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게오르크 플라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게오르크 플라움은 유대인 기업가 가문 출신의 고대사 및 고전 철학 연구자이다. 브레슬라우와 하이델베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아버지의 회사에서 일하다가, 1929년 세계 경제 위기로 인해 학문 연구로 경력을 전환했다. 나치의 집권으로 인해 프랑스로 이주하여 소르본에서 연구를 이어갔으며, 로마 제국 시대의 쿠르수스 푸블리쿠스에 대한 연구로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회원이 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구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에 복귀하여 연구를 지속했으며, 고등연구실습원에서 강의하고 여러 대학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로마 제국 시대의 쿠르수스 푸블리쿠스에 대한 시론》 등이 있으며, 란네 에피그라피크의 공동 편집자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금석학자 -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은 로제타석 해독을 통해 이집트 상형 문자 해독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이집트학을 개척한 프랑스의 언어학자로서, 루브르 박물관의 이집트 유물 관리에도 참여하여 박물관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 프랑스의 화폐학자 - 니콜라클로드 파브리 드 페이레스크
니콜라클로드 파브리 드 페이레스크는 법학을 공부한 프랑스의 지식인이자 수집가, 천문학자, 고고학자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당대 학자들과 교류하며 유럽 지식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예술 작품과 유물 수집, 갈릴레오 갈릴레이 옹호, 지중해 길이 측정 시도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 프랑스의 역사가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프랑스의 역사가 - 프란츠 파농
프란츠 파농은 마르티니크 출신의 정신의학자, 혁명가, 작가로서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폭력과 해방, 정체성, 인간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 저술로 유명하며,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했고, 그의 사상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흑인 해방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스게오르크 플라움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02년 2월 8일, 베를린 |
사망 | 1979년 11월 12일, 파리 |
국적 | 프랑스, 독일 |
학력 및 경력 | |
직업 | 역사학자 |
분야 | 고대 로마 |
모교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울리히 윌켄 |
경력 | 고등학교 교사 (1933년 해고) 파리 국립과학연구센터 (CNRS) 연구원 소르본 대학교 강사 소르본 대학교 교수 |
수상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팔므 아카데미크 훈장 |
2. 생애
유대인 기업가 가문 출신으로, 처음에는 브레슬라우와 하이델베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아버지 회사에서 일했다. 1929년 세계 경제 위기를 계기로 학문의 길로 들어서 베를린에서 고대사와 고전 철학을 공부했다.
1933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 독일 정권을 장악하자 조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소르본 등에서 연구를 이어갔다. 1937년 로마 제국 시기 쿠르수스 푸블리쿠스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고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회원이 되었다.
그러나 1940년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항복하면서 CNRS 직위를 포기해야 했고, 1942년에는 박해를 피해 남프랑스로 피신하여 연구를 계속했다. 전쟁이 끝난 후 파리 CNRS로 복귀하여 1956년 책임 연구자가 되었으며, 고등연구실습원에서 강의하고 프린스턴 대학교 등 해외 여러 기관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66년 괴팅겐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66년부터 1978년까지 ''란네 에피그라피크''의 공동 편집자를 맡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유대인 기업가 가문 출신인 플라움은 처음에는 브레슬라우와 하이델베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였고, 이후 아버지의 회사에서 일했다. 1925년 브레슬라우에서 승진했으나, 1929년 세계 경제 위기로 아버지의 회사가 어려움을 겪자 학문의 길로 방향을 바꾸었다. 그는 베를린으로 가서 울리히 빌켄, 빌헬름 베버, 오이겐 토이블러, 에른스트 슈타인 등에게서 고대사와 고전 철학(또는 고전어학)을 배웠다.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가 독일에서 권력을 잡자, 플라움은 1933년 조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제롬 카르코피노와 함께 연구를 계속했으며, 금석학자 루이 로베르에게서도 가르침을 받았다. 1937년, 플라움은 로마 제국 시대의 쿠르수스 푸블리쿠스(공공 우편 제도)에 관한 논문을 썼고,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회원이 되었다.
2. 2. 프랑스 이주와 연구 활동
1933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 독일에서 정권을 잡자, 유대인 가문 출신인 플라움은 조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 파리에서는 소르본에서 제롬 카르코피노와 함께 연구를 이어갔으며, 금석학자 루이 로베르 밑에서도 수학했다.1937년, 로마 제국 시기 쿠르수스 푸블리쿠스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고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회원이 되었다. 그러나 1940년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하자, 플라움은 CNRS에서의 모든 직위를 포기해야 했고 그의 논문은 익명으로만 출판될 수 있었다.
1942년, 유대인 박해가 심화되기 전 남프랑스로 피신하여 로마의 프로쿠라토르(procurator, 로마 제국의 재정 관리관 또는 속주 총독)에 관한 연구를 계속했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47년 말,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이후 파리의 CNRS로 복귀하여 연구 활동을 재개했고, 1956년에는 책임 연구자(Directeur de recherche프랑스어)가 되었다. 1960년대부터는 고등연구실습원(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에서 세미나를 지도했으며, 여러 유럽 국가들과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교 등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66년에는 괴팅겐 과학원의 통신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1966년부터 1978년까지 프랑스의 저명한 금석학 연감인 L'Année épigraphique|란네 에피그라피크프랑스어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며 학계에 기여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후
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이후, 유대인이었던 플라움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에서의 모든 직위를 포기해야 했으며, 그의 논문은 익명으로만 발표될 수 있었다. 나치의 박해가 심해지자 1942년, 그는 프랑스 남부로 피신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그는 로마 제국의 프로쿠라토르(검찰관)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이어갔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에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논문을 제출했다.전쟁이 끝나고 파리로 돌아온 그는 다시 CNRS에서 연구 활동을 시작했으며, 1956년에는 책임 연구자로 임명되었다. 1960년대부터는 고등연구실습원(École pratique des hautes études)에서 강의를 맡았고, 유럽 여러 나라와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교 등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다. 1966년에는 독일의 권위 있는 학술 기관인 괴팅겐 과학원의 통신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1966년부터 1978년까지 저명한 금석학 연감인 ''L'Année épigraphique''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며 학계에 기여했다.
3. 주요 연구 업적 및 평가
한스게오르크 플라움은 20세기 로마사 연구, 특히 로마 제국의 사회사와 행정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구는 방대한 비문 자료와 화폐학적 증거를 면밀히 분석하여 로마 사회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로마 기사 계급의 일종인 프로쿠라토르(procurator)의 경력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독보적인 성과로 인정받는다. 그의 저서 ''Les procurateurs équestres sous le Haut-empire romain'' (1950)과 ''Les carrières procuratoriennes équestres sous le haut-empire romain'' (1960, 부록 1982) 등은 이 분야의 기념비적인 연구로, 로마 제국의 행정 시스템과 사회 이동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관련 분야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플라움은 북아프리카, 특히 알제리 지역의 라틴어 비문을 집대성하고 연구하여 로마 속주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스테판 그젤 등이 수집한 비문 자료를 정리하여 ''Inscriptions Latines d'Algérie'' 시리즈로 출판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이 귀중한 1차 사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 외에도 쿠르수스 푸블리쿠스(로마 제국의 공공 역참 시스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의 사회상(소달레스 안토니니아니 연구 등), 로마 군대, 황제 숭배, 나르보넨시스 속주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폭넓은 학문적 관심을 보여주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후 기념 논문집(''Gedächtnisschrift für Hans-Georg Pflaum'', 1981)이 출판되었고, 그의 연구를 조명하는 국제 학술회의(''H.-G. Pflaum, un historien du XXe'', 2004)가 개최되는 등, 플라움은 20세기 로마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연구는 오늘날에도 로마 제국의 사회, 행정, 비문학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3. 1. 주요 저서
- ''고대 로마 제국 시대의 쿠르수스 푸블리쿠스에 관한 에세이'' (Essai sur le cursus publicus sous le Haut-Empire Romainfra), 파리, 1940.
- ''토르니그니 대리석'' (Le marbre de Thorignyfra), 파리, 1948.
- ''고대 로마 제국 시대의 기사 계급 프로쿠라토르'' (Les procurateurs équestres sous le Haut-empire romainfra), 파리, 1950.
- ''알제리의 라틴어 비문, 제1권, 제1부: 시르타 연맹, 쿠이쿨 및 수부르부르 부족의 비문'' (Inscriptions Latines d'Algérie, t. I, vol. I : Inscriptions de la confédération cirtéenne, de Cuicul et de la tribu des Suburburesfra). 스테판 그젤이 수집하고, E.알베르티니와 J. 자일러가 준비했으며, H.-G. 플라움이 출판, 파리, 1957.
- ''고대 로마 제국 시대의 기사 계급 프로쿠라토리우스 직위'' (Les carrières procuratoriennes équestres sous le haut-empire romainfra), 파리, 1960.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의 안토니니아누스 동료'' (Les sodales antoniniani de l'époque de Marc Aurèlefra), 파리, 1966.
- P. 바스티앙과 공동 저술, ''차나칼레 (터키)의 발견. 261년부터 284년까지 발행된 데나리우스와 안토니니아누스'' (La Trouvaille de Canakkale (Turquie). Deniers et antoniniani émis de 261 à 284fra), 베테렌, 1969.
- ''기사 계급 프로쿠라토르 요약'' (Abrégé des procurateurs équestresfra), 파리, 1974. (''레알-엔치클로페디''의 ''Procurator'' 항목 프랑스어 번역)
- ''알제리의 라틴어 비문, 제2권, 제2부: 시르타 연맹, 쿠이쿨 및 수부르부르 부족의 비문'' (Inscriptions Latines d'Algérie, t. II, vol. 2 : Inscriptions de la confédération cirtéenne, de Cuicul et de la tribu des Suburburesfra). 스테판 그젤이 수집하고 H.G. 플라움이 출판, 파리, 1976.
-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파스테스'' (Les fastes de la province de Narbonnaisefra), 파리, 1978.
- ''로마 아프리카 (스크립타 바리아 I)'' (L'Afrique romaine (Scripta Varia I)fra), 파리, 1978.
- ''갈리아와 로마 제국 (스크립타 바리아 II)'' (La Gaule et l'empire romain (Scripta Varia II)fra), 파리, 1981.
- ''고대 로마 제국 시대의 기사 계급 프로쿠라토리우스 직위 (부록)'' (Les carrières procuratoriennes équestres sous le haut-empire romain (Supplément)fra), 파리, 1982.
- ''알제리의 라틴어 비문, 제2권, 제3부: 시르타 연맹, 쿠이쿨 및 수부르부르 부족의 비문'' (Inscriptions Latines d'Algérie, t. II, vol 3 : Inscriptions de la confédération cirtéenne, de Cuicul et de la Tribu des Suburburesfra). 한스 게오르크 플라움이 수집 및 편집하고 자비에르 뒤퓌가 출판, 파리, 2003.
3. 2. 주요 논문 (Scripta Varia에 포함되지 않은)
- `"누미디아의 디아나 베테라노룸에서 최근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의 도나우 전쟁에 대한 새로운 소식"`, ''CRAI'', 1956, p. 18-23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crai_0065-0536_1956_num_100_1_10536 온라인 읽기].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사위들"`, ''Journal des Savants'', 1961, p. 28-41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jds_0021-8103_1961_num_1_1_1005 온라인 읽기].
- `"안토니니안 소달리스"`, ''CRAI'', 1961, 105–20, p. 118-121 (1966년 동명의 저서에서 개발된 조사의 발표).
- P. 바스티앵과 공동 저술, `"티보빌(에르)에서 발견된 로마 동전"`, ''Gallia'', XIX, 1961, p. 71-104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galia_0016-4119_1961_num_19_1_2316 온라인 읽기]) 및 ''Gallia'', XX, 1962, p. 255-315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galia_0016-4119_1962_num_20_1_2355 온라인 읽기]).
- ''Das römische Kaiserreich'', ''Propyläen-Weltgeschichte'' Bd. 4, 베를린, 1963, p. 317–428.
- `"키르타의 웅변가 M.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의 서신 수신자"`, ''장 바예에 대한 헌사'', (col. Latomus n° 70), 브뤼셀, 1964, p. 544-560.
- `"하드리아누스의 상속 규칙"`, ''Historia Augusta Colloquium Bonn 1963'', 본, 1964, p. 95-122.
- 클로드 브르노와 공동 저술, `"3세기 후반 동방 주화, 시리아에서 발견된 두 개의 보물을 통해"`, ''Revue numismatique'', 1965, 6–7, p. 134-205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numi_0484-8942_1965_num_6_7_930 온라인 읽기].
- `"경건한 안토니누스 치세의 황제 숭배의 사제들"`, ''CRAI'', 1967, p. 194-209 [http://www.persee.fr/web/revues/home/prescript/article/crai_0065-0536_1967_num_111_2_12096 온라인 읽기].
- `"로마 제국 고대 제국의 지방에 재정적 프라쿠라텔레의 설치"`, ''RHD'', 46, 1968, p. 367-388.
- ''수집가의 즐거움: 희귀하거나 미발표된 동전'', ''수집가와 수집품: 파리 조폐창 - 전시회-콩쿠르'', 파리, 1968, p. 103-109.
- `"로마 고대 제국의 군대의 강점과 약점"`, J.-P. 브리송 편, ''로마의 전쟁 문제'', 파리, 1969, p. 85-98.
- `"명명된 동시대 인물을 통해 본 ''vita Hadriani''와 ''vita Marci Antonini''의 영감의 원천의 가치"`, ''Historia Augusta colloquium 1968-69 Bonn'', 본, 1970, p. 173-232.
- `"추도: 앙리 롤랑"`, ''Revue numismatique'', 1970, 6–12, p. 162-163.
- `"전기 작가가 명명한 인물을 통해 본 ''Vita Commodi''의 역사적 정보의 가치"`, ''Historia Augusta colloquium 1970 Bonn'', (Antiquitas 4 : Beiträge zur Historia Augusta Forschung, Bd 10), 본, 1972, p. 199-247.
- `"고대 제국의 관리 및 공무원의 급여"`, ''로마의 평가절하. 공화정과 제국 시대. 로마 콜로키움의 회의록 (1975년 11월 13-15일)'', 로마, 1978, p. 311-315 [http://www.persee.fr/web/ouvrages/home/prescript/article/efr_0000-0000_1978_act_37_1_1114 온라인 읽기].
- `"시리아에서 발견된 3세기 후반의 안토니니아니 보물"`, ''장 라포리에에게 바치는, 화폐학, 고고학 및 역사 혼합'', 파리, 1980, p. 145-152.
4. 플라움에 대한 연구
- M. Clauss, B. Holtheide, X. Loriot 공저, "Hans-Georg Pflaum의 서지", ''Arheoloski Vestnik'', 28, 1977, pp. 235-244 (1940년부터 1975년까지 180개 저작 목록).
- 마르셀 르 글레이, "한스게오르크 플라움", ''Epigraphica'', 42, 1980, pp. 212-230.
- Azédine Beschaouch, 마르셀 르 글레이, "H.-G. Pflaum (1902-1979)", ''MEFRA'', 92–2, 1980, pp. 563-565 온라인으로 읽기.
- Ségolène Demougin, Xavier Loriot, Pierre Cosme, Sabine Lefebvre 공저, ''H.-G. Pflaum, un historien du XXe : actes du colloque international, Paris les 21, 22 et 23 octobre 2004'', 제네바: Droz, 2006, ISBN 2-600-01099-8 온라인 리뷰.
- Tadeusz Zawadzki, "진정한 유럽인: 한스게오르크 플라움 (1902–1979)", Wlodzimierz Appel 편저, ''Magistri et discipuli. Kapitel zur Geschichte der Altertumswissenschaften im 20. Jahrhundert'', 토룬, 2002, pp. 101–113, ISBN 8-323-11521-4.
- ''한스게오르크 플라움 기념 논문집''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총서), 본: Habelt, 1981 (플라움을 기리는 논문 모음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