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 지수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렬 지수 함수는 정사각 행렬을 다른 정사각 행렬로 변환하는 함수로, 무한 급수 또는 초기값 문제의 해로 정의될 수 있다. 이 함수는 복소수 지수 함수의 테일러 급수와 유사하며, 항상 수렴하므로 항상 존재한다. 행렬 지수 함수는 기본 성질, 가환성과 관련된 성질, 가역성과 관련된 성질, 특별한 행렬에 대한 성질 등 다양한 성질을 만족하며,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동차 및 비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을 풀거나 지수 적분기 연구에 활용된다. 행렬 지수 함수는 또한 행렬의 행렬 거듭제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사상(mapping)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듭제곱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거듭제곱 - 반감기
반감기는 어떤 양이 원래 값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방사성 붕괴, 화학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방사성 동위원소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행렬론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 행렬론 - 행렬 분해
행렬 분해는 주어진 행렬을 특정 성질을 갖는 여러 행렬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수치 해석에서 행렬 알고리즘 구현 및 선형 연립 방정식 해를 구하거나 행렬 특성 분석에 활용되며 LU 분해, QR 분해, 특잇값 분해 등이 있다. - 리 군 - 리 대수
리 대수는 가환환 위의 가군과 리 괄호 연산으로 구성되며 쌍선형성, 교대성,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고, 리 군 연구와 분류, 표현 이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 군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행렬 지수 함수 | |
---|---|
정의 | |
영어 | Matrix exponential |
일본어 | 行列指数関数 (Gyōretsu shisū kansū) |
한국어 | 행렬 지수 함수 |
설명 | 스칼라 숫자의 지수화를 일반화한 행렬 연산이다. |
표기법 | |
표기 | exp(X) e |
설명 | 여기서 X는 n×n 행렬이다. |
정의 | |
정의 | 행렬 X의 지수 함수는 멱급수로 정의된다. |
속성 | |
주요 속성 | 행렬 지수 함수는 다양한 속성을 갖는다. |
2. 정의
행렬 지수 함수는 정사각행렬을 다른 정사각행렬로 보내는 행렬 함수다.
2. 1. 무한 급수 정의
정사각행렬 에 대한 행렬 지수 함수 또는 는 다음과 같은 무한 급수로 정의된다.[2]:.
이는 복소수 지수 함수의 테일러 급수 와 같은 꼴이다. 위의 급수는 항상 수렴하므로, 행렬 지수는 항상 존재한다. 여기서 는 항등 행렬, 는 의 제곱을 의미한다.
3. 성질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들을 만족한다.
- (영행렬 에 대한 행렬 지수 함수는 단위행렬 이다.)
- (여기서 a, b는 임의의 복소수이다.)
- 두 행렬 X와 Y가 가환이면, , 즉, 이다.
- * 단, 일반적으로 가환하지 않는 두 행렬의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 가 가역이면
- . 따라서 가 대칭 행렬이면 그 행렬 지수도 대칭이며, 가 왜대칭이면 는 직교 행렬이 된다.
- . 따라서 가 에르미트이면 도 에르미트이며, 가 왜에르미트이면 는 유니타리 행렬이 된다.
- 야코비 공식에 따르면, 임의의 복소 정방 행렬에 대해 (대각합 항등식)이 성립한다.[3] 이 공식은 행렬 지수 함수가 항상 가역 행렬임을 보여준다.
3. 1. 기본 성질
- 영행렬 에 대한 행렬 지수 함수는 단위행렬이다. 즉, 이다.
- 만약 두 행렬 , 가 를 만족하면, 이다.
- * 이 성질의 특수한 경우로, 임의의 복소수 , 에 대해 가 성립한다.
- *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환하지 않는 두 행렬에 대해서는 이다.
- 만약 가 가역행렬이면, 이다.
- 이다.
- * 따라서, 이고, 행렬 지수 함수는 항상 가역행렬이다.
-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초기조건문제의 해로 표현될 수 있다.
- *
- *
- * 위의 초기조건문제의 해는 이다.
- 의 전치 행렬을 라고 하면, 이다. 따라서 가 대칭 행렬이면 도 대칭 행렬이다. 또한 가 반대칭 행렬이면 는 직교 행렬이다.
- 의 켤레 전치 행렬을 라고 하면, 이다. 따라서 가 에르미트 행렬이면 도 에르미트 행렬이고, 가 반 에르미트 행렬이면 는 유니타리 행렬이다.
3. 2. 가환성과 관련된 성질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 여기서 대문자는 임의의 정사각행렬, 소문자는 임의의 복소수를 의미한다.- (영행렬에 대한 지수 함수는 단위 행렬이다.)
- (지수 법칙의 특수한 경우)
- 만약 이면, 즉, 두 행렬 X와 Y가 가환이면,
- * 단, 일반적으로 가환하지 않는 두 행렬의 경우 이다.
- 가 가역이면
일반적인 지수 함수가 를 만족하는 것처럼, 가환 행렬에 대해서도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가환하지 않는 행렬에 대해서는 위의 등식이 반드시 성립하지는 않으며, 이 경우 베이커-캠벨-하우스도르프 공식을 사용하여 를 계산할 수 있다.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등식 는 와 가 가환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3. 3. 가역성과 관련된 성질
가 가역이면[3]:
야코비 공식에 따르면, 임의의 복소 정방 행렬에 대해 다음의 대각합 항등식이 성립한다.[3]
:
위 등식은 계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변이 항상 0이 아니므로 좌변의 행렬식이 0이 아니며, 따라서 행렬 지수 함수 는 항상 가역 행렬임을 보여준다.[3]
3. 4. 특별한 행렬에 대한 성질
- (영행렬의 행렬 지수는 단위 행렬이다.)
- (여기서 a, b는 임의의 복소수)
- 이면,
- 가 가역이면,
- . 이로부터 가 대칭 행렬이면 그 행렬 지수 도 대칭이며, 가 왜대칭이면 는 직교 행렬이 된다.
- . 이로부터 가 에르미트이면 도 에르미트이며, 가 왜에르미트이면 는 유니타리 행렬이 된다.
고려하는 행렬이 사영 행렬이라면, 이는 멱등이므로, 행렬 지수는
:
가 됨을 지수 함수의 정의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3. 5. 리 곱 공식
비록 ''X''와 ''Y''가 서로 교환하지 않더라도, 지수 ''e''''X'' + ''Y''는 리 곱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4]:
위 식을 근사하기 위해 큰 유한 ''k''를 사용하는 것은 수치적 시간 진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Suzuki-Trotter 전개의 기초이다.
3. 6. 베이커-캠벨-하우스도르프 공식
Baker–Campbell–Hausdorff formula|베이커-캠벨-하우스도르프 공식영어으로 계산할 수 있다.[5]:
여기서 나머지 항들은 모두 와 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교환자들이다. 만약 와 가 교환 가능하면, 모든 교환자는 0이 되고, 단순히 가 된다.
가환 행렬 , 가 교환 가능()하다면,
:
가 성립한다. 그러나 가환하지 않은 행렬에 대해서는 위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이 경우, 의 계산에 베이커-캠벨-하우스도르프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3. 7. 골든-톰슨 부등식
에르미트 행렬의 행렬 지수 함수의 대각합과 관련된 주목할 만한 정리이다.만약 A와 B가 에르미트 행렬이라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6]
:
이때, 가환성은 조건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골든-톰슨 부등식이 세 행렬로 확장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반례가 있으며, 에르미트 행렬 A, B, C에 대해 tr(exp(A)exp(B)exp(C))가 항상 실수를 보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리브는[7][8] 다음 식을 통해 세 행렬에 대해 일반화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
4. 계산
행렬 지수 함수를 계산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수학 및 수치 해석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는 주제이다. 매트랩, GNU 옥타브, R, SciPy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파데 근사를 사용하여 행렬 지수 함수를 계산한다.[14][15][16][17]
일반적으로, 행렬의 거듭제곱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는 현재 수학, 특히 수치 해석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MATLAB이나 GNU Octave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파데 근사를 사용한다.[25][26]
이 절에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행렬에 적용 가능하며, 작은 행렬에 대해 명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18]
4. 1. 대각화 가능 행렬
행렬이 대각 행렬인 경우::
그 지수 함수는 주 대각선상의 각 항목에 지수를 취해 얻을 수 있다.
:
이 결과는 대각화 가능 행렬의 지수도 계산할 수 있게 해준다. ''A'' = ''UDU''−1 이고 ''D''가 대각 행렬이라면, ''e''''A'' = ''Ue''''D''''U''−1이다. 실베스터 공식을 적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대각 행렬의 덧셈과 곱셈, 그리고 지수화는 요소별 덧셈, 곱셈, 지수화와 같다는 점에 유의. 특히 "1차원" 지수화는 대각선의 경우 요소별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행렬
는 다음과 같이 대각화할 수 있다.
:
따라서,
:
4. 2. 멱영 행렬
행렬 N이 어떤 정수 ''q''에 대해 이면 멱영이라고 한다. 이 경우 행렬 지수 함수 은 급수 전개를 통해 직접 계산할 수 있는데, 급수가 유한한 항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급수는 유한한 단계를 가지므로, 이는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행렬 다항식이다.
요르단-슈발레 분해에 따르면, 복소수를 성분으로 갖는 임의의 행렬 ''X''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 ''A''는 대각화 가능하고
- ''N''은 멱영 행렬이며
- ''A''는 ''N''과 가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이전의 두 경우로 축소하여 ''X''의 지수 함수를 계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마지막 단계를 수행하려면 ''A''와 ''N''의 가환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멱영 행렬 N는 적당한 양의 정수 q에 대해 을 만족한다. N승 은 지수 함수의 정의 급수로부터 직접
:
로 계산할 수 있다(급수는 유한 항으로 끝난다).
4. 3. 조르당 표준형
요르단-슈발레 분해에 따르면, 복소수를 성분으로 갖는 임의의 행렬 ''X''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3]:
여기서,
- ''A''는 대각화 가능하고
- ''N''은 멱영 행렬이며
- ''A''는 ''N''과 가환이다.
이는 ''X''의 지수 함수를 다음과 같이 이전의 두 경우로 축소하여 계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마지막 단계를 수행하려면 ''A''와 ''N''의 가환성이 필요하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인 경우, 밀접하게 관련된 방법으로 조르당 표준형을 사용할 수 있다. 라고 가정하면, 여기서 는 의 조르당 표준형이다. 그러면
:
또한
:
이므로, 조르당 블록의 행렬 지수 함수를 계산하는 방법만 알면 된다. 각 조르당 블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
여기서 은 특별한 멱영 행렬이다. 의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4. 4. 실베스터 공식
케일리-해밀턴 정리에 의해, ''n×n'' 행렬 는 ''A''의 처음 ''n''−1 거듭제곱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2×2 대각화 가능 행렬의 경우, 실베스터 공식은 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B''는 ''A''의 프로베니우스 공변량이다.이러한 ''B''는 (단위 행렬)와 에 대해 위 식과 그 첫 번째 미분을 에서 평가하여 구할 수 있다.
이 절차는 결함 행렬에도 적용 가능하다.[22] 아래는 4×4 행렬의 예시이다.
다음 행렬 ''A''를 고려한다.
:
이 행렬은 고윳값 와 을 가지며, 각 고윳값의 중복도는 2이다.
각 고윳값에 ''t''를 곱한 지수 함수, 를 생각한다. 그리고 각 지수화된 고윳값에 해당하는 미정 계수 행렬 를 곱한다. 고윳값의 대수적 중복도가 1보다 크면, 선형 독립성을 위해 각 반복마다 ''t''를 추가로 곱한다.
(만약 어떤 고윳값의 중복도가 3이라면, 세 개의 항 이 필요하다. 모든 고윳값이 서로 다르면, ''B''는 프로베니우스 공변량이 되며, 이들을 구하는 것은 4개 고윳값의 반데르몬드 행렬의 역행렬을 구하는 것과 같다.)
이 항들을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4개의 항)
:
:
''A''의 처음 세 거듭제곱과 항등 행렬로 미지 행렬 ''B''를 구하기 위해, 위 식에서 ''t'' = 0일 때의 방정식과, ''t''에 대해 미분한 방정식이 필요하다.
:
다시 한번 미분하면,
:
한 번 더 미분하면,
:
(일반적으로, ''n''−1번의 미분이 필요하다.)
이제 ''t'' = 0을 대입하여 계수 행렬 ''B''를 구하면,
: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의 값을 대입하면,
:
최종적으로,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이 절차는 푸처 알고리즘보다 간결하다.
4. 5. 로랑 급수
케일리-해밀턴 정리에 따라 행렬 지수 함수는 n-1차 다항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와 가 한 변수의 0이 아닌 다항식이고, 이며, 메로모픽 함수
가 전해석 함수라면,
가 성립한다. 이를 증명하려면 위의 두 등식 중 첫 번째에 를 곱하고 를 로 대체한다.
이러한 다항식 는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 실베스터 공식 참조. 를 의 근으로 놓고, 는 와 의 에서의 주요 부분의 곱으로 계산된다. 이는 관련 프로베니우스 공변량에 비례한다. 가 의 모든 근을 순회하는 경우, ''Qa,t''의 합 ''St''를 특정 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모든 는 에 의 배수를 더하여 얻을 수 있다. 특히, , 즉 라그랑주-실베스터 다항식은 차수가 보다 작은 유일한 이다.
4. 6. 파데 근사
일반적인 행렬 거듭제곱의 계산을 정확도와 정밀도를 가지고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현재에도 수학, 특히 수치 해석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MATLAB이나 GNU Octave는 파데 근사를 사용한다.[25][26]5. 응용
행렬 지수 함수는 연립 상미분 방정식의 수치 해법인 지수 적분기 연구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28]
5. 1. 선형 미분 방정식
행렬 지수 함수는 선형 상미분 방정식 시스템을 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음과 같은 초기 조건 문제를 생각해 보자.
:
:
여기서 는 벡터 함수, 는 상수 행렬, 는 초기 조건 벡터이다. 이 문제의 해는 다음과 같이 행렬 지수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행렬 지수 함수는 동차 방정식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비동차 방정식도 풀 수 있다.
:
이에 대한 예시는 응용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가 상수 행렬이 아닌,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함수 라면, 다음과 같은 미분 방정식
:
에 대한 닫힌 형식의 해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마그누스 급수를 이용하면 해를 무한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5. 1. 1. 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
행렬 지수 함수는 선형 미분 방정식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행렬 미분 방정식도 참조). 다음과 같은 형태의 ''동차'' 미분 방정식은:
는 해 를 갖는다.
벡터
:
를 고려하면, ''동차'' 연립 선형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5. 1. 2. 비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
비동차(Inhomogeneous) 선형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y'''(t)는 다음과 같은 열 벡터이다.
:
이 방정식의 해는 적분 인자 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양변에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두 번째 단계는 인 경우 가 성립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를 계산하고, 위 식을 에 대해 적분하면 시스템의 해를 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
:
여기서 는 행렬 지수 함수이므로 (단위행렬)가 성립한다. 즉, 이다.
6. 지수 사상
행렬의 지수 함수는 항상 가역 행렬이다. 의 역행렬은 로 주어진다. 이는 복소수의 지수 함수가 항상 0이 아닌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사상을 제공한다.
:
여기서 는 모든 ''n''×''n'' 행렬의 공간이고, 는 차수 의 일반 선형군으로, 즉 모든 ''n''×''n'' 가역 행렬의 군이다. 사실, 이 사상은 전사 함수인데, 이는 모든 가역 행렬이 다른 행렬의 지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9]
임의의 두 행렬 와 에 대해,
:
여기서 는 임의의 행렬 노름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지수 함수는 의 콤팩트 집합에서 연속이고 립시츠 연속이다.
사상
:
는 일반 선형군에서 매끄러운 곡선을 정의하며, 에서 항등원을 통과한다.
사실, 이것은 일반 선형군의 1-매개변수 부분군을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
이기 때문이다. 점 ''t''에서의 이 곡선의 도함수 (또는 접선 벡터)는 다음과 같다.
:
에서의 도함수는 단순히 행렬 ''X''인데, 이는 ''X''가 이 1-매개변수 부분군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일반적으로,[10] 일반적인 에 의존하는 지수 에 대해,
:
위의 식 를 적분 기호 밖으로 가져와 Hadamard 보조정리를 사용하여 피적분 함수를 전개하면 행렬 지수 함수의 도함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유용한 식을 얻을 수 있다.[11]
:
7. 행렬의 행렬 거듭제곱
다른 행렬의 행렬 지수 함수(행렬-행렬 지수 함수)[24]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정규이자 비특이 ''n'' × ''n'' 행렬 ''X'' 및 임의의 복소수 ''n'' × ''n'' 행렬 ''Y''에 대해.
행렬-행렬 지수 함수의 경우, 행렬-행렬 곱셈 연산자가 교환 법칙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왼쪽 지수 함수''Y''''X''와 오른쪽 지수 함수 ''X''''Y'' 사이에 차이가 있다. 또한,
- ''X''가 정규이고 비특이 행렬이면, ''X''''Y''와 ''Y''''X''는 동일한 고유값을 갖는다.
- ''X''가 정규이고 비특이 행렬이며, ''Y''가 정규이고, ''XY'' = ''YX''이면, ''X''''Y'' = ''Y''''X''이다.
- ''X''가 정규이고 비특이 행렬이며, ''X'', ''Y'', ''Z''가 서로 교환 가능하면, ''X''''Y''+''Z'' = ''X''''Y''·''X''''Z'' 및 ''Y''+''Z''''X'' = ''Y''''X''·''Z''''X''이다.
행렬 지수 함수와 행렬 로그 함수가 알려져 있다면, 정규 및 가역인 ''n''차 정방 행렬 ''X''와 ''n''차 복소 정방 행렬 ''Y''에 대해, 행렬의 행렬 거듭제곱(matrix-matrix exponential)[27]을
:
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행렬 곱셈은 비가환적이므로, 행렬의 행렬 거듭제곱도 왼쪽 거듭제곱''Y''''X''과 오른쪽 거듭제곱 ''X''''Y''의 구별이 생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나아가,
- ''X''가 정규이고 가역적이면, ''X''''Y''와 ''Y''''X''는 고유값 집합이 일치한다.
- ''X''가 정규이고 가역적이며, ''Y''가 정규이고, ''XY'' = ''YX''가 성립한다면, ''X''''Y'' = ''Y''''X''가 성립한다.
- ''X''가 정규이고 가역적이며, ''X'', ''Y'', ''Z''가 어떤 두 개도 가환적이면, ''X''''Y''+''Z'' = ''X''''Y''·''X''''Z'', ''Y''+''Z''''X'' = ''Y''''X''·''Z''''X''가 성립한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Matrix Analysis
Springer
[7]
논문
Convex trace functions and the Wigner–Yanase–Dyson conjecture
http://www.numdam.or[...]
[8]
논문
Remarks on two theorems of E. Lieb
http://projecteuclid[...]
[9]
서적
[10]
논문
Exponential Operators and Parameter Differentiation in Quantum Physics
[11]
서적
[12]
논문
Twice differentiable spectral functions
https://people.orie.[...]
2001
[13]
논문
Speckle reduction in matrix-log domain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ing
2022
[14]
웹사이트
Matrix exponential – MATLAB expm – MathWorks Deutschland
http://www.mathworks[...]
Mathworks.de
2011-04-30
[15]
웹사이트
GNU Octave – Functions of a Matrix
http://www.network-t[...]
Network-theory.co.uk
2007-01-11
[16]
웹사이트
R - pkg {Matrix}: Matrix Exponential
https://search.r-pro[...]
2005-02-28
[17]
웹사이트
scipy.linalg.expm function documentation
http://docs.scipy.or[...]
The SciPy Community
2015-01-18
[18]
서적
[19]
문서
in a Euclidean space
[20]
서적
Space Time Matter
https://books.google[...]
Dover
[21]
서적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22]
간행물
The equivalence of definitions of a matric function
https://www.jstor.or[...]
[23]
문서
This can be generalized; in general, the exponential of {{math|''J''''n''(''a'')}} is an upper triangular matrix with {{math|''e''''a''/0!}} on the main diagonal, {{math|''e''''a''/1!}} on the one above, {{math|''e''''a''/2!}} on the next one, and so on.
[24]
웹사이트
Iterated Exponentiation, Matrix-Matrix Exponentiation, and Entropy
http://www.rockefell[...]
Academic Press, Inc.
1994
[25]
웹사이트
Matrix exponential - MATLAB expm - MathWorks Deutschland
http://www.mathworks[...]
Mathworks.de
2013-06-05
[26]
웹사이트
GNU Octave - Functions of a Matrix
http://www.network-t[...]
Network-theory.co.uk
2013-06-05
[27]
간행물
Iterated Exponentiation, Matrix-Matrix Exponentiation, and Entropy
http://www.rockefell[...]
Academic Press, Inc.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