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말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말숙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3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1955년 소설가로 등단했다. 주요 작품으로 「신화의 단애」, 「흔적」, 「신과의 약속」 등이 있으며, 다양한 인간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여 여성 작가 특유의 필치로 기성세대에 저항하는 여성의 심리를 그려냈다. 1963년 현대문학상, 1968년 창작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조현옥
    조현옥은 여성 정치 참여 확대와 공직 인사 시스템 개선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공무원, 외교관으로, 문재인 정부 초대 인사수석비서관과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다.
  • 숙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손혜원
    손혜원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정치인으로, 크로스포인트를 공동 설립하여 '처음처럼', '참이슬' 등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나전칠기 수집가로서 전통 공예 현대화에 힘썼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열린민주당을 거쳐 녹색당 창당에 참여했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배수아
    배수아는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재직하다 1993년 소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파격적인 문체와 독특한 세계관으로 한국문학계에서 주목받으며 한국일보문학상, 동서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등을 수상하고 국제적으로도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 현대문학상 수상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현대문학상 수상자 - 조정래
    조정래는 1943년 전라남도 순천 출생으로, 대하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역사와 민족 문제를 다룬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한말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韓末淑
로마자 표기Han Malsuk
인물 정보
출생일1931년 12월 27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학력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배우자황병기
자녀황혜경 (장녀)
황준묵 (장남)
황수경 (차녀)
황원묵 (차남)
부모한석명(부), 장숙명(모)
형제자매한복(오빠), 한무숙(언니), 김진흥(형부)
종교천주교(세례명: 헬레나)
경력
활동 기간1955년 ~ 현재
소속前 한국여성문학인협회 회장
작품 활동
데뷔작신화의 단애

2. 생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여성 소설가 한무숙의 누이동생이며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의 부인이다. 1955년 12월 초, 《신화의 단애》라는 작품으로 소설가 등단하였다.

1931년 12월 27일 경성(서울),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났다.[2]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정부보고서부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강사를 역임했다. 그녀의 문학적 데뷔는 1956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단편소설 두 편("별빛의 계절", "신화의 절벽")이 발표되면서 이루어졌다.[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4]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결혼했다. 그들의 장남은 수학자인 황준묵이다.

1931년 12월 27일, 현재의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1956년 『현대문학』에 「신화의 단애(神話の断崖)」와 「별빛 속의 계절(星光の中の季節)」이 추천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신화의 단애(神話の断崖)」는 1950년대 말 실존주의 문학 논쟁의 주요 대상 작품으로, 과거도 미래도 없이 오직 현재에만 가치를 두고 있는 여성의 존재 의식과 도덕을 추구한 작품이다.

1963년,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인정과 신뢰를 통해 拜金主義의 붕괴를 그린 「흔적(痕跡)」으로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1968년 딸의 병상을 지키는 어머니의 심리를 묘사한 「신과의 약속(神との約束)」으로 제1회 창작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한말숙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생겨나는 인간 심리의 섬세한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특히 기성세대에 저항하며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심리를 여성 작가 특유의 필치로 묘사하였다.

2. 1. 가족 관계

증조부는 한익선(韓益宣)이다. 할아버지는 한헌(韓{日+憲})이며, 백부는 한길명(韓吉命), 중부는 한준명(韓俊命)이다. 아버지는 한석명(韓錫明)이고, 어머니는 인동 장씨 장숙명이다. 오빠는 한복(韓宓)으로 한길명에게 입양되었으며, 언니는 한무숙이다. 남편은 황병기이며, 장남은 황준묵이다.

2. 2. 인간 관계

소설가 박완서숙명여자고등학교 동창으로 절친한 친구 관계를 유지하였다. 박완서와 한말숙의 숙명여고보 시절 은사는 소설가 박노갑(1905년 ~ 1951년, 아호는 도촌(島村))이다.

3. 작품 세계

한말숙은 생생한 이미지, 독창적인 글쓰기 스타일,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소외된 인간의 다면적인 내면 세계, 특히 전후 시대 한국 여성의 심리를 포착하는 작가이다.[5] 1950년대 후반 실존주의 논의의 주요 주제가 된 「신화의 단애」(1960)는 실존주의적 관점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윤리와 미래에 대한 부정을 통해 오직 쾌락과 안락의 추구로만 정의되는 일시적인 삶을 사는 여성의 손상된 심리를 탐구한다.[5] 자기 방임과 삶에 대한 허무주의적 태도가 전후 분위기를 반영하는 이 작품은 작가에게 즉각적인 인정을 안겨주었다.[5]

「신과의 약속」(1968)에서 한말숙은 이러한 견해를 더욱 탐구하는데, 딸의 목숨을 위해 신과 거래하지만, 딸이 회복된 후 신앙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다.[5] 주인공에게 헌신의 대상은 신이 아닌 딸이다.[5]

한말숙은 다양한 소재에도 관심을 기울였다.[5] 「노파와 고양이」는 가족에게 버려진 노파의 시각을 통해 소외의 본질을 조사하며, 「흰 도정」(1963)은 젊은 세대가 부모의 위선과 부패에 맞서는 투쟁을 그린다.[5] 「장마」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반항을 성적으로 묘사한다.[5]

탐욕주의를 넘어 공감과 신뢰의 승리를 그린 「흔적」(1963)은 현대문학상을 수상했고, 「신과의 약속」은 1968년 문학작품상을 수상했다.[5] 그녀의 소설로는 「모색 시대」(1980)와 「아름다운 영가」(1981)가 있다.[5]

3. 1. 주요 작품 및 주제

4. 수상 경력


  • 현대문학상 (1963)
  • 문학작품상 (1968)

5. 연보

1931년 12월 2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8]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제9회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1968년에는 제1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받았다. 1998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을 역임했고, 1999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장을 지냈으며, 2009년부터 한국여성문학인회 고문,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6. 작품 목록

《영의 찬가》(Hymn of the Spirit) (수잔 크로더 한/Suzanne Crowder Han영어 번역)

;소설


  • 탐험의 시대 (Mosaek sidae, 1980)
  • 아름다운 영가 (Areumdaun yeongga, 1981)


;주요 작품

  • 어떤 죽음 (Eotteon jugeum)
  • 할머니와 고양이
  • 장마
  • 검은 장미 (Geomeun jangmi)
  • 흰 거리
  • 흔적 (Heunjeok)
  • 1960년, 신화의 단애(神話の断崖)[10][11]
  • 1964년, 하얀 도정(白い道程)
  • 1965년, 별빛 속의 계절(星光の中の季節)
  • 1965년, 이 하늘 밑(この空の下)
  • 1968년, 신과의 약속(神との約束)
  • 1977년, 잃어버린 머플러(失くしたマフラー)
  • 1978년, 여수(旅愁)
  • 1986년, 모색시대(模索時代)
  • 1999년, 행복(幸福)
  • 2000년, 아름다운 영혼의 노래(美しい霊魂の歌)
  • 2008년, 사랑할 때와 헤어질 때(愛するときと別れるとき)

6. 1. 소설

한말숙의 소설 작품으로는 《탐험의 시대》(1980), 《아름다운 영가》(1981) 등이 있다.[10][11] 영문으로 번역된 작품으로는 수잔 크로더 한(Suzanne Crowder Han)이 번역한 《영의 찬가》(Hymn of the Spirit)가 있다. 그 외의 주요 작품으로는 《어떤 죽음》, 《할머니와 고양이》, 《장마》, 《검은 장미》, 《흰 거리》, 《흔적》, 《신화의 단애》(1960년), 《하얀 도정》(1964년), 《별빛 속의 계절》(1965년), 《이 하늘 밑》(1965년), 《신과의 약속》(1968년), 《잃어버린 머플러》(1977년), 《여수》(1978년), 《모색시대》(1986년), 《행복》(1999년), 《아름다운 영혼의 노래》(2000년), 《사랑할 때와 헤어질 때》(2008년) 등이 있다.

6. 2. 주요 작품


  • Hymn of the Spirit영어, 수잔 크로더 한(Suzanne Crowder Han) 번역
  • 탐험의 시대 (Mosaek sidae, 1980)
  • 아름다운 영가 (Areumdaun yeongga, 1981)
  • 어떤 죽음 (Eotteon jugeum)
  • 할머니와 고양이
  • 장마
  • 검은 장미 (Geomeun jangmi)
  • 흰 거리
  • 흔적 (Heunjeok)
  • 1960년, 신화의 단애(神話の断崖)[10][11]
  • 1964년, 하얀 도정(白い道程)
  • 1965년, 별빛 속의 계절(星光の中の季節)
  • 1965년, 이 하늘 밑(この空の下)
  • 1968년, 신과의 약속(神との約束)
  • 1977년, 잃어버린 머플러(失くしたマフラー)
  • 1978년, 여수(旅愁)
  • 1986년, 모색시대(模索時代)
  • 1999년, 행복(幸福)
  • 2000년, 아름다운 영혼의 노래(美しい霊魂の歌)
  • 2008년, 사랑할 때와 헤어질 때(愛するときと別れるとき)

참조

[1] 웹사이트 HAN Mahlsook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한말숙 소설가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20
[3] 웹사이트 HAN Mahlsook http://klti.or.kr/ke[...] 2013-09-21
[4]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5] 웹사이트 Han Mahl-sook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10)청주 한씨(淸州韓氏)-642,992명 http://www.seoulecon[...] 2014-07-06
[7] 웹사이트 (19)제자 : 철정 권창윤{{!}}청주 한씨 https://www.joongang[...] 1982-06-12
[8]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
[9]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한말숙 http://www.klti.or.k[...] 2014
[10] 웹사이트 네이버(한국 현대 문학 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11] 웹사이트 네이버(한국 여성 문인 사전) http://terms.naver.c[...] 2014
[12] 뉴스 국악인 황병기·소설가 한말숙 부부, 천주교 세례 받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5-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