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할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양은 전쟁 후 강화 조약이나 평상시의 교섭을 통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게 영토나 권리를 넘겨주는 것을 의미한다. 법적으로는 계약법에서 인도나 포기로 간주되며, 시민법에서는 채권 양도와 유사하게, 교회법에서는 성직록의 무효화와 관련된다. 역사적으로는 전쟁의 결과로 알자스-로렌, 홍콩, 대만 등이 할양되었으며, 알래스카 매입, 컬럼비아 특별구 조성 등 평상시의 거래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반환은 할양된 것을 되돌려 받는 경우를 의미하며, 보험 분야에서는 재재보험의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할양
할양
유형국가가 자신의 영토의 일부를 다른 국가에 넘겨주는 행위
방법조약

2. 할양의 개념

할양은 국제법상 영토 이전의 한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조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할양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2. 1. 할양이 이루어지는 때

할양은 크게 전쟁 후 처리와 평상시 교섭의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 전쟁 처리: 강화조약에 따라 패전국의 영토 일부가 전승국에 양도된다.
  • 평상시: 증여, 교환, 매매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최근에는 시행되는 일이 거의 없다.


예시:

3. 할양의 법적 측면

할양은 여러 법 분야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계약법 외에 시민법 체계에서 할양은 채권 양도와 동일시되며, 채권 이전 행위를 의미한다. 채무자의 의무가 이전되면 양수인이 그 의무를 완전히 대체하고, 원래 채권자는 청구 권리를 잃고 새로운 채권자가 그 권리를 얻는다.[9] 교회법에서는 주교 서품 등을 받는 경우 이전 성직록이 무효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1]

3. 1. 계약법

계약법에서 할양은 인도(yielding up영어) 또는 포기(release영어)로 간주된다.[9] 프랑스는 1803년 4월 30일 파리 조약에 따라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루이지애나를 미국에 할양했다. 스페인은 1819년 2월 22일 애덤스-오니스 조약(1821년 7월 10일 발효)에 따라 동 플로리다와 서 플로리다를 할양했다. 이 외에도 뉴욕주, 버지니아주,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주에서 각각 할양이 이루어졌다.

3. 2. 시민법 (Civil law)

시민법 체계에서 할양은 채권 양도와 동일하며, 양도인(채권을 넘기는 사람)으로부터 양수인(채권을 받는 사람)에게 개인 채권을 이전하는 행위이다. 물권은 물건을 넘겨주면서 이전되지만, 채권은 할양을 통해 이전된다. 채무자(빚을 진 사람)의 의무가 이전되면 양수인이 그 의무를 완전히 대체한다. 원래 채권자(돈을 빌려준 사람)는 청구할 권리를 잃고 새로운 채권자(양수인)가 그 권리를 얻는다.[9]

3. 3. 교회법 (Ecclesiastical law)

주교 서품을 받거나 교구 목사 또는 교구 목사가 교황의 특면장 없이 다른 성직록을 받는 경우, 이전의 성직록은 법적인 할양 또는 포기에 의해 무효가 된다.[1]

4. 할양의 예

역사적으로 다양한 할양 사례가 존재한다. 전쟁의 결과로 영토가 할양되기도 하고, 평상시에 거래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전쟁에 의한 할양의 예로는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결과 프랑스가 프로이센에 알자스로렌을 할양한 것이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1895년 일본 제국에 타이완을 할양한 것을 들 수 있다.[1]

평상시의 할양 예시로는 1867년 미국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알래스카를 매입한 것이나, 루이지애나 매입과 같이 금전 지불을 통해 영토 할양이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1]

4. 1. 전쟁에 의한 할양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결과 프랑스가 프로이센에 알자스로렌을 할양했다.[1] 제1차 아편 전쟁(1839-1842)과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 이후, 청나라영국홍콩(난징 조약)과 구룡(베이징 조약)을 할양했다.[1]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후 청나라는 1895년 일본 제국에 타이완을 할양했다.[1]

4. 2. 평상시의 할양

1867년 미국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알래스카를 매입하였다.[1] 1790년, 미국 메릴랜드주버지니아주는 미국 헌법에 명시된 대로 컬럼비아 특별구를 만들기 위해 토지를 할양했다.[1] 버지니아주 할양분은 1847년에 반환되었다.[1]

영토는 루이지애나 매입과 알래스카 매입에서와 같이 대가로 할양될 수도 있다.[1] 1790년, 메릴랜드주버지니아주가 미국 헌법에서의 합의에 기초하여 연방 정부에 토지를 함께 할양함으로써 컬럼비아 특별구가 성립되었다.[1] 다만, 포토맥강 이남의 영역은 1847년에 버지니아주에 반환되었다.[1]

아시아에서는 아편 전쟁(1839년1842년)과 애로우 전쟁(1856년1860년)의 결과, 홍콩섬1842년난징 조약에 의해, 구룡반도 남부가 1860년베이징 조약에 의해 각각 청나라 정부로부터 영국에 할양되었고, 청일 전쟁에서 청이 패배한 결과, 대만은 1895년일본에 할양된 사례가 있다.[1]

영토의 할양은 금전 지불에 의해서도 성립될 수 있으며, 예로는 루이지애나 매입과 알래스카 매입이 있다.[1]

5. 반환 (Retrocession)

반환은 할양된 영토나 재산이 원래 소유국에게 다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메릴랜드 주와 버지니아 주는 1790년 미국 헌법에 따라 컬럼비아 특별구를 만들기 위해 토지를 할양했다. 이 중 버지니아에 할양되었던 지역은 1847년에 반환되었다.[1]

제1차 아편 전쟁(1839-1842)과 제2차 아편 전쟁 (1856-1860) 이후, 홍콩난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에서 영국으로 할양되었고, 구룡은 베이징 조약에 따라 할양되었다.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후 타이완은 1895년 일본 제국에 할양되었다.[1]

영토는 루이지애나 매입이나 알래스카 매입과 같이 대가를 지불하고 할양될 수도 있다.[1]

5. 1. 반환의 예


  • 컬럼비아 특별구 반환: 버지니아가 컬럼비아 특별구 조성 당시 할양했던 토지를 1847년에 반환받았다.
  • 루이지애나 (누에바 에스파냐) 반환: 스페인프랑스에 할양했던 루이지애나를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해당 토지를 받기 3주 전에 반환받았다.

5. 2. 대만 반환 문제

1945년 일본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후, 일본 제국으로부터 당시 널리 인정받던 중화민국으로 대만주권이 이양되었다는 주장이 "대만 반환" 주장이다. 이러한 "반환"이 국제법상 정당한지 여부는 대만의 정치적 지위에서 논쟁거리이다. 대만 반환일을 참고하라.

6. 보험에서의 할양

보험 분야에서 재재보험(retrocession|레트로세션영어)은[10][11][12] 일반적으로 재보험 계약 또는 재재보험 계약에 의해 운영되며, 재보험에 적용되는 원칙은 재재보험에도 적용된다.

참조

[1] 서적 Ballentine's Law Dictionary
[2] 서적 Ballentine's Law Dictionary
[3] 웹사이트 割譲を英語で言うと(プログレッシブ和英中辞典(第4版)) https://kotobank.jp/[...]
[4] 웹사이트 割譲の英訳 https://eow.alc.co.j[...]
[5] 웹사이트 割譲 | 広辞典 |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https://imidas.jp/ko[...]
[6] 웹사이트 "「割譲」の解説" http://jlogos.com/do[...]
[7] 문서 国際法学会 2005
[8] 문서 筒井若水ほか 1998
[9] 서적 Ballentine's Law Dictionary
[10] 웹사이트 生命保険用語 英和辞典詳細 http://www.jili.or.j[...]
[11] 웹사이트 retrocessionの意味・使い方 https://ejje.weblio.[...]
[12] 웹사이트 R|米国保険用語の解説(アルファベット順) http://www.sjnk-r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