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리히 쉔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쉔커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음악 이론가, 작곡가, 연주자이다. 1868년 현재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태어난 그는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한편, 빈 국립음대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다. 쉔커는 작곡가로 활동하며, 피아노곡, 가곡, 실내악 작품 등을 발표했다. 1900년대 초부터 음악 편집과 이론 연구에 몰두하여, 음악의 구조와 분석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쉔커는 '화성학', '자유 작곡' 등의 저서를 통해 쉔커 이론을 제시했으며, 그의 이론은 서양 음악 분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말년에는 건강 악화로 고통받았으며, 1935년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이론은 인종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음악가 - 미하엘 하이든
    미하엘 하이든은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으로, 잘츠부르크에서 360곡 이상의 교회 음악과 기악 작품을 작곡했으며 모차르트에게 영향을 주었고, 종교 합창곡, 교향곡,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기고 카를 마리아 폰 베버와 안톤 디아벨리 등을 제자로 길러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음악가 - 안드레아스 오텐자머
    안드레아스 오텐자머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클라리넷 연주자이며, 빈 국립 오페라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고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클라리넷 연주자로 활동하며, 클라리넷 트리오 The Clarinotts를 결성하고 도이치 그라모폰과 음반 계약을 체결했다.
  • 오스트리아의 음악 이론가 - 안톤 브루크너
    안톤 브루크너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11개의 교향곡과 종교 음악 등을 작곡했으며,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서양 고전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스트리아의 음악 이론가 - 카를 체르니
    카를 체르니는 베토벤의 제자이자 피아노 교사, 작곡가로 활동하며 1,000곡 이상의 피아노곡을 작곡했고, 특히 피아노 연습곡을 통해 피아노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1935년 사망 - 김철주 (군인)
    김철주는 김형직과 강반석의 아들이자 김일성의 동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에서 항일운동을 하다 1935년 전사한 항일운동가이다.
  • 1935년 사망 - 윌 로저스
    윌 로저스는 1879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한 체로키족 혈통의 미국의 배우, 유머 작가, 칼럼니스트, 사회 평론가로, 로프 기술을 시작으로 영화,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미국적 가치관을 대변하고 사회와 정치 문제를 풍자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비행 중 사고로 사망했다.
하인리히 쉔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하인리히 쉥커
로마자 표기Heinrich Schenker
출생일1868년 6월 19일
출생지비시니오프치크, 오스트리아-헝가리
사망일1935년 1월 14일
사망지, 오스트리아
직업음악 이론가
주요 업적
알려진 업적쉥커 분석
참고 자료
뉴스 기사흑인 학자들이 클래식 음악에서 백인 우월주의에 맞서다 (뉴욕 타임스, 2021년 2월 14일)
매거진 기사음악학 저널, 인종과 표현의 자유 논쟁을 불러일으키다 (뉴요커, 2020년 9월 21일)
기타
독일어 이름Heinrich Schenker
위키포털클래식 음악
[[File:Viola d'amore.png|35px|위키포털 클래식 음악]]

2. 초기 생애와 교육

== 초기 생애와 교육 ==

하인리히 쉔커는 1868년 오스트리아 갈리시아(현재 우크라이나 비슈니비치크)의 비스니우치크에서 유대인 부모, 요한 쉔커와 율리아(모슬러 출생) 사이에서 태어났다.[4] 아버지는 의사였으며, 186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당시 인구 1,759명에 불과했던 비스니우치크 마을에 정착할 수 있었다. 쉔커는 여섯 자녀 중 다섯째였고, 형제자매들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마르쿠스(추정 1880년 리비우 사망), 레베카(추정 1889년 그라디스카 사망), 빌헬름(의사), 시프레, 모리츠(모세, 1874년 8월 31일 출생) 등이 있었다.[6] 그의 유년 시절과 중등 교육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지만,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리비우(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카를 미쿨리에게 사사한 후, 베레자니에서 음악 공부를 계속했다.

장학금을 받아 비엔나로 이주했고, 가족도 함께 비엔나로 따라왔다. 1884/85 학기 초에는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1887년부터 1890년까지는 빈 국립음대의 전신인 게젤샤프트 데어 무직프로인데 콘서바토리움에 등록하여 음악 교육을 받았다. 입학 시험 결과에 따르면, 초기에는 프란츠 크렌에게 작곡을, 어니스트 루트비히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 1년차 학비 면제를 요청했으며,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안톤 브루크너에게 화성을 배웠다. 아버지가 1887년 사망한 후[7] 가정 형편이 어려워졌다. 1888-89년 학기에는 브루크너에게 대위법을, 루트비히에게 피아노 레슨을 계속 받았고, 항상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 학기에는 요한 네포무크 푹스의 작곡 수업을 수강했고, 1889년 11월 20일에 졸업했다. 학비는 루트비히 뵈젠도르퍼의 지원으로 그 해 학비의 절반만 지불했다. 동기였던 칼 플레시는 쉔커를 "마치 반쯤 굶주린 듯 보였지만, 우리들 중 나머지 사람들보다 훨씬 뛰어났던 학생"이라고 회상했다.[8] 쉔커는 브루크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그의 저서 『화성학』에서 드러난다.[9][10][11] 반면, 루트비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유지했다. 루트비히는 쉔커의 초기 장학금 지원과 함께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율리우스 에프스타인에게 추천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2]

2. 1. 출생과 가족

하인리히 쉔커는 1868년 오스트리아 갈리시아(현재 우크라이나 비슈니비치크)의 비스니우치크에서 유대인 부모, 요한 쉔커와 율리아(모슬러 출신) 사이에서 태어났다.[4] 아버지 요한 쉔커는 의사였으며, 186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당시 1,759명에 불과했던 비스니우치크 마을에 정착할 수 있었다. 부모 모두 유대인이었고,[5] 쉔커는 자신의 유대인 출신을 숨기거나 부정하지 않았다. 쉔커의 부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그의 평생 친구 모리츠 바이올린은 쉔커가 "아버지의 진지함과 어머니의 급한 성격"을 묘사했다고 회상했다.

쉔커는 여섯 자녀 중 다섯째였다. 형제자매로는 마르쿠스(추정 1880년 리비우 사망), 레베카(추정 1889년 그라디스카 사망), 빌헬름(의사), 시프레, 모리츠(모세, 1874년 8월 31일 출생)가 있었다.[6] 쉔커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그의 음악적 재능은 어린 시절에 발견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는 리비우(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에서 카를 미쿨리에게 사사했고, 이후 베레자니에서 수학을 계속했다. 장학금을 받아 비엔나로 이주했고, 가족도 그를 따라왔다. 빈 대학교 문서에는 1884/85 학기 초에 법학을 공부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빈 대학교 재학 중 1887년부터 1890년까지 게젤샤프트 데어 무직프로인데의 콘서바토리움(현재 빈 국립음대)에 등록하여 음악 공부를 병행했다. 입학 시험 결과에 따르면, 처음에는 프란츠 크렌에게 작곡을, 어니스트 루트비히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쉔커와 그의 아버지는 1년차 수업료 면제를 요청했고, 다른 기록에 따르면 1년차에는 안톤 브루크너 밑에서 화성을 공부했다. 쉔커의 아버지는 1887년 사망했고,[7] 가족은 빈곤해졌다.

2. 2. 학업

하인리히 쉔커는 장학금을 받아 비엔나로 이주했으며, 가족도 함께 비엔나로 따라왔다. 빈 대학교 문서에는 1884/85 학기 초에 그가 법학을 공부한 기록이 있다. 법학 공부와 더불어 1887년부터 1890년까지 빈 국립음대의 전신인 게젤샤프트 데어 무직프로인데의 콘서바토리움에 등록하여 음악 교육을 받았다. 입학 시험 결과에 따르면, 그는 처음에 프란츠 크렌에게 작곡을, 어니스트 루트비히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 쉔커와 그의 아버지는 1년차 학비 면제를 요청했으며, 다른 자료에 따르면 1년차에는 안톤 브루크너에게 화성을 배웠다. 쉔커의 아버지는 1887년에 사망했다.[7]

1888-89년 학기에는 브루크너에게 대위법을, 루트비히에게 피아노 레슨을 계속 받았으며, 항상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 학기에는 요한 네포무크 푹스의 작곡 수업을 들었고, 1889년 11월 20일에 졸업했다. 학비는 루트비히 뵈젠도르퍼의 지원으로 그 해 학비의 절반만 지불했다. 동기였던 칼 플레시는 쉔커를 "마치 반쯤 굶주린 듯 보였고, 우리들 중 나머지 사람들보다 훨씬 뛰어났던 학생"이라고 회상하며, 그의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8] 하지만 쉔커는 브루크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그의 저서 『화성학』에서 드러난다.[9][10][11] 반면, 루트비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유지했고, 루트비히는 쉔커의 초기 장학금 지원과 함께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율리우스 에프스타인에게 추천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2]

3. 작곡가와 연주자 활동

빈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후, 하인리히 쉔커는 음악에 전적으로 헌신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Die Zukunft''(미래)의 편집자였던 막시밀리안 하르덴(막시밀리안 하르덴)을 통해 출판되었고, 이후 다른 정기 간행물에도 그의 글이 실렸다. 쉔커가 남긴 편지에 따르면, 학창 시절과 졸업 후에도 그는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생계를 유지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알리려 노력했으며, 이그나츠 뷜(이그나츠 뷜), 카를 골드마르크(골드마르크 카로이), 외겐 다알베르(외겐 다알베르), 페루치오 부소니(페루치오 부소니) 등 유명 음악가들과 교류하며 인맥을 쌓았다. 여러 작품에 대한 헌정은 그의 작품 출판에 자금을 지원했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들의 신원을 알려주는 단서가 된다. 특히 페루치오 부소니는 쉔커의 환상곡 작품 2번에 대해 높이 평가했으며, 에두아르 알퐁스 자크 드 로칠드(에두아르 알퐁스 자크 드 로칠드) 남작에게 헌정된 '시리아 무곡'은 아르놀트 쇤베르크(아르놀트 쇤베르크)의 편곡으로 1903년 부소니가 이끄는 앙상블에 의해 연주되기도 했다. 빈 징어아카데미(빈 징어아카데미)가 후원하는 작품집에 실린 그의 작품 《Vorüber》 작품 7번 3번의 출판은 칼 라피테와의 친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13]

19세기 말 10년 동안 쉔커는 활발한 콘서트 활동을 펼쳤다. 독주회는 열지 않았지만, 실내악 연주자나 반주자로 참여하며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다. 1893년과 1894년에는 프랑스 호른 연주자 루이 사바르의 《Waldhorn을 위한 세레나데》 연주에 반주자로 참여했고, 루트비히 그륀펠트 사무소 주최 순회 공연에서는 리트 가수 요한 메샤르트(요한 메샤르트)의 반주를 맡아 클라겐푸르트, 그라츠, 트리에스테 등 여러 도시를 돌며 공연했다. 이 공연에서 그는 자신의 환상곡 작품 2번과 작품 4번 2번의 알레그레토 그라치오소를 연주했으며, 메샤르트는 그의 반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남겼다.[13] 또한 베이스 가수 에두아르트 게르트너의 반주를 맡아 그의 공연에 자신의 작품들을 여러 차례 선보였다. 1900년 1월 26일에는 게르트너 독주회에서 모리츠 바이올린과 함께 《시리아 무곡》을 초연하기도 했다. [13] 1897년에는 여러 공연을 관람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순회 공연을 다녔는데, 당시 들었던 대부분의 새로운 음악에 실망하여 자신의 비평에 이를 기록했다.[13]

3. 1. 초기 활동

빈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후, 하인리히 쉔커는 음악에 전념했다. 그의 초기 활동은 잡지 ''Die Zukunft''(미래)의 편집자 막시밀리안 하르덴을 통해 시작되었다. 하르덴은 쉔커의 초기 글들을 출판했고, 이후 다른 정기 간행물에도 그의 글이 실렸다.[13] 쉔커의 서신 자료에 따르면, 학창 시절과 졸업 후에도 그는 후원자들의 지원으로 생계를 유지했다.[13] 그는 작곡가로서 자신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골드마르크 카로이, 외젠 달베르, 페루초 부소니 등과 교류하며 인맥을 쌓았다.[13] 특히 부소니는 쉔커의 환상곡 작품 2번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13] 쉔커는 에두아르트 한슬릭과도 만남을 가졌다.[13] 1900년까지 그는 이그나츠 뷜, 카를 골드마르크, 달베르, 부소니 등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작품을 홍보했다.[13]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의 오스발트 요나스 기념 컬렉션에 보존된 것보다 더 많은 작품을 남겼을 가능성이 높다.[13] 쉔커는 여러 작품을 에두아르 알퐁스 자크 드 로칠드 남작 등에게 헌정하기도 했다.[13] 그의 ''시리아 무곡''은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편곡으로 1903년 부소니가 이끄는 앙상블에 의해 연주되었다.[13] 빈 징어아카데미와의 협력을 통해 그의 작품 ''Vorüber'' 작품 7번 3번이 출판되기도 했다.[13]

19세기 말 쉔커는 콘서트 무대에서도 활동했다. 그는 독주회는 열지 않았지만, 반주자 또는 실내악 연주자로 참여하여 자신의 작품을 연주했다.[13] 프랑스 호른 연주자 루이 사바르의 연주회에서 그의 ''Waldhorn을 위한 세레나데''를 반주했고,[13] 리트 가수 요한 메샤르트의 순회 공연에서 반주자로 활동하며 자신의 작품들을 연주했다. [13] 이 순회 공연은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헝가리 등 여러 지역을 포함했다.[13] 그는 또한 베이스 가수 에두아르트 게르트너의 반주를 맡아 그의 독주회에서 자신의 작품들을 선보였다.[13] 1900년 1월 26일 게르트너 독주회에서 알렉산더 폰 젬린스키와 함께 ''시리아 무곡''을 초연하였다.[13] 1897년에는 여러 곳에서 공연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순회 공연을 떠나 새로운 음악에 대한 비평을 남겼다.[13]

3. 2. 콘서트 활동

19세기 말 10년 동안 하인리히 쉔커는 콘서트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비록 독주회는 열지 않았지만, 실내악 연주자 또는 반주자로 참여하여 자신의 작품을 연주하기도 했다. [13]

1893년 11월 5일(뵈르제 홀)과 1894년 3월 5일(뵈젠도르퍼 홀)에는 프랑스 호른 연주자 루이 사바르의 쉔커의 《Waldhorn을 위한 세레나데》 연주에 반주자로 참여했다. 또한 루트비히 그륀펠트 사무소 주최 순회 공연에서 리트 가수 요한 메샤르트의 반주를 맡았는데, 이 공연은 클라겐푸르트, 그라츠, 트리에스테, 브르노, 레름베르크, 빈, 부다페스트, 린츠 등 여러 도시를 포함하는 대규모 순회였다. [13] 이 공연에서 쉔커는 자신의 작품인 환상곡 작품 2번과 작품 4번 2번의 알레그레토 그라치오소를 연주했다. [13] 메샤르트는 쉔커의 반주에 대해 매우 감사하는 편지를 남겼다. [13]

뿐만 아니라 베이스 가수 에두아르트 게르트너의 반주를 맡기도 했는데, 게르트너는 1895년 1월 19일 뵈젠도르퍼 홀 콘서트에서 쉔커의 노래 "바다의 고요"(Meeresstille) 작품 6번 3번과 《꽃 인사》(Blumengruß)를 불렀다. [13] 1900년 1월 26일 게르트너 독주회에서는 쉔커와 모리츠 바이올린이 함께 《시리아 무곡》을 초연했다. 1900년 12월 1일에는 게르트너가 알렉산더 폰 젬린스키의 반주로 쉔커의 자장가 작품 3번 2번을, 1902년 3월 13일에는 작품 3번 4번을, 1905년 1월 26일(뵈젠도르퍼 홀)에는 작품 6번 1번과 2번을 불렀다. [13]

1897년에는 여러 곳의 공연을 관람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순회 공연을 다녔는데, 들었던 대부분의 새로운 음악에 실망하여 자신의 비평에 이를 기록했다. [13]

4. 이론가로서의 활동

1900년대 초, 작곡가, 지휘자, 반주자로서 인정받지 못한 하인리히 쉔커는 음악 편집과 음악 이론 문제에 더욱 집중하기 시작했다. [34] [14] 수년 후에도 그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그의 작곡 활동은 단순한 창작 행위가 아닌, 교육적 수단이자 작곡가의 의도를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적인 음악 이해가 쇠퇴하는 것을 인지한 그는 음악 및 이론 교육을 개선하고, 악보에서 후대의 편집 내용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미 1895년 "Der Geist der musikalischen Technik"에서 그는 고전 작곡가의 현대 편집본의 왜곡을 지적하며 원전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쉔커의 첫 출판물인 "장식 연구에 대한 기여"에서 그는 자신의 이론적 연구를 장기적인 목표로 인식했다. "화성론" 출판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브라이트코프 & 햐르텔은 후고 리만의 저서가 이미 충분하다며 거절했고, 코타 출판사 또한 처음에는 그의 원고를 거부했다가 외젠 달베르의 개입으로 출판을 결정했다. 알퐁스 드 로스차일드의 지원으로 익명으로 출판된 "화성론"은 쉔커의 독자적인 음악 이론을 구축하는 시작점이 되었다. 이후 유니버설 에디션은 쉔커의 주요 출판사가 되었지만, 그의 작품들은 때로는 출판사의 정치적 입장과 충돌하기도 했다. "Der Tonwille" 출판 이후에는 "Semper idem sed non eodem modo"라는 라틴어 모토가 쉔커의 모든 작품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아우구스티누스나 이레네우스의 문구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16][17] 쉔커와 유니버설 에디션의 에밀 헤르츠카와의 관계는 복잡했다. 헤르츠카는 쉔커의 베토벤에 대한 비판적 견해나 "Der Tonwille"의 일부 내용을 정치적으로 민감하다고 여겨 삭제를 요구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쉔커는 헤르츠카와 유니버설 에디션에 대한 불만을 늘려갔다. 그는 빈을 떠나 독일이나 미국으로 이주하려는 제자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고, 푸르트벵글러의 도움으로 뮌헨에서 강의할 기회를 얻으려 했지만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쉔커는 학교에서 정규적으로 가르친 적은 없었지만, 자신의 집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이론과 실제의 균형을 강조했다.

4. 1. 음악 이론 연구

작곡가, 지휘자, 반주자로 인정받지 못한 하인리히 쉔커는 1900년경부터 음악 편집과 음악 이론 문제에 점점 더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34] 수년이 지난 후에도 그는 여전히 자신의 작곡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14]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음악 이해가 사라지는 것을 우려하며, 음악 및 이론 수업을 개정하고 악보에서 후대의 편집 내용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14] 이미 1895년 논문 "Der Geist der musikalischen Technik"에서 그는 원전판의 사용을 옹호했습니다. [14]

쉔커는 그의 첫 출판물인 "장식 연구에 대한 기여"에서 이론적 연구를 장기적인 목표로 여겼습니다. [15] 그는 ''화성학''(그의 ''새로운 음악 이론과 환상곡''의 첫 번째 부분)을 브라이트코프 & 햐르텔에 출판하려 했으나 거절당했습니다. [15] 코타 출판사는 처음에는 쉔커의 원고를 거절했지만, 외젠 달베르의 개입으로 마음을 바꿔 알퐁스 드 로스차일드의 지원을 받아 익명으로 ''화성학''을 출판했습니다. [15]

유니버설 에디션은 쉔커의 주요 출판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베토벤 9번 교향곡에 관한 단행본(1912년 출판)이 계시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부족한 이론 교육으로 인해 음악가들의 오해로 인해 수용이 저조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15] 1913년부터 1921년 사이에 그는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중 네 개의 해설판을 발표했습니다. 베토벤 작품번호 109의 자필 악보를 조사하면서, 그는 원전 작업이 에른스트 루도르프와 요제프 요아힘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습니다. [15] 페더호퍼는 여러 개의 진본을 조사하여 해석에 도달하는 현대 원전 운동을 시작한 공로를 쉔커에게 돌립니다. [15]

1921년 ''Der Tonwille'' 출판을 시작으로, 라틴어 모토 "Semper idem sed non eodem modo"("항상 같지만 항상 같은 방식은 아니다")가 쉔커가 출판한 모든 작품에 등장합니다. [16] [17] 에밀 헤르츠카는 쉔커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습니다. 헤르츠카는 쉔커의 파울 베커에 대한 비판과 ''Der Tonwille''의 일부 내용이 정치적으로 민감하다고 판단하여 출판을 거부하거나 삭제를 요구했습니다. [16] [17]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쉔커는 유니버설 에디션이 자신의 작품을 충분히 홍보하고 적절한 금액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비난했습니다. [16] [17]

쉔커는 학교에서 가르친 적이 없지만, 주로 집에서 피아노 앞에서 가르쳤습니다. 그의 가르침의 목표는 연주 예술과 밀접하게 연결된 포괄적인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었고, 이론과 실제는 불가분의 관계였습니다. [16] [17]

4. 2. 결혼과 제자 양성

하인리히 쉔커의 개인적인 삶은 장네트 콘펠트(결혼 전 성은 시프)와의 결혼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는 1907년부터 그녀를 알고 지냈지만, 그녀의 첫 번째 남편과의 이혼이 성립된 후인 1919년 11월 10일에야 결혼식을 올렸다. 쉔커는 학교에서 정규적으로 가르친 적은 없었지만, 자신의 집에서 많은 제자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쳤다. 그의 교육 방식은 단순한 연주 기술 훈련을 넘어, 연주와 밀접하게 연관된 종합적인 음악 교육을 목표로 했다.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중시했던 그는 이론과 실제의 불가분의 관계를 강조하며 제자들을 지도했다. 그의 마지막 작품인 ''자유 작곡''은 장네트에게 헌정되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쉔커는 알퐁스 드 로스차일드를 비롯한 여러 후원자들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 중 소피 도이치, 안기 엘리아스,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그리고 한 실업가 쿠너, 안토니 판 호보켄 등이 있다. 도이치, 엘리아스, 호보켄은 그의 가까운 제자들이었다. 특히 도이치는 사후 상속을 통해 쉔커가 대위법 책의 두 번째 권을 출판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로베르트 브뤼나우어는 쉔커에게 또 다른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푸르트벵글러는 마치 제자처럼 쉔커와 긴밀하게 교류하며 그의 학문을 존중했다. 1908년에는 빈 아카데미 푸어 무직 운트 다르슈텔렌데 쿤스트(현 빈 국립 음악대학교)에서 가르칠 기회가 있었으나, 그의 고집 센 신념과 학문적 시스템 때문에 결국 직위를 얻지 못했다. 푸르트벵글러는 1932~33년에도 쉔커를 위해 직위를 얻으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5. 쉔커 이론과 음악적 특징

5. 1. 쉔커 이론의 발전

1900년까지 하인리히 쉔커는 작곡가나 지휘자, 반주자로서 인정받지 못했고, 음악 편집과 음악 이론 문제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 [34] 이미 1895년 "Der Geist der musikalischen Technik"에서 그는 원전판 사용을 옹호했다. 출판사 코타는 그의 원고를 처음에는 거절했으나, 외젠 달베르의 개입으로 출판을 승낙했고, 알폰스 드 로스 차일드의 도움으로 익명으로 "화성론"을 출판하게 된다. 쉔커는 ''Der Tonwille'', ''Das Meisterwerk in der Musik'' 등의 저널 발행을 통해 이론을 발전시켜 나갔고, 베토벤 소나타 분석과 자유 작곡법 등의 주요 저서를 통해 쉔커 이론을 완성해 나갔다. 쉔커는 학교에서 가르친 적은 없지만, 자신의 집에서 피아노 레슨을 하며 공연 예술과 밀접하게 연관된 종합적인 음악 교육을 목표로 했다. 그의 가르침은 이론과 실천의 불가분의 관계를 강조했다. 쉔커 이론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어 서양 음악 분석의 표준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민국 음악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5. 2. 원격 청취 (Fernhören)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는 하인리히 쉔커의 『베토벤의 9번 교향곡』(Beethovens Neunte Sinfonie, 1912)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았다. 1920년 빈에 거주하던 쉔커를 직접 방문하여 그의 음악적 견해와 인격에 깊이 공감하게 된다. 이후 푸르트벵글러는 빈 방문 시마다 쉔커를 찾아가 자신이 지휘하는 고전 작품을 함께 연구했으며, 당시 어려움을 겪던 쉔커의 취업까지 지원했다고 전해진다.

푸르트벵글러가 쉔커의 음악 이론 중 특히 공감한 부분은 바로 "원격 청취(Fernhören)"라는 개념이다. 이는 곡의 멀리 떨어진 부분들 사이의 연관성과 필연성을 듣고 파악하는 능력, 그리고 그러한 자세를 의미한다. 쉔커는 이 원격 청취를 독일 고전 음악의 특징으로 보았다.

6. 인종에 대한 관점 논란

하인리히 쉔커의 인종에 대한 견해는 생전부터 논란이었다.[19][20][21][22] 2020년 필립 이웰의 저서 발표 이후 이 논란은 재점화되었는데, 이웰은 쉔커가 흑인의 자치 능력 부재를 믿었고 인종 간 결혼에 반대했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20세기 후반 음악 이론가들이 쉔커의 견해를 "미화"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티모시 L. 잭슨 등은 이러한 해석이 오역과 잘못된 해석에 기반하며, 쉔커는 인종차별주의 이론을 비판하고 가짜 과학으로 여겼다고 반박했다.[23] 존 맥워터는 쉔커를 천재이자 공개적인 인종차별주의자로 묘사하면서, 이웰의 주장이 음악의 계층적 구조를 인종차별적이라 보는 것이라면 비백인 음악 해석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24] 코피 아가우는 쉔커 이론의 계층적 사고가 백인 중심적이라 주장하는 것은 서아프리카의 계층적 사고와 모순되며, 기술적 절차를 백인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공유된 진행 방식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25] 아가우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흑인 학자들에게 어떤 권한을 부여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25]

6. 1. 인종차별적 발언 논란

하인리히 쉔커의 인종에 대한 견해는 생전부터 논란이 되었고,[19][20][21][22] 2020년 필립 이웰의 저서 발표 이후 다시 엄격한 조사를 받았다.[2][3] 이웰은 쉔커가 흑인의 자치 능력 부재를 믿었고, 인종 간 결혼에 반대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20세기 후반 학계가 쉔커의 견해를 미화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티모시 L. 잭슨 등은 이러한 해석이 오역, 잘못된 해석, 누락에 기반하며, 쉔커는 인종차별주의 이론을 비판하고 가짜 과학으로 여겼다고 반박했다.[23] 존 맥워터는 쉔커를 천재이자 공개적인 인종차별주의자로 묘사하면서,[24] 이웰의 주장이 음악의 계층적 관계를 인종차별적이라고 보는 것이라면 비백인 음악의 해석 문제와 음악 구조의 계층적 관계와 인간의 고통의 관련성을 질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24]

코피 아가우는 쉔커 이론의 계층적 사고가 백인적이고 인종차별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서아프리카에서도 계층적 사고가 두드러지고 음악적, 비음악적 구조 이해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비판했다.[25] 기술적 절차를 백인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공유된 진행 방식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며, 비계층성에 뿌리를 둔 새로운 원리를 찾으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며, 이러한 전략이 흑인 학자들에게 어떻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25]

6. 2. 옹호론

7. 말년과 죽음

말년에 쉔커는 건강 악화로 고통받았다. 피로를 호소했고, 심한 근시로 그림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 갑상선종과 비만으로 평생 군 복무 면제를 받았으며, 1914년에는 당뇨병 진단을 받아 잦은 의사 방문과 식단 조절이 필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4년에는 『자유로운 구성』의 교정을 보는 등 꾸준히 작업을 이어갔다. 1935년 1월 4일 건강 검진 결과는 좋지 않았고, 인슐린 요법을 위해 요양원에 입원했다. 아내 장네트의 일기에는 쉔커의 마지막 순간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마태 수난곡에서 무언가가 떠올랐어..."라는 말을 남기고 1935년 1월 14일 오전 2시, 66세의 나이로 당뇨병과 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1월 17일 빈 중앙묘지에 매장되었고, 묘비에는 "여기에는 그 누구도 그 이전에 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음악의 영혼을 탐구하고 그 법칙을 위대한 이들의 의미에서 밝혀낸 사람이 잠들어 있다"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쉔커의 아내 장네트는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 나치의 박해를 받았고, 1945년 1월 8일 테레지엔슈타트에서 사망했다.[18] 그녀의 죽음은 나치의 잔혹성과 유대인 박해의 비극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7. 1. 건강 악화와 마지막 순간

말년에 쉔커는 심한 피로를 호소하며 건강이 악화되었다. 그는 매년 여름을 티롤 산맥, 특히 갈튀어 마을에서 보냈다. 빅터 해머와 주고받은 편지에서 쉔커는 심한 근시로 그림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갑상선종과 비만으로 고통받았으며, 이로 인해 평생 군 복무 면제를 받았다. 1914년에는 당뇨병 진단을 받아 잦은 의사 방문과 엄격한 식단 관리(항상 잘 지키지는 않았지만)가 필요했다.

하지만 생애 말년에도 그는 꾸준히 연구를 계속했다. 1934년 12월 16일부터 23일까지는 『자유로운 구성(Free Composition)』의 교정 작업을 했다. 12월 30일에는 라디오 방송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남겼지만, 이후 빈 국립 오페라의 요한 슈트라우스의 『박쥐(Die Fledermaus)』 생방송을 듣고 "매우 훌륭한 공연"이라고 평가했다. 1935년 1월 4일 건강 검진에서는 발 부기와 심한 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났고, 인슐린 치료를 위해 요양원에 입원했다.

장네트의 일기에는 쉔커의 마지막 순간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나는 약간의 혼미 속에서 그가 "...~에서..."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무엇에서?"라고 내가 말하자, "우리는 여전히 함께 있을 거야"라고 그는 말했고, 나는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손짓을 했다. 그는 계속해서 말했다. "~에서... 마태 수난곡(St. Matthew Passion)에서 무언가가 떠올랐어..." 이것이 나의 사랑하는 사람의 마지막 말이었다.



쉔커는 1935년 1월 14일 오전 2시, 66세의 나이로 당뇨병과 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1월 17일 빈 중앙묘지(Wiener Zentralfriedhof) 4번 문, 3구역, 4열, 8번에 매장되었다. 그의 묘비에는 "Hier ruht, der die Seele der Musik vernommen, ihre Gesetze im Sinne der Großen verkündet wie Keiner vor ihm" (여기에는 그 누구도 그 이전에 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음악의 영혼을 탐구하고 그 법칙을 위대한 이들의 의미에서 밝혀낸 사람이 잠들어 있다.)라고 새겨져 있다. 장네트 쉔커는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에도 빈에 남았으나,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받고 나치로부터 두 번 구출된 후 1942년 6월 29일에 체포되어 수송되었으며, 1945년 1월 8일 테레지엔슈타트에서 사망했다.[18]

7. 2. 죽음과 매장

하인리히 쉔커는 1935년 1월 14일 오전 2시, 66세의 나이로 당뇨병과 동맥경화증으로 사망했다. 1월 17일에는 빈 중앙묘지 4번 문, 3구역, 4열, 8번에 매장되었다. 그의 묘비에는 "Hier ruht, der die Seele der Musik vernommen, ihre Gesetze im Sinne der Großen verkündet wie Keiner vor ihm" (여기에는 그 누구도 그 이전에 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음악의 영혼을 탐구하고 그 법칙을 위대한 이들의 의미에서 밝혀낸 사람이 잠들어 있다) 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쉔커의 아내 장네트 쉔커는 오스트리아 합병 이후에도 빈에 남았으나,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나치의 박해를 받았다. 두 차례 구출되었지만, 1942년 6월 29일 체포되어 수송된 후 1945년 1월 8일 테레지엔슈타트에서 사망했다.[18] 이처럼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그녀는 남편과 사별의 아픔을 겪은 후, 나치의 만행으로 인해 생을 마감해야 했다. 이 사건은 나치의 잔혹성과 유대인 박해의 참상을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례이다.

8. 주요 저서

== 주요 저서 ==

하인리히 쉔커는 '''Der Tonwille'''[27]과 '''Das Meisterwerk in der Musik'''[28]라는 두 권의 잡지를 통해 쉔커 이론의 아이디어를 전개했다. 특히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 대한 그의 분석은 쉔커 이론이 연주자들에게도 유용한 이론임을 보여준다. 1932년에는 『다섯 개의 기본 선표』[29]를 출판했는데, 이 저서에서는 쉔커 이론에 따라 다섯 곡이 분석되어 있다. 쉔커 사후에는 미완성 음악 이론서 『자유 작곡법』[30]이 출판되었다. 쉔커 이론은 미국에서 큰 유행을 불러일으켜 1960년대에는 서양 음악 작품 분석 이론의 세계적인 표준이 되었고, 한때는 쉔커 이론에 기반한 교과서도 활발하게 출판되었다. 미국에서는 "자연의 여러 원리로 환원된 화성론"에 기반한 뒤부아 화성이나, "기능 화성 이론"에 기반한 마러의 화성 교본이 거의 자리 잡지 못하고, 베버가 제시한 로마 숫자에 의한 화성 분석의 개량과 발전만이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도 이러한 전통이 지켜지고 있다. 2000년에는 쉔커의 유고를 정리한 『연주의 기법』[31]이 출판되었다. 하인리히 쉔커는 바흐, 헨델, 베토벤 등 거장들의 작품에 대한 다수의 해설판을 출판했으며, 비이론적인 기사, 리뷰, 에세이도 다수 저술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들을 참고하라.

8. 1. 이론 저서

하인리히 쉔커의 주요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 '''장식법 연구에 대한 기여 (Ein Beitrag zu Ornamentik)''': 1904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으며, 1908년 개정판이 나왔다. 영어 번역본은 헤디 시겔(Hedi Siegel)이 번역 및 편집한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Ornamentation"으로, ''음악 포럼(The Music Forum)'' 4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1976), 1–139쪽에 수록되어 있다. 특히 필립 에마뉘엘 바흐의 피아노 작품에 대한 장식법 연구에 기여한 바가 크다.

  • '''화성학 (Harmonielehre)''': ''새로운 음악 이론과 상상(Neue Musikalische Theorien und Phantasien)'' 제1부로, 1906년 슈투트가르트 J. G. 코타에서 출판되었다. 오스왈드 요나스(Oswald Jonas)가 편집 및 주석을 맡고 엘리자베스 만 보르게제(Elisabeth Mann Borgese)가 번역한 영어 번역본 ''Harmony''는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에서 1954년 출판되었으나, 본문과 음악 예시 일부가 생략된 판본이다.

  • '''대위법 (Kontrapunkt)''', 제1권: ''새로운 음악 이론과 상상(Neue Musikalische Theorien und Phantasien)'' 제2부로, 1910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다. 존 로스게브(John Rothgeb)와 위르겐 팀(Jürgen Thym)이 번역하고 존 로스게브가 편집한 영어 번역본 ''Counterpoint''는 1987년 뉴욕 쉬르머 북스에서 출판되었다.

  • '''베토벤의 9번 교향곡: 문헌을 함께 고려하여 음악적 내용의 묘사와 연주에 대한 지속적인 논평 (Beethovens neunte Sinfonie: eine Darstellung des musikalischen Inhaltes unter fortlaufender Berücksichtigung auch des Vortrages unter der Literatur)''': 1912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다. 존 로스게브(John Rothgeb)가 번역 및 편집한 영어 번역본 "Beethoven's Ninth Symphony: a Portrayal of its Musical Content, with Running Commentary on Performance and Literature as well"은 1992년 뉴헤이븐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베토벤 5번 교향곡에 대한 분석 또한 널리 알려져 있다. 베토벤 9번 교향곡에 대한 쉔커의 분석은 특히 심도있는 분석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이론의 핵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대위법 (Kontrapunkt)''', 제2권: ''새로운 음악 이론과 상상(Neue Musikalische Theorien und Phantasien)'' 제2부로, 1922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다. 제1권과 동일한 영어 번역본을 참고하면 된다.

  • '''음악의 의지 (Der Tonwille): 새로운 청년을 위한 음악 예술의 불변의 법칙에 대한 증거로서의 팜플렛 (Flugblätter zum Zeugnis unwandelbarer Gesetze der Tonkunst einer neuen Jugend dargebracht)''': 비엔나 톤빌레-플루그블래터 출판사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총 10호가 출판되었다. 윌리엄 드래브킨(William Drabkin)이 편집하고 이안 벤트(Ian Bent) 등이 번역한 영어 번역본 ''Der Tonwille: Pamphlets in Witness of the Immutable Laws of Music''은 2004-2005년 뉴욕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 '''음악 속의 걸작 (Das Meisterwerk in der Musik)'': 1925년부터 1930년까지 뮌헨 드라이 마스켄 출판사에서 연감 형식으로 총 3호가 출판되었다. 윌리엄 드래브킨(William Drabkin)이 편집하고 이안 벤트(Ian Bent) 등이 번역한 영어 번역본 ''The Masterwork in Music: a Yearbook''은 1994-1997년 캠브리지 및 뉴욕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 '''5개의 우르리니에 표 (Fünf Urlinie-Tafeln)''': 1932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으며, 펠릭스 살저(Felix Salzer)의 새로운 서문과 용어 해설과 함께 영어 번역본 ''Five graphic music analyses'' (Fünf Urlinie-Tafeln)가 1969년 뉴욕 도버에서 출판되었다.

  • '''자유로운 작곡 (Der freie Satz)''': ''새로운 음악 이론과 상상(Neue Musikalische Theorien und Phantasien)'' 제3부로, 1935년 비엔나 유니버설 에디션에서 출판되었다. 1954년 제2판의 영어 번역본 ''Der freie Satz: New musical theories and fantasies'', volume 3은 에른스트 오스터(Ernst Oster)가 번역 및 편집하여 1979년 뉴욕 롱맨에서 출판되었다. 미완성으로 남았으나 사후에 출판되어 쉔커 이론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30]


쉔커는 ''Der Tonwille''와 ''Das Meisterwerk in der Musik''이라는 두 권의 잡지를 통해서도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다. 그의 이론은 특히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분석에서 그 핵심을 잘 보여준다. 1932년 출판된 『다섯 개의 기본 선표』[29]는 쉔커 이론에 따른 다섯 곡의 분석을 담고 있다. 2000년에는 그의 유고를 정리한 『연주의 기법』[31]이 출판되었다. 쉔커 이론은 미국에서 큰 영향력을 갖게 되어 1960년대에는 서양 음악 분석 이론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27][28][29][30][31]

8. 2. 해설판

하인리히 쉔커는 바흐, 헨델, 베토벤 등 거장들의 작품에 대한 해설판을 다수 출판했다. 대표적으로는 1902년에 출판된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의 《피아노 작품집》(Klavierwerke) 새로운 비평판을 비롯하여, 1904년 헨델의 《12개의 오르간 협주곡》(Zwolf Orgel-Concerte)의 4손을 위한 피아노 버전 편곡본이 있다. 1909년에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색채 환상곡과 푸가, 해설판》(Chromatische Phantasie und Fugue, Erläuterungsausgabe)을 출판했는데, 이는 헤디 시걸(Hedi Siegel)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1984년에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색채 환상곡과 푸가: 해설이 포함된 비평판》(J. S. Bach's Chromatic Fantasy and Fugue: Critical Edition with Commentary)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베토벤의 작품으로는 1913년부터 1921년까지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5곡(작품번호 109, 110, 111, 101)에 대한 해설판을 연달아 출판했으며, 《소나타 작품번호 27, 2번 (소위 월광 소나타), 작곡가의 스케치 3장 포함》(Sonate Op. 27, Nr. 2 (Die sogenannte Mondscheinsonate) mit 3 Skizzenblättern des Meisters)과, 1928년에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Klaviersonaten)을 자필 악보에 따라 재구성하여 출판하였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은 칼 샤크터(Carl Schachter)의 새로운 서문과 함께 1975년 영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1933년에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옥타브와 5도 등, 유고집에서 발췌 및 해설》(Oktaven und Quinten u. A., aus dem Nachlass herausgegeben und erläutert)을 출판했고, 이는 폴 마스트(Paul Mast)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쉔커는 '''Der Tonwille'''[27]과 '''Das Meisterwerk in der Musik'''[28]라는 두 권의 잡지를 통해서도 자신의 음악 이론을 발표했다. 특히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 대한 쉔커의 해설판은 그의 음악 이론이 연주자들에게도 유용한 이론임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8. 3. 비이론적인 기사, 리뷰 및 에세이

하인리히 쉔커는 이론 논문 외에도 다수의 비이론적인 기사, 리뷰, 에세이를 저술했다. 주요 저작들을 시간 순서대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1891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피아노 반주가 있는 독창곡을 위한 다섯 개의 노래, 작품 107,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2권 (1891년), 514-517쪽.
  • 1892년: 헤르만 그래데너(Hermann Grädener). 피아노, 바이올린 2대, 비올라, 첼로를 위한 2번 5중주곡, C단조, 작품 19,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3권 (1892년), 214-216쪽.
  • 1892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혼성합창을 위한 다섯 개의 무반주 합창곡, 작품 104,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3권 (1892년), 409-412, 425, 437쪽.
  • 1892년: 비엔나의 마스카니(Mascagni in Wien), 《미래》(Die Zukunft), 1권 (1892년), 137-139쪽.
  • 1892년: 젊은 이탈리아 악파?(Eine jung-italienische Schule?), 《미래》(Die Zukunft), 1권 (1892년), 460-462쪽.
  • 1893년: 마스카니의 "란차우"(Mascagnis "Rantzau"), 《미래》(Die Zukunft), 2권 (1893년), 280-284쪽.
  • 1893년: 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합창, 독창, 관현악을 위한 시편 150,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4권 (1893년), 159쪽 이하.
  • 1893년: 요하네스 브람스에게 보내는 축하 인사. 그의 60회 생일(1893년 5월 7일)을 맞이하여, 《미래》(Die Zukunft), 3권 (1893년), 279쪽.
  • 1893년: 베르디의 팔스타프에 대한 노트, 《미래》(Die Zukunft), 3권 (1893년), 474-476쪽.
  • 1893년: 프리드리히 스메타나(Friedrich Smetana), 《미래》(Die Zukunft), 4권 (1893년), 37-40쪽.
  • 1893년: 비엔나의 손조그노 시장(Der Sonzogno-Markt in Wien), 《미래》(Die Zukunft), 4권 (1893년), 282쪽 이하.
  • 1893년: 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미래》(Die Zukunft), 5권 (1893년), 135-137쪽.
  • 1894년: 오늘날의 음악. (낡은 주제에 대한 새로운 변주곡.),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87쪽 이하.
  • 1894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작품 116,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5권 (1894년), 37쪽 이하.
  • 1894년: 루제로 레온카발로(Ruggiero Leoncavallo), 《미래》(Die Zukunft), 6권 (1894년), 138-140쪽.
  • 1894년: 온드피체크-포퍼-도어(Ondficek – Popper – Door),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278-280쪽.
  • 1894년: 비엔나 음악원 - 요한 네포무크 푸크스(Johann Nepomuk Fuchs),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318쪽.
  • 1894년: 스메타나의 '키스'(Smetana's 'Kuß') (궁정 오페라에서의 초연에 관하여),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34-50쪽.
  • 1894년: 궁정 오페라 - 스메타나의 '키스'(Smetana's 'Kuß'),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375쪽.
  • 1894년: 비엔나 극장 - 아돌프 아담(Adolphe Adam), 자크 오펜바흐(Jacques Offenbach), 빌렘 블로덱(Vilem Blodek), 《뉴 레뷔》(Neue Revue), 5권, 2권 (1894년), 377쪽.
  • 1894년: 궁정 오페라 극장 - 페르디난트 후멜(Ferdinand Hummel), 마라(Mara), 《뉴 레뷔》(Neue Revue), 5권, 2권 (1894년), 475-476쪽.
  • 1894년: 콘서트 지휘자들(Konzertdirigenten), 《미래》(Die Zukunft), 7권 (1894년), 88-92쪽.
  • 1894년: 안톤 루빈슈타인(Anton Rubinstein),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566쪽 이하.
  • 1894년: 베르디의 팔스타프(Verdis Falstaff), 《미래》(Die Zukunft), 7권 (1894년), 230-233쪽.
  • 1894년: 궁정 오페라 기념일을 맞이하여(Zum Jubiläum der Hofoper), 《뉴 레뷔》(Neue Revue), 5권, 1권 (1894년), 754-756쪽.
  • 1894년: 관현악 작곡가를 위한 로열티?(Tantiemen für Instrumentalkomponisten?), 《미래》(Die Zukunft), 7권 (1894년), 477-479쪽.
  • 1894년: 음악에서의 청취(Das Hören in der Musik), 《뉴 레뷔》(Neue Revue), 5권, 2권 (1894년), 115-121쪽.
  • 1894년: 안톤 루빈슈타인(Anton Rubinstein), 《미래》(Die Zukunft), 8권 (1894년), 326-329쪽.
  • 1894년: 스메타나의 삶에서. (프리드리히 스메타나의 미망인 방문.), 《신 비엔나 일간지》(Neues Wiener Tagblatt), 28권 (1894년), 245호, 9월 6일.
  • 1894년: 외젠 달베르(Eugen d' Albert), 《미래》(Die Zukunft), 9권 (1894년), 33-36쪽.
  • 1894년: 비엔나의 민속 음악(Volksmusik in Wien), 《뉴 레뷔》(Neue Revue), 5권, 2권 (1894년), 516-521쪽.
  • 1895년: 독일-오스트리아 음악 교류(Deutsch-Oesterreichischer Musikverkehr), 《미래》(Die Zukunft), 11권 (1895년), 182-185쪽.
  • 1895년: 음악 기술의 정신(Der Geist der musikalischen Technik),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6권 (1895년), 245쪽 이하, 257-259쪽, 273쪽 이하, 285쪽, 297쪽, 309쪽, 325쪽.
  • 1895년: 루빈슈타인 상(Rubinstein-Preis), 《시간》(Die Zeit), 4권 (1895년), 157쪽.
  • 1895년: 에두아르트 한슬릭(Eduard Hanslick). 70세 생일, 《시간》(Die Zeit), 4권 (1895년), 174쪽.
  • 1895년: 음악 교육에 관하여(Zur musikalischefi Erziehung), 《시간》(Die Zeit), 4권 (1895년), 185쪽, 200-202쪽.
  • 1895년: 샹브런 백작(Le comte de Chambrun)과 스타니슬라우스 레지스(Stanislaus Legis): 1895년 파리의 바그너(Wagner), 《시간》(Die Zeit), 4권 (1895년), 206쪽 이하.
  • 1895년: 궁정 오페라 극장 - 쥘 마스네(Jules Massenet), 나바라의 처녀(Das Mädchen von Navarra),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2쪽.
  • 1895년: H. 베르테(H. Berte), 발레 '여행하는 아모르'(Ballett Amor auf Reisen),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4쪽.
  • 1895년: 아서 프뤼퍼(Arthur Prüfer) - 요한 헤르만 샤인(Johann Hermann Schein), 1895년 라이프치히(Leipzig), 《시간》(Die Zeit), 5권 (1895년), 30쪽.
  • 1895년: 궁정 오페라 극장 - 하인리히 마르슈너(Heinrich Marschner), 템플러와 유대인(Der Templer und die Jüdin), 《시간》(Die Zeit), 5권 (1895년), 44쪽.
  • 1895년: 루트비히 하르트만(Ludwig Hartmann),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의 탄호이저(Tannhäuser), 1895년 드레스덴(Dresden), 《시간》(Die Zeit), 5권 (1895년), 44쪽.
  • 1895년: 새로운 하이든 오페라 (11월 3일[1895년] 카를 극장의 마티네에 관하여), 《시간》(Die Zeit), 5권 (1895년), 90쪽 이하.
  • 1895년: B. 토트(B. Todt), 바흐 칸타타 안내(Vademecum durch die Bach'schen Cantaten), 1895년 라이프치히(Leipzig), 《시간》(Die Zeit), 5권 (1895년), 94쪽.
  • 1895년: 비엔나 음악 애호가 협회 - 협회 콘서트, 벤 데이비스 4중주단(Ben Davies-Quartett) 로제(Rosé),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08쪽.
  • 1895년: 궁정 오페라 극장 - 프랑수아 아드리앵 보이엘디외(François Adrien Boieldieu), 빨간 모자(Rotkäppchen),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26쪽.
  • 1895년: 필하모닉 콘서트 -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26쪽.
  • 1895년: 실내악 - 보헤미안 현악 4중주단(Das böhmische Streichquartett),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42쪽.
  • 1895년: 비엔나 극장 - 요한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ß), 숲의 제왕(Waldmeister),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57쪽.
  • 1895년: 두 번째 필하모닉 콘서트 -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in Dvorak), 오텔로 서곡(Othello-Ouverture),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73쪽.
  • 1895년: J. S. 바흐(J. S. Bach),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Weihnachtsoratorium), 외젠 구라(Eugen Gura), 외젠 달베르(Eugen d' Albert)- 보헤미안 현악 4중주단의 소규모 연주회 - 세 번째 필하모닉 콘서트, 《시간》(Die Zeit), 5권 (1895년), 186쪽 이하.
  • 1895년: 빌로-바인가르트너(Bülow-Weingartner), 《음악 주간지》(Musikalisches Wochenblatt), 26권 (1895년), 610쪽 이하.
  • 1896년: 네 번째 필하모닉 콘서트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eter Iljitsch Tschaikowsky), 6번 교향곡,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3쪽.
  • 1896년: 빌헬름 키엔츨(Wilhelm Kienzl), 복음서의 사람(Der Evangelimann) - 비엔나에서의 초연, 《시간》(Die Zeit), 6권 (1896년), 44쪽 이하.
  • 1896년: 다섯 번째 필하모닉 콘서트 - 비엔나 음악 애호가 협회의 두 번째 콘서트, 《시간》(Die Zeit), 6권 (1896년), 46쪽.
  • 1896년: 젊은 지휘자들(Die jungen Dirigenten), 《시간》(Die Zeit), 6권 (1896년), 57쪽 이하.
  • 1896년: 릴리안 베일리(Henschel)(Lilian Bailey (Henschel)), 《시간》(Die Zeit), 6권 (1896년), 78쪽.
  • 1896년: 보헤미안 현악 4중주단; 카렐 벤들(Karel Bendl), 로제 4중주단(Rose-Quartett), 조반니 스감바티(Giovanni Sgambati), 요한 네포무크 후멜(Johann Nepomuk Hummel), 알프레드 그륀펠트(Alfred Grünfeld), 《시간》(Die Zeit), 6권 (1896년), 94쪽.
  • 1896년: 비엔나 음악 애호가 협회의 세 번째 콘서트 - 쥘 마스네(Jules Massenet), 이브의 신비(Mystere Eve) - 요하네스 메샤르트(Johannes Messchaert), 율리우스 뢰텐(Julius Röntgen)의 가곡의 밤,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13쪽.
  • 1896년: 여성 현악 4중주단 졸다트 로거(Damen-Streichquartett Soldat Roeger) - 보헤미안 현악 4중주단(Böhmisches Streichquartett), 알렉산더 보로딘(Alexander Borodin), 로베르트 하우스만(Robert Hausmann), 브로니스와프 후베르만(Bronislaw Huberman),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30쪽.
  • 1896년: 비아나 다 모타(Vianna da Motta), 테오도르 파이퍼(Theodor Pfeiffer)의 한스 폰 빌로(Hans von Bülow)와의 연구에 대한 추가, 1896년 베를린-라이프치히(Berlin-Leipzig),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46쪽.
  • 1896년: 두 번째 요하네스 메샤르트(Johannes Messchaert), 율리우스 뢰텐(Julius Röntgen)의 가곡의 밤 -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필하모닉 콘서트,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58쪽 이하.
  • 1896년: 알베르트 카우더(Albert Kauder),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Walther von der Vogelweide),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60쪽.
  • 1896년: 네덜란드 3중주단(Holländisches Terzett),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61쪽.
  • 1896년: 카를 라이네케(Carl Reinecke),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78쪽.
  • 1896년: 가에타노 도니체티(Gaetano Donizetti):람메르무어의 루치아(Lucia di Lammermoor),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93쪽.
  • 1896년: 브로니스와프 후베르만(Bronislaw Huberman) - 여성 현악 4중주단 졸다트-로거(Damen-Streichquartett Soldat-Roeger) - 리하르트 뮐펠트(Richard Mühlfeld) - 펠릭스 바인가르트너(Felix Weingartner), 《시간》(Die Zeit), 6권 (1896년), 194쪽.
  • 1896년: 카를 골드마르크(Carl Goldmark), 난로 옆의 귀뚜라미(Das Heimchen am Herd) - 비엔나에서의 초연, 《시간》(Die Zeit), 6권 (1896년), 207쪽.
  • 1896년: 지그프리트 바그너(Siegfried Wagner), 《미래》(Die Zukunft), 14권 (1896년), 281-283쪽.
  • 1896년: 난로 옆의 귀뚜라미(Das Heimchen am Herd), 《미래》(Die Zukunft), 15권 (1896년), 132-134쪽.
  • 1896년: 라이바흐 음악 협회 합창단(Glasbena Matica)(지휘 마테이 후바드(Matej Hubad))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틸 울렌슈피겔의 장난스러운 짓(Till Eulenspiegels lustige Streiche) - 프리드리히 키엘(Friedrich Kiel), 그리스도(Christus), 《시간》(Die Zeit), 7권 (1896년), 26쪽 이하.
  • 1896년: 모차르트 기념 축제에 관하여(Zur Mozartfeier), 《시간》(Die Zeit), 7권 (1896년), 60쪽.
  • 1896년: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아이다(Aida), 《시간》(Die Zeit), 7권 (1896년), 62쪽.
  • 1896년: 오페라. (글룩(Gluck)의 오르페우스 연출 제안), 《시간》(Die Zeit), 7권 (1896년), 91쪽 이하.
  • 1896년: 마리 레만(Marie Lehmann), 《시간》(Die Zeit), 7권 (1896년), 93쪽 이하.
  • 1896년: 프란시스코 단드라데(Francisco d'Andrade), 《시간》(Die Zeit), 7권 (1896년), 109쪽 이하.
  • 1896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를 위한 명예 훈장, 《시간》(Die Zeit), 7권 (1896년), 110쪽.
  • 1896년: 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시간》(Die Zeit), 7권 (1896년), 184-186쪽.
  • 1896년: 카를 라이네케(Carl Reinecke),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Die Beethoven'schen Clavier-Sonaten), 1896년 라이프치히(Leipzig), 《시간》(Die Zeit), 8권 (1896년), 14쪽 이하.
  • 1896년: 에른스트 포사르트(Ernst Possart),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Don Giovanni)(돈 후안)의 새로운 연출과 재연출에 관하여 (뮌헨 왕립 레지던츠 극장), 1896년 뮌헨(München), 《시간》(Die Zeit), 8권 (1896년), 78쪽.
  • 1896년: 다니엘 프랑수아 에스프리 오베르(Daniel François Esprit Auber), 프라 디아볼로(Fra Diavolo)-피에트로 마스카니(Pietro Mascagni), 자네토(Zanetto), 《시간》(Die Zeit), 8권 (1896년), 157쪽.
  • 1896년: 음악의 틀(Routine in der Musik), 《뉴 레뷔》(Neue Revue), 7권, 2권 (1896년), 555-558쪽.
  • 1897년: 콘서트 카를 라이네케(Konzert Carl Reinecke),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438쪽 이하.
  • 1897년: 슈베르트 기념 축제에 대한 에필로그(Ein Epilog zur Schubertfeier),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211-216쪽.
  • 1897년: 비인격적인 음악(Unpersönliche Musik),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464-468쪽.
  • 1897년: 베를린 필하모닉(Die Berliner 'Philharmoniker'),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495-497쪽.
  • 1897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1833년 5월 7일 출생, 1897년 4월 3일 서거),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516-520쪽.
  • 1897년: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미래), 《미래》(Die Zukunft), 19권 (1897년), 261-265쪽.
  • 1897년: 비엔나 극장: 엔겔베르트 훔퍼딘크(Engelbert Humperdinck), 왕의 아이들(Königskinder),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646쪽.
  • 1897년: 카펠마이스터-연출가(Capellmeister-Regisseure),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669-672쪽.
  • 1897년: 음악 여행 관찰(Musikalische Reisebetrachtungen),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788-793쪽.
  • 1897년: 더 많은 예술!(Mehr Kunst!), 《뉴 레뷔》(Neue Revue), 8권, 2권 (1897년), 409-412쪽.
  • 1897년: 궁정 오페라 - 프리드리히 스메타나(Friedrich Smetana), 달리보르(Dalibor),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지휘하에 비엔나에서의 초연, 《뉴 레뷔》(Neue Revue), 8권, 2권 (1897년), 448쪽 이하.
  • 1897년: 비엔나 극장 -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 라 보엠(La Boheme), 비엔나에서의 초연, 《뉴 레뷔》(Neue Revue), 8권, 1권 (1897년), 473쪽 이하.
  • 1897년: 궁정 오페라 극장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 I. Tschaikowsky), 예브게니 오네긴(Eugen Onegin), 비엔나에서의 초연, 《뉴 레뷔》(Neue Revue), 8권, 2권 (1897년), 654쪽 이하.
  • 1897년: 모차르트 르네상스에 대한 한마디(Ein Wort zur Mozartrenaissance), 《뉴 레뷔》(Neue Revue), 8권, 2권 (1897년), 685-688쪽.
  • 1898년: 궁정 오페라 극장 - 리하르트 하우베르거(Richard Heuberger), 발레 '스트루벨페터'(Ballett Struwwelpeter), 《뉴 레뷔》(Neue Revue), 9권, 1권 (1898년), 82쪽.
  • 1898년: 궁정 오페라 극장 - 조르주 비제(Georges Bizet), 쟈밀레(Djamileh),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지휘하에 비엔나에서의 초연, 《뉴 레뷔》(Neue Revue), 9권, 1권 (1898년), 143쪽 이하.
  • 1898년: 궁정 오페라 극장 - 루제로 레온카발로(Ruggiero Leoncavallo), 라 보엠(La Boheme),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지휘하에 비엔나에서의 초연, 《뉴 레뷔》(Neue Revue), 9권, 1권 (1898년), 292쪽.
  • 1898년: 작곡가와 지휘자(Componisten und Dirigenten), 《뉴 레뷔》(Neue Revue), 9권, 1권 (1898년), 349쪽 이하.
  • 1901년: 베토벤 '수정'(Beethoven-'Retouche'), 《비엔나 아벤트포스트》(Wiener Abendpost) (《비엔나 차이퉁》(Wiener Zeitung)의 보충판) (1901년 1월 9일), 6쪽 이하.
  • 1916년: 하인리히 쉔커(Heinrich Schenker)의 베토벤 판본(Heinrich Schenkers Beethoven Ausgaben), 《데어 메르커》(Der Merker), 7권, 3호 (1916년 2월 1일), 81-89쪽.
  • 1923년: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 Seb. Bach): 평균율 클라비어, 1권, 프렐류드 c단조, 《디 무직》(Die Musik), 15권, 9호 (1923년 6월), 641-651쪽. (이후, 《음악의 걸작》(Das Meisterwerk in der Musik), 2권의 기사에 포함됨).
  • 1923년: 원형 선율(Die Urlinie), 《디 무지칸텐 길데》(Die Musikanten Gilde) (1923년 7월 1일), 77-80쪽. (《데어 톤빌레》(Der Tonwille) 1권의 기사 재인쇄).
  • 1925년: 프란츠 슈베르트(Franz Schubert), 《모데르네 벨트》(Moderne Welt) (1925년 12월 1일), 20쪽.
  • 1927년: 베토벤과 그의 후예들(Beethoven und seine Nachfahren), 《본 및 그 주변 지역을 위한 일반 안내》(General-Anzeiger für Bonn und Umgegend) (1927년 3월 26일), 3-4쪽.
  • 1929년: 고전 음악 텍스트의 구제: 비엔나 국립 도서관의 사진 원고 보관소(Eine Rettung der klassichen Musik-Texte: Das Archiv für Photogramme in der National-Bibliothek, Wien), 《데어 쿤스트바르트》(Der Kunstwart), 42권 (1929년 3월), 359-367쪽.
  • 1930년: 잡다한 이야기(Miszellen), 《음악학 저널》(Zeitschrift für Musikwissenschaft), 12권, 7호 (1930년 4월), 446쪽.
  • 1931년: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생각(Gedanken über Kultur, Kunst und Musik), 《데어 쿤스트바르트》(Der Kunstwart), 44권 (1931년 1월), 222-230쪽. (《음악의 걸작》(Das Meisterwerk in der Musik), 1-3권의 "잡다한 이야기" 섹션 재인쇄).
  • 1931년: 모차르트의 분실된 편지와 그의 창작의 비밀(Ein verschollener Brief von Mozart und das Geheimnis seines Schaffens), 《데어 쿤스트바르트》(Der Kunstwart), 44권 (1931년 7월), 660-666쪽.
  • 1932년: 광고 하나와 자기 고발 하나(Eine Anzeige und eine Selbstanzeige), 《데어 쿤스트바르트》(Der Kunstwart), 46권 (1932년 12월), 194-196쪽.
  • 1933년: 음악의 미래는?(Was wird aus der Musik?), 《독일 일반 신문》(Deutsche Allgemeine Zeitung) (1933년 4월 28일).
  • 1933년: 브람스를 추억하며(Erinnerung an Brahms), 《데어 쿤스트바르트》(Der Kunstwart), 46권 (1933년 5월), 475-482쪽.
  • 1934년: 이탈리아 음악과 독일 음악의 차이점에 대하여(Vom Unterschied zwischen der italienischen und der deutschen Musik), 《독일 잡지》(Deutsche Zeitschrift), 47권 (1934년 8월), 700-703쪽.
[27][28]에서 쉔커 이론의 아이디어를 전개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의 쉔커 판에 분석이 덧붙여져 있다는 점에서 쉔커 이론이 연주자를 위한 이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32년에는 『다섯 개의 기본 선표』[29]를 출판했으며, 사후에는 미완성 음악 이론서 『자유 작곡법』[30]이 출판되었다. 쉔커 이론은 미국에서 큰 유행을 불러일으켰고, 1960년대에는 서양 음악 작품 분석 이론의 세계적인 표준이 되었다. 2000년에는 쉔커의 유고를 정리한 『연주의 기법』[31]이 출판되었다.

8. 4. 작곡 목록

두 개의 피아노곡, 작품번호 1. 비엔나: 루트비히 도블링거, n.d. [1892]. 비엔나, 도블링거, 1982년 재인쇄.

  • 1번: 에튀드
  • 2번: 카프리치오

뿔피리(Waldhorn)를 위한 세레나데. 미발표. 루이 사와트와 하인리히 쉔커가 1893년 11월 5일과 1894년 3월 5일 비엔나에서 연주.

판타지, 작품번호 2. 라이프치히: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1898년.

성악과 피아노 반주를 위한 여섯 개의 가곡, 작품번호 3. 라이프치히: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1898년, 1901년.

  • 1번: 숨겨진 재스민(Detlev von Liliencron) (Versteckte Jasminen)
  • 2번: 자장가(Detlev von Liliencron) (Wiegenlied)
  • 3번: 덤불 속의 새(Detlev von Liliencron) (Vogel im Busch)
  • 4번: 여운(Ludwig Jacobowski) (Ausklang)
  • 5번: 홀로(Ludwig Jacobowski) (Allein)
  • 6번: 의상(Wilhelm Müller) (Einkleidung)

다섯 개의 피아노곡, 작품번호 4. 라이프치히: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1898년.

  • 1번: 안단테, C단조
  • 2번: 알레그레토 그라치오소, G장조
  • 3번: 안단테 콘 모토 에 루바토, B♭단조
  • 4번: 알레그레토 포코 아지타토 에 루바토, E♭장조
  • 5번: 콰지 알레그레토, D장조

두 성부를 위한 인벤션, 작품번호 5. 라이프치히: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1898년, 1901년.

  • 1번: 알레그로 아마빌레, G장조
  • 2번: 콘 모토 아파시오나토 에 콘 몰토 센티멘토, F♯단조
  • 3번: 비바체, 콰지 프레스토, D단조
  • 4번: 알레그로 데치소, A장조

혼성합창을 위한 세 개의 무반주 합창곡, 작품번호 7

  • 3번: 지나가는 것((Johanna Ambrosius)) ''51개의 혼성합창곡 모음집(무반주)(Sammlung von 51 gemischten Chören (a capella))'' 수록. 비엔나 합창 아카데미(Wiener Singakademie)가 발행, 예술 감독 칼 라피트(Carl Lafite)가 편집 및 일부 편곡. 비엔나: 알베르트 융만(Albert Jungmann)과 C. 레르히(C. Lerch), [1903]

란들러, 작품번호 10. 베를린: N. 심록(N. Simrock), 1899년.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시리아 춤곡. 비엔나: 요제프 바인베르거, [n.d., 작곡 1899년]. 아놀드 쇤베르크가 1903년 관현악 편곡 (소실). F. 부조니(F. Busoni) 지휘 하에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1903년 11월 5일 초연. 모리츠 바이올린(Moriz Violin)의 또 다른 관현악 편곡은 오스왈드 요나스 컬렉션에 보존되어 있다.

  • 1집
  • 1번: 안단테 에스프레시보, 알레그로 스케르찬도, D단조
  • 2번: 알레그로 콘 후오코, C단조
  • 2집
  • 1번: 알레그레토, G단조
  • 2번: 알레그로 몰토 파시오나토, D장조

오스왈드 요나스 컬렉션에는 500페이지가 넘는 악보가 보존되어 있으며, 비엔나 국립도서관에는 일부 미발표 합창곡이 소장되어 있다.[26][27][28][29][30][31]

참조

[1] 백과사전 Schenker, Heinrich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Obscure Musicology Journal Sparks Battles Over Race and Free Speech https://www.nytimes.[...] 2021-07-21
[3] 잡지 Black Scholars Confront White Supremacy in Classical Music https://www.newyorke[...] 2021-07-21
[4] 문서 Schenker's Birth and Place of Birth Disputes
[5] 웹사이트 JRI-Poland database http://www.jewishgen[...] 2012-08-18
[6] 문서 Documents in Oswald Jonas Memorial Colle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7] 웹사이트 JRI-Poland database http://www.jewishgen[...] 2012-08-18
[8] 서적 The Memoirs of Carl Flesch MacMillan
[9] 서적 Harmon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Harmonielehre Cotta
[11] 서적 Counterpoint Schirmer
[12] 문서 Schenker's Diary Entry on Ludwig's Death 1915-03-14
[13] 서적 Vorüber Op. 7, no. 3 Albert Jungmann & C. Lerch
[14] 잡지 Musikalisches Wochenblatt
[15] 문서 Hans Bischoff's Work with Bach Gesellschaft Edition
[16] 이메일 http://lists.society[...] 2012-11-15
[17] 이메일 http://lists.society[...] 2012-11-17
[18] 웹사이트 Jeanette Schenker http://schenkerdocum[...]
[19] 서적 Ideologie und Methode : zum ideengeschichtlichen Kontext von Schenkers Musiktheorie 1995
[20] 학술지 The Americanization of Heinrich Schenker 1986
[21] 학술지 Elephants, Crocodiles, and Beethoven: Schenker's Politics and the Pedagogy of Schenkerian Analysis https://www.jstor.or[...] 2001
[22] 서적 The Schenker project : culture, race, and music theory in fin-de-siècle Vienn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3] 학술지 A Preliminary Response to Ewell https://bloximages.n[...]
[24] 웹사이트 Is Music Theory Really #SoWhite https://johnmcwhorte[...]
[25] 학술지 Lives in Musicology: My Life in Writings
[26] 학술지 The Published Music of Heinrich Schenker: An Historical-Archival Introduction
[27] 서적 Der Tonwille Georg Olms Verlag
[28] 서적 Das Meisterwerk in der Musik Georg Olms Verlag
[29] 서적 Fünf Urlinie-Tafeln Universal Edition
[30] 서적 Der freie Satz Universal Edition
[31] 서적 The art of perfor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SchenkerGUIDE
[33] 웹사이트 JRI-Poland database http://www.jewishgen[...] 2012-08-18
[34] 잡지 Musikalisches Wochenblat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