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박산 (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박산은 대한민국 용인시에 위치한 산으로, 동서 방향의 주 능선을 가지며 한남정맥에 속한다. 동쪽으로는 형제봉, 건지산 등으로, 서북쪽으로는 부아산으로 연결되며, 경안천진위천의 분수령을 이룬다. 함박산은 과거 홍수 때 함지박만큼 물 위에 남아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으며, 명지대학교와 부아산을 잇는 등산로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금남호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금남호남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함박산 (경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산 정보
이름함박산
한자 표기函朴山
높이349.3m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 이동읍 천리
산맥한남정맥
위도37.213583
경도127.188978

2. 산의 위치

함박산의 주 능선은 동서 방향인데, 동쪽으로는 무너미고개를 건너 형제봉, 독조봉, 좌찬고개, 건지산으로 연결되고, 서북쪽으로는 하고개를 건너 부아산으로 연결된다.[1] 북사면의 유수는 신기저수지에 모였다가 남리천을 따라 동쪽으로 흘러 경안천으로 유입된다.[1]

남사면의 유수는 도장골천을 따라 남류하다가 상덕천, 서리천을 거쳐 동류한 뒤 진위천과 합류한다.[1] 동남사면의 유수는 내골천을 따라 동류하다가 진위천으로 유입된다.[1]

3. 한남정맥

함박산은 한남정맥에 속해있는 산으로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도덕산, 국사봉(안성), 상봉, 달기봉, 무너미고개, 함박산, 학고개, 부아산, 메주고개, 석성산, 할미성, 인성산, 형제봉, 광교산, 백운산, 수리산, 국사봉, 청계산, 응봉, 관악산, 소래산, 성주산, 철마산, 계양산, 가현봉, 필봉산, 학운산, 것고개, 문수산 등으로 이어진다.[1]

함박산에서 부아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는 용인시 시민에게 꽤 알려져 있다.[1]

함박산은 경안천 수계와 진위천 수계를 가르는 분수령 역할을 한다.[1]

4. 전해지는 이야기

『택리지』에는 죽산 칠장산이 부아산을 일으킨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무너미고개에서 함박산과 하고개를 거쳐 부아산으로 이어지는 지형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2][3][4] 옛 문헌에는 함복산(含福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함박산(函朴山)으로 표기한다.[2][3][4] 천지개벽 때 산 봉우리만 함지박만큼 남아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2][3][4] '함박'은 '한밝'에서 유래한 것으로, '크고 밝은 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2][3][4]

5. 산행 코스 정보

함박산은 과거 큰 홍수로 주변 지역이 물에 잠겼을 때 함박만큼 남아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5] 정상에서 명지대 방향으로 내려가면 신기저수지를 통해 명지대 체육관으로 연결된다. 정상에서 동쪽 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대성동산을 지나 45번 국도에 이른다.[5]

5. 1. 부아산-함박산 연결 코스

명지대 함박관에서 시작하여 신기, 안터, 대성동산, 함박산 정상을 거쳐 산불감시탑, 388봉, 서울묘원, 하고개, 부이산, 부아산, 철탑을 지나 영진골프랜드까지 이어진다. 전체 코스 길이는 약 8.5km이며,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5]

5. 2. 함박산 단독 코스

명지대 함박관에서 시작하여 신기저수지, 안터를 거쳐 대성동산, 마루금(무너미고개)을 지나 함박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이다. 거리는 약 3.1km이며, 소요 시간은 약 1시간 10분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용인문화대전 http://yongin.grandc[...]
[2] 문서 우리 땅이름의 뿌리를 찾아서
[3] 기타
[4]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국토지리정보원 2010
[5] 뉴스 옛날 대홍수 때 함박만하게 남았던 ‘함박산’ http://www.yonginilb[...] 용인신문 2007-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