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엘 하이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엘 하이든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이다. 빈 슈테판 대성당 합창단에서 소년 소프라노로 활동했으며, 헝가리와 잘츠부르크에서 궁정 악장으로 44년간 활동하며 교회 음악과 기악곡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교류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모차르트가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 주요 제자로는 카를 마리아 폰 베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프리드리히 질허
    프리드리히 질허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로, 튀빙겐 대학교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합창 운동에 기여했고 독일 및 국제 민요 편곡을 통해 합창 음악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와인 품종과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요제프 하이든 - 루트비히 판 베토벤
    베토벤은 독일의 작곡가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을 연결하는 중요한 인물이며,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현악 사중주곡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고 청력 상실에도 불구하고 창작 활동을 지속했다.
  • 요제프 하이든 - 니콜라우스 에스테르하지
    니콜라우스 에스테르하지는 18세기의 오스트리아 귀족으로, 군인으로서 명성을 떨치고 예술을 후원하며 헝가리에 에스테르하지 궁전을 건설하고 요제프 하이든을 후원했다.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음악가 - 하인리히 쉔커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인 하인리히 쉔커는 빈에서 음악을 공부하고 독자적인 음악 이론을 정립하여 서구 음악 분석의 표준 이론인 쉔커 이론을 확립했지만, 그의 인종에 대한 견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음악가 - 안드레아스 오텐자머
    안드레아스 오텐자머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클라리넷 연주자이며, 빈 국립 오페라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고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클라리넷 연주자로 활동하며, 클라리넷 트리오 The Clarinotts를 결성하고 도이치 그라모폰과 음반 계약을 체결했다.
미하엘 하이든
기본 정보
본명요한 미하엘 하이든
출생1737년 9월 14일
사망1806년 8월 10일
사망 장소잘츠부르크
출신지로라우
음악 경력
장르고전파
직업작곡가
활동 기간1757년 - 1806년

2. 생애

미하엘 하이든은 1737년 헝가리 국경 근처의 오스트리아 로라우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티아스 하이든으로 마을 시장과 유사한 직책인 "Marktrichter"를 역임했다. 어머니는 이전에 로라우의 주재 귀족인 하르라흐 백작의 궁전에서 요리사로 일했다. 마티아스는 열정적인 민속 음악가로서 숙련공 시절 스스로 하프 연주를 배웠고 자녀들에게도 노래를 가르쳤다.

미하엘은 8세에 으로 갔고, 형 요제프 하이든의 도움으로 요한 게오르크 로이터의 지휘 하에 슈테판 대성당 합창단에서 보이 소프라노로 활동했다. 12세 때 오르간 연주자로 추가 수입을 얻었고, 자신이 작곡한 전주곡과 환상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1753년경, 변성기로 인해 합창단을 떠났다.

1760년, 미하엘은 Großwardein카펠마이스터가 되었고, 1762년에는 잘츠부르크의 악장[19]으로 임명되어 44년간 머물며 360편 이상의 교회 및 기악곡을 작곡했다. 잘츠부르크에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교류하며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받았다.

1768년 8월 17일, 가수 마리아 막달레나 립과 결혼했으나, 외동딸 알로이시아 요제파는 1771년 1월 27일 첫돌 직전에 사망했다.

요제프 하이든은 미하엘의 종교 작품이 자신의 작품보다 우월하다고 평가했다. 1802년, 미하엘은 에스테르하지와 투스카니 대공으로부터 좋은 직위를 제안받았지만, 에 있는 요제프에게 조언을 구하고 잘츠부르크에 남기로 결정했다.[20]

이후 안톤 디아벨리, 카를 마리아 폰 베버 등을 가르쳤으며, 68세의 나이로 잘츠부르크에서 사망했다.

그의 생애 관련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737년출생
1745년8세에 빈으로 감
1753년경변성기로 합창단 탈퇴
1760년Großwardein카펠마이스터 임명
1762년잘츠부르크 악장 임명[19]
1768년마리아 막달레나 립과 결혼
1770년딸 알로이시아 요제파 출생
1771년딸 알로이시아 요제파 사망
1802년에스테르하지와 투스카니 대공의 직위 제안 거절[20]
1806년68세로 사망


2. 1. 출생과 초기 경력

미하엘 하이든은 1737년 오스트리아 로라우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티아스 하이든으로 마을 촌장과 비슷한 "마르크트리히터"를 역임한 바퀴 제작자였고, 어머니는 하르라흐 백작 가문에서 요리사로 일했다.[19] 아버지는 열정적인 민속 음악가로 직인 시절 하프 연주를 독학했고 자녀들에게 노래를 가르쳤다.

미하엘은 8세에 으로 갔고, 형 요제프 하이든의 도움으로 빈 슈테판 대성당 합창단에 소년 소프라노로 입단했다.[1] 12세에 그는 대성당에서 임시 오르간 연주자로 추가 수입을 올렸고, 자신이 작곡한 전주곡과 환상곡을 연주했다고 한다. 1753년경, 변성기로 인해 합창단을 떠났다.

2. 2. 음악 활동

1757년(20세)에 미하엘 하이든은 헝가리 왕국의 그로스바르데인(Großwardein, 현재의 오라데아) 주교의 악장이 되었다.[2] 1762년(26세)에는 잘츠부르크 대주교의 궁정 악장으로 취임하여 44년간 활동하며 교회 음악과 기악 음악 등 360곡 이상을 작곡했다.[2]

1768년 8월 17일, 그는 가수 마리아 막달레나 립과 결혼했다.[3] 1771년(34세)에는 지기스문트 대주교의 사망에 즈음하여 『레퀴엠 다단조(MH 155)를 작곡했다.

1777년(40세)에 성 삼위일체 교회의 오르가니스트가 되었고,[4] 1781년(44세)에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후임으로 궁정 및 대성당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5]

1800년(63세)에는 나폴레옹 전쟁으로 잘츠부르크가 프랑스군에 점령당하면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형 요제프 하이든과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도움을 받았다.[5]

1804년(67세)에는 스웨덴 왕립 음악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추천되었다.[5] 그는 1806년(69세) 8월 10일 잘츠부르크에서 사망했다.[5]

2. 3. 주요 제자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미하엘 하이든의 가장 유명한 제자이다.[20] 안톤 디아벨리 또한 그의 제자로, 미하엘 하이든을 위한 장송 행진곡을 작곡했다.

3. 작품 목록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은 찰스 H. 셔먼(Charles H. Sherman)과 T. 돈리 토마스(T. Donley Thomas)의 "MH 번호"와 로타 페르거(Lothar Perger)의 "P 번호"[11]로 분류된다.

미하엘 하이든은 자신의 작품 목록을 직접 작성하거나 감독하지 않았다. 1808년 니콜라우스 랑이 그의 '전기적 스케치'를 위해 최초의 목록을 작성했다. 1907년 로타르 페르거는 관현악 작품 목록인 Perger-Verzeichnis를 ''Denkmäler der Tonkunst in Österreich''를 위해 편집하여, 하이든의 많은 기악 작품에 P.(페르거) 번호를 부여했다. 1915년 안톤 마리아 클라프스키는 미하엘의 종교 성악 음악에 대해 유사한 작업을 수행했다. 1982년 찰스 H. 셔먼은 그의 교향곡 악보를 편집하면서 연대기 목록을 출판했고, 일부 음반 회사에서 이를 채택했다. 1991년 셔먼과 T. 돈리 토마스는 모차르트슈베르트의 작품 목록을 참고하여 미하엘 하이든의 모든 작품에 대한 연대기 목록을 출판했다.[7] 미하엘의 음악 목록 작성은 그가 자필 악보에 완성 날짜를 기입했기 때문에 수월했다.[8]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40여 곡의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그리고 다수의 종교 음악이 있다. 특히 종교 합창 작품은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9]

3. 1. 기악곡

미하엘 하이든은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기악곡을 작곡했다. 그의 기악 작품들은 훌륭한 수준으로 평가받으며, 카를 가이린거는 그의 작품들이 후세에 마땅한 인정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6]

미하엘 하이든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주제별 목록을 직접 작성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음악학자들에 의해 그의 작품 목록이 정리되었다. 1808년 니콜라우스 랑이 초기 목록을 작성했으며, 1907년 로타르 페르거는 관현악 작품 목록인 Perger-Verzeichnis를 편집하여 하이든의 기악 작품에 P.(페르거) 번호를 부여했다.[7] 1982년 찰스 H. 셔먼은 교향곡들의 연대기 목록을 출판했고, 1991년에는 셔먼과 T. 돈리 토마스가 모차르트슈베르트의 작품 목록을 참고하여 미하엘 하이든의 모든 작품에 대한 연대기 목록을 출판했다.[7] 그의 작품 목록 작성은 자필 악보에 완성 날짜를 기입한 덕분에 수월하게 이루어졌다.[8]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 중에는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오인되었던 교향곡 25번이 있다. 이 곡은 모차르트가 첫 악장의 느린 서주 부분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이다.

잘츠부르크의 성 페터 교회와 미하엘 하이든 도서관 입구

3. 1. 1. 교향곡

미하엘 하이든은 41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그의 교향곡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조성MHP작곡 연도비고
1다장조MH 23P 351758년?
1A라장조MH 241758년?
1B바장조MH 251758년?
1C내림마장조MH 35P 11760년파르티타
2다장조MH 37P 21761년
3사장조MH 261763년디베르티멘토
4내림나장조MH 50P 511763년
5가장조MH 63P 31763년
6다장조MH 64P 41764년
7가장조MH 65P 51764년
8라장조MH 69P 381764년
9라장조MH 50P 361760년?
10바장조MH 51P 451764년?
11내림나장조MH 82P 91766년
12사장조MH 108P 71768년
13라장조MH 132P 371768년?
14라장조MH 133P 521771년
15라장조MH 150P 411771년
16가장조MH 152P 61771년
17마장조MH 151P 441771년?
18다장조MH 188P 101773년
19라장조MH 198P 111774년
20다장조MH 252P 121777년
21라장조MH 272P 421778년
22바장조MH 284P 14
23라장조MH 287P 43
24가장조MH 302P 15
25사장조MH 334P 161783년모차르트교향곡 37번으로 오인되기도 했다.
26내림마장조MH 340P 171783년
27내림나장조MH 358P 181784년
28다장조MH 384P 191784년
29라단조MH 393P 201784년
30라장조MH 399P 211785년
31바장조MH 405P 221785년
32라장조MH 420P 231786년
33내림나장조MH 425P 24/821786년
34내림마장조MH 473P 261788년
35사장조MH 474P 271788년
36내림나장조MH 475P 281788년
37라장조MH 476P 291788년
38바장조MH 477P 301788년
39다장조MH 478P 311788년
40바장조MH 507P 321789년
41가장조MH 508P 331789년
바장조MH 118aP 46



미하엘 하이든의 음악 목록 작성은 그가 거의 항상 자필 악보에 완성 날짜를 기입했기 때문에 수월했다.[8]

3. 1. 2. 협주곡


  • 오르간비올라를 위한 협주곡 다장조 MH 41, P 55
  • 플루트 협주곡 1번 라장조 MH 81, P 54
  • 플루트 협주곡 2번 라장조 MH 105, P 56
  • 호른 협주곡 라장조 MH 53
  • 호른 협주곡 라장조 MH 134, P 134
  • 트럼펫 협주곡 1번 라장조 MH 104

: 당시 작품에서는 이례적인 실음 "3점 라"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트럼펫 협주곡 2번 다장조 MH 60
  • 바이올린 협주곡 내림 나장조 MH 36, P 53
  • 바이올린 협주곡 사장조 MH 52
  • 바이올린 협주곡 가장조 MH 207

3. 1. 3. 실내악

미하엘 하이든은 실내악곡을 다수 작곡했다. 대표적으로 한때 그의 형 요제프 하이든의 작품으로 여겨졌던 C장조 현악 5중주가 있다.[6]

  • 현악 사중주
  • 현악 사중주 가 장조 MH 299, P 121
  • 현악 사중주 가 장조 MH 310, P 122
  • 현악 사중주 내림 나 장조 MH 209, P 123
  • 현악 사중주 내림 나 장조 MH 308, P 124
  • 현악 사중주 내림 나 장조 MH 316, P 125
  • 현악 사중주 다 장조 MH 313, P 116
  • 현악 사중주 라 장조 MH 314
  • 현악 사중주 내림 마 장조 MH 309, P 118
  • 현악 사중주 바 장조 MH 312, P 119
  • 현악 사중주 사 장조 MH 173a
  • 현악 사중주 사 장조 MH 315
  • 현악 사중주 사 장조 MH 172, P 104
  • 현악 사중주 사 장조 MH 174, P 135
  • 현악 사중주 사 단조 MH 311, P 120

  • 현악 오중주
  • 현악 오중주 내림 나 장조 MH 412, P 105
  • 현악 오중주 다 장조 MH 187, P 108
  • 현악 오중주 바 장조 MH 367, P 110
  • 현악 오중주 바 장조 MH 411, P 112
  • 현악 오중주 사 장조 MH 189, P 109

  • 이중주
  •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주 다 장조 MH 335, P 127
  •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주 라 장조 MH 336, P 128
  •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주 마 장조 MH 337, P 129
  •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주 바 장조 MH 338, P 130

  • 플루트 사중주 라 장조 P 117
  • 디베르티멘토 사 장조 MH 406, P 94 (1785년)


미하엘 하이든은 잘츠부르크 대주교로부터 6곡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이중주를 위촉받았으나, 4곡을 완성하고 병에 걸렸다. 모차르트는 미하엘 하이든의 양식을 따라 나머지 2곡을 작곡하여 그의 임무를 완수하도록 도왔다.

3. 2. 종교 음악

미하엘 하이든의 종교 합창 작품은 일반적으로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그의 음악적 취향과 기술은 그의 교회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났으며, 이는 이미 그의 생전에도 높이 평가받았다.[9]

주요 종교 음악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작품명작곡 연도비고
MH 155레퀴엠 다단조[9]1771년모차르트레퀴엠에 큰 영향을 줌.[9]
MH 559레퀴엠 다단조1792~1795년종래에는 미하엘 하이든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나, 후에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게오르크 파스테르비츠|Georg Pasterwizde(1730년 - 1803년)의 작품임이 밝혀졌다.
MH 838레퀴엠 내림 나 장조1806년미완성, 군터 크로네커에 의한 보필판이 있음.
MH 829테 데움 라 장조1803년모차르트의 K. 141에 영향.[9]



이 외에도 스톡홀름에서 외교 증명서와 교환한 ''Missa Hispanica''(스페인 미사), 웅장한 마지막 D단조 성 프란시스 미사, 그의 장례식에서 불려지기를 원했던 모테트 ''Lauda Sion'', 안톤 디아벨리의 ''Ecclesiasticon''에 42곡이 재수록된 일련의 그라두알(Gradual) 등이 있다. 그는 프란츠 세라프 폰 콜브레너의 독일어 미사 통상문을 여러 곡 작곡했는데, 이를 ''Deutsches Hochamt''(독일 고등 미사)라고 명명했다.

3. 3. 극음악


  • 징슈필 《알프스 목장의 결혼》 MH 107/218 (1768, 1776년)[7]
  • 오페라 《안드로메다와 페르세우스》 MH 438 (1787년)[7]
  • 징슈필 《티투스, 불굴의 기독교도》 (1774년, 소실)[7]
  • 극 부수 음악 《자이르》 MH 255, P 13 (1777년)[7]

4. 모차르트와의 관계

미하엘 하이든은 잘츠부르크에서 모차르트와 교류하였으며, 서로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2]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하이든의 과음을 비판하기도 했다.[3] 모차르트는 미하엘 하이든의 교향곡 25번에 서주를 추가하여 자신의 연주회에서 사용하기도 했고, 미하엘 하이든이 병으로 완성하지 못한 6곡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이중주 중 2곡을 모차르트가 대신 작곡해주기도 했다.

5. 한국과의 관계

미하엘 하이든이 1770년에 작곡하여 대학 졸업식에서 상연된 라틴어 학생극 『기독교인의 굳건함 (''Pietas christiana'')』(Florian Reichssiegel|플로리안 라이히스지겔de)은 일본 전국 시대의 인물인 고야마 우콘을 주제로 한다.[12][13][14][16][17] 1774년에 독일어로 번역되어 『티투스, 불굴의 기독교인 (''Titus, der standhafte Christ'')』이라는 제목으로 상연되었다. 현존하는 두 개의 합창곡은 "Cantate Domino laeta pueri cantica"와 "Sicut servus ad fluenta crusitat"이다. 모차르트의 『해방된 베툴리아』(1771, K.118)의 최종곡 합창곡은 "Cantate Domino laeta pueri cantica"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18]

6. 평가

미하엘 하이든의 종교 합창 작품은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음악적 취향과 기술은 교회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당대에는 구식으로 여겨지기도 했다.[9] 이러한 작품에는 C단조의 ''Requiem pro defuncto Archiepiscopo Sigismundo''(지그문트 대주교의 죽음을 위한 레퀴엠)이 있는데, 이는 모차르트의 ''레퀴엠''에 큰 영향을 미쳤다.[9] 또한 스톡홀름에서 외교 증명서와 교환한 ''Missa Hispanica''(스페인 미사), D단조 성 프란시스 미사, 그의 장례식에서 불려지기를 원했던 모테트 ''Lauda Sion'', 그리고 안톤 디아벨리의 ''Ecclesiasticon''에 42곡이 재수록된 그라두알(Gradual) 등이 있다.[9] 그는 프란츠 세라프 폰 콜브레너의 독일어 미사 통상문을 여러 곡 작곡했는데, 이를 ''Deutsches Hochamt''(독일 고등 미사)라고 명명했다.[9]

음악학자 카를 가이린거는 미하엘 하이든이 후세에 마땅한 인정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그의 교회 음악, 남성 합창을 위한 합창곡, 그리고 많은 기악 작품들이 훌륭한 수준이며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6]

미하엘 하이든은 세속 음악도 다작했는데, 41개의 교향곡과 관악 파르티타, 여러 개의 협주곡실내악을 작곡했다. 예를 들어 C장조 현악 5중주는 한때 그의 형 요제프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미하엘 하이든의 교향곡 25번은 오랫동안 모차르트의 교향곡 37번(K. 444)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첫 악장의 시작 부분이 모차르트의 필체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모차르트가 첫 악장의 느린 서주 부분만 작곡하고 나머지 부분은 미하엘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미하엘 하이든의 여러 작품은 모차르트에게 영향을 미쳤다. 테 데움은 볼프강이 K. 141에서 매우 근접하게 따랐고,[9] 교향곡 23번의 피날레는 G장조 사중주 K. 387의 피날레에 영향을 미쳤다.[9] 또한 미하엘의 교향곡 28번(1784)과 모차르트의 마지막 교향곡 41번(''주피터'') (1788)의 피날레는 모두 G장조 제2 주제 제시부의 (푸가) 전환과 (비 푸가) 종결 테마이며, 둘 다 C장조이다.

참조

[1] 논문 Mostly unknown 1982-08
[2] 웹사이트 Michael Haydn | German musician https://www.britanni[...] 2023-08-06
[3] 서적
[4] 서적
[5] 서적 The Collected Correspondence and London Notebooks of Joseph Haydn Essential Books
[6] 논문 Review of Michael Haydn 1952-09
[7] 학위논문 "Michael Haydn and the 'Haydn Tradition': A Study of Attribution, Chronology and Source Transmission" New York University 2004
[8] 서적 The Symphonies of Joseph Haydn Universal Edition & Rockliff
[9] 논문 Review of ''Michael Haydn: Ein Vergessener Meister'' by Hans Jancik Oxford University Press 1953-04
[10] 학위논문 "Michael Haydn and the 'Haydn Tradition': A Study of Attribution, Chronology and Source Transmission" New York University 2004
[11] 문서
[12] 웹사이트 Werklist(07,03,2010)Michael Haydn http://www.euro-oper[...] Euro-Opera
[13] 웹사이트 Opera Composers: H http://opera.stanfor[...] OperaGlass
[14] 간행물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Volume 11 http://www.academia.[...] 2001
[15] 문서
[16] 블로그 ヨーロッパで「髙山右近」を主人公にした劇上演! https://ameblo.jp/uk[...] 高山右近研究室のブログ
[17] 서적 M・ハイドンの高山右近劇《キリスト教徒のゆるぎなさ》―日本が促した再発見 http://mozart.music.[...] 2018-02-04
[18] 서적 Quinto Seminario di Filologia Musicale: Mozart 2006 ETS
[19] 웹인용 Michael Haydn | German musician https://www.britanni[...]
[20] 서적 The Collected Correspondence and London Notebooks of Joseph Haydn Essential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