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에이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워드 에이컨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그는 1900년 뉴저지주 호보컨에서 태어나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재학 중 찰스 배비지의 차분 기관에서 영감을 받아 전기 기계식 계산 장치를 구상하여, IBM의 지원을 받아 자동 순차 제어 계산기(ASCC), 즉 하버드 마크 I을 개발했다. 이후 하버드 마크 II, III, IV를 개발했으며, 1947년 하버드 대학교에 컴퓨터 과학 석사 과정을 도입하여 컴퓨터 과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에이컨은 1970년 IEEE의 에디슨 메달을 수상했으며, 1973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애미 대학교 (플로리다주) 교수 - 막심 콘체비치
막심 콘체비치는 위튼 추측 증명, 푸아송 다양체 변형 양자화, 콘체비치 불변량 도입 등 수리물리학에 기여한 공로로 필즈상 등을 수상한 고등과학원 교수이자 마이애미 대학교 석좌교수이다. - 마이애미 대학교 (플로리다주) 교수 - 자코 파스토리우스
자코 파스토리우스는 프렛리스 베이스 기타 연주의 혁신과 뛰어난 음악성으로 베이스 기타를 솔로 악기로 격상시킨 미국의 재즈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로, 웨더 리포트 활동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나 말년에 어려움을 겪다 요절했다. - 미국의 공학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공학자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 미국의 전기공학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미국의 전기공학자 - 잭 킬비
잭 킬비는 미국의 전자 공학 기술자이자 집적 회로의 공동 발명가로, 1958년 단일 반도체 재료에 회로 부품을 집적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1959년 최초의 집적 회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하워드 에이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하워드 해瑟웨이 에이컨 |
출생일 | 1900년 3월 8일 |
출생지 | 호보컨, 뉴저지주 |
사망일 | 1973년 3월 14일 |
사망지 |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하버드 대학교 (박사) |
박사 지도 교수 | 에모리 레온 채피 |
박사 학위 제자 | 헤릿 블라우 프레드 브룩스 마틴 그린버거 케네스 유진 아이버슨 앤서니 오팅거 제라드 살턴 |
경력 | |
직장 | 하버드 대학교 마이애미 대학교 |
업적 | |
주요 업적 | 자동 시퀀스 제어 계산기 하버드 마크 I – IV |
수상 | 해리 H. 구드 기념상 (1964년) 에디슨 메달 (1970년) |
개인사 | |
배우자 | 루이스 맨실 (1939년 결혼, 1942년 이혼) 아그네스 몽고메리 (1943년 결혼, 1961년 이혼) 메리 맥팔랜드 (1963년 결혼, 1973년 사망) |
서명 | |
![]() |
2. 생애
에이컨은 1900년 3월 8일 뉴저지주 호보컨에서 태어나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성장했다.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전기 공학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 중 수치적으로만 풀 수 있는 미분 방정식을 접하고 찰스 배비지의 차분 기관에서 영감을 받아 전기 기계식 계산 장치인 하버드 마크 I을 구상했다. IBM의 지원으로 1944년 마크 I을 완성했으며, 이후 하버드 마크 II, 마크 III, 하버드 마크 IV를 개발했다.
에이컨은 1947년 하버드에 컴퓨터 과학 석사 과정을 도입하여 컴퓨터 과학자 양성에 기여했다.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IEEE(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에디슨 메달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그는 미국 해군 예비군 장교이기도 했다.
1952년 "여기저기 연구소에 반 다스 정도의 대규모 컴퓨터가 있다면, 이 나라의 모든 계산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발언을 했는데, 이는 토머스 J. 왓슨의 말로 오인되기도 한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하워드 에이컨은 1900년 3월 8일 뉴저지주 호보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인디애나주의 부유하고 명망 있는 가문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독일 이민자의 자녀였다.[3] 그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성장했으며, 1919년 아스날 기술 고등학교를 졸업했다.[4]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공부하여 1923년 전기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1937년과 1939년에 각각 물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2. 2. 하버드 마크 시리즈 개발
에이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한 공부를 하던 중, 수치적으로만 풀 수 있는 미분 방정식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찰스 배비지의 차분 기관에서 영감을 받아, 이러한 지루한 계산 작업을 대부분 처리할 수 있는 전기 기계식 계산 장치를 구상했다. 이 컴퓨터는 원래 자동 순차 제어 계산기(Automatic Sequence Controlled Calculator, ASCC)라고 불렸으며, 나중에 하버드 마크 I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IBM의 엔지니어링, 건설, 자금 지원을 받아 1944년 2월 하버드에 설치되어 완성되었다.[5] 리처드 밀턴 블로흐, 로버트 캠벨, 그레이스 호퍼가 나중에 프로그래머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6] 1947년, 에이컨은 하버드 마크 II 컴퓨터 작업을 완료했다. 그는 마크 III와 하버드 마크 IV 작업을 계속했다. 마크 III는 일부 전자 부품을 사용했고, 마크 IV는 완전 전자식이었다. 마크 III와 마크 IV는 자기 드럼 메모리를 사용했으며, 마크 IV는 자기 코어 메모리도 갖추었다.
마크 II는 고장의 원인으로 벌레(나방)가 릴레이에 끼어있는 것이 발견되어, 그레이스 호퍼가 "진짜(actual) 벌레(버그)가 발견된 최초의 예"라고 기록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 3. 컴퓨터 과학 교육 공헌
에이컨의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다른 대학들보다 거의 10년 앞선 1947년, 하버드 대학교에 컴퓨터 과학 석사 과정을 도입한 것이다.[9] 이는 미래의 컴퓨터 과학자 양성을 위한 기반이 되었으며, 많은 이들이 에이컨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 논문을 썼다.2. 4. 개인사
하워드 에이컨은 루이스 맨실, 아그네스 몽고메리, 메리 맥팔랜드와 총 세 번 결혼했으며,[10] 슬하에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한 명,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한 명을 두었다.[10]미국 해군 예비군 사령관을 역임했다.[5]
2. 5. 은퇴 및 사망
에이컨은 60세에 플로리다주 포트 로더데일로 은퇴했지만, 기술 발전에 계속 기여했다. 그는 실패한 기업의 회생을 돕는 컨설팅 회사인 하워드 에이컨 인더스트리(Howard Aiken Industries Incorporated)를 설립했다. 플로리다에 있는 동안 마이애미 대학교의 저명한 정보학 교수가 되었다. 또한 에이컨은 록히드 마틴과 몬산토와 같은 회사의 컨설턴트가 되었다.[11] 1973년 3월 14일 아침, 에이컨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컨설팅 여행을 갔다가 잠을 자던 중 사망했다.[11][12]3. 업적 및 수상
에이컨은 위스콘신 대학교, 웨인 주립 대학교,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47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그는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했다.
4. 어록
"여기저기 연구소에 반 다스 정도의 대규모 컴퓨터가 있다면, 이 나라의 모든 계산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1952년) 이는 종종 토머스 J. 왓슨의 말로 오인되기도 한다.
5. 기타
에이컨은 찰스 배비지의 차분기관에 대해 알지 못했다. 도서관에서 배비지의 자서전을 찾은 에이컨은 다음 구절을 읽고 감명을 받았다.
:"만약, 나의 예에 겁먹지 않고, 이러한 수학적 해석 기능의 모든 것을 내장하는 진정한 엔진의 개발을 이어받아 완성하려는 자가 나타난다면," (중략) "나는 나의 명성을 그의 손에 넘기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만이, 내가 해온 노력과 그 성과를 완전히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Passages from the Life of a Philosopher'', 찰스 배비지, 1864년)
이후 에이컨은 배비지의 업적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졌다.
5. 1. 버그 발견 일화
마크 II의 고장 원인으로 릴레이에 낀 나방(벌레)이 발견되었고, 그레이스 호퍼는 이를 "실제 버그가 발견된 최초의 사례"라고 기록했다.5. 2. 찰스 배비지에 대한 존경
에이컨은 찰스 배비지의 차분기관에 대해 알지 못했다. 도서관에서 배비지의 자서전을 찾은 에이컨은 다음 구절을 읽고 감명을 받았다.:''만약, 나의 예에 겁먹지 않고, 이러한 수학적 해석 기능의 모든 것을 내장하는 진정한 엔진의 개발을 이어받아 완성하려는 자가 나타난다면,'' (중략) ''나는 나의 명성을 그의 손에 넘기는 것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만이, 내가 해온 노력과 그 성과를 완전히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Passages from the Life of a Philosopher'', 찰스 배비지, 1864년)
이후 에이컨은 배비지의 업적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졌다.
참조
[1]
웹사이트
At Harvard, Howard Aiken's computing machine hums briefly back to life ! Harvard Magazine
https://www.harvardm[...]
2014-04-04
[2]
웹인용
'The original concept was certainly Aiken''s. There is no doubt about that," stated Robert V. D. Campbell'
http://www.cbi.umn.e[...]
University of Minnesota
2002-08-12
[3]
서적
Howard Aiken: Portrait of a Computer Pioneer
https://books.google[...]
MIT Press
[4]
웹사이트
Howard H. Aiken
https://www.computer[...]
2018-04-17
[5]
서적
'Howard Aiken: Portrait of a Computer Pioneer'
MIT Press
[6]
서적
Grace, Admiral of the Cyber Sea
Naval Institute Press
[7]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06
[8]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9]
웹사이트
A tookit of 0s and 1s
http://harvardmagazi[...]
2013-10-15
[10]
웹사이트
Howard Aiken (1900-1973)
http://mathshistory.[...]
2019-11-18
[11]
뉴스
Howard H. Aiken, Built Computer. The developer of the Mark I Dies. Was Harvard Professor. Taught Until 1961.
https://www.nytimes.[...]
1973-03-16
[12]
웹사이트
Former Professor Howard Aiken Dies; Invented Large-Scale Digital Computer ! News ! The Harvard Crimson
https://www.thecri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