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퍼드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트퍼드 회의는 1814년 12월 미국 북동부의 연방주의자들이 모여 미영 전쟁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헌법 개정을 논의한 회의이다. 영국과의 관계 악화, 미영 전쟁 발발로 인한 뉴잉글랜드 지역의 경제적 어려움과 연방 정부에 대한 불만이 배경이 되었다.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뉴햄프셔, 버몬트 등 뉴잉글랜드 5개 주에서 26명의 대표가 참석했으며, 회의에서는 헌법 개정안을 통해 연방 정부의 권한 축소와 뉴잉글랜드의 이익 보호를 주장했다. 그러나 회의 결과는 겐트 조약 체결과 뉴올리언스 전투 승리로 인해 무의미해졌고, 연방당의 몰락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5년 회의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하트퍼드 회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하트퍼드 회의 |
영어 명칭 | Hartford Convention |
시기 | 1814년 12월 15일 ~ 1815년 1월 5일 |
장소 | 미국 코네티컷주 하트퍼드 |
목표 | 1812년 전쟁에 대한 뉴잉글랜드의 불만 논의 연방 정부와의 관계 재고 |
결과 | 수정 헌법 제안 전쟁 종결과 함께 회의의 영향력 감소 |
배경 | |
원인 | 1812년 전쟁으로 인한 뉴잉글랜드의 경제적 어려움 연방 정부의 무역 정책에 대한 불만 남부 주들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우려 |
참가자 | |
소속 정당 | 연방당 |
대표적인 참가자 | 조지 캐벗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 나단 데인 |
논의 내용 | |
주요 내용 | 전쟁 종결을 위한 협상 요구 수정 헌법 제안 (대통령 임기 제한, 무역 제한 조치에 대한 주 정부의 권한 강화 등) |
수정 헌법 제안 | 외국 태생의 시민이 공직을 맡는 것 금지 대통령의 임기를 1기로 제한 버지니아 출신 대통령이 2번 연속으로 선출되는 것 금지 전쟁 선포, 새로운 주 가입, 무역 제한 법안에 대한 의회의 동의 요건 강화 (3분의 2 찬성) 주 방위군의 동원 제한 |
영향 | |
정치적 영향 | 연방당의 몰락 가속화 "반역적"이라는 오명으로 인해 정치적 입지 약화 |
역사적 평가 | 전쟁에 대한 반대와 지역주의적 이익 추구로 비판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촉발 |
2. 배경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 대통령 시절, 미국은 영국과 활발히 무역했지만 프랑스와는 선전 포고 없는 전쟁 상태였다.[27]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취임 후 나폴레옹 전쟁이 재개되면서 영국, 프랑스와의 관계가 모두 악화되었다.[27] 제퍼슨은 자유 무역을 확대하려 했으나, 영국을 압박하기 위해 1807년 금수 조치법, 1809년 통상 금지법 등 해외 무역 규제 정책을 폈다.[1] 이는 북동부 상인과 해운업자들에게 큰 불만을 샀고,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민주공화당이 장악한 의회에서 제퍼슨의 정책을 계승했다.[9]
1812년 대선에서 매디슨이 재선되자 뉴잉글랜드 지역의 반발이 거세졌다. 1813년 말, 매디슨은 토머스 제퍼슨이 승인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통상금지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미국 항구 간 교역(연안 무역)과 어업까지 금지하는 것이었다.[28] 1814년 여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자 영국은 북미에 전력을 집중, 미국 동해안을 봉쇄했다. 7월에는 메인 지역(당시 매사추세츠의 일부)이 점령되었고, 8월에는 백악관과 수도가 방화되었으며, 9월에는 영국군이 메인에서 더 진격하여 뉴욕 챔플레인 호 지역을 위협했다. 보스턴에 대한 해상 공격도 예측되었다. 자유 무역이 불가능해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8월경에는 은행도 지불을 중지했다. 연방 정부는 파산 직전이었다.[29]
뉴잉글랜드 각 주는 연방 정부의 전쟁 수행에 소극적이었다. 뉴햄프셔주의 존 테일러 길먼 주지사를 제외하고는 주 민병대 출동 요청 대부분을 거부했다. 뉴잉글랜드 주민들은 영국군 공격으로부터 해안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민병대를 조직해야 했고, 이들은 뉴잉글랜드 이외 지역 배치나 정규군 편입을 꺼렸다. 윈필드 스콧 장군은 전후 뉴잉글랜드에서 정규군 임관 시 매디슨이 연방당원을 무시하는 정책을 취했다고 비난했다. 당시 연방당원은 뉴잉글랜드의 가장 교양 있는 계층이었다.[30]
매사추세츠에서는 반전 정서가 강해 민주공화당 주지사 후보 새뮤얼 덱스터조차 당의 상업 정책에 반대했다. 연방당은 1814년 선거에서 대승, 케일럽 스트롱을 주지사로 복귀시켰고, 주의회 하원은 360석을 확보하여 민주공화당(156석)을 압도했다. 9월, 케일럽 주지사는 메인 지역 탈환을 위한 5,000명 파병 요청을 거부했다.[31]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이 국방부 명령에 불응, 민병대를 파병하지 않자 매디슨은 유지 비용 지불을 거부했다. 비평가들은 매디슨이 공동의 적에 대해 뉴잉글랜드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매사추세츠 주의회는 주 병력 10,000명 유지를 위해 100만달러를 책정했다.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는 동부 주들에게 하트퍼드 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1804년 초, 일부 연방당원은 중앙 정부 압박이 강해지면 연방 탈퇴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2]
1814년 9월 말, 매디슨은 의회에 징병제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연방당은 이를 민주공화당이 전국에 군사 독재를 하려는 의도로 간주했다. 뉴욕의 토마스 그로스베너는 민주공화당 행정부가 나라를 "수비를 해제하고, 알몸으로 피바다 속에 수영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33]
1787년 필라델피아 제헌 회의에서 결정된 5분의 3 타협은 하원 의원 및 대통령 선거인 수 할당, 연방세 부과 시 노예 인구의 5분의 3을 주의 인구에 포함시키는 조항이었다.[15] 뉴잉글랜드에서는 이 타협에 반대했지만, 대부분 미국 헌법 제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여겼다. 그러나 1800년 제퍼슨 대통령 당선, 루이지애나 매입 추진으로 연방당원들은 국가가 남서쪽으로 확장, 노예주가 증가할 것을 우려했다.[15] 1804년 매사추세츠주와 코네티컷주 의회는 '연방 비율' 철폐를 요구했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제퍼슨은 코네티컷주를 제외한 뉴잉글랜드 전역에서 승리했다. 미영 전쟁 발발 후인 1812년, 연방당은 제퍼슨과 매디슨이 노예 인구를 고려한 연방 비율 덕에 선거에서 유리했고, 민주공화당의 무역 정책이 농업과 상업 간 이익 균형을 깨뜨린다고 비판했다.[15] 역사학자 숀 윌렌츠는 연방당의 반전론과 노예 제도에 대한 인도적 반대를 연결 짓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뉴잉글랜드의 정치력 확보 전략이었다고 평가한다.[15]
1814년부터 1815년까지 뉴잉글랜드에서 연방 탈퇴 논의가 다시 불거졌다. 거의 모든 주요 연방당 신문은 서부 주들을 연방에서 몰아내는 계획을 지지했다.[5][2]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는 연방 세관 및 기금 압류, 중립 선언 등 과격한 제안을 막으려 했다. 그는 매디슨 행정부가 붕괴 직전이며, 보수 세력이 정권을 잡지 않으면 과격한 분리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오티스는 매사추세츠 주지사 스트롱이 영국과 별도 평화 협상 추진을 위해 비밀 임무를 보냈다는 사실을 몰랐다.[5][19] 역사학자들은 뉴잉글랜드 연방주의자들이 실제 연방 탈퇴를 진지하게 고려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주, 특히 코네티컷은 서부 토지 영유권을 주장, 연방 탈퇴 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았다. 존 로웰 주니어, 티모시 피커링, 조시아 퀸시 등 연방 탈퇴를 주장했을 가능성이 있는 과격파들은 대표 선출 과정에서 배제되었고, 회의 최종 보고서에는 연방 탈퇴 제안이 없었다.[4][20]
2. 1. 영국 및 프랑스와의 관계 악화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 대통령 시절에는 영국과 활발한 무역을 지속했지만, 프랑스와는 선전 포고 없는 전쟁 상태에 있었다.[27]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취임 후 나폴레옹 전쟁이 재개되면서 영국, 프랑스와의 관계가 모두 악화되었다.[27] 제퍼슨은 자유 무역 확대를 목표로 했으나, 영국을 압박하기 위해 1807년 금수 조치법, 1809년 통상 금지법 등 해외 무역 규제 정책을 채택했다.[1] 이러한 정책은 북동부 상인과 해운업자들에게 큰 불만을 샀으며, 제퍼슨의 후계자인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민주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퍼슨의 정책을 계승했다.[9]2. 2. 미영 전쟁 발발과 뉴잉글랜드의 반발
1812년 대선에서 제임스 매디슨이 재선되면서 뉴잉글랜드 지역의 반발이 거세졌다. 1813년 말, 매디슨은 토머스 제퍼슨이 승인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통상금지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미국 항구 간의 교역(연안 무역)과 어업까지 금지하는 것이었다.[28]1814년 여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자 영국은 북미 지역에 전력을 집중하여 미국 동해안을 봉쇄했다. 7월에는 메인 지역(당시 매사추세츠의 일부)이 점령되었고, 8월에는 백악관과 수도가 방화되었으며, 9월에는 영국군이 메인에서 더 진격하여 뉴욕의 챔플레인 호 지역을 위협했다. 보스턴에 대한 해상 공격도 예측되었다. 세계 다른 지역과의 자유 무역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8월경에는 은행도 지불을 중지했다. 연방 정부는 파산 직전이었다.[29]
뉴잉글랜드 각 주는 연방 정부의 전쟁 수행에 소극적으로 협력했다. 뉴햄프셔주의 존 테일러 길먼 주지사를 제외하고는 주 민병대 출동 요청 대부분을 거부했다. 뉴잉글랜드 주민들은 영국군의 공격으로부터 해안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민병대를 조직해야 했고, 이들은 뉴잉글랜드 이외 지역에 배치되거나 정규군 아래에 놓이는 것을 꺼렸다. 윈필드 스콧 장군은 전후 뉴잉글랜드에서 정규군에 임관할 때 매디슨이 연방당원을 무시하는 정책을 취한 것을 비난했다. 당시 연방당원은 뉴잉글랜드의 가장 교양 있는 계층이었다.[30]
매사추세츠에서는 반전 정서가 강해 민주공화당 주지사 후보인 새뮤얼 덱스터조차 당의 상업 정책에 반대했다. 연방당은 1814년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어 케일럽 스트롱을 주지사로 복귀시켰고, 주의회 하원은 360석을 확보하여 민주공화당(156석)을 압도했다. 9월, 케일럽 주지사는 메인 지역 탈환을 위해 요청된 5,000명의 부대 파병을 거부했다.[31]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이 국방부의 명령에 불응하여 민병대를 파병하지 않자, 매디슨은 그 유지 비용 지불을 거부했다. 그 결과, 비평가들은 매디슨이 공동의 적에 대해 뉴잉글랜드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매사추세츠 주의회는 주 병력 10,000명 유지를 위해 100만달러를 책정했다. 이 정책을 제안했던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가 동부 주들에게 하트퍼드에서 회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1804년 초, 일부 연방당원은 중앙 정부가 강하게 압박할 경우 연방에서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2]
1814년 9월 말, 매디슨은 의회에 징병제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연방당은 이 시도를 민주공화당이 전국에 군사 독재를 하려는 의도가 있는 증거라고 간주했다. 뉴욕의 토마스 그로스베너는 민주공화당 행정부가 나라를 "수비를 해제하고, 알몸으로 피바다 속에 수영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33]
2. 3. 3/5 타협 문제
1787년 필라델피아 제헌 회의에서 결정된 5분의 3 타협은 하원 의원 정수 및 대통령 선거인 수를 주에 할당하고 연방세를 부과할 때, 노예 인구의 5분의 3을 주의 인구에 포함시키는 조항이었다.[15] 뉴잉글랜드에서는 이 타협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부분 미국 헌법 제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여겼다. 그러나 1800년 제퍼슨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루이지애나 매입을 추진하면서, 연방당원들은 국가가 남서쪽으로 확장되어 노예주가 증가할 것을 우려했다.[15]1804년 매사추세츠주와 코네티컷주 의회는 '연방 비율' 철폐를 요구했지만, 그해 대통령 선거에서 제퍼슨은 코네티컷주를 제외한 뉴잉글랜드 전역에서 승리했다. 이 문제는 미영 전쟁이 발발한 1812년 이후 다시 불거졌다. 연방당은 제퍼슨과 매디슨이 노예 인구를 고려한 연방 비율 덕분에 선거에서 유리했다고 주장하며, 민주공화당의 무역 정책이 농업과 상업 간 이익 균형을 깨뜨린다고 비판했다.[15]
역사학자 숀 윌렌츠는 연방당의 반전론과 노예 제도에 대한 인도적 반대를 연결 짓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뉴잉글랜드의 정치력 확보를 위한 전략이었다고 평가한다.[15]
2. 4. 연방 탈퇴 논의
1814년부터 1815년까지 뉴잉글랜드에서 연방 탈퇴 논의가 다시 불거졌다. 뉴잉글랜드의 거의 모든 주요 연방당 신문은 서부 주들을 연방에서 몰아내는 계획을 지지했다.[5][2] 그러나 하트퍼드 회의의 핵심 지도자인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는 연방 세관 압류, 연방 기금 압류, 중립 선언 등 과격한 제안을 막으려 했다. 그는 매디슨 행정부가 붕괴 직전에 있으며, 자신과 같은 보수 세력이 정권을 잡지 않으면 과격한 분리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오티스는 매사추세츠 주지사 스트롱이 영국과 별도의 평화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비밀 임무를 보냈다는 사실을 몰랐다.[5][19]역사학자들은 뉴잉글랜드 연방주의자들이 실제로 연방 탈퇴를 진지하게 고려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주, 특히 코네티컷은 서부 토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방 탈퇴 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았다. 또한, 존 로웰 주니어, 티모시 피커링, 조시아 퀸시 등 연방 탈퇴를 주장했을 가능성이 있는 과격파들은 대표 선출 과정에서 배제되었으며, 회의 최종 보고서에는 연방 탈퇴 제안이 없었다.[4][20]
3. 회의 소집
1812년 전쟁으로 미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고, 특히 뉴잉글랜드 지역은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다. 1814년 여름, 영국군은 메인 구(District of Maine)를 점령하고 워싱턴 D.C. 방화까지 감행하면서 미국의 위기감은 고조되었다.[1][2]
이러한 상황에서 뉴잉글랜드 주지사들은 연방 정부에 소극적으로 협력했다. 뉴햄프셔 주지사 존 테일러 길먼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지사들은 민병대 소집을 거부했고, 이는 윈필드 스콧 장군의 비판을 받았다.[2] 매사추세츠에서는 반전 여론이 거세어 주지사 선거에서 연방주의자 케일럽 스트롱이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2]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이 민병대 징발을 거부하자,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이들 주의 방위비 지급을 거부했고, 이는 뉴잉글랜드가 연방 정부로부터 버림받았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3] 이에 매사추세츠 주의회는 주 방위를 위해 100만 달러를 책정하고,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의 제안으로 뉴잉글랜드 주들의 회의를 하트퍼드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2]
1814년 10월, 매사추세츠 주지사 스트롱은 주 의회를 소집하고,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를 위원장으로 하는 합동 위원회를 구성했다. 오티스는 보고서를 통해 영국의 침략에 저항하고, 뉴잉글랜드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회의 소집을 제안했다. 매사추세츠 주의회는 이 제안을 승인하고, 다른 뉴잉글랜드 주에 대표 파견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2]
회의 목적은 뉴잉글랜드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헌법 개정안을 제안하고, 연방 정부와 자체 방어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었다.[2]
매사추세츠에서는 조지 캐벗과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를 포함한 12명의 대표가 임명되었다. 코네티컷은 챈시 굿리치와 제임스 힐하우스를 포함한 7명의 대표를, 로드아일랜드는 4명의 대표를 파견했다. 뉴햄프셔는 주의회가 소집되지 않아 주 차원의 대표는 없었으나, 2개 카운티에서 각각 1명의 대표를 파견했다. 버몬트는 대표를 파견하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1개 카운티에서 1명의 대표를 파견하여 총 26명의 대표가 구성되었다.[4]
다음은 하트퍼드 회의에 참석한 대표 명단이다.[6][7]
주 | 대표 |
---|---|
매사추세츠 | 조지 캐벗 |
해리슨 그레이 오티스 | |
네이선 데인 | |
윌리엄 프레스콧 주니어 | |
티모시 비글로우 | |
조슈아 토마스 | |
사무엘 섬너 와일드 | |
조셉 S. 라이먼 | |
스티븐 롱펠로우 주니어 | |
다니엘 월도 | |
호디자 베일리스 | |
조지 블리스 | |
뉴햄프셔 | 벤자민 웨스트 |
밀스 올코트 | |
코네티컷 | 챈시 굿리치 |
존 트레드웰 | |
제임스 힐하우스 | |
제페니아 스위프트 | |
너새니얼 스미스 | |
캘빈 고다드 | |
로저 미노트 셔먼 | |
로드아일랜드 | 다니엘 라이먼 |
사무엘 워드 주니어 | |
에드워드 맨턴 | |
벤자민 해저드 | |
윌리엄 홀 주니어 |
4. 비밀 회의 진행
총 26명의 대표가 이 비밀 회의에 참석했다. 회의록은 전혀 기록되지 않았으며, 회의는 1815년 1월 5일까지 계속되었다. 조지 캐벗을 의장으로, 테오도어 드와이트를 서기로 선출한 후, 이 회의는 3주 동안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캐벗의 회의록은 결국 공개되었을 때, 형식적인 절차에 대한 빈약한 스케치에 불과했다. 그는 찬반 투표를 기록하지 않았고, 다양한 보고서에 대한 수정안을 언급하지 않았으며, 제안서에 작성자의 이름을 첨부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 개별 대표들의 연설이나 투표는 파악할 수 없다.
5. 회의 보고서와 결의안
회의는 참석 대표들이 서명하고 최종 폐회 전날 채택된 보고서와 결의안으로 마무리되었다. 보고서는 뉴잉글랜드가 주권에 대한 위헌 침해에 대해 권한을 주장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이는 1798년 토머스 제퍼슨과 제임스 매디슨의 정책(켄터키 및 버지니아 결의안)을 되풀이하는 교리였으며, 이후 "무효화"로 다른 맥락에서 다시 나타나게 된다.
하트퍼드 회의의 최종 보고서는 미국 헌법에 대한 여러 수정안을 제안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집권 민주공화당의 정책에 대항하려고 했다.
번호 | 내용 |
---|---|
1 | 60일 이상 지속되는 모든 무역 금수 조치를 금지한다. |
2 | 공격적인 전쟁 선포, 신규 주 승인 또는 외국 상업 금지에 대해 3분의 2 의회 다수를 요구한다. |
3 | 남부의 3/5 인구수 대표 이점을 제거한다. |
4 | 미래 대통령의 임기를 1기로 제한한다. |
5 | 각 대통령이 전임자와 다른 주 출신이어야 한다. (이 조항은 1800년 이후 대통령직에서 버지니아 왕조의 지배에 직접적으로 겨냥되었다). |
6. 회의 결과와 영향
민주공화당이 장악한 연방 의회는 뉴잉글랜드가 제안한 비준안을 결코 승인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트퍼드 회의 대표들은 이러한 제안들이 대통령과 의회의 민주공화당을 당황하게 만들고, 뉴잉글랜드와 나머지 국가 간의 협상의 기초가 되도록 의도했다.
일부 대표들은 뉴잉글랜드가 미국에서 탈퇴하여 독립 공화국을 형성하는 것을 지지했을 수도 있지만, 회의에서는 어떠한 해결책도 채택되지 않았다. 역사학자 새뮤얼 엘리엇 모리슨은 하트퍼드 회의가 뉴잉글랜드를 연방에서 탈퇴시키고 영국에 반역적인 원조와 위안을 제공하려는 시도였다는 주장을 거부했다. 모리슨은 "민주당 정치인들은 전쟁의 잘못된 관리와 여전히 강력한 연방당을 불신하기 위해 이 유아적 신화를 어루만지고 먹여 살려서, 엄숙한 부인과 문서 증명 모두를 거부할 정도로 튼튼하고 활기차게 만들었다"고 썼다.[5]
회의 후, 매사추세츠는 합의된 조건에 대해 협상하기 위해 세 명의 위원을 워싱턴 D.C.로 보냈다. 그들이 1815년 2월에 도착했을 때, 앤드루 잭슨의 뉴올리언스 전투에서의 압도적인 승리와 겐트 조약 체결 소식이 그들보다 먼저 도착했고, 결과적으로 수도에서의 그들의 존재는 우스꽝스럽고 파괴적인 것처럼 보였다. 그들은 곧 집으로 돌아갔다. 그 후, ''하트퍼드 회의''와 ''연방당''은 특히 미국 남부에서 분열, 탈퇴, 반역과 동의어가 되었다. 연방당은 붕괴되었고 국가 정치에서 중요한 세력이 되는 것을 멈췄지만, 몇몇 지역(특히 1823년까지 연방주의자들이 매년 주지사로 선출된 매사추세츠)에서는 어느 정도 권력을 유지했다.
참조
[1]
간행물
A Shadow of Secession? The Hartford Convention, 1814
1988-09
[2]
간행물
Our Most Unpopular War
1968
[3]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lliam Morrison
1882
[4]
서적
America on the Brink: How the Political Struggle over the War of 1812 Almost Destroyed the Young Republic
Palgrave Macmillan
[5]
서적
Harrison Gray Otis, 1765-1848: The Urbane Federalist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6]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 Synopsis of the Several State Constitutions; with various other Important Documents and Useful Information
https://archive.org/[...]
Peter Hill
[7]
서적
A short account of the Hartford Convention: taken from official documents, and addressed to the fair minded and the well disposed; To which is added an attested copy of the secret journal of that body
https://archive.org/[...]
O. Everett
[8]
문서
1997
[9]
문서
1988
[10]
문서
1968
[11]
문서
1988, 1968
[12]
문서
1968
[13]
문서
1968
[14]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5]
문서
2005
[16]
문서
2002
[17]
문서
2002
[18]
문서
2005
[19]
문서
1969, 1968
[20]
문서
2005, 1968
[21]
문서
2005
[22]
문서
1968
[23]
문서
1968
[24]
문서
2005
[25]
문서
1918, 1823
[26]
문서
1969
[27]
문서
1988
[28]
문서
1968
[29]
문서
1988, 1968
[30]
문서
1968
[31]
문서
1968
[32]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33]
문서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