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자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자플라츠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9호선에 있는 역으로, 1957년 인터바우 건축 전시회의 일환으로 완공되었다. 베르너 클렌케와 브루노 그리메크가 설계를 맡았으며, 역 지하부와 지상부를 포함한 전체가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에는 나치 독일 시기 한자피어텔에서 추방된 유대인 1030명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패가 설치되었다. 한자플라츠역과 동물원역 사이는 베를린 지하철 노선 중 가장 긴 구간이며, 2017년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9호선 - 베를린 동물원역
    베를린 동물원역은 베를린 시가지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지하철 U2, U9 노선과 장거리, 지역 열차, S반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이며, 과거 서베를린의 주요 관문이자 독일 분단 시절 상징적인 장소였고, 주변 명소와 대중문화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 베를린 지하철 9호선 - 베를린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역
    베를린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역은 베를린 슈테글리츠에 위치한 지하철 9호선과 S반 반제선 환승역으로, 지하철역은 1974년에, S반역은 1839년에 개업하여 폐업과 재개업을 거쳐 1992년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라이너 륌러가 설계하고 발데마르 그리메크의 케르베로스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테구의 건축물 - 베벨 광장
    베를린에 있는 베벨 광장은 과거 오페라하우스 광장으로 불렸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창립 멤버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나치의 책 사르기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복구된 건물들과 함께 광장 활용 방안에 대한 논쟁이 있는 장소이다.
  • 1961년 개업한 철도역 - 원릉역
    원릉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1961년 영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영화에도 등장했다.
  • 1961년 개업한 철도역 - 일영역
    일영역은 1961년 개시된 경의선 역으로 여객 취급 중단 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알려지며 유명해졌고, 현재 폐쇄된 역사는 2024년 11월 복원될 예정이다.
한자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한자플라츠역 승강장
승강장
역명한자플라츠
역명 (원어)Hansaplatz
위치베를린 미테구
개업일1961년 8월 28일
승강장 형태1면 2선 (섬식 승강장)
노선 정보
노선베를린 지하철 9호선
영업 거리100.0 km
역 코드Ha
이전 역동물원
이전 역 거리1.5 km
다음 역투름슈트라세
다음 역 거리0.9 km

2. 역사

1957년 완공 당시 한자플라츠역


한자플라츠역은 1955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완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한자피어텔을 현대 건축 양식으로 재건하는 인터바우(Interbau) 건축 전시회의 일환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 전시회 기간 동안 폭스바겐 비틀에 트레일러를 부착한 지하 셔틀 차량이 동물원역과 한자플라츠역 사이를 운행했다.[2][3] 역사는 베르너 클렌케와 브루노 그리메크가 설계했고, 북부 출입구는 에른스트 친서와 한스루돌프 플라레, 남부 출입구는 베르너 뒤트만과 지크프리트 뵈머가 설계했다.[4]

1995년 역 지하부와 지상부 전체가 인터바우 57 건축물의 일부로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2] 2014년 초 역 남부 출입구에는 나치 독일 시기 한자피어텔에서 추방된 유대인 거주자 1030명의 이름이 새겨진 유대인 강제수송 기념패가 설치되었다.[5]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55-1957)



한자플라츠역은 1955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완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한자피어텔을 현대 건축 양식으로 재건하는 인터바우(Interbau) 건축 전시회의 일환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 전시회 기간 동안 폭스바겐 비틀에 트레일러를 부착한 지하 셔틀 차량이 동물원역과 한자플라츠역 사이를 운행했다.[2][3] 역사는 베르너 클렌케(Werner Klenke)와 브루노 그리메크(Bruno Grimmek)가 설계했다. 북부 출입구는 에른스트 친서(Ernst Zinsser)와 한스루돌프 플라레(Hansrudolf Plarre)가 설계했고, 남부 출입구는 베르너 뒤트만(Werner Düttmann)과 지크프리트 뵈머(Siegfried Böhmer)가 설계했다.[4]

2. 2. 건축 설계



한자플라츠역은 1955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완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한자피어텔을 현대 건축 양식으로 재건하는 인터바우(Interbau) 건축 전시회의 일환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 전시회 기간 동안 폭스바겐 비틀에 트레일러를 부착한 지하 셔틀 차량이 동물원역과 한자플라츠역 사이를 운행했다.[2][3] 역사는 베르너 클렌케와 브루노 그리메크가 설계했다. 북부 출입구는 에른스트 친서와 한스루돌프 플라레가 설계했고, 남부 출입구는 베르너 뒤트만과 지크프리트 뵈머가 설계했다.[4]

1995년에[2] 역 지하부와 지상부 전체가 인터바우 57 건축물의 일부로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초 역 남부 출입구에 유대인 강제수송 기념패가 설치되었다. 나치 독일 시기 한자피어텔에서 추방된 유대인 거주자 1030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5]

2. 3. 건축 유산 지정 (1995)

한자플라츠역은 1955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완공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한자피어텔을 현대 건축 양식으로 재건하는 인터바우(Interbau) 건축 전시회의 일환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 전시회 기간 동안 폭스바겐 비틀에 트레일러를 부착한 지하 셔틀 차량이 동물원역과 한자플라츠역 사이를 운행했다.[2][3] 역사는 베르너 클렌케(Werner Klenke)와 브루노 그리메크(Bruno Grimmek)가 설계했다. 북부 출입구는 에른스트 친서(Ernst Zinsser)와 한스루돌프 플라레(Hansrudolf Plarre)가 설계했고, 남부 출입구는 베르너 뒤트만(Werner Düttmann)과 지크프리트 뵈머(Siegfried Böhmer)가 설계했다.[4]

1995년 역 지하부와 지상부를 포함하는 전체가 인터바우 57(Interbau 57) 건축물의 일부로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2]

2. 4. 유대인 강제수송 기념패 설치 (2014)

2014년 초 역 남부 출입구에 유대인 강제수송 기념패가 설치되었다. 나치 독일 시기 한자피어텔에서 추방된 1030명의 유대인 거주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5]

3. 시설

이 역과 동물원역 사이의 거리는 1442m로 베를린 지하철 전 노선에서 가장 길다. 이 구간은 베를린 동물원 일부, 그로서 티어가르텐, 란트베어 운하, 6월 17일 거리를 통과한다.

승강장 너비는 9.1m이고[3], 중간층 없이 바로 지상과 출입구가 연결된다. 역사 중앙 기둥은 알루미늄으로 마감되었으며, 외벽은 은회색 모자이크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원래 지상과 승강장 사이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설치되어 있었다. 2017년 1월 31일 그리프스 극장 방면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이 과정에서 에스컬레이터 1기가 철거되었고 2기는 유지되어 있다. 건축유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가 철거된 자리를 모자이크 타일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했고, 점자 블록을 같이 설치했다. 공사에는 65만유로이 소요되었다.[6]

3. 1. 역 구조 및 특징

이 역과 동물원역 사이의 거리는 1442m로 베를린 지하철 전 노선에서 가장 길다. 이 구간은 베를린 동물원 일부, 그로서 티어가르텐, 란트베어 운하, 6월 17일 거리를 통과한다.

승강장 너비는 9.1m이며[3], 중간층 없이 바로 지상과 출입구가 연결된다. 역사 중앙 기둥은 알루미늄으로 마감되었으며, 외벽은 은회색 모자이크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원래 지상과 승강장 사이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설치되어 있었다. 2017년 1월 31일 그리프스 극장 방면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이 과정에서 에스컬레이터 1기가 철거되었고 2기는 유지되어 있다. 건축유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가 철거된 자리는 모자이크 타일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했고, 점자 블록을 같이 설치했다. 공사에는 65만유로이 소요되었다.[6]

3. 2. 엘리베이터 설치 및 접근성 개선 (2017)

2017년 1월 31일 그리프스 극장 방면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6] 이 과정에서 에스컬레이터 1기가 철거되었고 2기는 유지되었다. 건축 유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가 철거된 자리를 모자이크 타일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했고, 점자 블록을 같이 설치했다.[6] 공사에는 650000EUR가 들어갔다.[6]

4. 인접 교통

베를린 지하철 9호선과 베를린 버스 106번과 환승할 수 있다.

4. 1. 인접 철도역


4. 2. 버스 환승

베를린 버스 106번과 환승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Berlins U-Bahnhöfe be.bra 1996
[2] 웹인용 PLUS: Das Magazin der Berliner Verkehrsbetriebe; Wo die Linie 1 startete https://unternehmen.[...] Berliner Verkehrsbetriebe 2022-09
[3] 웹인용 "U-Bhf Hansaplatz" http://www.berliner-[...] 2023-02-07
[4] 문서 LDLBerlin 09050387 ja
[5] 서적 Mahnendes Gedenken im U-Bahnhof Hansaplatz http://www.bvg.de/in[...] 2014
[6] 웹인용 Auf geht’s! http://unternehmen.b[...] Berliner Verkehrsbetriebe 2017-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