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비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비야는 여행가, 국제구호활동가, 작가, 교육자, 사회 활동가로 활동하며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하고 강연 활동을 펼쳐왔다. 숭의여자고등학교와 홍익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유타 대학교에서 국제홍보학 석사, 터프츠 대학교에서 인도적 지원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6년간 60여 개국을 여행하며 여행기를 저술했고, 월드비전 한국에서 9년간 일하며 아프리카 및 중동 등지에서 구호 활동을 펼쳤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을 맡았다. 한국YWCA 젊은 지도자상,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한국인 선정 등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여행 작가 - 강동석 (탐험가)
    강동석은 단독 태평양 요트 횡단과 세계일주를 완수한 대한민국의 탐험가로, 히말라야 등반 및 북극 탐험에도 참여했으며 명예해군, 신한국인상, 명예선장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여행 작가 - 박솔희
    박솔희는 1990년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태어나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정보통신학과와 영어영문학을 복수 전공하고 여행 안내서 《청춘, 내일로》 등을 출간한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대한민국의 활동가 - 김순덕 (1921년)
    김순덕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간호사 모집에 속아 중국 상하이에서 위안부 생활을 한 후 해방 후 위안부 문제 해결 활동에 참여하며 그림과 증언으로 자신의 경험을 알리고 관련 문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 화가이다.
  • 대한민국의 활동가 - 강덕경
    강덕경은 일제강점기 '위안부' 피해자로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지만, 김학순의 증언 이후 피해 사실을 알리고 일본 정부의 책임을 묻는 활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미술 치료를 통해 작품 활동을 하다 폐암으로 사망했다.
  • 여행가 - 주달관
    주달관은 원나라 시기 캄보디아를 방문하여 《진랍풍토기》를 저술, 앙코르 시대의 캄보디아 사회, 문화, 종교, 생활상 등을 기록한 인물이다.
  • 여행가 - 페르낭 멘드스 핀투
    페르낭 멘드스 핀투는 16세기 동남아시아를 탐험하고 《순례기》를 저술한 포르투갈의 탐험가이자 작가로, 아시아 문명에 대한 유럽의 시각을 보여주는 사료를 남겼으며, 일본에 조총을 전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한비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한비야
한자 표기韓飛野
로마자 표기Han Biya
출생일1958년 6월 26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작가
국제구호활동가
교수
종교천주교(세례명: 비아)
배우자안토니위스 판쥣펀(Antonius van Zutphen, 2018–)
학력
학력 정보숭의여자고등학교
홍익대학교 영문학과
유타대학교 대학원 국제홍보학과
터프츠대학교 플레처스쿨 인도적 지원학 석사
경력
주요 경력월드비전 긴급구호팀장

2. 학력

한비야는 숭의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1986년에 취득했다.[6] 1989년에는 유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홍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국제구호활동을 시작하면서 2008년에는 현직 구호활동가들을 재교육하는 IDHA 과정을 수료했고, 2010년에는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법과 외교 대학원에서 인도적 지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6]

3. 오지 여행가

한비야는 배낭여행과 민박 방식으로 6년간 60여 개국을 여행하였다.[7] 여행기로 처음 이름을 알렸으며, 7년간(1993–1999)의 세계 여행을 담은 4권의 베스트셀러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저술했다. 한비야는 글로벌 홍보 및 커뮤니케이션 회사인 버슨-마스텔러에서 수익성 좋고 지위가 높은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에 뛰어들었다.[7]

한비야는 세계, 특히 고립된 지역을 주로 혼자서, 그리고 걸어서 탐험했으며, 비행기를 거의 이용하지 않았다. 또한 그녀의 탐험은 현지인들의 집에서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정으로 현지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여행과는 달랐다.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특히 여성이 현지 남성과 이야기하고 그의 집에 머무는 것이 때때로 매우 어렵고 위험하다. 책에서 한비야는 위험한 상황에 처했었고, 살아남은 것이 행운이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모험적이고 생생한 이야기는 독자들을 매료시킨다.

그녀의 여행은 자원봉사자로 난민을 돕는 데 헌신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한비야는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깨달음을 얻는 순간을 경험했다. 그녀는 세상이 글로벌 마을이 아니라 "글로벌 하우스"라는 것을 깨달았다.[8]

하지만 한비야는 여행이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여행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녀는 여행으로부터 충분한 기쁨을 얻었고, 이제 다른 무언가, 즉 난민을 돕는 일이 자신의 심장을 뛰게 한다고 말했다.[9]

4. 국제구호활동가

2001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국제구호개발기구인 월드비전 한국에서 9년간 일하였다. 2000년대 초반 아프리카 및 중동에서 일하다 2012년부터 ‘인도적 지원 전문가(Humanitarian Assistant Specialist)’로 일하게 되었다. 2011년부터 UN 중앙긴급대응기금 자문위원으로 남수단, 서아프리카 말리에서 일하고 있다.[10]

2005년 펴낸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이후 월드비전의 해외 후원이 증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호팀원을 배출하고 세계 식량 계획(WFP)과 협력하기도 하였다. 2001년부터 2009년 8월까지 월드비전 코리아 긴급구호 팀장을 역임했으며, 인도적 지원 및 구호에 대한 연구를 위해 활동을 잠시 중단했다. 세계 난민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동유럽, 중남미 등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한비야는 난민 구호 활동을 통해 세계 곳곳의 전쟁과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구호 활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에 국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10]

그녀의 저서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에는 그녀가 세계 각지에서 겪은 슬픔과 웃음이 담겨 있다. 최근 그녀는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그녀의 일에 대한 기쁨과 삶을 설명했다. 이 프로그램에서 그녀는 아프리카에서 통과의례로 널리 행해지는 할례 의식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설명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5. 작가

한비야는 1993년부터 1999년까지 7년간 세계를 여행하며 겪은 경험을 담은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출간하여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 책을 통해 그녀는 버슨-마스텔러라는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두고 여행길에 올랐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유명해졌다.[7]

그녀는 주로 혼자 걸어서 여행했으며, 현지인들의 집에 머물면서 그들의 문화를 체험했다. 아프가니스탄과 같이 여성 여행자에게 위험한 지역도 방문했는데, 이러한 경험담은 독자들에게 큰 흥미를 불러일으켰다.[7]

세계 여행을 통해 한비야는 세상이 글로벌 마을(Global village (term))이 아닌 "글로벌 하우스"와 같다는 깨달음을 얻었고, 이는 훗날 난민 구호 활동에 헌신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8] 그녀는 여행에서 충분한 기쁨을 얻었으며, 이제는 난민을 돕는 일이 자신의 심장을 뛰게 한다고 말하며 더 이상 여행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9]

5. 1. 저서 목록

작가로서 한비야는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 《한비야의 중국견문록》,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그건, 사랑이었네》 등 8권의 책을 펴내었다.

제목출판년도비고
나, 다시 길을 걷다2022년
1그램의 용기2015년
어린이를 위한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1, 22012년
어린이를 위한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 1, 22011년
그건, 사랑이었네2009년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2005년
한비야의 중국견문록2001년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1999년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1996년


6. 교육자 및 사회 활동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를 펴낸 후 대중 강연 활동을 시작했고, 2012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로 임용되어 교육 관련 단체, 기업 등에서 강연하고 있다. 1억 원의 광고비로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를 시작했으며, 이후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의 인세를 기부했다.[13][14] 2011년에는 월드 시민학교의 초대 교장이 되었다.[15]

6. 1. 세계시민학교

광고 출연료 1억 원을 종잣돈으로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를 시작했고, 그 후 《그건, 사랑이었네》의 인세 1억 원을 기부했다.[19][20] 서울랜드에 마련된 세계시민교육관에서 오디오 가이드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2년 이 세계시민학교의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21]

7.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2004년한국YWCA 선정 젊은 지도자 상[22], 한국 YWCA 청소년 지도자[16]
2005년환경재단 선정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23], 시민단체 선정 평화를 만드는 100인
2008년대법원 세계시민의식 고취상
2009년캠퍼스라이프·한국대학신문 대학생의식조사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한국인[24][25], 한국일보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3위
2010년네이버 가장 존경받는 한국인
2011년, 2012년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NGO 분야 3위[26][27]
2012년동아일보 10년 후 한국을 빛낼 100인[28]
2014년시사저널 2014 차세대 리더 100에 선정[29]
자료없음한국 녹색재단 선정 "세상을 밝게 만드는 100인"


8. 영향

한비야는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매우 영향력 있는 인물로, 많은 젊은 여성들이 그녀의 여정을 따라 배낭여행을 시작했다.[12]

그녀는 젊은이들에게 세상을 돕고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소중한 교훈을 주었으며, 그녀의 책을 읽거나 이야기를 들으면서 많은 한국의 젊은이들이 모험을 하고 자신의 삶을 세상으로 확장하며, 자신의 능력을 세상에 사용하도록 이끌었다.

2005년에 펴낸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는 월드비전의 해외 후원 증가에 기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호팀원을 배출하고 세계 식량 계획(WFP)과 협력하기도 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It Was Love http://www.hanbooks.[...] 2020-04-11
[2] 웹사이트 Worldyannews https://web.archive.[...] 2010-09-08
[3] 웹사이트 Han Bi-ya starting a new chapter in her life http://koreajoongang[...] 2020-04-11
[4] 웹사이트 맥스무비 - 영화 No.1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https://archive.toda[...] 2020-04-11
[5] 뉴스 Why did Han change her mind from travel to relief worker? http://www.newsen.co[...]
[6] 웹사이트 Han Bi-ya Donates W100 Million to Aid Projects http://english.chosu[...] 2020-04-11
[7] 웹사이트 Han Bi-ya embarks on new journey for refugee relief http://www.unhcr.or.[...] The Korea Herald 2002-02-20
[8] 웹사이트 Han Bi-ya embarks on new journey for refugee relief http://www.unhcr.or.[...] The Korea Herald 2002-02-20
[9] 웹사이트 Traveling on a mission to help http://news.naver.co[...] The Korea Herald 2005-10-15
[10] 웹사이트 한비야,"이론적 토대 갖춘 구호전문가 되겠다"… 8월 미국 유학 떠나 http://news.kmib.co.[...] 2020-04-11
[11] 웹사이트 Han Bi-ya embarks on new journey for refugee relief http://www.unhcr.or.[...] The Korea Herald 2002-02-20
[12] 웹사이트 Editor's letter- The Daughter of Wind, Han Bi-ya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02-02-20
[13] 뉴스 한비야씨 인세 1억 기부 http://www.hani.co.k[...] 2018-04-07
[14] 웹사이트 한국아이닷컴! http://economy.hanko[...] 2018-04-07
[15] 뉴스 Hanbi ya, appointed as First Principal of World Citizens' School Christ news 2018-05-11
[16] 뉴스 Han Bi Ya wins Youth leader awards of YMCA http://news.naver.co[...] Kookmin Daily 2004-10-26
[17] 뉴스 https://news.v.daum.[...]
[18] 문서 국제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http://www.ewha.ac.k[...]
[19] 웹인용 한비야씨 인세 1억 기부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3-09-09
[20] 웹인용 한비야씨 인세 1억원 월드비전에 기부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3-09-09
[21] 웹인용 한비야, 세계시민학교 교장 취임 “청소년에 좋은 멘토돼 줄 것” http://www.unionpres[...] 유니온프레스 2013-09-02
[22] 웹인용 소비자운동 정광모씨 ‘여성지도자상’…YWCA,한비야씨 ‘젊은 지도자상’ http://media.daum.ne[...] 국민일보 2009-08-15
[23] 웹인용 '2005년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 선정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9-08-15
[24] 웹인용 "대학생들 한비야ㆍ안철수ㆍ노무현 順 존경"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3-09-09
[25] 웹인용 "대학생, 존경하는 인물 '한비야','오바마'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3-09-09
[26] 웹인용 "[2011한국, 누가 움직이는가 - NGO 지도자] NGO도 이제 글로벌 시대" https://news.v.daum.[...] 시사저널 2013-09-02
[27] 웹인용 "[2012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NGO 떠나도 영향력 그대로" https://news.v.daum.[...] 시사저널 2013-09-02
[28] 웹인용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청춘아,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려라"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9-02
[29] 웹인용 "[2014 차세대 리더]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장으로서의 한비야"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