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불라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비불라 칸은 1872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난 아프가니스탄의 통치자였다. 그는 아버지 압두르 라흐만 칸의 뒤를 이어 아프가니스탄을 근대화하려 노력했으며, 현대 의학과 기술을 도입하고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중립을 유지했으며, 1919년 사냥 중 암살당했다. 그의 암살 후, 동생 나스룰라 칸이 잠시 권력을 잡았으나, 하비불라의 아들 아마눌라 칸에게 축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라크자이 왕조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 바라크자이 왕조 - 도스트 모하마드 칸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9세기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 아미르로, 두라니 왕조 쇠퇴 후 카불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영국과의 전쟁과 관계 개선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도스트 모하마드 칸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9세기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 아미르로, 두라니 왕조 쇠퇴 후 카불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으며, 영국과의 전쟁과 관계 개선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압둘 하크
압둘 하크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활약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탈레반 정권에 저항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2001년 처형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모하마드 다우드 칸
모하마드 다우드 칸은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총리 재임 후 쿠데타를 통해 왕정을 폐지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소련과의 관계 및 여성 지위 향상에 힘썼으나 파키스탄과의 갈등을 겪었고, 이후 소련과의 관계 재조정을 시도했으나 사우르 혁명으로 암살당했다.
하비불라 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아프가니스탄의 에미르 |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통치 기간 | 1901년 10월 1일 ~ 1919년 2월 20일 |
이전 통치자 | 압두르 라흐만 칸 |
다음 통치자 | 나스룰라 칸 |
아버지 | 압두르 라흐만 칸 |
어머니 | 아살 베굼 |
출생일 | 1872년 6월 3일 |
출생지 | 사마르칸트, 부하라 토후국 |
사망일 | 1919년 2월 20일 |
사망 장소 | 칼라고쉬, 라그만 주, 아프가니스탄 |
종교 | 수니 이슬람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사르와르 술타나 베굼 (울리아 (울리) 하즈라트) |
배우자 | 메흐리 |
배우자 | 베굼-잔 |
배우자 | 마이무나 |
배우자 | 굴차라 |
자녀 | 이나야툴라 샤 |
자녀 | 아마눌라 칸 |
이름 (다국어) | |
영어 | Habibullah Khan |
2. 어린 시절
하비불라는 1871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압두르 라흐만 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874년에 태어난 남동생 나스룰라 칸을 두었다.[21]
하비불라 칸은 비교적 개혁적인 통치자로, 국가를 근대화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현대 의학과 다른 기술들을 아프가니스탄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다. 아버지에 의해 강제로 추방된 많은 사람들은 하비불라가 선포한 일반 사면으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다.[23] 1903년, 하비비야 학교와 군사학교를 설립했다. 또한 국가에 진보적인 개혁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다양한 법률 개혁을 실시하고 가장 가혹한 형사 처벌을 폐지했다. 그러나 그의 수석 보좌관 중 한 명인 압둘 라테프는 1903년 배교죄로 카불에서 돌에 맞아 죽는 사형 선고를 받았다. 다른 개혁으로는 아버지가 설치한 억압적인 내부 정보 조직을 해체한 것이 있었다. 미흐타람의 칼라-에-세라지는 아미르가 겨울을 보내기 위해 1912년부터 1913년까지 건설되었다.[24][25]
3. 통치
3. 1. 근대화 정책
하비불라는 비교적 개혁적인 통치자로, 국가를 근대화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현대 의학과 다른 기술들을 아프가니스탄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아버지에 의해 강제로 추방된 많은 사람들은 하비불라가 선포한 일반 사면에 의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다.[23] 1903년, 하비불라는 군사학교와 함께 하비비야 학교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그의 나라에 진보적인 개혁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다양한 법률 개혁을 실시했고 가장 가혹한 형사 처벌을 폐지했다. 그러나 그의 수석 보좌관 중 한 명인 압둘 라테프는 1903년 배교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고 카불에서 돌에 맞아 죽었다. 다른 개혁으로는 그의 아버지가 설치한 억압적인 내부 정보 조직을 해체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미흐타르람의 칼라-에-세라지는 아미르가 겨울을 보내기 위해 1912-13년경에 건설되었다.[5][6] 영국의 지원을 받아 1903년 카불에 중등 교육 학교인 하비비아 칼리지를 설립하고, 국영 공장 증설, 사관 학교 창설, 전화선과 자동차 도입 등 각 분야에서 근대화에 힘썼다.[15]
3. 2. 종교적 탄압
하비불라는 비교적 개혁적인 통치자로, 국가를 근대화하려 노력했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에 현대 의학과 기타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아버지에 의해 망명을 강요받았던 많은 사람들이 하비불라가 선포한 일반 사면령에 의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다.[3] 그러나 1901년, 하비불라는 힌두교 남성에게는 노란 터번을, 여성에게는 노란 베일을 공공장소에서 착용하도록 강제하여 무슬림과 구별하고 차별하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다.[4]
1903년, 하비불라는 하비비야 학교와 군사 학교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그의 나라에서 진보적인 개혁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다양한 법적 개혁을 시행하고 가장 가혹한 형벌을 폐지했다. 그러나 그의 수석 고문 중 한 명인 압둘 라티프는 1903년 배교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아 카불에서 돌에 맞아 죽었다.[5] 다른 개혁으로는 그의 아버지가 설치했던 내부 정보 조직의 해체가 포함되었다.
3. 3. 호스트 반란 (1912년)
1912년 5월, 하비불라는 아프가니스탄 왕위 계승 경쟁자인 제한다드 칸이 주도한 호스트 반란으로 인해 그의 생애 유일한 위기에 직면했다.[7] 이 반란은 그해 8월 반군이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양보를 얻어내면서 종결되었다.[8]
3. 4. 제1차 세계 대전과 중립 정책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만 제국의 오스만 제국 술탄과 독일 군사 임무 (니더마이어-헨티히 원정)가 아프가니스탄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는 강력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비불라는 국가의 중립을 유지했다.[9][10] 그는 또한 영국령 인도 제국과의 긴장을 크게 완화하여, 1905년에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1907년에 공식 국빈 방문을 했다. 인도에 있는 동안 그는 로지 콘코디아 3102호에서 프리메이슨에 입회했다.[9][10]
1914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중립을 선언하고, 반영국을 외친 활동가 우바이둘라 신디와 독일이 제공한 소총 10만 정 및 거액의 자금 제공과 맞바꿔 영국령 인도 침공을 요구받았지만, 독일의 지원과 원군을 받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중립 입장을 관철했다.[16][17]
4. 암살
하비불라는 1919년 2월 20일 라그만주의 칼라고시에서 사냥을 하던 중 암살되었다.[26] 1918년 여름, 하비불라는 입헌 정부 구성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받았으나 이를 무시했다. 그는 생일 기념 행사 준비 중 카불 쇼르 바자르를 지나가다 총격을 받았지만, 총알은 그가 타고 있던 차에만 맞았다.[11]
1918년에서 1919년 겨울 사이 인플루엔자 유행이 카불에서 발생하자, 하비불라는 아마눌라 칸을 섭정으로 남겨둔 채 잘랄라바드의 겨울 별장으로 물러났다. 1919년 1월, 하비불라는 사냥을 위해 라그만 주의 칼라고쉬에 도착했다. 1919년 2월 19일 밤, 암살자가 아미르의 경호원들을 따돌리고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그의 귀를 관통하여 살해했다.[12][13] 그는 잘랄라바드 근교에 묻혔다.[20]
4. 1. 암살 이후
하비불라는 1919년 2월 20일 라그만주의 칼라고시에서 사냥 중 암살되었다.[26] 하비불라의 동생 나스룰라 칸은 1919년 2월 21일부터 2월 28일까지 잠시 그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았으나 하비불라의 셋째 아들인 아마눌라 칸에 의해 축출되어 투옥되었다.[27] 이것은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몇 달 전에 일어났다.1918년 여름, 하비불라에게 입헌 정부 구성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이 전달되었으나 무시되었다. 하비불라는 생일 기념 행사 준비 중 카불 쇼르 바자르를 지나가다 총격을 받았지만, 총알은 그가 타고 있던 차만 맞혔다.[11]
하비불라는 무스투피 후사인 칸에게 암살자를 찾도록 요청했고, 이를 이용하여 정부에 반대하는 정치적 반대파와 개혁가들을 제거했다. 무스투피 후세인은 마흐무드 타르지의 측근인 압드 알-라흐만 루딘과 압드 알-하디 다와이 등을 지목했다. 또한 아마눌라 칸이 관련되어 있다고 지목했지만, 이는 무시되었다. 1918년에서 1919년 겨울, 인플루엔자 유행이 카불에서 발생하자 하비불라는 카불에 아마눌라 칸을 섭정으로 남겨둔 채 잘랄라바드의 겨울 별장으로 물러났다. 1919년 1월, 하비불라는 사냥에 나섰고, 라그만 주에 있는 칼라고쉬에 도착했다. 1919년 2월 19일 밤, 한 암살자가 경호원들을 따돌리고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그의 귀를 관통하여 하비불라를 살해했다.[12][13]
하비불라의 형제 나스룰라 칸은 잠시 에미르의 자리를 이어받아 1919년 2월 21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 동안 권력을 잡았지만, 아마눌라 칸에 의해 축출되어 투옥되었다.[14] 이는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일어나기 몇 달 전에 발생했다.
5. 서훈
- 성 미카엘 · 성 조지 훈작사단 기사단 대십자장(GCMG) – 1896년
- 바스 훈작사단 기사단 대십자장(GCB) – 1907년
참조
[1]
서적
The Afghans
[2]
웹사이트
HH Sir Amir Habibullah Khan
http://freepages.gen[...]
2003-08-05
[3]
서적
Framework for a Functional IT Supply in Higher Education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4]
서적
Brill's Encyclopedia of Hinduism Online
Brill
[5]
웹사이트
Qalat us-Seraj Palace, Mehtarlam, Laghman. ACKU Images System
https://ackuimages.p[...]
[6]
웹사이트
Seraj Castle Restoration Completed
https://tolonews.com[...]
[7]
서적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 General Information; the Three New Supplementary Volumes Constituting with the Volumes of the Latest Standard Edition, the Thirteenth Edition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Limited
1926-01-01
[8]
서적
The Britannica Year-Book 1913: A Survey of the World's Progress Since the Completion in 1910 of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9]
웹사이트
Amir Habibullah Khan: Afghan Reformer and Freemason
http://nationalherit[...]
[10]
서적
An Account of the Entry of H. M. Habibullah Khan Amir of Afghanistan into Freemasonry
Favil Press, Ltd
[11]
서적
Afghanistan: A History from 1260 to the Present
Reaktion Books
[12]
서적
Islam and Politics in Afghanistan
[13]
웹사이트
6. Afghanistan (1919-present)
https://uca.edu/poli[...]
[14]
웹사이트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http://www.bl.uk/res[...]
2010-02-19
[15]
서적
アフガニスタン現代史
えにし書房
2022-03-05
[16]
서적
アフガニスタン現代史
えにし書房
2022-03-05
[17]
서적
アフガニスタンの歴史と文化
明石書店
2005-04-25
[18]
서적
近代アフガニスタンの国家形成
明石書店
2019-08-31
[19]
서적
アフガニスタン現代史
えにし書房
2022-03-05
[20]
서적
アフガニスタンの歴史と文化
明石書店
2005-04-25
[21]
서적
The Afghans
[22]
웹사이트
HH Sir Amir Habibullah Khan
http://freepages.gen[...]
[23]
서적
Framework for a Functional IT Supply in Higher Education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24]
웹인용
Qalat us-Seraj Palace, Mehtarlam, Laghman. ACKU Images System
https://ackuimages.p[...]
[25]
웹인용
Seraj Castle Restoration Completed
https://tolonews.com[...]
[26]
서적
Islam and Politics in Afghanistan
[27]
웹사이트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http://www.bl.uk/res[...]
2022-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