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초는 약 1억 4천만 년 전 초기 외떡잎식물에서 진화하여 바다로 다시 이주한 육상 식물에서 유래한 속씨식물로, 전 세계 대륙붕을 식민지화하는 데 성공했다. 해초는 5개의 과에 약 60종이 있으며, 육상 식물과 해양 대형 조류의 특징을 모두 가지는 세포벽 구조를 갖는다. 해초는 종자 번식과 영양 번식을 하며, 얕은 연안, 갯벌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해초 군락을 형성하여 다양한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 해초는 어업, 레크리에이션 등 인간 활동에 중요한 장소이며, 지구 온난화, 연안 개발, 해양 오염 등으로 서식지가 감소하여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 향명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식물 향명 - 블루보넷 (식물)
    블루보넷은 책, 스포츠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소재로 활용되며, 토미 드파올라의 아동 도서와 텍사스 휴스턴에서 개최된 대학 미식축구 볼 게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 수생식물 - 갈대
    갈대는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의 수변 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수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과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니지만, 과도한 번식이나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점도 발생한다.
  • 수생식물 - 개구리밥
    개구리밥은 전 세계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부유성 수생 식물로, 엽상체와 뿌리로 구성되어 빠른 성장 속도와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고 유전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해초

2. 진화

해초는 약 1억 4천만 년 전 초기 외떡잎식물에서 진화했다.[21] 외떡잎식물은 꽃 식물(속씨식물)과 잔디와 같은 식물로, 씨앗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배아 잎 또는 자엽만 들어 있다.[10]

육상 식물은 아마도 4억 5천만 년 전에 녹조류 그룹으로부터 진화했다.[11] 그 후 해초는 바다로 다시 이주한 육상 식물로부터 진화했다.[12][13] 약 7천만 년에서 1억 년 전 사이에 세 개의 독립적인 해초 계통(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과 복합체, 잘피과)이 외떡잎 식물 꽃 식물의 단일 계통으로부터 진화했다.[14]

염생습지 식물, 맹그로브, 해조류와 같이 바다를 식민지화한 다른 식물들은 더 다양한 진화 계통을 가지고 있다. 해초는 종 다양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대륙붕을 식민지화하는 데 성공했다.[15]

최근 ''거머리말''과 ''잘피''의 DNA 염기 서열 분석은 속씨식물의 바다로의 적응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했다.[16][17] 바다로의 진화적 단계에서 다른 유전자들은 손실되었거나(예: 기공 유전자) 감소되었고(예: 테르페노이드의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다른 유전자들은 다시 얻어졌다(예: 황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17][21]

유전체학을 통해 얻은 정보는 해양 서식지에 대한 적응이 세포벽 구성의 급격한 변화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16][17] 해초의 세포벽은 육상 식물의 조상 형질 외에도 다수의 비생물적 요소(많은 양의 염분) 및 생물적 요소(다른 해초 포식자 및 박테리아 집락화) 스트레스 요인으로 특징지어지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서식지 주도 적응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예상된다.[21] 해초의 세포벽은 속씨식물 육상 식물과 해양 대형 조류에서 알려진 특징과 새로운 구조적 요소를 복잡하게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21]

해초 세포벽은 피자식물 육상 식물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다당류셀룰로스를 함유하고 있다.[101] 그러나 일부 해초의 세포벽은 황산염화된 다당류[102][103]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 그룹의 대형 조류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2005년에 황산화 다당류를 합성하는 능력이 해양 피자식물에 의해 회복되었다고 제안되었다.[102] 해초 세포벽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apiogalacturonan이라고 하는 특이한 펙틴 다당류의 발생이다.[104][105][21]

다당류 외에도 글리코단백질인 하이드록시프롤린이 풍부한 글리코단백질 계열[106]은 육상 식물 세포벽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고도로 글리코실화된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AGP)은 벽 구조와 세포 조절 과정 모두에 관여하기 때문에 흥미롭다.[107][108] 2020년에 AGP가 해초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어 구조적으로 특성화되었다.[110] 육상 식물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의 일반적인 골격 구조는 보존되지만, 글리칸 구조는 해초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이 삼투압 조절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독특한 특징을 나타낸다.[111][21]

식물 이차 세포벽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는 벽의 기계적 강화에 책임이 있는 페놀 리그닌이라고 하는 가교 결합된 중합체이다. 해초에서도 이 중합체가 감지되었지만, 피자식물 육상 식물에 비해 양이 적은 경우가 많다.[112][113][114][115][21]

3. 분류

해초는 피자식물의 다계통군으로, APG IV 분류 체계에 따르면 택사목에 속하며 5개의 과(거머리말과(Zosteraceae), 나자스말과(Hydrocharitaceae), 포시도니아과(Posidoniaceae), 거북손풀과(Cymodoceaceae), 거머리풀과(Ruppiaceae))에 약 60종이 있다.[18]

세계에는 거머리말과(Zosteraceae), 포시도니아과(Posidoniaceae), 실말과(Cymodoceaceae), 물옥잠과(Hydrocharitaceae), 나자스말과(Zannichelliaceae), 애기부리과(Ruppiaceae)의 6과(이 중 물옥잠과를 제외한 과를 가래과로 묶는 경우도 있다)에 60종 정도의 해초류가 확인되고 있다.[138][139][140] 열대에서 한대까지 분포하며, 많은 종은 열대역·아열대역에 분포하지만, 스가모나 거머리말의 종류는 온대역에서 한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5과 10속 28종 30아종(4잡종 포함)의 해초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41] 일본 열도 근해는 난류와 한류가 교차하여 해초류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많은 종이 분포한다. 혼슈 주변 해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초류는 거머리말속으로, 거머리말과 보다 작은 애기거머리말이 많다. 홋카이도 주변에서는 검정가시나무말을 볼 수 있다. 또한 난세이 제도는 일본 내에서도 해초류의 다양성이 높으며, 실말, 류큐검정가시나무말 등 많은 종이 서식한다.[132]

그림설명
거머리말과거머리말과(Zosteraceae)는 14종의 해양 종을 포함하는 두 개의 속을 포함한다. 온대아열대 해안 수역에서 발견되며, 한국과 일본 주변에 가장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Phyllospadix
Zostera
나자스말과나자스말과(Hydrocharitaceae)는 캐나다 나자스(Elodea canadensis)와 개구리밥을 포함한다. 이 과는 담수 및 해양 수생 식물을 모두 포함하지만, 현재 인식되는 16개의 속 중 해양 종은 3개뿐이다.[22]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주로 열대 지역이다.
Enhalus
Halophila
Thalassia
포시도니아과포시도니아과(Posidoniaceae)는 지중해오스트레일리아 남부 해안 주변에서 발견되는 2~9종의 해양 종을 가진 단일 속을 포함한다.
Posidonia
거북손풀과거북손풀과(Cymodoceaceae)는 매너티-그래스라고도 불리며, 해양 종만을 포함한다.[23] 일부 분류학자들은 이 과를 인정하지 않는다.
Amphibolis
Cymodocea
Halodule
Syringodium
Thalassodendron
총 종 수:   


3. 1. 한국의 해초류

한국 연안에는 거머리말과(Zosteraceae)의 거머리말속(Zostera)이 널리 분포하며, 거머리말(Z. marina)과 애기거머리말(Z. japonica)이 대표적이다. 거머리말은 한국 해안 전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남해안과 서해안의 얕은 바다에서 큰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애기거머리말은 거머리말보다 크기가 작고, 보다 얕은 수심이나 조간대에서도 잘 자란다.

4. 생태

해초는 얕은 연안, 내만, 갯벌, 기수역, 조간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많은 종은 건조에 약하며, 간조에도 해수에 잠겨 있는 조하대 이하를 선호하지만, 코아마모처럼 건조에 강하여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도 있다. 대부분 모래나 갯벌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지만, 수거머리말이나 거머리말 등은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이들은 뿌리를 암반 틈새에 파고들어 지하경을 발달시켜 고착한다.[131]

해초는 모두 외떡잎식물이며, 뿌리, 줄기, 의 구별이 있다. 줄기(근경)는 지하경으로 뻗어 나가며, 잎은 수중으로 뻗는다. 뿌리는 모래나 갯벌 속에 튼튼하게 자리 잡는다. 잎은 해초나 포기거머리말처럼 가늘고 긴 형태와 거머리말속처럼 타원형인 형태가 있다. 잎은 기본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기관이지만, 거머리말은 해수 중의 영양염을 잎으로 흡수하기도 한다.[132] 기공은 퇴화되어 있다.

해초는 여러해살이풀로, 을 피우고 종자를 통해 번식하는 종자식물이다. 또한, 땅속줄기를 뻗어 영양 번식을 하는 경우도 많다. 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 등은 종자 번식과 영양 번식 모두를 하지만, 열대성 거머리말과 분홍거머리말, 보우바거머리말 등은 결실이 좋지 않아 대부분 영양 번식으로 번식한다. 개화는 열대성 포기거머리말의 경우 9-1월(10월이 최성기)[133], 보우바거머리말이 7-9월, 갯끈풀이 6-9월[134], 온대성 코아마모가 1-6월[135]에 관찰된다.[136] 결실은 포기거머리말의 경우 7, 8월을 제외한 연중, 갯끈풀이 8-11월 및 1월에 관찰된다.[132]









조간대 및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초류는 조수 변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된다.[53][54] 조하대 해초류는 빛 투과율 감소와 부유 물질 증가로 인해 빛 조건이 더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55] 조간대의 해초류는 공기 노출로 인해 극심한 온도 변화, 높은 조사량, 건조 스트레스를 겪는다.[54][56][57] 이러한 요인들은 해초류 고사로 이어질 수 있으며,[58][59][60] 조간대 상부에서 해초류 분포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61] 조간대 해초류는 이러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하대 해초류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다.[62][59] 또한, 높은 조사량 및 공기 노출 기간 동안 광합성 효율 감소와 광보호 반응을 보인다.[63][64]

반면, 조하대의 해초류는 빛 감소 조건에 적응한다.[66][67] 조하대 깊은 곳의 해초류는 얕은 곳의 해초류보다 잎이 더 길고 넓어 광합성을 더 많이 할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성장을 초래한다.[57] 또한, 엽록소 함량을 조절하여 빛 흡수 효율을 높인다.[68][69][70] 해초류는 광합성을 위해 많은 양의 무기 탄소를 필요로 하며,[71][72] CO2와 중탄산염을 모두 사용한다.[73][74][75] 간조 시 공기 노출에도 불구하고 조간대 해초류는 공기 중의 CO2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계속할 수 있다.[76]

4. 1. 해초 군락 (해초 갯벌)

'''해초 군락'''(해초가 밀생하는 장소)을 '''해초 갯벌'''(Seagrass bed)이라고 부르며, 그 중에서도 거머리말속이 번성하는 곳을 '''거머리말 갯벌'''(''Zostera'' bed)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구성 종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고 거머리말 갯벌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해초류 군락은 단일 종으로 구성되거나 여러 종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온대 지역에서는 보통 한두 종이 주로 나타나며(예: 북대서양의 ''잘피''(Zostera marina)), 열대 지역에서는 다양성이 더 높아 필리핀에서는 최대 13종까지 기록된 바 있다.

해초류 군락은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며, 어린 물고기와 성체 어류, 착생 및 자유 생활 대형 조류 및 미세 조류, 연체 동물, 강모충, 선충 등 모든 에 속하는 수백 종의 생물이 서식한다. 처음에는 몇몇 종만 해초류 을 직접 먹는 것으로 알려졌지만(영양 성분이 낮기 때문), 연구 결과 해초류 초식성이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푸른 바다거북, 듀공, 매너티, 물고기, 거위, 백조, 성게, 등 수백 종에게 먹이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4] 해초류를 찾거나 먹이를 먹는 일부 어종은 인접한 맹그로브산호초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해초류는 퇴적물을 가두어 물의 흐름을 늦추고 부유 물질을 가라앉힌다. 이는 산호에 쌓이는 퇴적물을 줄여 산호와 해초류 모두의 광합성을 돕는다.[79]

해초류는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종종 간과되기도 한다.[80][81] 해초류는 생태계 엔지니어로 간주되는데,[82][13][12] 이는 주변 생태계를 변화시킨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변화는 물리적, 화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많은 해초류 종은 넓은 지하 뿌리줄기를 뻗어 퇴적물을 안정시키고 해안 침식을 줄인다.[83] 이 시스템은 퇴적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퇴적물 서식 유기체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82] 또한 중금속, 오염 물질, 과도한 영양분을 안정시켜 수질을 개선한다.[84][13][12] 해초류의 긴 잎은 파도의 에너지를 줄여 해안 침식과 폭풍 해일로부터 보호한다. 수중 식물인 해초류는 많은 양의 산소를 생성하여 물에 산소를 공급한다. 이러한 군락은 바다 전체 탄소 저장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헥타르당 열대 우림보다 두 배 많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약 2,740만 톤의 CO2를 격리한다.[85]

해초류 군락은 많은 해양 초식 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한다. 바다거북, 매너티, 잉꼬고기, 꼬치고기, 성게, 핀피쉬 등이 해초류를 먹는다. 다른 작은 동물들은 해초 잎과 그 사이에서 자라는 착생 식물, 무척추동물을 먹는다.[86] 해초류 군락은 식물이 없는 지역에 물리적 서식지를 제공하며, 물기둥의 3차원 구조 덕분에 많은 종이 은신처와 먹이를 찾아 해초류 서식지를 이용한다. 17종의 산호초 물고기는 어린 시절 전체를 해초류 군락에서만 보낸다고 알려져 있다.[87] 이러한 서식지는 멍게(''Mycteroperca microlepis''), 붉은 북, 흔한 스누크 등 상업적, 레크리에이션 가치가 있는 어종의 보육장 역할도 한다.[88][89] 일부 어종은 다양한 성장 단계에서 해초류 군락을 활용한다.

조간대와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초류는 조수 변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된다.[53][54]

다수의 극피동물이 있는 해초류 군락


빽빽한 거북손 해초(''Thalassia testudinum'')와 미성숙한 큰소라(''Eustrombus gigas'')가 있는 해초류 군락

5. 인간과의 관계

해초류 군락은 어업레크리에이션 활동 등 다양한 인간 활동에 중요한 장소이며,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31]

과거 한국에서는 갯끈풀을 퇴비나 해조 소금 제조에 이용하는 등 해초를 직접 이용하기도 했다.[131] 일본에서는 해신 행사에 해초를 사용하기도 한다.[131]

하지만 해초는 매립과 같은 연안 개발, 수질 오염, 지구 온난화 등 인간 활동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148] 해류 변화, 해저 퇴적 환경 변화, 해수 온도 상승 등은 해초 군락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148]

5. 1. 위협과 보전

해초는 전 세계적으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따르면 약 1/4의 해초 종이 멸종 위협에 처해 있다.[118]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연안 개발, 해양 오염, 기후 변화, 외래종 유입, 부영양화 등이 있다.[116]

특히, 부영양화는 해조류와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도한 성장을 유발하여 해초에 도달하는 빛을 차단하고,[122] 저산소증을 유발하여 해초 생존을 위협한다.[122] 저산소증 조건에 노출된 해초는 광합성 속도 감소, 호흡 증가, 성장 감소를 보인다.[122]

해초 보전을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 개선, 서식지 현황 파악, 지역별 위협 요인 관리, 과학적 연구 지원 등이 필요하다.[124] 세계 해초의 날은 해초와 해양 생태계에서 해초의 중요한 기능을 알리기 위해 매년 3월 1일에 열린다.[128][129]

일본에서는 해초류가 연안역에 생육하기 때문에 매립이나 수질 오염 등의 영향을 받는다.[148]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온 상승으로 해초 군락이 감소하기도 한다.[148] 일본산 해초류 중 5과 17종이 환경부의 관속식물 적색 목록에 게재되어 있으며, 보전 대책으로 해초 군락 이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태
거머리말과큰거머리말위기종 II급
갯끈풀위기종 II급
새우말준위협
참거머리말준위협
붓꽃말과붓꽃말준위협
류큐붓꽃말준위협
실말준위협
해호말준위협
염니라준위협
물부추과큰잎거머리말위기종 II급
작은거머리말위기종 II급
거머리말준위협
류큐 수고준위협
실말과실말위기종 II급
가시말과네지리카와츠루모위기종 IA급
야하즈카와츠루모위기종 IA급
가시말준위협


5. 2. 한국의 해초 보전 노력

한국에서는 해초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해양보호구역 지정, 해초 이식 사업, 오염원 관리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해초 서식지 복원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해초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7년 환경부의 관속식물 적색 목록에 5과 17종의 해초류가 등재되었다. 보전 대책으로는 아와세 간석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매립 사업의 대체 조치로 해초 군락 이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은 일본 환경부의 관속식물 적색 목록에 등재된 해초류의 일부이다.

보전 등급
거머리말과큰거머리말위기종 II급
갯끈풀위기종 II급
새우말준위협
참거머리말준위협
붓꽃말과붓꽃말준위협
류큐붓꽃말준위협
실말준위협
해호말준위협
염니라준위협
물부추과큰잎거머리말위기종 II급
작은거머리말위기종 II급
거머리말준위협
류큐 수고준위협
실말과실말위기종 II급
가시말과네지리카와츠루모위기종 IA급
야하즈카와츠루모위기종 IA급
가시말준위협


참조

[1] 논문 On the morphology and anatomy of turtle grass, Thalassia testudinum (Hydrocharitaceae). I. Vegetative Morphology. https://www.ingentac[...] 1966
[2] 논문 Experimental evidence of pollination in marine flowers by invertebrate fauna 2016-09-29
[3] 웹사이트 39 Ways to Save the Planet - Sublime Seagrass https://www.bbc.co.u[...] BBC 2022-02-12
[4] 논문 Highlights in Seagrasses' Phylogeny, Physiology, and Metabolism: What Makes Them Special?
[5] 서적 Seagrass: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The Netherlands 2006
[6] 웹사이트 Seagrasses https://www.nwf.org/[...]
[7] 논문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8] 논문 Extinction risk assessment of the world's seagrass species http://psasir.upm.ed[...]
[9] 서적 Seagrasses in the human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0] 서적 Developmental Genetics and Plant Evolution
[11] 논문 The late Precambrian greening of the Earth 2009
[12] 논문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2006
[13] 논문 Highlights in seagrass' phylogeny, physiology, and metabolism: what makes them so species? 2012
[14] 논문 "Phylogenetic studies in Alismatidae, II: evolution of marine angiosperms (seagrasses) and hydrophily" 1997
[15] 논문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16] 논문 The Genome of a Southern Hemisphere Seagrass Species (Zostera muelleri)
[17] 논문 The genome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reveals angiosperm adaptation to the sea
[18]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19] 서적 Early Events in Monocot 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5-30
[20] 웹사이트 Ruppia http://www.theplantl[...] The Plant List 2020
[21] 논문 The Cell Wall of Seagrasses: Fascinating, Peculiar and a Blank Canvas for Future Research
[22]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s://biotaxa.org/[...] 2016-05-20
[23] 서적 A Guide to Southern Temperate Seagrasses CSIRO Publishing
[24] 논문 Temperature extremes reduce seagrass growth and induce mortality
[25] 논문 Accelerating loss of seagrasses across the globe threatens coastal ecosystems
[26] 논문 Ecosystem recovery after climatic extremes enhanced by genotypic diversity
[27] 논문 Understanding the sexual recruitment of one of the oldest and largest organisms on Earth, the seagrass Posidonia oceanica
[28] 논문 Importance of genetic diversity in eelgrass Zostera marina for its resilience to global warming
[29] 서적 Seagrasses: Biology, Ecologyand Conservation
[30] 논문 High levels of gene flow and low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related to high dispersal potential of a tropical marine angiosperm
[31] 서적 Climate Change 2013 - the Physical Science Basis
[32] 논문 The movement ecology of seagrasses
[33] 논문 Spatial variation in reproductive effort of a southern Australian seagrass
[34] 논문 Understanding the sexual recruitment of one of the oldest and largest organisms on Earth, the seagrass Posidonia oceanica
[35] 논문 Variation in the recruitment behaviour of seagrass seeds: Implications for population dynamics and resource management
[36] 논문 Fruit anatomy,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velopment in the Japanese seagrass Phyllospadix (Zosteraceae)
[37] 서적 Seagrass morphology, anatomy, and ultrastructure
[38] 논문 Effects of current on photosynthesis and distribution of seagrasses
[39] 논문 Implications of Extreme Life Span in Clonal Organisms: Millenary Clones in Meadows of the Threatened Seagrass Posidonia oceanica
[40] 논문 Biogeomorphology of the Mediterranean ''Posidonia'' oceanicaseagrass meadows
[41] 논문 Nitric Oxide Ameliorates Zinc Oxide Nanoparticles Phytotoxicity in Wheat Seedlings: Implication of the Ascorbate–Glutathione Cycle
[42] 논문 Flowering of the seagrass Posidonia oceanica in NW Mediterranean: Is there a link with solar activity?
[43] 논문 Experimental evidence of warming-induced flowering in the Mediterranea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44] 논문 Consequences of Mediterranean warming events i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flowering records
[45] 논문 Seed nutrient content and nutritional status of Posidonia oceanica seedlings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Sea
[46] 논문 Photosynthetic activity of the non-dormant Posidonia oceanica seed
[47] 논문 Seed photosynthesis enhances ''Posidonia'' oceanicaseedling growth
[48] 논문 First evidence of root morphological and architectural variations in young Posidonia oceanica plants colonizing different substrate typologies
[49] 논문 Influence of substrate and burial on the development of Posidonia oceanica : Implications for restoration
[50] 논문 Evidences of adaptive traits to rocky substrates undermine paradigm of habitat preference of the Mediterranea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51] 논문 Influence of microhabitat on seedling survival and growth of the mediterranea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L.) Delile
[52] 논문 Photoacclimatory Responses of Zostera marina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53] 논문 Daily variation patterns in seagrass photosynthesis along a vertical gradient
[54] 논문 Desiccation is a limiting factor for eelgrass (Zostera marina L.) distribution in the intertidal zone of a northeastern Pacific (USA) estuary
[55] 논문 Remote estimation of aquatic light environments using machine learning: A new management tool for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https://www.scienced[...] 2021-08-15
[56] 논문 Depth-related variability in the photobiology of two populations of Halophila johnsonii and Halophila decipiens
[57] 논문 Photosynthetic and morphological photoacclimation of the seagrass Cymodocea nodosa to season, depth and leaf position
[58] 서적 Seagrass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논문 Photosynthetic response of Amphibolis antarctica and Posidonia australis to temperature and desiccation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60] 간행물 Baywide Seagrass Monitoring Program, Milestone Report No. 2 (2008). Fisheries Victoria Technical Report No. 29, January 2009.
[61] 논문 Beyond Light: Physical, Geological, and Geochemical Parameters as Possible Submersed Aquatic Vegetation Habitat Requirements
[62] 논문 Emergence stress and morphological constraints affect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growth of subtropical intertidal seagrasses
[63] 논문 Photosynthetic tolerances to desiccation of tropical intertidal seagrasses
[64] 논문 Seasonal heterogeneity in the photophysiological response to air exposure in two tropical intertidal seagrass species https://researchonli[...]
[65] 논문 Salinity and temperature significantly influence seed germinati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seedling growth of eelgrass ''Zostera'' marinaL
[66] 논문 Photosynthetic utilisation of carbon and light by two tropical seagrass species as measured in situ
[67] 논문 Patterns in tropical seagrass photosynthesis in relation to light, depth and habitat
[68] 논문 Effect of in situ light reduction on the maintenance, growth and partitioning of carbon resources in Thalassia testudinum banks ex König
[69] 논문 Seagrass survival during pulsed turbidity events: The effects of light deprivation on the seagrasses Halodule pinifolia and Halophila ovalis
[70] 논문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grass Posidonia sinuosa along a depth-related gradient of light availability
[71] 논문 Effects of irradiance, temperature, and nutrients on growth dynamics of seagrasses: A review
[72] 논문 Uptake and resource allocation of inorganic carbon by the temperate seagrasses Posidonia and Amphibolis
[73] 논문 Photosynthesis and photorespiration of marine angiosperms
[74] 서적 Towards a model for inorganic carbon uptake in seagrasses involving carbonic anhydrase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75] 논문 The acquisition of inorganic carbon by the seagrass Zostera marina
[76] 논문 Submerged versus air-exposed intertidal macrophyte productivity: From physiological to community-level assessments
[77] 논문 Carbon Isotopes in Photosynthesis
[78] 논문 Mechanistic interpretation of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by marine macroalgae and seagrasses
[79] 웹사이트 Seagrass-Watch: What is seagrass? http://www.seagrassw[...] 2012-11-16
[80] 논문 Seagrass Ecosystem Services and Their Variability across Genera and Geographical Regions 2016-10-12
[81] 간행물 Out of the blue: The value of seagrasses to the environment and to people https://www.unenviro[...] UNEP, Nairobi 2020
[82] 논문 Organisms as ecosystem engineers 1994
[83] 논문 Flowering of the seagrass Thalassia testudinum (Hydrocharitacea) in the Tampa Bay, Florida area 1987
[84] 논문 Reproductive phenology of the subtropical seagrasses Thalassia testudinum (Turtle grass) and Halodule wrightii (Shoal grass) in the northwest Gulf of Mexico 2016
[85] 논문 Quantifying and modelling the carbon sequestration capacity of seagrass meadows. 2013
[86] 웹사이트 Seagrass FAQ https://myfwc.com/re[...]
[87] 논문 How important are mangroves and seagrass beds for coral-reef fish? The nursery hypothesis tested on an island scale 2002
[88] 논문 Global significance of seagrass fishery activity
[89] 논문 Seagrass meadows support global fisheries production
[90] 논문 More Than Just a Spawning Location: Examining Fine Scale Space Use of Two Estuarine Fish Species at a Spawning Aggregation Site 2017-11-23
[91] 논문 The seagrass holobiont and its microbiome
[92] 논문 The seagrass holobiont: understanding seagrass-bacteria interactions and their role in seagrass ecosystem functioning
[93] 서적 Symbiogenesis and Symbiontic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MIT Press
[94] 논문 Holes in the Hologenome: Why Host-Microbe Symbioses Are Not Holobionts
[95] 논문 Getting the Hologenome Concept Right: An Eco-Evolutionary Framework for Hosts and Their Microbiomes
[96] 논문 Microbes drive evolution of animals and plants: the hologenome concept
[97] 논문 Role of microorganisms in the evolution of animals and plants: the hologenome theory of evolution
[98] 논문 The importance of the microbiome of the plant holobiont
[99] 논문 Understanding the holobiont: the interdependence of plants and their microbiome
[100] 논문 Sugars dominate the seagrass rhizosphere 2022-05-02
[101] 논문 Fiber Characteristics and Papermaking of Seagrass Using Hand-beaten and Blended Pulp
[102] 논문 Occurrence of sulfated galactans in marine angiosperms: Evolutionary implications
[103] 논문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sulfated polysaccharide from the vascular plant Halodule wrightii
[104] 논문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Cytotoxic Properties of an Apiose-Rich Pectic Polysaccharide Obtained from the Cell Wall of the Marine Phanerogam Zostera marina
[105] 논문 Extraction, Isol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Properties of an Apigalacturonan-Rich Polysaccharide from the Sea Grass Zostera caespitosa Miki
[106] 논문 The Fasciclin-Like Arabinogalactan Proteins of Arabidopsis. A Multigene Family of Putative Cell Adhesion Molecules
[107] 논문 Arabinogalactan-Proteins: Key Regulators at the Cell Surface?
[108] 서적 Annual Plant Reviews online
[109] 논문 Arabinogalactan-proteins in spore-producing land plants
[110] 논문 Arabinogalactan-proteins of Zostera marina L. Contain unique glycan structures and provide insight into adaptation processes to saline environments
[111] 논문 Salt stress upregulates periplasmic arabinogalactan proteins: Using salt stress to analyse AGP function
[112] 논문 Decomposition of senescent blades of the seagrass Halodule wrightii in a subtropical lagoon
[113] 논문 Retention of lignin in seagrasses:angiosperms that returned to the sea
[114] 논문 Discovery of Lignin in Seaweed Reveals Convergent Evolution of Cell-Wall Architecture
[115] 논문 Radically different lignin composition in Posidonia species may link to differences in organic carbon sequestration capacity https://ro.ecu.edu.a[...]
[116] 논문 The future of seagrass meadows https://www.cambridg[...] 2002-06
[117] 논문 Accelerating loss of seagrasses across the globe threatens coastal ecosystems 2009-07-28
[118] 논문 Extinction risk assessment of the world's seagrass species https://www.scienced[...] 2011-07-01
[119] 논문 Inorganic nitrogen has a dominant impact on estuarine eelgrass distribution in the Southern Gulf of St. Lawrence, Canada 2019-05-08
[120] 서적 Seagrass Ecolog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21] 논문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2006-12-01
[122] 논문 Seagrasses and eutrophication https://www.scienced[...] 2007-11-09
[123] 논문 Seagrass meadows (Posidonia oceanica) distribution and trajectories of change 2015-07-28
[124] 논문 Global challenges for seagrass conservation https://doi.org/10.1[...] 2019-08-01
[125] 논문 The planetary role of seagrass conservation https://doi.org/10.1[...] 2022-08-05
[126] 논문 Diversit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seagrass in coastal waters of the Liaodong Peninsula, North Yellow Sea, northern China: Implications for seagrass conservation https://www.scienced[...] 2021-06-01
[127] 논문 Local Knowledge and Conservation of Seagrasses in the Tamil Nadu State of India 2011-11-23
[128] 웹사이트 World Seagrass Day https://nationaltoda[...] 2022-06-24
[129] 웹사이트 World Seagrass Day https://wsa.seagrass[...] 2018-06-10
[130] 웹사이트 沿岸生態系を支える「アマモ」 http://www.ies.or.jp[...] 環境科学技術研究所 2020-01-23
[131] 문서 "矢部徹、生嶋功 「海草の生態」『朝日百科 植物の世界119 植物の生物地理10 水圏の植生・極限の植生』岩槻邦男ら監修、朝日新聞社、1996年、298-299頁。"
[132] 문서 飯泉仁(1989)「海草類の栄養塩類の取り込みについて」『月刊海洋』21(6); 317-321pp.
[133] 웹사이트 류큐우스가모의 꽃 http://www.kaikyokan[...]
[134] 웹사이트 우미쇼우부의 꽃 https://aglassofwate[...]
[135] 웹사이트 해초도감 코아마모 http://www-es.s.chib[...]
[136] 문서 当真武 「琉球列島の海草‐I. 種類と分布」『沖縄生物学会誌』37号、1999年、75-92頁。
[137] 문서 横浜康継 「水の植物の世界」『朝日百科 植物の世界11 植物の生物地理1 地球の植物世界』岩槻邦男ら監修、朝日新聞社、1996年、28頁。
[138] 서적 大場達之・宮田昌彦 『日本海草図譜』 北海道大学出版会発行、2007年、ISBN 978-4-8329-8175-1。
[139] 간행물 笠原勉 『해초류』 「순응적 관리에 의한 해변의 자연 재생」[[국토교통성]]항만국감수, 바다의 자연 재생 워킹 그룹 저, 2007년, 221頁。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140] 간행물 沖縄県文化環境部自然保護課編 『ジュゴンのはなし -沖縄のジュゴン- (第2版)』 沖縄県文化環境部自然保護課発行、2008年、16頁。 http://www3.pref.oki[...] 沖縄県文化環境部自然保護課
[141] 서적 日本海草図譜 北海道大学出版会 2007
[142] 문서
[143] 서적 日本沿岸の海草群落 文一総合出版 2005
[144] 논문 Occurrence of ''Halophila decipiens'' Ostenfeld (Hydrocharitaceae) in Okinawa Island, Japan https://cir.nii.ac.j[...] 1995
[145] 논문 A Taxonomic Study of the Seagrass Genus ''Halophila''(Hydrocharitaceae) from Japan: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Halophila Japonica'' sp. nov. and Characterization of ''H. ovalis''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https://cir.nii.ac.j[...] 2006
[146] 논문 Seagrasses of the Genus Halophila Thouars (Hydrocharitaceae) from Japan https://cir.nii.ac.j[...] 2006
[147] 문서
[148] 뉴스 海草育ててCO2削減「ブルーカーボン」国内で動き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2-12
[149] 간행물 (표지로 읽는 과학)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http://www.dongascie[...] 2017-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