시기에는 세케이족 학살이나 트란실바니아에서 정교회 교회 및 수도원 파괴와 같은 논란이 되는 사건들도 있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민족주의가 팽배해지면서 이전 합스부르크 군주국 지역의 소수 민족들은 불이익을 받거나 강제 이주, 심지어 살해당하기도 했다.[9]

다문화주의는 정치철학에서 사회가 문화적, 종교적 차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으며, "정체성 정치", "차이의 정치", "인정의 정치"와 관련된다.[10] 최근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LGBT 공동체와 같은 소외된 집단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1970년대 이후 여러 서구 국가에서 다문화주의가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으며,[12][13][14] 캐나다 정부는 다문화 이데올로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16][17] 유럽 연합의 대부분의 회원국들도 다문화주의 정책을 채택했다. 그러나 최근 네덜란드덴마크를 비롯한 일부 유럽 국가의 우익 정부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철회하고 단일 문화주의로 돌아갔다.[23] 영국 등에서는 초기 분리와 "국내산" 테러리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24]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의 많은 국가들은 문화적으로 다양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민족 공동체주의가 주요 정치 문제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 민족'을 만들려고 시도했다.[27] 카메룬은 "미니어처 아프리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지리적, 문화적 특징을 가진다.[271][272] 모리셔스 섬은 다문화주의가 특징적인 곳이다.[28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1개 언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한다.[286]

한국한국어은 전통적으로 단일민족 국가로 인식되어 왔으나, 개항 이후 외국 문물의 유입과 함께 다문화 현상이 나타났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의 문화 강요로 한국 고유의 문화가 억압받았고, 해방 이후 미군정의 영향으로 미국 문화가 유입되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다문화 현상이 심화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의 증가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2000년대 이후 정부는 다문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 1. 세계

다문화주의의 개념은 키루스 대왕이 세운 아케메네스 제국처럼 고대 제국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 제국은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존중하는 정책을 펼쳤다.[6]

근대에는 1918년에 해체된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다문화주의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제국은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았던 곳이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통치 기간 동안 세케이족 학살이나 트란실바니아에서 정교회 교회 및 수도원 파괴와 같은 논란이 되는 사건들도 있었다.[7] 이러한 사건들은 마리아 테레지아 통치 시기에 발생했다. 사회적, 문화적 차별, 다국어 사용, 경쟁적인 정체성 제시와 같은 오늘날의 문제는 이미 이 다민족 제국의 많은 사상가들의 과학 이론에 영향을 미쳤다.[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민족주의가 팽배해지면서 이전 합스부르크 군주국 지역의 소수 민족들은 불이익을 받거나 강제 이주, 심지어 살해당하기도 했다. 많은 지역에서 이러한 민족적 다양성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트리에스테와 같은 이전 합스부르크 항구 도시에서만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9]

다문화주의는 정치철학에서 사회가 문화적, 종교적 차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이는 "정체성 정치", "차이의 정치", "인정의 정치"와 관련되며, 경제적 이익과 정치적 권력 문제와도 연관된다.[10] 최근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LGBT 공동체와 같은 소외된 집단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으며, 소수 민족, 원주민, 장애인 등의 권리 주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은 주로 다양성과 이민자 통합을 다루는 적절한 방법인지에 대한 것이다. 다문화 교육은 집단 문화의 종속성과 그 경험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이 있다.

다문화주의라는 용어는 18세기 및 19세기에 단일 국가 정체성을 달성한 것으로 보이는 서구 국가들에서 주로 사용된다.[11] 1970년대 이후 여러 서구 국가에서 다문화주의가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으며, 그 이유는 국가마다 다양하다.[12][13][14] 서구의 많은 대도시들은 다양한 문화가 섞여 있는 모습을 보인다.[15]

캐나다 정부는 이민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문화 이데올로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16][17] 이중언어 및 이중문화에 관한 왕립위원회는 현대 다문화주의에 대한 정치적 인식의 기원으로 언급된다.[18] 캐나다는 퀘벡의 프랑스어 사용 다수에게 자치 공동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을 부여하고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지정했다. 서구 영어권 국가에서 다문화주의는 1971년 캐나다에서 공식 국가 정책으로 시작되었고, 1973년 오스트레일리아(호주)가 그 뒤를 따랐다.[19][20][21][22] 유럽 연합의 대부분의 회원국들도 다문화주의 정책을 채택했다. 그러나 최근 네덜란드덴마크를 비롯한 일부 유럽 국가의 우익 정부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철회하고 단일 문화주의로 돌아갔다.[23] 영국 등에서는 초기 분리와 "국내산" 테러리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24]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존 하워드 전 호주 총리,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전 스페인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 등 여러 국가 지도자들은 다문화 정책의 효과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5][26]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의 많은 국가들은 문화적으로 다양하며, 서술적인 의미에서 '다문화적'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민족 공동체주의가 주요 정치 문제이며, 이러한 국가들의 정책은 서구의 다문화주의 정책과 유사하지만 역사적 배경이 다르다. 목표는 단일 문화적 또는 단일 민족 국가 건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 민족'을 만들려고 시도했다.[27]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에 위치하며 다양한 지리적, 문화적 특징을 가진 국가 중 하나이다. 산악 지대, 사막, 열대 우림, 해안 지대, 사바나 초원 등 다양한 지형으로 인해 "미니어처 아프리카"라고 불린다.[271][272] 1916년부터 1961년까지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 통치를 받았으며,[272] 독립 후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되었다.[273][274] 프랑스어, 영어, 피진이 혼합된 프랑글레라는 새로운 언어도 사용된다.[275] 약 273개의 토착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276] 반투족, 수다니계, 바카족, 워다베족(엠보로로족) 그리고 피그미족과 같은 원시 수렵 채집 집단도 있다.[277][278] 카메룬 토착민들은 2007년 UNGA에서 채택된 UNDRIP에 따라 토지 및 자원 권리를 보호받고 있다.[279] 2016년, 바카(Baka)족과 바겔리(Bagyeli)족 토착민 그룹은 그바반디(Gbabandi)를 결성하여 토지 권리, 신성한 토지 사용에 대한 주민 동의, 정치 및 경제 문제 참여 등을 요구했다.[280]

모리셔스 섬은 다문화주의가 특징적인 곳이다.[281]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282] 힌두교도, 무슬림, 인도계 모리셔스인, 모리셔스 크레올인(아프리카와 말라가시인 혈통), 불교도, 로마 가톨릭 신자인 중국계 모리셔스인과 프랑스계 모리셔스인 등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283] 모리셔스는 여러 문화의 상호 작용을 받아들여 "과일 샐러드"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284]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에서 다섯 번째로 인구가 많고 가장 발전된 국가 중 하나이다.[285] 영어를 포함한 11개 언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며, 이는 볼리비아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이다.[286] 가장 흔한 세 가지 언어는 줄루어, 코사어, 아프리칸스어이다.

2. 2. 한국

한국한국어은 전통적으로 단일민족 국가로 인식되어 왔으나, 개항 이후 외국 문물의 유입과 함께 다문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의 문화 강요로 인해 한국 고유의 문화가 억압받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의 영향으로 미국 문화가 유입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다양한 국가와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다문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1990년대 이후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의 증가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2000년대 이후 정부 차원에서 다문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다문화주의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주요 개념 및 이론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서로 다른 문화 집단 간의 평등한 관계를 지향한다. 문화상대주의는 모든 문화가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특정 문화를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평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관용은 자신과 다른 문화나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을 포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통합은 다양한 문화 집단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조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윌 킴리카는 종교적, 문화적 소수 민족이 더 큰 국가 내에서 차별받지 않고 운영될 수 있도록 "집단 차별적 권리"를 주장한다. 그는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국가가 이해관계가 없기 때문에 인권만으로는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한다.[35]

C. 제임스 트로트먼은 다문화주의가 "여성과 소수 민족의 역사를 포함한 우리 사회 역사의 간과된 측면을 강조"하고 "잊혀진 사람들의 삶과 목소리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증진"하기 때문에 가치 있다고 주장한다.[36]

타릭 무두드는 21세기 초 다문화주의가 "가장 시의적절하고 필요하며, [...] 우리는 더 적지 않고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평등주의 이상에 가장 잘 맞고, "9/11 이후, 7/7 이후" 세계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가장 크며", "온건하고 실용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37]

비크 파렉은 다문화주의가 "소수 민족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 공동체 간의 관계의 적절한 조건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공동체가 차이점을 해결하는 기준은 하나의 문화에서만 나와서는 안 되고 "그들 사이의 열린 균등한 대화를 통해" 나와야 한다고 본다.[38] 그는 다문화주의를 인종 소수 민족의 "특별한 권리 요구"와 동일시하고 이것이 "얇게 가려진 인종차별"을 조장한다고 보는 경향에 맞선다.

발리바르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을 "차별적 인종차별"로 특징짓는다. 그는 이것을 인종적 우월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생활 방식과 전통의 불일치"로 인식되는 고정관념을 주장하는 은밀한 형태의 인종차별로 묘사한다.[39]

3. 1. 관련 사상 및 철학

실용주의는 어떤 지식이나 신념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그 유용성과 실질적인 결과에 두는 철학 사상이다.[32] 다문화주의 지지자들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함으로써 사회가 더욱 관용적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실용주의적 관점과 연결된다.[32]

포스트모더니즘은 획일적인 가치관을 거부하고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사상이다. 다문화주의는 문화가 단일한 기준이 아닌 여러 요인의 결과로 변화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과 일맥상통한다.

다원주의는 여러 집단의 사람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며 각자의 신념과 관습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한다. 다문화주의는 이러한 다원주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 통합을 추구한다.

4. 다문화주의 정책

다문화주의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은 국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1970년대부터 여러 나라에서 다문화주의를 정책으로 적용해 왔으며, 국가에 따라 그 이유는 다양하다. 캐나다와 호주는 다문화주의 정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캐나다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피에르 엘리엇 트뤼도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다문화주의를 정부 공식 정책으로 채택했다.[83] 캐나다 다문화주의법[84]과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27조[85]를 통해 법률에 반영되어 있다.

호주는 1972년까지 공식적인 다문화주의 정책은 도입되지 않았지만,[288] 1973년 다문화주의 정책을 공식 채택했다.[287] SBS 설립과 같은 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287]

유럽 연합(EU) 회원국들은 1970년대 이후 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사회 통합 정책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23] 네덜란드덴마크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폐지하고 동화주의 정책으로 전환했다.[23] 영국, 독일 등에서는 다문화주의 정책의 실패를 인정하는 정치인들의 발언이 나오기도 했다.[25]

아시아의 경우, 말레이시아다민족 국가로, 말레이인이 인구의 약 58%를 차지하는 다수 민족이다. 말레이시아 신경제 정책(NEP)을 수립하여 민족 간 불균형을 해소하려 했으나 인종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53][254] 싱가포르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다양한 민족 간의 통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1,300개가 넘는 민족 집단이 있으며, 정부는 다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육성하고 장려한다.

대한민국은 비교적 동질적인 국가이지만,[260] 외국인 이주민의 증가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다문화주의를 정책의 대안적 가치로 주목하고 있다.[263]

4. 1. 국가별 사례

볼리비아는 36개가 넘는 다양한 원주민 집단으로 구성된 국가이다.[73] 볼리비아 인구의 62% 이상이 원주민 집단에 속하며,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74] 아이마라인과 케추아인이 가장 큰 원주민 집단이며, 나머지 30%의 인구는 유럽계와 원주민계 혼혈인 메스티소이다.[74] 볼리비아 정부는 다문화 정책을 지지하며, 2009년 볼리비아 헌법에는 다문화 원칙이 명시되었다.[75] 헌법은 스페인어 외에 36개의 공용어를 인정하며, 각 언어는 고유한 문화와 원주민 집단을 가지고 있다.[76] 볼리비아 문화는 아이마라인, 케추아인, 스페인,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다른 대중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브라질 남부 카람베이시의 여러 국가 사람들의 요소가 있는 집


브라질은 다문화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변화를 겪었다. 브라질은 다문화 국가를 정의하는 것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는 국가이다.[77] 하버드 경제 연구소는 최근 이민으로 인해 브라질에 많은 문화가 교차하고 있다고 말하는 반면, 퓨 리서치 센터는 브라질이 문화적으로 다양하지만 대다수가 포르투갈어를 사용한다고 말한다.[78] 상파울루와 같은 도시는 일본, 이탈리아, 레바논, 포르투갈 출신 이민자들의 고향이며,[79] 다문화적인 모습은 브라질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브라질은 이민자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큰 발전을 이루었으며, 반흑인주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인종차별을 퇴치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학교의 참여는 여전히 부족하다.[80]

테오티와칸


멕시코는 역사적으로 항상 다문화 국가였다. 에르난 코르테스가 아즈텍을 배신한 후, 스페인은 아즈텍 제국을 정복하고 원주민들을 식민지화했다. 스페인은 원주민의 종교, 정치, 문화, 민족성에 영향을 미쳤다. 스페인어는 결국 원주민 언어를 능가하여 멕시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정복으로 인해 메스티소(반은 원주민이고 반은 스페인인)가 탄생했다.[97]

멕시코시티는 최근 급속한 통합을 이루어, 문화간 도시 지수 조사에서 몬트리올과 함께 좋은 성과를 보였다.[98] 멕시코는 2017년 기준 약 1억 2,300만 명의 인구로 구성된 민족적으로 다양한 국가이며, 주요 집단은 메스티소이고 그 뒤를 백인 멕시코인과 원주민 멕시코인이 따른다.[99] 아랍계, 아프리카계, 아시아계 멕시코인과 같은 다른 많은 민족 집단도 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멕시코에서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수는 두 배로 증가하여 총 961,121명에 달했으며, 대부분 과테말라와 미국 출신이었다.[100] 멕시코는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아 다문화주의와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명의 요람으로 여겨진다. 멕시코 문화의 특징은 스페인의 영향과 원주민의 뿌리를 결합하고 이민자들의 문화 전통을 수용하는 메스티사헤이다.

탐보마차이, 쿠스코, 페루


페루는 다문화주의의 모범 국가이다. 2016년 국가통계정보원 (INEI) 보고에 따르면 인구는 총 3100만 명이다. 페루는 에콰도르, 콜롬비아, 브라질, 칠레, 볼리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많은 이민자들을 받아들여 다양한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페루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고향이지만, 스페인의 잉카 제국 정복 이후 스페인인들은 아프리카인과 아시아인들을 노예로 페루로 데려와 다양한 민족 집단이 혼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페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아프리카계 페루인과 아시아계 페루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페루 문화에 기여했다. 오늘날 아메리카 원주민은 인구의 25.8%, 메스티소는 60.2%, 백인은 5.9%, 그리고 흑인, 중국인, 일본인 등 기타 인종은 4.8%를 차지한다.[101] 1821년 페루의 호세 데 산 마르틴 대통령은 외국인들에게 페루에서 산업을 시작할 자유를 부여했고, 2년 후 페루에 5년 이상 거주한 외국인은 귀화 시민으로 간주되었으며, 그 기간은 이후 3년으로 단축되었다.

미국은 연방 차원에서 공식적인 다문화주의 정책은 수립되지 않았지만, 인종 및 문화적 다양성은 시골, 교외 및 도시 지역에서 흔하다.[102] 19세기 전반 이후로 미국 경제와 사회의 특징은 지속적인 대규모 이민이었다.[103] 용광로라는 개념은 모든 이민자 문화가 국가의 개입 없이 혼합되고 합쳐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비유이다.[104] 용광로 이론은 각 이민자 개인과 각 이민자 그룹이 자체 속도로 미국 사회에 동화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완전한 동화와 통합을 포함하지 않는 다문화주의와는 다르다.[105] 용광로 전통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시대부터 내려온 국가 통합에 대한 믿음과 공존한다.

철학으로서 다문화주의는 19세기 말 유럽과 미국에서 실용주의 운동의 일부로 시작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정치적 및 문화적 다원주의로 발전했다.[107] 이는 부분적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새로운 유럽 제국주의 물결과 남부 및 동부 유럽인들의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로의 대규모 이민에 대한 반응이었다. 찰스 샌더스 피어스, 윌리엄 제임스, 조지 산타야나, 호레이스 칼렌, 존 듀이, W. E. B. 뒤부아 및 앨런 로크와 같은 철학자, 심리학자, 역사가 및 초기 사회학자들은 문화적 다원주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윌리엄 제임스는 "다원 사회"라는 개념을 지지했다.[108]

다문화주의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식은 그 이후로 초등학교 시스템으로 확산되었고, 학교 시스템은 소수 민족 학생들이 교실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것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근거로 학생들에게 다양성을 더 일찍 소개하기 위해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109][110] 2009년과 2010년에 텍사스주는 주 교육 과정 위원회가 주 요구 사항을 여러 차례 변경하면서, 종종 소수 민족을 희생시키면서 논란이 일었다. 그들은 에이브러햄 링컨의 취임 연설을 남부 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의 연설과 나란히 놓았다.[112]

베네수엘라에는 2018년 기준으로 약 32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다양한 민족 집단이 있다.[121] 인구의 약 68%는 혼혈(mestizo)이다.[122] 베네수엘라 문화는 주로 원주민 문화, 스페인 문화,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것이다.[123] 스페인 정복으로 인해 스페인 문화의 영향이 컸으며, 종교, 언어, 전통에 반영되었다. 아프리카의 영향은 음악에서 볼 수 있다.[123] 베네수엘라의 주요 언어는 스페인어이지만, 오늘날에도 40개가 넘는 원주민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124]

말레이시아는 다민족 국가로, 말레이인이 인구의 약 58%를 차지하는 다수 민족이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은 약 25%, 인도계 말레이시아인은 약 7%를 차지한다.[252] 1969년 5·13 인종 폭동 이후, 말레이시아 신경제 정책(NEP)이 수립되어 교육,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구조적 변화를 통해 민족 간 불균형을 해소하려 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인종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53][254] 말레이 연방 독립 이전에 사회 계약이 체결되었고, 1957년 말레이 헌법 및 1963년 말레이시아 헌법에 반영되어 이민 집단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말레이인의 특권을 보장했다. 이를 부미푸트라 정책이라고도 한다.

싱가포르는 역사적인 이민 추세로 인해 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말레이계인도계 (타밀계가 주를 이룸) 소수 민족이 있다.[255] 영어 외에 말레이어, 만다린 중국어, 타밀어를 공인하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민족 공동체가 기념하는 축제도 인정한다. 래플스 싱가포르 계획에 따라 도시는 민족 거주 지역으로 나뉘었으나, 현대 싱가포르 정부는 다양한 민족 간의 통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이러한 민족 거주 지역은 대부분 사라졌다. 대표적인 예가 공공 주택 시스템으로, 민족 통합 정책(EIP)을 통해 싱가포르 전역에 걸쳐 균등한 민족 분포를 보장한다.[257][258]

인도네시아는 1,300개가 넘는 민족 집단이 있으며, 95%는 원주민 인도네시아인 혈통이다.[227][228][229] 자바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전체 인구의 약 42%를 차지한다.[230] 700개가 넘는 살아있는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231] 대부분 무슬림이지만 기독교와 힌두교 신자들도 많다. 인도네시아의 국가 모토인 ''빈네카 퉁갈 이카''("다양성 속의 통일")는 국가를 형성하는 다양성을 보여준다.[232] 정부는 다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인도네시아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육성하고 장려한다. 그러나 이주 정책 등으로 인해 민족 간 상호 작용이 항상 조화롭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어서 사회 문화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은 인종, 언어, 문화적으로 비교적 동질적인 국가로 남아 있지만,[260] 외국인, 거주 외국인, 이민자들은 종종 한국 사회 주류로부터 배척당하고 차별을 겪는 경우가 있다.[261]

1990년대 이전에는 주로 한국 여성과 미국 군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아동을 지칭하는 데 '혼혈'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262] 그러나 이 용어는 한국 내 문화 다양성을 증진하기보다는 다인종 사람들에게 소외감을 더욱 강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7년 한건수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민의 증가로 단일 민족 동질 사회인 한국 사회가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한국 정부와 시민 사회는 다문화주의를 정책과 사회 운동의 대안적 가치로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현재의 담론과 우려"는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건설적이고 분석적인 개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263]

2009년, ''코리아 타임스''는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265] 2010년, 중앙일보에 기고한 칼럼에서 피터 언더우드는 "한국 언론은 새로운 시대의 다문화주의로 떠들썩하다. 한국에 100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의 2%가 다른 문화권 출신이다."라고 언급하며, 한국의 동질성이 강점이기도 하지만, 다문화주의가 상반되는 견해를 도입하고 기존의 가정에 도전함으로써 한국인을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66]

2010년 한국 정체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주의를 장려하는 정부 프로그램이 성공을 거두어 60%가 넘는 한국인이 다문화 사회라는 개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7] 그러나 2015년 같은 여론 조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지율이 49.7%로 떨어져 인종적 배타주의로의 회귀 가능성을 시사했다.[268]

4. 1. 1. 캐나다

캐나다 사회는 여러 다른 문화와 신념을 인정하는 "매우 진보적이고, 다양하며, 다문화적인" 사회로 묘사된다.[81] 다문화주의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피에르 엘리엇 트뤼도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캐나다 정부의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다.[83]

캐나다에서 다문화주의 사상이 처음으로 명확하게 언급된 것은 1964년 캐나다 진보보수당 상원의원의 상원 의회 첫 연설에서였다. 1963년에는 퀘벡주에 집중된 프랑스어 사용자들의 불만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캐나다 왕립위원회를 열어 이중언어 및 이중문화 문제에 대한 검토를 거듭했다. 1971년 다문화주의가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는데, 이는 서구 국가에서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왕립위원회는 보고서에서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가 이중언어 및 이중문화로 구성된 사회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성격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중문화주의는 여러 방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진보보수당 당수 존 디펜베이커는 다문화주의가 캐나다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지켜나가려는 자신의 태도와 상반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당시에는 퀘벡 민족주의에 매료되는 젊은 프랑스어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었지만, 이중문화주의는 이러한 젊은이들을 만족시키는 것도 아니었다.

영어나 프랑스어와 같은 언어권을 막론하고 많은 캐나다인이 두 언어를 병용하는 이중문화주의 신정책을 싫어했지만, 최대 반대 세력은 영어권, 프랑스어권이 아니라 소위 “제3세력”이라고 불린 이질적인 문화를 가진 소수민족 캐나다인이었다. 캐나다 서부 주에서의 프랑스어 사용자 인구는 다른 언어 사용자(베이징어와 같은 중국계, 힌디어와 같은 인도계, 일본어와 같은 동아시아계 등)와 비교하면 소수였고, 이중문화주의가 현실에 부합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소수민족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정책의 기본 방침은 “이중언어 이중문화주의”에서 “이중언어 다문화주의”로 바뀌었다.

자유당 정권의 피에르 트뤼도1971년 10월 8일, 하원에서 “이중언어의 틀에 들어맞는 다문화주의 정책 실시 선언”을 발표했다. 이는 브라이언 멀로니가 이끄는 진보보수당 정권이 1998년 7월 21일에 칙허를 받아 통과시킨 다문화주의 관련 결의안의 전조가 되었다.

실무 수준에서는 연방 정부에 의해 각 소수민족에 대한 문화 보호를 목적으로 한 기금의 지급이 시작되었다. 기금의 주요 지원 대상으로는 민속춤 경연대회나 각 민족을 위한 교류 시설 건설 등이 있다.

다문화주의는 캐나다 다문화주의법[84]과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27조[85]를 통해 법률에 반영된다. 1991년 방송법[86][87]은 캐나다 방송 시스템이 국가의 다양한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캐나다는 1982년에 영국으로부터 법적으로 완전히 독립을 달성했지만, 그때 제정된 캐나다 자주헌법에 있는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325] 제27조에 다문화주의 정책 방침이 추가되었다.

4. 1. 2. 호주

백호주의 정책(White Australia Policy)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민 정책의 여러 변화를 통해 해체되었지만, 공식적인 다문화주의 정책은 1972년까지 공식적으로 도입되지 않았다.[288] 1973년 다문화주의 정책을 공식 채택했다.[287] 1970년대 백인 이외의 이민을 사실상 금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던 백호주의 정책이 고프 휘틀럼 정권에 의해 폐지되면서 다문화주의가 확산되었다.[287]

시드니 차이나타운(Sydney's Chinatown)


오스트레일리아는 캐나다와 정책적으로 유사점이 많으며, SBS 설립과 같은 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287] 오스트레일리아 정부(Australian Government)는 정책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 오스트레일리아를 정의하는 중요한 측면이다.[19][20][22][21]

1996년 존 호워드(John Howard)의 자유-국민 연립 정부의 당선은 오스트레일리아 다문화주의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존 호워드는 오랫동안 다문화주의를 비판해 왔으며, 1980년대 후반에 하나의 오스트레일리아 정책(One Australia policy)을 발표했다.[289] 그러나 다문화주의적인 정책은 변경없이 존속하고 있다.

호주에서 최초의 다문화주의에 관한 국책은 1978년 말콤 프레이저 총리(당시)가 이끄는 자유당 정권에 의해 시행되었다. 일련의 정책은 밥 호크 노동당 정권에 계승되었다. 1990년대 초, 폴 키팅 노동당 정권은 다문화주의를 지지하는 자세를 유지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이민다문화부는 2005년 호주 내 노동력의 25%가 해외 출신이며, 40%가 최소한 한쪽 부모가 해외 출신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서로 다른 문화권 사람들 간의 접촉은 관용과 참여를 특징으로 하지만, 때때로 갈등과 불화를 초래하기도 했다.[295][296]

4. 1. 3. 유럽

1970년대 이후 유럽 연합(EU) 회원국들은 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사회 통합 정책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23] 네덜란드덴마크는 다문화주의 정책을 폐지하고 동화주의 정책으로 전환했다.[23] 영국, 독일 등에서는 다문화주의 정책의 실패를 인정하는 정치인들의 발언이 나오기도 했다.[25]

역사적으로 유럽은 라틴, 슬라브, 게르만, 우랄, 켈트, 헬레니즘, 일리리아, 트라키아 등 다양한 문화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신앙 체계의 영향을 받아왔다.[125] 19세기에는 민족주의 이념이 유럽인들의 국가관을 변화시켰다.[125] 새로운 민족 국가들은 각 민족이 자체 주권을 가지며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낳고, 보호하고, 보존할 권리가 있다는 원칙에 기반하여 설립되었다. 이 이념에 따르면 통일성은 민족과 민족 국가의 필수적인 특징으로 여겨졌다. 혈통, 문화, 언어, 그리고 종종 종교의 통일성이 그것이었다. 그러나 문화적 통일성이 부족한 경우 국가는 이를 장려하고 강제했다.[127] 19세기 민족 국가는 다양한 정책을 개발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국어로 된 의무 초등 교육이었다.[127] 언어 자체는 종종 언어 학회에 의해 표준화되었고, 지역 언어는 무시되거나 억압되었다. 일부 민족 국가는 문화 동화와 심지어 민족 청소의 폭력적인 정책을 추구했다.[127]

유럽 연합의 일부 국가들은 "사회적 응집력", "통합", 그리고 (때로는) "동화"를 위한 정책을 도입했다. 이러한 정책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국가 역사, 헌법 및 법 체계에 대한 의무 과정 및/또는 시험 (예: 영국에서 귀화를 추구하는 개인을 위한 컴퓨터 기반 시험인 영국 생활 시험)
  • 네덜란드의 판 오스트롬 위원회가 정의한 국가 정전과 같은 공식적인 국가 역사의 도입 및 그 역사의 홍보 (예: 국민 영웅에 대한 전시회를 통해)
  • "용납할 수 없는" 가치를 유도하도록 설계된 시험.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는 이민자들에게 아들이 동성애자라고 말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는다(바람직한 답변은 받아들일 것이라는 것입니다).[129]


다른 국가들은 문화적 분리를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했다.[130] 1993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협상에서 프랑스가 제안한 "문화 예외" 개념은 지역 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의 한 예였다.[131]

각 국가별 상황은 다음과 같다.

  • '''불가리아''': 7세기 건국 이후 다양한 종교, 민족, 국가를 포용해왔다. 수도 소피아는 300미터 이내에 동방 정교회(성 네델랴 교회), 이슬람교(바냐 바시 모스크), 로마 가톨릭교회(성 요셉 대성당), 정통 유대교(소피아 시나고그)의 예배 장소가 공존하는 유일한 유럽 도시이다.[132][133] 이 지역은 "종교 관용의 광장"으로 알려져 있다.[135][136] 불가리아는 나치 독일의 동맹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4만 8천 명의 유대인을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강제 추방으로부터 구출했다.[140][141] 불가리아는 발칸 지역 내에서 다문화주의의 모범이 되었다.[144][145]
  • '''프랑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민이 크게 증가했다. 알제리 전쟁 이후 알제리 출신 이민자들이 많이 유입되었으나, 프랑스인과의 갈등도 있었다.[153][154] 프랑스의 다문화주의는 특히 무슬림 이민자들과 관련하여 교육 부문에서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155] 2003년 스타시 보고서는 "이슬람주의"를 프랑스 문화와 세속주의에 반하는 것으로 규정했다.[157]
  •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2010년 다문화 사회 건설 시도가 "완전히 실패했다"고 말했다.[159] 그녀는 이민자들이 독일의 문화와 가치를 받아들이고 통합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161][162] 2015년 메르켈은 다시 다문화주의가 병행 사회를 초래한다는 이유로 비판했다.[163]
  • '''네덜란드''': 1950년대 중반부터 대규모 이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주의가 시작되었다.[170] 1980년대 초 공식적인 국가 다문화주의 정책이 채택되었으나,[170] 1990년대에 더욱 동화주의적인 정책으로 바뀌었다.[170][172] 9·11 테러와 핌 포르투인, 테오 판 고흐의 살인 사건 이후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이 증가했다.[171][173] 2011년 루테 1차 내각은 다문화주의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175]
  • '''루마니아''': 고대부터 다양한 종교 및 민족 집단의 본거지였다. 1990년대 이후 아랍 세계, 아시아, 아프리카 출신의 이민자와 난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176][177]
  • '''스칸디나비아''': 다문화주의는 결혼, 복장, 종교 학교, 무슬림 장례 의식 및 양성평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강제 결혼은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었지만, 국가별로 정책과 당국의 대응이 다르다.[180] 스웨덴은 가장 관대한 정책을, 덴마크는 가장 제한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다.
  • '''영국''': 1970년대와 1980년대부터 지방 행정부에 의해 다문화 정책이 채택되었다.[208] 1997년 노동당 정부는 전국적인 수준에서 다문화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했지만,[209] 2001년 이후 반발이 있었다. 2011년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국가 다문화주의는 실패했다"고 말했다.[210]

4. 1. 4. 아시아

말레이시아는 다민족 국가로, 말레이인이 인구의 약 58%를 차지하는 다수 민족이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은 약 25%, 인도계 말레이시아인은 약 7%를 차지한다.[252] 1969년 5·13 인종 폭동 이후, 말레이시아 신경제 정책(NEP)이 수립되어 교육,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구조적 변화를 통해 민족 간 불균형을 해소하려 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인종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53][254] 말레이 연방 독립 이전에 사회 계약이 체결되었고, 1957년 말레이 헌법 및 1963년 말레이시아 헌법에 반영되어 이민 집단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말레이인의 특권을 보장했다. 이를 부미푸트라 정책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다원주의적 정책은 말레이인의 권리 침해를 반대하는 인종주의적 말레이 정당으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종교 자유의 현황과도 관련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싱가포르는 역사적인 이민 추세로 인해 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말레이계인도계 (타밀계가 주를 이룸) 소수 민족이 있다.[255] 영어 외에 말레이어, 만다린 중국어, 타밀어를 공인하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민족 공동체가 기념하는 축제도 인정한다. 래플스 싱가포르 계획에 따라 도시는 민족 거주 지역으로 나뉘었으나, 현대 싱가포르 정부는 다양한 민족 간의 통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이러한 민족 거주 지역은 대부분 사라졌다. 대표적인 예가 공공 주택 시스템으로, 민족 통합 정책(EIP)을 통해 싱가포르 전역에 걸쳐 균등한 민족 분포를 보장한다.[257][258]

인도네시아는 1,300개가 넘는 민족 집단이 있으며, 95%는 원주민 인도네시아인 혈통이다.[227][228][229] 자바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전체 인구의 약 42%를 차지한다.[230] 700개가 넘는 살아있는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231] 대부분 무슬림이지만 기독교와 힌두교 신자들도 많다. 인도네시아의 국가 모토인 ''빈네카 퉁갈 이카''("다양성 속의 통일")는 국가를 형성하는 다양성을 보여준다.[232] 정부는 다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인도네시아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육성하고 장려한다. 그러나 이주 정책 등으로 인해 민족 간 상호 작용이 항상 조화롭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어서 사회 문화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1998년 수하르토의 몰락 이후, 민족 간 및 종교 간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나,[233][234][235][236] 인도네시아는 판차실라의 다원주의 정책을 통해 단결과 문화 간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원문 소스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에 제시된 "일본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최근 외국인 노동자 유입 증가로 인해 다문화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내용을 그대로 작성할 수는 없다.

4. 1. 5.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인종, 언어, 문화적으로 비교적 동질적인 국가로 남아 있지만,[260] 외국인, 거주 외국인, 이민자들은 종종 한국 사회 주류로부터 배척당하고 차별을 겪는 경우가 있다.[261]

1990년대 이전에는 주로 한국 여성과 미국 군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아동을 지칭하는 데 '혼혈'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262] 그러나 이 용어는 한국 내 문화 다양성을 증진하기보다는 다인종 사람들에게 소외감을 더욱 강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7년 한건수는 대한민국에서 "다문화주의"라는 단어의 사용 증가를 언급하며,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민의 증가로 단일 민족 동질 사회인 한국 사회가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한국 정부와 시민 사회는 다문화주의를 정책과 사회 운동의 대안적 가치로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현재의 담론과 우려"는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건설적이고 분석적인 개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263]

2009년, ''코리아 타임스(Korea Times)''는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265] 2010년, 중앙일보(JoongAng Ilbo)에 기고한 칼럼에서 피터 언더우드는 "한국 언론은 새로운 시대의 다문화주의로 떠들썩하다. 한국에 100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의 2%가 다른 문화권 출신이다."라고 언급하며, 한국의 동질성이 강점이기도 하지만, 다문화주의가 상반되는 견해를 도입하고 기존의 가정에 도전함으로써 한국인을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66]

2010년 한국 정체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주의를 장려하는 정부 프로그램이 성공을 거두어 60%가 넘는 한국인이 다문화 사회라는 개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7] 그러나 2015년 같은 여론 조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지율이 49.7%로 떨어져 인종적 배타주의로의 회귀 가능성을 시사했다.[268]

5. 비판 및 논쟁

다문화주의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문화적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민자들이 নিজেদের의 문화를 유지하는 것이 사회 분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며,[318][319][320][321] 특히 이슬람 문화권 출신 이민자들의 증가로 인해 문화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322]

다문화주의는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대변하고 사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과 더불어,[336][337][338] 수용국의 고유한 문화를 파괴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339]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로버트 D. 퍼트넘은 약 10년간의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가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342] 미국 40개 지역 사회의 2만 6,2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인종적으로 다양한 지역 사회일수록 신뢰감 상실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양성이 높은 지역의 사람들은 지역 시장, 신문, 다른 사람, 조직 모두를 신뢰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343] 퍼트넘은 다양성 속에서 사람들이 "거북이처럼 행동"하며, 자신과 닮지 않은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342]

민족학자 프랭크 설터는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사회일수록 공공재에 대한 투자가 많고, 공공의 이타성이 높다고 주장했다.[346] 미국, 아프리카, 동남아시아의 사례를 통해 다민족 사회일수록 자선심이 옅고 공공 인프라 정비에 협조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딕 램 전 콜로라도주 주지사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민족은 서로 죽이지 않을 때에는 거의 대부분 서로 미워한다"며 다양하고 평화롭고 안정적인 사회는 역사적으로 드물다고 주장했다.[347]

5. 1. 한국 사회에서의 논쟁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단일민족 국가라는 인식이 강하여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다문화주의가 단일민족 정체성을 훼손하고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49][50][51] 이주민과 내국인 간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 이주민 범죄에 대한 우려 등이 주요 쟁점이다.[52]

특히, 다문화주의 정책이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서구 모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007년 한건수는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현재의 담론과 우려"는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건설적이고 분석적인 개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263] 같은 해, 스티븐 캐슬스는 한국이 어떤 유형의 다문화 사회가 되기를 원하는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64]

2009년 ''코리아 타임스(Korea Times)''는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으며,[265] 2010년 피터 언더우드는 ''중앙일보(JoongAng Ilbo)'' 기고에서 다문화주의가 한국 사회에 상반되는 견해를 도입하고 기존의 가정에 도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266]

2010년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60% 이상이 다문화 사회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267] 2015년 조사에서는 지지율이 49.7%로 하락하여 인종적 배타주의로 회귀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68]

정치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다문화주의를 옹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진영에서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6. 전망 및 과제

다문화주의는 세계화 시대에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한국 사회도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주의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 통합, 문화 간 이해 증진, 차별 해소, 평등한 기회 보장 등이 다문화 사회의 주요 과제이다.[10] 특히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문화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사회 구성원 간의 소통과 공감을 확대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다문화주의의 이상이 지속 가능한지, 모순적인지, 또는 바람직한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49][50][51] 강제적인 다문화주의는 국가 정체성을 훼손하고, 주최국의 독특한 문화를 침식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된다.[52]

로버트 D. 퍼트넘은 다문화주의가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56] 연구 결과, 사회가 인종적으로 다양할수록 신뢰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양한 공동체의 사람들은 서로를 덜 신뢰하고, 지역 사회와 제도에 대한 신뢰도 낮았다.[57] 그러나 퍼트넘은 이러한 다양성에 대한 거부감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고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58]

딕 램은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은 서로 미워하는 데 주로 몰두하고 있으며, 서로 죽이지 않을 때도 마찬가지다. 다양하고 평화롭거나 안정적인 사회는 대부분의 역사적 선례에 반한다."라고 주장했다.[61]

최근 유럽 국가에서는 이민자 통합을 위한 다문화 정책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25][26] 특히, 이슬람권 출신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이민 국가의 가치관을 공유하지 않고 종교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사회 통합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318][319][320][321] 이는 이민 국가 사회의 분열, 재정적 부담 증가, 사회적 결속 약화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으며, 자유주의, 세속주의, 민주주의, 언론의 자유와 같은 가치마저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322]

참조

[1] 논문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Wiley
[2] 학술지 Multiculturalism as the main philosophical concept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http://metafizikajur[...] 2022-12-15
[3] 서적 Dialogu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1-13
[4] 서적 Guide to Western Canada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2011-01-16
[5]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 Dress: Traditional Clothing around the World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4-09
[6] 학술지 A HISTORICAL EXAMPLE OF MULTICULTURALISM: ACHAEMENID EMPIRE MULTICULTURALISM https://dergipark.or[...] 2020-05-26
[7]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ians East European Monographs
[8] 뉴스 Denkanstöße aus der Multikulti-Monarchie, The Habsburg Empire. A New History, The Sleepwalkers Standard, Harvard, New York 2012-07-03
[9] 뉴스 Wie Wien mit Meersicht: Ein Tag in der Hafenstadt Triest NZZ 2020-02-15
[10] 웹사이트 Multiculturalism http://plato.stanfor[...]
[11] 서적 Handbook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ism https://books.google[...] Archives contemporaines 2011-04-19
[12] 웹사이트 Policy Paper no. 4 – Multiculturalism: New Policy Responses to Diversity http://www.unesco.or[...] Unesco.org 2010-12-10
[13] 웹사이트 Multiculturalism in Canada http://www.pch.gc.ca[...] Pch.gc.ca 2009-04-09
[14]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ism http://www4.gu.edu.a[...] .gu.edu.au 2010-12-10
[15] 웹사이트 Multiculturalism and the Dynamics of Modern Civilizations http://www.unu.edu/d[...] 2010-12-10
[16] 학술지 Immigration, Multiculturalism and National Identity in Canada
[17] 뉴스 Ujjal Dosanjh: By silencing white men, Canada can't have an honest debate about equality, race and culture http://news.national[...] 2016-01-04
[18] 서적 Encyclopedia of Identity https://books.google[...] SAGE 2010-06-29
[19] 웹사이트 About Australia: Our Country http://australia.gov[...] australia.gov.au 2013-10-25
[20] 웹사이트 About Australia: People, culture and lifestyle http://www.dfat.gov.[...] Dfat.gov.au 2013-10-25
[21] 웹사이트 The Hon. Tony Abbott MP Press Release - A Team to Build a Stronger Australia https://web.archive.[...] liberal.org.au 2013-09-16
[22] 웹사이트 The People of Australia – Australia's Multicultural Policy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Citizenship 2013-11-14
[23] 서적 Selling Illusions: The Myth of Multiculturalism Penguin 2002
[24] 뉴스 Fact or fiction in the great UK immigration debate http://www.workpermi[...] workpermit.com 2005-04-26
[25] 서적 America and the World: Culture, Commerce, Conflict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2-01-31
[26] 뉴스 Sarkozy joins allies burying multiculturalism https://www.reuters.[...] 2019-11-02
[27] 간행물 The changing of the guard http://www.economist[...] 2003-04-03
[28] 서적 Moon Handbooks New Jersey Avalon Travel Publishing 2006
[29] 뉴스 Neighborhood Spotlight: Journal Square https://web.archive.[...] 2014-04-21
[30] 웹사이트 Supplemental Table 2. Persons Obtaining Lawful Permanent Resident Status by Leading Core Based Statistical Areas (CBSAs) of Residence and Region and Country of Birth: Fiscal Year 2014 https://www.dhs.gov/[...]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6-06-01
[31] 웹사이트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13 Supplemental Table 2 https://www.dhs.gov/[...]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7-07-02
[32] 뉴스 Guardian.co.uk https://www.theguard[...] 2010-03-22
[33] 서적 The multiculturalism backlash: European discourses, policies and practices 2011-02-12
[3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ttp://www.edchange.[...] 2011-02-12
[35] 서적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Multiculturalism: root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01-29
[37] 서적 Multiculturalism: a civic idea https://books.google[...] Polity
[38] 서적 Rethinking multiculturalism: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al theory Harvard UP
[39] 서적 Haunted Nations: The colonial dimensions of multiculturalisms Routledge 2004
[40] 학술지 Ethnicity, Insurgency, and Civil War 2003-02
[41] 논문 Ethnic Politics and Armed Conflict: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a New Global Data Set 2009-04-00
[42] 논문 Economic versus Cultural Differences: Forms of Ethnic Diversity and Public Goods Provision 2010-11-00
[43] 논문 Is Diversity Detrimental? Ethnic Fractionalization, Public Goods Provision, and the Historical Legacies of Stateness 2016-09-00
[44] 논문 The Diverse Effects of Diversity on Democracy 2018-04-00
[45] 논문 The effect of education policies on higher-education attainment of immigrants in Western Europe: A cross-classified multilevel analysis 2016-05-00
[46] 논문 Ethnoracial Homogeneity and Public Outcomes: The (Non)effects of Diversity 2018-11-00
[47] 논문 Love Thy Neighbor? Ethnoracial Diversity and Trust Reexamined 2015-11-00
[48] 서적 How Migration Really Works: A Factful Guide to the Most Divisive Issue in Politics Random House 2023-00-00
[49] 서적 Multiculturalism's double bind: creating inclusivity, cosmopolitanism and differenc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9-09-23
[50] 서적 Globalization on trial: the human condition and the informatio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DRC 2000-05-00
[51] 서적 Where strangers become neighbours: integrating immigrants in Vancouver, Canad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01
[52] 뉴스 Report attacks multiculturalism http://news.bbc.co.u[...] 2005-09-30
[53] 서적 Justice, Gender, and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서적 Culture and Equality Polity Press
[55] 웹사이트 Is Multiculturalism Bad For Women? https://bostonreview[...] 1997-10-01
[56] 학술지 ''E Pluribus Unum'': Diversity and commun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7-06-01
[57] 뉴스 Fragmented future http://www.amconmag.[...] Jon Basil Utley 2007-01-15
[58] 웹사이트 Political Scientist: Does Diversity Really Work? https://www.npr.org/[...] 2007-08-15
[59] 뉴스 Harvard Sociologist Says His Research Was 'Twisted' https://www.chronicl[...] 2012-08-15
[60] 서적 On Genetic Interests
[61] 웹사이트 I have a plan to destroy America http://www.snopes.co[...] 2011-01-12
[62]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Random House
[63] 논문 Indigeneity's Challenges to the White Settler-State: Creating a Thirdspace for Dynamic Citizenship 2008-01
[64] 논문 Political Ideology in Consumer Resistance: Analyzing Far-Right Opposition to Multicultural Marketing 2020-10
[65]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Argentina https://www.cia.gov/[...] Cia.gov 2011-01-16
[66] 서적 In the Wake of Neoliberalism: Citizenship and Human Rights in Argent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7] 웹사이트 Argentine Culture Rich and Diverse http://www.argentina[...] Argentina.ar 2010-12-10
[68] 법률 http://www.senadocte[...] 2004-10-22
[69] 서적 La educación intercultural bilingüe en Santiago del Estero, ¿mito o realidad? http://usuarios.arne[...] Cámara de Diputados de la Nación 2022-05-21
[70] 법률 2010-07-28
[71] 웹사이트 Mapa de pueblos originarios https://www.argentin[...] 2020-11-10
[72] 웹사이트 Los Pueblos Originarios en Argentina, hoy https://www.cultura.[...]
[73] 웹사이트 Bolivia https://www.iwgia.or[...] 2018-07-14
[74]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8-07-14
[75] 서적 The Crisis of Multiculturalism in Latin America Palgrave Macmillan US
[76] 웹사이트 Justia Bolivia :: Nueva Constitución Política Del Estado > PRIMERA PARTE > TÍTULO I > CAPÍTULO PRIMERO :: Ley de Bolivia https://bolivia.just[...] 2018-07-14
[77] 뉴스 A revealing map of the world's most and least ethnically diverse countries http://www.pewresear[...] 2018-07-27
[78] 뉴스 The most (and least) culturally diverse countries in the world http://www.pewresear[...] 2013-07-18
[79] 학술지 Possíveis relações entre multiculturalismo e teorias curriculares da Educação Física https://www.redalyc.[...]
[80] 학술지 Blackness, Indigeneity, Multiculturalism and Genomics in Brazil, Colombia and Mexico https://www.research[...] 2013
[81] 서적 Culture clash: a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 on ethnic discriminat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02-28
[82] 웹사이트 The Just Society http://www.edu.gov.m[...] Government of Manitoba 2015-12-06
[83] 서적 Place/culture/re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9-12
[84] 웹사이트 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Being Part I of the Constitution Act, 1982) http://www.efc.ca/pa[...] Electronic Frontier Canada 2010-09-12
[85] 웹사이트 Canadian Multiculturalism Act (1985, c. 24 (4th Supp.) http://laws.justice.[...] Department of Justice Canada 2010-09-12
[86] 서적 Media Divides: Communication Rights and the Right to Communicate in Canada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87] 학술지 Representing Minorities: Canadian media and minority identities
[88] 서적 The Comparative Turn in Canadian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UBC Press
[89] 서적 Multiculturalism and the Canadian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UBC Press
[90] 서적 Multiculturalism and Religious Identit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91] 웹사이트 A literature review of Public Opinion Research on Canadian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alism and immigration, 2006–2009 http://www.cic.gc.ca[...] Government of Canada 2011-12-18
[92] 서적 Leviathan Transformed: Seven National States in the New Centur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93] 뉴스 Canada: 'A model for the world' http://ismaili.net/t[...] 2002-02-02
[94] 뉴스 The last liberals Why Canada is still at ease with openness https://www.economis[...] 2016-11-10
[95] 웹사이트 Evaluation of the Multiculturalism Program https://www.canada.c[...] 2012-06-10
[96] 웹사이트 Supporting Reconnecting Immigrant Families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Rural Schools: An Exploratory Study of Filipino Arrivals to Alberta http://bild-lida.ca/[...] 2018-11-12
[97] 웹사이트 Ethnic diversity in Mexico : Mexico Travel http://www.mexconnec[...] Mexconnect.com 2011-05-20
[98]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Mexico City PR rev[1]-1.doc http://www.coe.int/t[...] 2013-07-01
[99] 뉴스 El impacto del mestizaje en México https://www.investig[...] 2018-07-25
[100] 웹사이트 Informativo oportuno (Spanish text) http://www.inegi.gob[...] 2011-05-01
[101] 웹사이트 Peru population. Demographic data, ethnic groups population and demographics from Peru – CountryReports http://www.countryre[...] 2018-07-26
[102] 서적 Gale Encyclopedia of Multicultural America https://www.cengage.[...] Cengage
[103] 서적 Immigration and emigra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Edizioni Plus
[104] 서적 The Melting Pot
[105] 서적 The new immigration: an interdisciplinary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6] 간행물 First American Supreme Court Chief Justice
[107] 서적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new idea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12-11
[108] 뉴스 Euro-Islam – A Constructivist Idea or a Concept of the English School? http://www.miami.edu[...] Miami-Florida European Union Center of Excellence 2007-05
[109] 서적 Mus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Foundations and Princip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10-14
[110] 뉴스 Miami Beach: Diversity at Work http://www.community[...]
[111] 뉴스 'Colorblind' Generation Doesn't Blink at Interracial Relationships 2006-02-07
[112] 뉴스 Historians speak out against proposed Texas textbook changes https://www.washingt[...] 2010-03-18
[113] 뉴스 The Culture Wars' New Front: U.S. History Classes in Texas https://www.wsj.com/[...] 2009-07-14
[114] 뉴스 Texas Conservatives Win Curriculum Change https://www.nytimes.[...] 2010-03-12
[115] 논문 Patterns of American terrorism 1955–1998: An historical perspective on terrorism-related fatalities http://www.tandfonli[...] 2000-03-01
[116] 웹사이트 The Escalating Terrorism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sis.org[...] 2023-04-29
[117] 웹사이트 Trump frequently accuses the far-left of inciting violence, yet right-wing extremists have killed 329 victims in the last 25 years, while antifa members haven't killed any, according to a new study https://www.business[...] 2023-08-23
[118] 웹사이트 Oklahoma City Bombing https://www.fbi.gov/[...] 2023-08-23
[119] 웹사이트 The downside of diversity http://archive.bosto[...] 2018-12-31
[120] 뉴스 Harvard Sociologist Says His Research Was 'Twisted' https://www.chronicl[...] 2012-08-15
[121] 웹사이트 Venezuela Population (2018) – Worldometers http://www.worldomet[...] 2018-07-27
[122] 웹사이트 Venezuela http://www.nationsen[...] 2018-07-27
[123] 웹사이트 Venezuela sociedad multietnica y pluricultural https://www.slidesha[...] 2012-10-18
[124] 웹사이트 Los idiomas de Venezuela http://www.studycoun[...] 2018-07-27
[125] 서적 The Europeans: A Geography of People, Culture, and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11-03-07
[126] 학술지 Homogenisation, nationalism and war: Should we still read Ernest Gellner? 2007
[127] 서적 Nations and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05-22
[128] 웹사이트 Official Web site http://www.entoen.nu[...] Entoen.nu 2010-12-10
[129] 뉴스 BBC report http://news.bbc.co.u[...] BBC
[130] 서적 Multiculturalism and Social Cohesion: Potentials and Challenges of Divers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1] 서적 Intellectual property and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in a digital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8-11-30
[132] 웹사이트 Panoramio.com https://www.panorami[...] panoramio.com 1970-01-01
[133] 웹사이트 Everything you want to know about the country of Bulgaria http://bulgariafocus[...] Bulgaria Focus
[134] 서적 Europe and the Historical Legacies in the Balkans (Multiple Europes) P.I.E. Peter Lang s.a. 2008
[135] 웹사이트 The World in the next 20 years http://www.ceibs.edu[...]
[136] 웹사이트 Vagobond in Bulgaria – Part 2 – Sofia Places of Worship – Vagobond http://www.vagobond.[...] 2014-02-01
[137] 웹사이트 News.bg – Макет на 4 храма – туристически символ на София http://news.ibox.bg/[...] News.ibox.bg 2010-05-03
[138] 웹사이트 Sofia's new tourist symbol | Radio Bulgaria http://bnr.bg/sites/[...] Bnr.bg
[139] 웹사이트 София – Мъдрост в действие http://www.sofiasymb[...] Sofiasymbol.bg
[140] 서적 The Fragility of Goodness: Why Bulgaria's Jews Survived the Holocaust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1] 서적 Beyond Hitler's Grasp Adams Media
[142] 뉴스 Exclusive video: 'Restoring the crown to former glory' http://www.jpost.com[...] Jpost.com 2012-01-29
[143] 간행물 The Highs and Lows of Ethno-Cultural Diversity: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Chalga Culture in Bulgaria http://scholarwo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4] 서적 Interculturalism and Discrimination in Romania: Policies, Practices, Identities and Representations Lit Verlag
[145] 간행물 Bulgarian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 uses and abuses http://press.swu.bg/[...] Scientific Research, University Publishing House, South-West University, Blagoevgrad
[146] 서적 The history of Turkish community in Bulgaria
[147] 서적 The Human Rights of Muslims in Bulgaria in Law and Politics since 1878 Bulgarian Helsinki Committee
[148] 웹사이트 Bulgarian MPs Officially Condemn 'Revival Process' http://www.pomak.eu/[...] Pomak.eu 2013-07-01
[149] 서적 The Bulgarian state and Bulgarian Turks (to the mid-1930s until the early-1990s) Bulgarian Archive State Agency
[150] 웹사이트 ЦИК : Резултати http://rezultati.cik[...] Rezultati.cik2009.bg 1970-01-01
[151] 웹사이트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the Roma Minority in Bulgaria: (1990–2005) http://www.politeia.[...] POLITEIA – Participation for Citizenship and Democracy in Europe 2012-04-01
[152] 웹사이트 La Diaspora Vietnamienne en France un cas particulier https://web.archive.[...] 2013-12-03
[153] 웹사이트 Le film: deux siècles d'histoire de l'immigration en France. https://web.archive.[...] 2017-01-02
[154] 웹사이트 De 1945 à 1975 | Cité national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http://www.histoire-[...] 2012-02-22
[155] 논문 From international ideas to domestic policies: Educational multiculturalism in England and France http://www.middlebur[...]
[156] 논문 Citizenship, Republicanism and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France
[157] 논문 Islam in France reconfigured: Republican Islam in the 2010 Gerin report
[158] 논문 Laïcité and multiculturalism: the Stasi Report in context https://www.research[...]
[159] 뉴스 Merkel says German multicultural society has failed https://www.bbc.co.u[...] 2010-10-17
[160] 뉴스 Germans argue over integration http://news.bbc.co.u[...] 2004-11-30
[161] 뉴스 Germany's charged immigration debate https://www.bbc.co.u[...] 2010-10-17
[162] 웹사이트 Rauf Ceylan: Muslims in Germany: Religious and Political Challenges and Perspectives in the Diaspora http://www.aicgs.org[...]
[163] 뉴스 Multiculturalism is a sham, says Angela Merkel https://www.washingt[...] 2019-02-24
[164] 뉴스 Muslims in Germany have rights and obligations http://www.dw.de/mus[...] 2014-06-07
[165] 뉴스 Piping Hot Gromperekichelcher, Only if You Pass the Sproochentest WALL STREET JOURNAL 2018-01-19
[166] 간행물 La progression de la population du Grand-Duché continue: 537 039 résidants au 1er janvier 2013 http://www.statistiq[...] Statnews 2013-04-18
[167] 웹사이트 Luxembourg, an ever-growing multicultural population https://www.justarri[...] 2018-07-22
[168] 웹사이트 The Trilingual Education system in Luxembourg http://www.unavarra.[...] 2018-07-22
[169] 웹사이트 Conventions – Luxembourg https://en.unesco.or[...] 2018-07-22
[170] 서적 The multiculturalism backlash: European discourses, policie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71] 웹사이트 Likestillingsidealer gjør muslimske kvinner mer religiøse http://kjonnsforskni[...] 2017-03-28
[172] 웹사이트 "The biggest problem in the Netherlands": Understanding the Party for Freedom's politicization of Islam https://www.brooking[...] 2019-01-01 # 날짜가 year만 주어짐. 임의로 1월 1일로 설정
[173] 서적 Multiculturalism, Muslims and citizenship: a European approa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4-06
[174] 뉴스 Multiculturalism: What does it mean? https://www.bbc.co.u[...] 2011-02-07
[175] 뉴스 Donner: Afscheid van multiculturele samenleving Nederland https://web.archive.[...] 2011-06-16
[176] 웹사이트 Imigrantii in Romania nu se bucura de drepturile care li s-ar cuveni http://www.ziare.com[...] Ziare.com
[177] 웹사이트 Le Monde: Romania, noua destinatie a imigrantilor http://www.ziare.com[...] Ziare.com 2009-07-13
[178] 웹사이트 Vuosaari – Uutta Helsinkiä https://www.uuttahel[...]
[179] 웹사이트 Asukkaat ja kuvasarja kertoo, millainen on Vuosaari – Professori: "Vuosaari on maahanmuuton tienraivaaja" https://www.helsingi[...]
[180] 웹사이트 Multikulturalisme i Skandinavia http://kjonnsforskni[...] 2006-05-30
[181] 논문 Immigration, Ethnic Diversity, and Political Outcomes: Evidence from Denmark http://www.econ.ku.d[...] 2018-10-01
[182] 웹사이트 Opråb fra ministre: Problemer med integration af børn af ikkevestlige indvandrere https://www.berlings[...] 2019-01-29
[183] 웹사이트 Tredjegenerationsindvandrere klarer sig ikke bedre end anden generation – Udlændinge- og Integrationsministeriet https://uim.dk/nyhed[...] 2019-10-19
[184] 웹사이트 09623: Educational attainment of immigrants, by country background (Single country) 2004 – 2020 https://www.ssb.no/e[...]
[185] 웹사이트 Lov om utlendingers adgang til riket og deres opphold her (utlendingsloven) – Lovdata https://lovdata.no/d[...] 2018-03-02
[186] 뉴스 Innvandrere og norskfødte med innvandrerforeldre https://www.ssb.no/b[...] 2018-03-02
[187] 웹사이트 Asylsituasjonen i Norge 2015 og 2016 https://snl.no/asyls[...] 2017-01-01
[188] 웹사이트 Fra 30 000 til 3000 asylsøkere, hva har skjedd? https://forskning.no[...] 2016-12-23
[189] 웹사이트 EU-Turkey Statement 2016 https://ec.europa.eu[...]
[190] 뉴스 Norska IS-resenärer förlorar uppehållstillstånd – Nyheter (Ekot) https://sverigesradi[...] 2019-09-15
[191] 웹사이트 The Progress Party's politics http://www.frp.no/no[...] 2014-11-23
[192] 뉴스 Prime minister: Norway still 'an open society' despite 'the horror' http://edition.cnn.c[...] 2011-07-25
[193] 서적 Mångfaldsbarometern 2014 https://www.hig.se/d[...] Gävle University College 2014-10
[194] 뉴스 Dags att begrava det multikulturella projektet https://www.dagenssa[...] Dagens sahmälle 2017-02-17
[195] 서적 The multicultural moment: the history of the idea and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in Sweden in comparative, transnational and biographical context, 1964–1975 http://urn.fi/URN:NB[...] Åbo Akademi
[196] 뉴스 Svenskar vill ha inhägnat boende {{!}} SvD https://www.svd.se/s[...] SvD.se
[197] 서적 Mångfaldsbarometern 2014 https://www.hig.se/d[...] Gävle University College 2014-10
[198] 학술지 Getting used to diversity? Immigration and trust in Sweden https://lup.lub.lu.s[...] 2017
[199] 학술지 Getting Used to Diversity? Immigration and Trust in Sweden http://www.accesseco[...] 2017-08-31
[200] 웹사이트 System of minorities’ protection in Serbia http://www.kas.de/up[...]
[201] 웹사이트 Покрајинска влада http://www.vojvodina[...]
[202] 웹사이트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http://www.arhiva.se[...]
[203] 웹사이트 Error http://www.vip.org.r[...] 2008-12-27
[204] 웹사이트 Beogradski centar za ljudska prava http://www.bgcentar.[...] Belgrade Centre for Human Rights 2015-03-29
[205] 웹사이트 Chinese Migrants Use Serbia as Gate to Europe https://abcnews.go.c[...]
[206] 웹사이트 I Kinezi napuštaju Srbiju https://www.novosti.[...]
[207] 웹사이트 Promotion of Multiculturalism and Tolerance http://www.puma.vojv[...] 2015-07-26
[208] 서적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changing global economy: Canada and the Netherlands https://books.google[...] Waxmann Verlag
[209] 서적 Multiculturalism and Magic Realism? Between Fiction and Reality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08-04-00
[210] 뉴스 State multiculturalism has failed, says David Cameron https://www.bbc.co.u[...] 2011-02-05
[211] 논문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race–migration nexus 2016-05-13
[212] 서적 The Crisis of Multiculturalism: Racism in a Neoliberal Age Zed Books 2011
[213] 웹사이트 Language in India http://www.languagei[...] 2012-01-29
[214] 서적 The foundations of the composite culture in India Aakar Books 2007
[215] 백과사전 India – Caste https://www.britanni[...]
[216] 웹사이트 Indian Census http://www.censusind[...] Censusindia.gov.in 2010-12-10
[217] 뉴스 Hindi, not a national language: Court http://www.thehindu.[...] 2010-01-25
[218] 뉴스 There's no national language in India: Gujarat High Court – Times of India http://timesofindia.[...] 2010-01-25
[219] 서적 The Clash Within: Democracy, Religious Violence, and India's Fu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220] 웹사이트 Sachar Committee Report http://minorityaffai[...] (Cabinet Secretariat, Govt. of India) 2006-11
[221] 웹사이트 Exploring the Concept of Mixed Marriages in Indian and selected states: First time evidences from large scale survey http://paa2011.princ[...]
[222] 학술지 Can Mandated Political Representation Increase Policy Influence for Disadvantaged Minorities? Theory and Evidence from India 2003-09-00
[223] 학술지 Hindu Nationalism or Pregmatic Party Politics? A Study of India's Hindu Party 1999-06-00
[224] 학술지 Hindutva, Religious and Ethnocultural Minorities, and Indian-Christian Theology 2002-04-00
[225] 서적 At Home with Democracy Palgrave Macmillan
[226] 학술지 Reservation Under the Constitution of India: Issues and Perspectives 2009-06-00
[227] 간행물 Kuoni – Far East, A world of difference Kuoni Travel & JPM Publications
[228] 웹사이트 Mengulik Data Suku di Indonesia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15-11-18
[229] 백과사전 Pribumi http://www.bookrags.[...] Macmillan Reference USA
[230] 서적 Indonesia's Population: Ethnicity and Religion in a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3
[231]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Indonesia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12-10
[232]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Indonesia https://web.archive.[...] Indonesia.go.id 2014-08-04
[233] 웹사이트 Indonesia: The Violence in Central Kalimantan (Borneo)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02-28
[234] 뉴스 Indonesia flashpoints: Kalimantan http://news.bbc.co.u[...] BBC 2004-06-28
[235] 뉴스 Indonesia flashpoints: Sulawesi http://news.bbc.co.u[...] 2004-06-28
[236] 뉴스 Indonesia's Dirty Little Holy War https://web.archive.[...] 2001-12-17
[237] 웹사이트 Jakarta's violent identity crisis: behind the vilification of Chinese-Indonesians http://www.theguardi[...] 2016-11-25
[238] 뉴스 In Indonesia, Chinese Deity Is Covered in Sheet After Muslims Protest https://www.nytimes.[...] 2017-08-10
[239] 뉴스 In Indonesia, Fears Rise Among Ethnic Chinese Amid Blasphemy Probe https://archive.toda[...] 2016-11-26
[240] 뉴스 30m Chinese idol covered in sheet after Muslim protest https://www.abc.net.[...] 2017-08-11
[241] 웹사이트 Interethnic relations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in the light of multicultural theories http://e-history.kz/[...] e-history.kz 2014-06-18
[242] 웹사이트 Kazakhstan –The Heaven of interfaith and interethnic harmony http://www.dnd.com.p[...] Dispatch News Desk 2014-12-10
[243] 웹사이트 Kazakhstan's unique Assembly of People maintains ethnic harmony http://www.upi.com/T[...] UPI
[244] 웹사이트 The Reality of Religious Freedom in Kazakhstan https://thediplomat.[...] 2017-07-14
[245] 웹사이트 2020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Kazakhstan https://www.state.go[...] 2021-05-12
[246] 웹사이트 Kazakhstan Targets Beards, Pants In Fight Against 'Destructive Religious Movements' https://www.rferl.or[...] 2018-02-04
[247] 간행물 Kazakhstan: Events of 2020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2-02-13
[248] 웹사이트 KAZAKHSTAN: Targeting ethnic Dungan Koran teachers https://www.forum18.[...] 2021-04-15
[249] 웹사이트 Dungan Incident Just Kazakhstan's Latest Interethnic Violence https://www.rferl.or[...] 2020-02-10
[250] 뉴스 For Kazakhstan's LGBT Community, A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Rights http://www.npr.org/s[...] 2015-08-21
[251] 웹사이트 A Climate of Fear for LGBT People in Kazakhstan https://www.hrw.org/[...] 2015-07-23
[252] 뉴스 Malaysia fury at EU envoy remarks http://news.bbc.co.u[...] BBC News
[253] 웹사이트 Racism drove me from Malaysia. Love brought me to America http://www.theguardi[...] 2016-08-16
[254] 뉴스 Honey, I shrunk the Chinese! https://web.archive.[...] CPI 2009-12-09
[255] 웹사이트 Policy Changes To Support An Inclusive And Cohesive Home http://www.hdb.gov.s[...] 2010-11-18
[256] 서적 Singapore: The Unexpected Nation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57] 서적 Lim Kim San: a builder of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9
[258] 웹사이트 Ethnic Integration Policy and SPR Quota – Housing & Development Board (HDB) http://www.hdb.gov.s[...] 2022-06-11
[259] 웹사이트 11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Singaporean Culture https://theculturetr[...] Culture Trip 2022-06-11
[260] 뉴스 Korea's ethnic nationalism is a source of both pride and prejudice, according to Gi-Wook Shin http://aparc.stanfor[...] The Korea Herald 2006-08-02
[261] 웹사이트 The Life Instability of Intermarried Japanese Women in Korea https://web.archive.[...] Korea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he Center for Multiethnic and Transnational Studies 1999
[262] 서적 Immigration Incorporation in East Asian Democra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3] 학술지 Multicultural Korea: Celebration or Challenge of Multiethnic Shift in Contemporary Korea? 2007-12
[264] 웹사이트 Will Labour Migration lead 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http://www.imi.ox.ac[...] International Migration Institute 2007
[265] 뉴스 Multiculturalism Likely to Prevail in Korea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09-12-24
[266] 웹사이트 Multiculturalism in Korea http://joongangdaily[...] JoongAng Ilbo 2010-08-26
[267] 웹사이트 South Koreans Learn to Love the Other: How to manufacture multiculturalism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8-07-26
[268] 웹사이트 South Korean Identity: The Return of Ethnic Exclusivism https://sinonk.com/2[...] Sino-NK 2016-10-28
[269] 학술지 MULTICULTURALISMS: Western, Muslim and Future 2005
[270] 서적 Challenging Multicultur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27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8-07-26
[272] 논문 Does malaria epidemiology project Cameroon as 'Africa in miniature'? 2014-09-01
[273]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web.archive.[...] 2018-07-26
[274] 학회발표 Can Bilingualism Survive in Cameroon? https://www.research[...] 2017-10-01
[275] 뉴스 Cameroon: Africa in Miniature – In what Sense? https://web.archive.[...] 2012-12-13
[276]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ethnolog[...] 2018-07-26
[277] 백과사전 Cameroon Culture, History, & People https://www.britanni[...] 2018-07-26
[278]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iwgia.or[...] 2018-07-26
[279] 논문 Indigenous peoples' land rights in Cameroon: progress to date and possible futures https://pubs.iied.or[...]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 2017-12-01
[280] 웹사이트 Declaration on land rights from the Gbabandi Platform, Cameroon Forest Peoples Programme https://www.forestpe[...] 2018-07-26
[281] 서적 Minor transnationalism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2-01-29
[282] 학술지 Multiculturalism, Mauritian Style: Cultural Diversity, Belonging, and a Secular State 2015-05
[283] 웹사이트 Some facts about Mauritius https://web.archive.[...] Infomauritius.com 2010-12-10
[284] 학술지 A SWOT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in Canada, Europe, Mauritius, and South Korea 2015-05
[285] 뉴스 The 10 Most Populated Countries in Africa https://www.worldatl[...] 2018-07-26
[286] 웹사이트 Census 2011 Census in Brief https://web.archive.[...] 2018-07-26
[287] 웹사이트 IMMI.gov.au https://web.archive.[...] 2010-12-10
[288] 서적 New developments in Austral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Macmillan Education AU 1997-06-15
[289] 서적 Controlling immigration: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90] 웹사이트 Document Details http://www.ncjrs.gov[...] US National Criminal Justice Reference Service 2010-04-28
[291] 논문 Two-Way Tolerance http://www.policejou[...] 2000-06-01
[292] 서적 International bibliography of Sikh stud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93] 서적 A Practical Reference to Religious Diversity for Operational Police http://www.apmab.gov[...] National Police Ethnic Advisory Bureau
[294] 서적 A Practical Reference to Religious Diversity for Operational Police http://www.apmab.gov[...] Australasian Police Multicultural Advisory Bureau
[295] 논문 Racism, Ethnicity and Hate Crime http://www.hawaii.ed[...]
[296] 서적 Hate Speech and Freedom of Speech in Australia Federation Press
[297] 논문 How useful is the ter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ALD) in Australian research and policy discourse?
[298] 웹사이트 What is CALD? –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2020 Edition) https://www.ethnolin[...] 2019-02-19
[299] 논문 Working With a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ALD) Group of Nurses 2007-01-01
[300] 간행물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continuous reporting system on migration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0-01-01
[301] 웹사이트 History of immigration –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nd https://teara.govt.n[...] 2018-07-16
[302] 웹사이트 History of immigration https://teara.govt.n[...] 2017-06-02
[303] 웹사이트 13. – The New Zealanders –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nd https://teara.govt.n[...] 2018-07-16
[304] 웹사이트 New Zealand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Contemporary Democracies https://www.queensu.[...] 2018-07-16
[305] 웹사이트 Waitangi Tribunal claim – Māori Language Week # url 없음.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1-01-19
[306] 뉴스 John Drinnan: 'Maori' will remain in the name Maori Television https://www.nzherald[...] 2016-07-07
[307] 웹사이트 Language Stats NZ https://www.stats.go[...] 2018-07-16
[308] 논문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by Country 2003-06-01
[309]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esa.un.org/u[...] 2018-07-06
[310]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https://www.ethnolog[...] 2018-07-06
[311] 백과사전 Papua New Guinea {{!}} Culture, History, & People https://www.britanni[...] 2018-07-11
[312]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https://whc.unesco.o[...] 2018-07-28
[313] 서적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314] 서적 Dialogu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1-13
[315] 서적 Guide to Western Canada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2011-01-16
[316] 서적 The Future of Post-Human Migration: A Preface to a New Theory of Sameness, Otherness,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8-09-01
[317] 웹사이트 多文化主義(タブンカシュギ)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1-10
[318] 웹사이트 多文化共生政策、欧米の「失敗」から日本は何を学ぶべきか {{!}} Forbes JAPAN 公式サイト(フォーブス ジャパン) https://forbesjapan.[...] 2023-11-10
[319] 웹사이트 寛容な多文化主義政策が頓挫した国、オランダで何が起きたのか {{!}} Forbes JAPAN 公式サイト(フォーブス ジャパン) https://forbesjapan.[...] 2023-11-10
[320] 웹사이트 慶應義塾大学出版会|月刊 教育と医学|巻頭随筆 https://www.keio-up.[...] 2023-11-10
[321] 뉴스 焦点:仏銃撃事件で炎上か、イスラムめぐる欧州「文化戦争」 https://jp.reuters.c[...] 2015-01-09
[322] 웹사이트 欧州「移民受け入れ」で国が壊れた4ステップ https://toyokeizai.n[...] 2018-12-30
[323] 서적 Selling Illusions: The Myth of Multiculturalism Penguin
[324] 뉴스 How Canadian are you? http://www.theglobea[...] Globe and Mail 2007-01-12
[325] 웹사이트 カナダの『権利と自由の憲章』について http://www.canadanet[...]
[326] 기타
[327] 뉴스 State multiculturalism has failed, says David Cameron http://www.bbc.co.uk[...] BBC News 2011-02-05
[328] 뉴스 1,200,000 New Citizen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52-10-06
[329] 웹사이트 Keeping the Dream Alive http://www.asiaweek.[...] 2006-11-28
[330] 간행물 人類学的実践の再構築 世界思想社
[331] 서적 民族誌的近代への介入 人文書院
[332] 서적 Recapturing Anthropology:working in the present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333] 서적 想像の共同体 リブロポート
[334] 서적 創られた伝統 紀伊国屋書店
[335] 서적 Indigenous Experience Today Berg
[336] 서적 Multiculturalism's double bind: creating inclusivity, cosmopolitanism and differenc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9-09-23
[337] 서적 Globalization on trial: the human condition and the informatio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DRC 2000-05-01
[338] 서적 Where strangers become neighbours: integrating immigrants in Vancouver, Canad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01
[339] 뉴스 Report attacks multiculturalism http://news.bbc.co.u[...] 2005-09-30
[340] 서적 Justice, Gender, and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1] 서적 Culture and Equality Polity Press
[342] 논문 'E Pluribus Unum': Diversity and commun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7-06-00
[343] 뉴스 Fragmented future http://www.amconmag.[...] Jon Basil Utley 2007-01-15
[344] 뉴스 Political Scientist: Does Diversity Really Work? https://www.npr.org/[...] 2007-08-15
[345] 뉴스 Harvard Sociologist Says His Research Was 'Twisted' https://www.chronicl[...] 2012-08-15
[346] 서적 On Genetic Interests
[347] 웹사이트 I have a plan to destroy America http://www.snopes.co[...] 2005-00-00
[348]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Random House
[349] 논문 Indigeneity's Challenges to the White Settler-State: Creating a Thirdspace for Dynamic Citizenship 2008-01-00
[350] 논문 Political Ideology in Consumer Resistance: Analyzing Far-Right Opposition to Multicultural Marketing 2020-10-00
[351] 뉴스 メルケル首相「多文化主義は完全に失敗」ー今この発言に注目すべき理由 https://www.huffingt[...] HUFFPOST 2017-01-23
[352] 간행물 다문화주의에 관한 철학적 연구 철학과 사회 2009
[353] 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