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교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교산은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경기 중부권의 상징이자 수원시의 진산으로 여겨지는 산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산에서 광채가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광교'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유래가 전해진다. 병자호란 때 김준용 장군이 대첩을 거둔 역사적 장소이며, 수원 시민들에게 북한산과 같은 역할을 한다. 광교산은 한남정맥의 최고봉으로 백운산, 바라산과 연계 산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등산 코스가 있다. 또한,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디지털 TV, UHD, FM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수원시의 지리 - 팔달산
    팔달산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이 있는 산으로, 수원 팔달산 지석묘군과 독립기념비 등의 조형물이 있으며, 과거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장안구 - 수원실내체육관
    수원실내체육관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실내 체육 시설로, V리그 경기와 여러 실내 스포츠 경기 및 행사가 열리며,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프로배구단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장안구 - 수성고등학교 (경기)
    수성고등학교(경기)는 1954년 설립 인가를 받아 1955년 개교한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로,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다.
  • 용인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광교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광교산
한자 표기光敎山
로마자 표기Gwanggyosan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용인시 경계
지리
높이582m
산맥광교산맥
등산 정보
등반 시작점광교저수지 (수원시)
난이도보통
기타
관련 정보화성에서 조망 가능

2. 역사적 배경

광교산은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경기 중부권 산하의 상징이자 물줄기의 근원을 이루는 발원지이다.[8] 경기도의 진산(鎭山)으로 여겨지는데, 광교산이 백두대간 한남정맥의 주봉으로서 해발 582m의 높이를 가지고 경기 중부권의 주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광교산은 국난 극복의 현장으로서 중요한 정신적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거치면서 국난을 극복해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1636년 병자호란 때 김준용 장군이 광교산에서 대첩을 거둔 역사는 이를 생생하게 증언한다.[9]

광교산은 보개산(석성산)과 더불어 경기도의 진산이자 주봉이다. 광교산에서 발원하는 물은 안양천과 유천(柳川), 탄천을 만들고, 보개산에서 발원하는 물은 오산천과 경안천(팔당호), 탄천을 만든다.

광교산은 수원시의 진산 역할을 한다. 이는 풍수지리의 논리에 따른 것으로, 권선구영통구 남쪽 지역의 평평한 농경지와 논, 서쪽의 칠보산, 동쪽 용인과의 경계에 있는 언덕들이 광교산이 수원에 유리한 풍수적 기운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4]

2. 1. 지명 유래

광교산은 원래 광악산(光岳山), 광옥산(光獄山) 등으로 불렸다. 〈고려야사〉에 따르면, 광교산의 원래 이름은 광옥산이었는데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8]

928년 왕건이 후백제견훤을 정벌하고 돌아가는 길에 광옥산 행궁에 머물면서 군사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있었는데, 이 산에서 광채가 하늘로 솟아오르는 광경을 보았다. 이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 하여 산 이름을 친히 ‘광교(光敎)’라고 하였다는 것이다.[8]

1987년 경기도에서 발간한 지명유래집에는 “아주 먼 옛날 수도를 많이 한 도사가 이 산에 머무르면서 제자들을 올바르게 가르쳐 후세에 빛이 되었다고 해서 광교산이라 하였다”고 나와 있다.[8]

2. 2. 역사적 사건

광교산은 임진왜란병자호란 등 국난 극복의 현장이다. 특히, 1636년 병자호란 때 김준용 장군이 광교산에서 여진족을 상대로 대첩을 거둔 역사적 장소로 기록되어 있다.[9]

3. 지리적 특징

광교산은 한남정맥의 주봉으로, 경기도 중부권 산하의 상징이자 물줄기의 근원을 이루는 발원지이다.[8] 칠장산에서 시작하여 국사봉, 함박산, 석성산, 형제봉, 백운산, 수리산, 국사봉, 청계산, 관악산 등으로 이어진다.[8] 광교산은 인성산 형제봉에서 이어진 산이 수리산백운산으로 갈라지고, 함박산 부아산에서 이어진 산이 법화산과 향수산으로 갈라지는 등 여러 산맥과 연결된다.

3. 1. 주변 하천

광교산은 안양천, 유천(柳川), 탄천, 황구지천, 경안천, 오산천 등 여러 하천의 발원지이다.[8]

  • 안양천: 원래 이름은 "오목내"이며, 주변 지천 중 가장 깊게 파인 하천이라는 뜻이다.
  • 경안천: 과거 광주군청 경안리(현 광주시 경안동)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울에서 가깝다"는 의미를 지닌다. 옛 이름은 우천(牛川), 소천, 금량천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慶安川|경안천중국어으로 표기한다.
  • 황구지천: 수원시 광교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수원시내를 관통하며, 광교천(光敎川)과 유천(柳川)을 이룬다. 수원시 남단 대황교(大皇橋) 부근에서 원천천(援川川)과 합류하여 본류를 이루고, 화성시를 거쳐 오산천, 진위천과 합류하여 아산호로 유입된다.
  • 유천(柳川): 광교산에서 발원하여 안양천탄천을 이룬다.
  • 오산천: 칡넝쿨처럼 흐른다 하여 갈천(葛川)이라 불렸다.
  • 탄천: 상류 지역은 장천(莊川, 기흥구)과 원우천(遠于川, 분당구 구미)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에는 경안천이 우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소천으로 기록되어 있다.

3. 2. 풍수지리적 의의

광교산은 수원시의 진산으로, 풍수지리적 논리에 따라 수원에 유리한 기운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풍수지리에서는 도시나 마을의 이상적인 위치로 북쪽에 진산이 있고, 남쪽에 탁 트인 전망과 강 또는 큰 물줄기가 있으며, 동쪽과 서쪽에는 산이나 계곡이 있는 곳을 꼽는다.[4]

광교산은 수원시의 북쪽에 위치하여 겨울철 북쪽의 매서운 바람을 막아주는 방패 역할을 하며, 도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연적인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5] 또한, 권선구영통구 남쪽의 평평한 농경지와 논, 서쪽의 칠보산, 동쪽 용인시와의 경계에 있는 언덕들이 조화를 이루어 광교산이 수원에 유리한 풍수적 기운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4. 산행 정보

경기 수원의 진산(鎭山)인 광교산은 서울 시민에게 북한산이나 관악산과 같은 곳이다. 광교산 자체 종주 거리만 10km가 넘고, 노송숲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평이하지만 매혹적이다.[8]

한강 이남으로 뻗은 한남정맥 최고봉인 광교산과 잇대어 있는 백운산(564m), 바라산(428m)을 연계하는 산행은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단골 코스이다. 산행 거리는 15~16km 정도이며, 수원시와 용인시, 의왕시에 걸쳐 있어 긴 편이지만 산세가 순해 크게 힘들지 않다. 능선을 따라 걷다 보면 6~7시간이 금방 지나간다.

서울 관악호암산에서 시작하여 삼성산~관악산~우면산~청계산~우담산~바라산~백운산~광교산으로 이어지는 50km 산행과 서울서초대모산에서 시작하여 구룡산~청계산~우담산~바라산~광교산으로 이어가는 37km 산행도 있다.[8]

광교산, 백운산, 바라산 3개 산을 종주하려면 경기대 입구 옆 광교저수지가 보이는 반딧불이화장실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백년수 정상까지는 1시간 정도 걸리며, 가파르지 않아 쉬엄쉬엄 오르기에 좋다. 전망은 탁 트이지 않았지만, 왼쪽으로 광교저수지가 보인다.[10]

4. 1. 주요 등산 코스


  • 반딧불이 화장실 ~ 형제봉 ~ 시루봉 ~ 억새밭 ~ 통신탑 ~ 지지대고개(소요시간: 1시간 30분, 편도 코스)[8]
  • 반딧불이 화장실 ~ 천년수 약수터 ~ 형제봉 ~ 양지재 ~ 하광교소류지 ~ 광교쉼터 ~ 광교공원(소요시간: 2시간 10분)[8]
  • 반딧불이 화장실 ~ 형제봉 ~ 비로봉(종루봉) ~ 토끼재 ~ 광교산 정상 ~ 사방댐 ~ 상광교 버스종점(소요시간: 3시간 20분, 가족과 함께 하는 산행코스)[8]

4. 2. 식생

광교산은 식생이 풍부하여 여름에는 희귀식물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몇 년 전 실시된 광교산 자생식물 조사에서는 개머루, 둥굴레, 참꽃마리, 은대난초, 은방울꽃, 졸방제비꽃, 곰의말채, 큰애기나리 등 다양한 자생식물이 발견되었다. 수원시는 여러 등산 코스에 자연휴식년제를 지정하는 등 광교산 식생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8]

5. 방송 송신 시설

디지털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SBS DTVHLSQ-DTVCH 351W수도권 남부
CH 7-1KBS서울 DTV2HLSA-DTVCH 481W수도권 남부
CH 8-1OBS 경인방송 DTVHLQS-DTVCH 252.5kW수도권 남부, 충남 북부
CH 9-1KBS경인 DTV1HLAY-DTVCH 421kW수도권 남부
CH 10-1EBS 1(지상파)HLQL-DTVCH 371kW수도권 남부
CH 10-2EBS 2(지상파)HLQL-DTVCH 371kW수도권 남부
CH 11-1MBC DTVHLKV-DTVCH 270.2kW수도권 남부
UHD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SBS UHDTVHLSQ-UHDTV예정2kW수도권 남부
CH 7-1KBS 2 디지털TVHLQS-DTVCH 562kW수도권 남부
CH 8-1OBS 경인TV DTVHLQS-DTV예정500kW수도권 남부
CH 9-1KBS경인 D1TVHLAY-DTVCH 522kW수도권 남부
CH 11-1MBC UHDTVHLKV-DTVCH 552kW수도권 남부
FM 라디오
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출력가시청권
99.9㎒OBS 라디오HLMD-FM5kW수도권 남부
지상파 DMB
앙상블명방송국명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YTN DMBmYTNHLMA-TDMBCH 8-B
(183.008MHz)
rowspan="15" |수도권 남부
HD mYTN
LOTTE Homeshop(임대채널)
MBC DMBMY MBCHLKV-TDMBCH 12-A
(205.280MHz)
HD my MBC
MBC RADIO
U-KBSKBS STARHLKA-TDMBCH 12-B
(207.008MHz)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SBS(u)SBS u TVHLSQ-TDMBCH 12-C
(208.736MHz)
HD SBS u TV
SBS V-Radio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의 산하 – 광교산 (Hangugui Sanha – Gwanggyosan) https://web.archive.[...] 2007-08-07
[2] 뉴스 광교산 https://terms.naver.[...] 2018-06-14
[3] 웹사이트 Welcome to Suwon – Gwanggyosan http://eng.suwon.ne.[...] 2008-02-18
[4] 서적 Korean Anthropology: Contemporary Korean Culture in Flux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03
[5] 서적 Korean Anthropology: Contemporary Korean Culture in Flux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03
[6] 웹인용 한국의 산하 http://www.koreasanh[...] 2008-02-27
[7] 웹사이트 숲에 온(on) http://www.san.go.kr[...]
[8] 뉴스 능선따라 쉬엄쉬엄, 봄은 老松가지 위에서 졸고…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04-03
[9] 뉴스 수원 광교산의 어제와 오늘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1-03
[10] 뉴스 광교산체육공원~시루봉(2.6km 45분 코스)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0-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