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유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교유령은 일본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선정성 문제로 일부 에피소드가 삭제되었으며, 학교괴담보다 더 잔인하고 자극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애니메이션과 실사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피소드마다 등장인물이 끔찍하게 살해당하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등 높은 수위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유림엔터테인먼트에서 VHS 비디오로 출시되었고,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으나, 인지도는 학교괴담에 비해 낮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애니메이션 -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
- 공포 애니메이션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는 하리와 친구들이 귀신을 퇴치하며 사건을 해결하는 애니메이션으로, 수상한 남자의 정체와 과거의 진실, 강력해진 귀신과의 대결을 다루며, 윤도현과 드림노트가 주제가를 불렀다. - 공포 애니메이션 - 괴담 레스토랑
괴담 레스토랑은 동심사에서 출판된 아동용 괴담 시리즈로,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총 50권이 발매되었으며, TV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게임 등으로 제작되었다.
학교유령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공포, 스릴러, 초자연 |
국가 | 일본 |
원작 | 쓰네카와 히로시의 "학교 괴담" 시리즈 |
영화 | |
영화 시리즈 | 학교괴담 |
학교괴담 2 | 학교괴담 2 |
학교괴담 3 | 학교괴담 3 |
학교괴담 4 | 학교괴담 4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시리즈 | 학교괴담 |
방송국 | 후지 TV |
방송 기간 | 2000년 10월 ~ 2001년 3월 |
화수 | 20화 |
만화 | |
만화 시리즈 | 학교 유령 |
작가 | 카미시로 아키라 |
출판사 | 고단샤 |
연재 잡지 | 코믹 봉봉 |
연재 기간 | 1994년 ~ 1996년 |
권수 | 전 6권 |
2. 문제점 및 평가
2화 '벽을 기어오르는 소녀' 에피소드는 선정성 문제로 삭제되었다. 학교유령은 일본에서 가장 무서운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학교괴담보다 훨씬 더 잔인하고 자극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2][3] 일부 에피소드는 등장인물들이 끔찍하게 살해당하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등 수위가 매우 높다.
은 애니메이션과 실사 파트로 나뉘어 제작되었다.
3. 제작진
역할 이름 감독 가시마 노부오 (1화), 아와이 시게키 (2화), 야자키 시게루 (3화) 캐릭터 디자인 키요야마 시게타카, 나카타 마사오, 이시마루 켄이치 음악 히로 코이치 애니메이션 제작 아우벡, JCF
4. 에피소드 목록
1화는 '잃어버린 노트', '배팅하는 망령', '저주받은 여름합숙', '수학여행의 밤', '하나코씨', '붉은눈'으로 구성되어 있다.
2화는 '벽을 기어오르는 소녀' 에피소드의 선정성 문제로 삭제되었다.[1] 이는 일본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중 가장 잔인하고 자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학교괴담보다 더 무섭다는 평가를 받는다.[2][3] 실사 파트는 2화부터 등장하며, '테케테케 와 붕붕', '철봉에 휘감긴 머리카락', '콧쿠리씨의 괴롭힘', '칠해져 버린 령', '끈적끈적한 소녀가 웃는다', '슬픈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 '황색손', '아기를 안은 령', '심야의 로커', '수영장에 가라앉은 소년', '영원히 이어지는 계단', '자신의 머리를 차는 령', '음악실의 령'으로 구성되어 있다.
3화는 '원한의 토끼', '아카즈노마', '카마이 타치', '파묻힌 연못', '마의 커브미러', '돌아온 병사'로 구성되어 있다.
4화는 '죽음을 부르는 인형', '내 뒤에', '생명을 구한 동물령', '배회하는 다리', '교차점의 소년', '할아버지의 조깅'으로 구성되어 있다.
5화는 '전교생', '선로에 서있는 령', '가짜 영능력', '고양이의 원념', '프린트 판타지'로 구성되어 있다.
6화는 '雨の日の迎え|아메노히노무카에|비오는 날의 마중일본어', '소풍돌', '폐사', '급식 아줌마', '通学路|쓰가쿠로|통학로일본어', '4시 44분의 공포'로 구성되어 있다.
신편은 '죽은 자의 휴대전화', '저주의 대본', '공포의 여름합숙', '령이 지나는 길'로 구성되어 있다.
4. 1. 1화
1화는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4. 2. 2화
2화에서는 '벽을 기어오르는 소녀'가 나오는 장면의 선정성 문제로 해당 에피소드가 삭제되었다.[1] 너무 자극적이라는 이유로, 일본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중 가장 잔인하고 공포스러우며 자극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2] 이는 일본에서 가장 무서운 애니메이션으로 알려진 학교괴담보다 훨씬 더 무섭다는 평가이다.[3]
2화부터 실사 파트가 등장한다.
번호 | 제목 | 비고 |
---|---|---|
1 | 벽을 기어오르는 소녀 | 애니메이션 |
2 | 테케테케 와 붕붕 | 실사 |
3 | 철봉에 휘감긴 머리카락 | 애니메이션 |
4 | 콧쿠리씨의 괴롭힘 | 애니메이션 |
5 | 칠해져 버린 령 | 실사 |
6 | 끈적끈적한 소녀가 웃는다 | 애니메이션 |
7 | 슬픈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 | 실사 |
8 | 황색손 | 애니메이션 |
9 | 아기를 안은 령 | 애니메이션 |
10 | 심야의 로커 | 실사 |
11 | 수영장에 가라앉은 소년 | 애니메이션 |
12 | 영원히 이어지는 계단 | 실사 |
13 | 자신의 머리를 차는 령 | 애니메이션 |
14 | 음악실의 령 | 실사 |
4. 3. 3화
- 원한의 토끼 (애니메이션)
- 아카즈노마 (실사)
- 카마이 타치 (애니메이션)
- 파묻힌 연못 (실사)
- 마의 커브미러 (애니메이션)
- 돌아온 병사 (실사)
4. 4. 4화
# '''4화'''- '''죽음을 부르는 인형''' (애니메이션)
- '''내 뒤에''' (실사)
- '''생명을 구한 동물령''' (애니메이션)
- '''배회하는 다리''' (실사)
- '''교차점의 소년''' (실사)
- '''할아버지의 조깅''' (실사)
4. 5. 5화
# 전교생 (애니)# 선로에 서있는 령 (애니메이션)
# 가짜 영능력 (실사)
# 고양이의 원념 (애니메이션)
# 프린트 판타지 (실사)
4. 6. 6화
- 雨の日の迎え|아메노히노무카에|비오는 날의 마중일본어 (애니메이션)
- 소풍돌 (실사)
- 폐사 (애니메이션)
- 급식 아줌마 (실사)
- 通学路|쓰가쿠로|통학로일본어 (애니메이션)
- 4시 44분의 공포 (실사)
4. 7. 신편
- 죽은 자의 휴대전화 (애니메이션)
- 저주의 대본 (애니메이션)
- 공포의 여름합숙 (애니메이션)
- 령이 지나는 길 (애니메이션)
5. 한국 방영
2000년 유림엔터테인먼트[5]에서 '체리 재패니메이션' 레이블로 VHS 비디오를 출시했다. 총 3편까지 출시되었으며, 우리말 더빙이 포함되었으나 실사 단편 영화는 제외되었고, 일부 잔혹하거나[6] 왜색이 짙은 에피소드는 빠졌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수입하여 2001년 7월 26일 심야 11시에 첫 방영을 시작했다.[4] 투니버스에서는 VHS 비디오판을 방영했으며, 주로 심야에 편성되었다. 2003년까지 방영되었으나, 프로그램 대개편 및 4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 시기를 기점으로 판권이 만료되어 방영이 종료되었다.
학교괴담에 비해 낮은 인지도를 보였는데, 이는 VHS가 쇠퇴하기 시작한 2000년대에 발매된 시대적 배경과 호러 장르의 마이너함, 그리고 심야 시간대 편성[4]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6. 기타
학교괴담은 모든 에피소드에서 요괴를 퇴치하거나 성불시켜 이별하고, 등장인물 전원이 매번 무사히 생존하는 행복한 결말로 끝난다. 반면 학교유령은 에피소드마다 사람들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거나[1] 끔찍하게 살해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2] 게다가 학교괴담에 비해 끝마무리가 좀 더 무섭고 찝찝하게 끝나는 경우가 많아,[3] 애니메이션을 본 많은 초등학생들이 밤에 잠을 못 자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학교괴담은 시청률이 꽤 잘 나와 투니버스에서 저녁 7시~12시 30분 등 다양한 시간대에 편성되었고, 2003년경부터 10년 넘게 장수 편성되었다. 하지만 학교유령은 VHS가 쇠퇴하기 시작한 2000년대에 발매되어 불운한 시기와 호러 장르 특성상 마이너한 관심을 받았다.
투니버스에서 방영할 때도 학교괴담과 달리 22시가 넘어가는 심야에[4] 주로 편성되어 2003년까지 방영되었다. 심야 편성 위주로 채워지다가 2003년 프로그램 대개편과 4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 시기를 기점으로 판권 만료로 편성에서 사라졌다.
국내에서는 유림엔터테인먼트[5]에서 '체리 재패니메이션' 레이블로 2000년 7월 13일 우리말 더빙으로 제작해 VHS 비디오로 출시했다. 비디오는 총 3편까지 나왔으며 실사 단편 영화는 빠지고 애니메이션만 모았다. 다만 일부 잔혹한 에피소드나[6] 왜색이 짙은 에피소드는 상당 부분 빠졌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와 함께 수입해 2001년 7월 26일 심야 11시에 첫 방영을 시작했다. 위에 서술된 비디오판을 방영했지만 주로 심야에 편성했고, 2003년까지 방영했다. 스타오션EX, 로도스도 전기, 엘하자드, 총몽 등의 애니처럼 새벽 1시에 판권이 곧 만료될 애니들을 주로 편성했었다. 2003년에 4차 일본문화개방과 프로그램 대개편이 이뤄지고, 2007년까지 자막판 애니들 위주로 편성되다가 판권이 만료되면서 방영이 종료되었다.
참조
[1]
문서
원한의 토끼 에피소드 분석
[2]
문서
철봉에 휘감긴 머리카락 에피소드 분석
[3]
문서
대부분의 에피소드 결말 분석
[4]
문서
수위 높은 장면에 대한 비평
[5]
문서
관련 비디오 언급
[6]
웹사이트
철봉에 휘감긴 머리카락
https://m.blog.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