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방불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방불명은 소재를 알 수 없다는 뜻으로, 법률상으로는 일정 기간 동안 생사가 불분명한 경우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민법은 실종선고 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관련 규칙은 행방불명자를 '생활 근거지를 떠나 행방이 명확하지 않은 자'로 정의한다. 행방불명은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에도 사용되며, 유명인의 은퇴나 잠적, 재해로 인한 소재 불명 상황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재해 발생 시에는 수색 구조가 이루어지며, 개인 정보 공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 전쟁이나 군사 작전 중 실종된 군인을 지칭하는 용어인 '작전 중 행방불명'(MIA)도 존재하며,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행방불명은 말 그대로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연락할 방법이 없거나, 미리 알려준 이동 목적지를 찾아봐도 없거나, 이동에 관한 기록이 없거나, 기록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 기록 자체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행방불명이 된다.[2] 행방불명은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에도 사용될 수 있다.
행방불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2. 정의
비유적으로 연예인이나 프로 스포츠 선수, 뉴스 등을 통해 유명인이 된 인물 등이 알려지지 않게 은퇴하거나 잊혀져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을 때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는 사회적 관심도가 저하되어 근황이 일반에 알려지지 않은 것에 불과하며, 개인으로서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것도 아니고, 법적인 의미는 없다. 한편, 사진 잡지 등 가십이나 스캔들을 과열 보도하는 측을 피해 유명인이 행방을 감추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관계자 등은 행방이나 연락처를 알고 있지만, 비밀로 함으로써 당사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역시 법적인 의미에서의 행방불명과는 달리, 제삼자가 그 행방을 모른다는 의미일 뿐이다.
2. 1. 법령상의 정의
대한민국 민법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생사가 불분명한 자에 대해 법원이 실종선고를 내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행방불명자 발견 활동에 관한 규칙" (국가공안위원회 규칙 제13호)에서는 행방불명자를 "生活の根拠地を離れその行方が明らかでない者|세이카쓰노 쿄텐치오 하나레 소노 유쿠에가 아키라카데나이 모노일본어", 즉 "생활의 근거지를 떠나 그 행방이 명확하지 않은 자"로 정의하고, 실종 신고 및 발견 시 조치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1]
2. 2. 일반적인 용법
행방불명은 말 그대로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다”는 뜻이지만, 연락할 방법이 없거나, 미리 알려준 이동 목적지를 찾아봐도 없거나, 이동에 관한 기록이 없거나, 기록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 기록 자체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행방불명이 된다.[2]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비유적으로 연예인이나 프로 스포츠 선수, 그리고 뉴스 등을 통해 일약 유명인이 된 인물 등이 알려지지 않게 은퇴하거나 세상에서 잊혀져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을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회적 관심도가 저하되어 정보로서 근황이 일반에 알려지지 않은 것에 불과하며, 개인으로서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것도 아니고, 법적인 의미는 없다. 한편, 사진 잡지 등 가십이나 스캔들을 과열 보도하는 측의 존재를 꺼려 유명인이 행방을 감추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관계자 등에서는 행방이나 연락처를 알고 있지만, 그것을 비밀로 함으로써 당사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등의 활동도 이루어지지만, 이쪽도 법적인 의미에서의 행방불명과는 달리, 제삼자가 그 행방을 모른다는 의미일 뿐이다.
3. 원인
어떤 경우든 그 사람의 소재를 확인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다.
조선 시대에는 "실종"이라고 불렸으며, 친족이나 보장에 따라 이를 데려올 의무가 있었다. 이를 이행하지 못하면 그들도 처벌받았다.[1] 이는 농사일을 하는 노동자가 함부로 땅을 떠나 농업 생산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1] 수색이 포기되어 호적에서 삭제된 사람은 무숙자라고 불렀다.[1]
4. 대한민국 법률: 실종선고
현행 대한민국 민법에는 일정 기간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법적으로 이미 사망한 것으로 간주하는 실종선고가 내려질 수 있다.[1] 이러한 제도는 인간이 사회에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이 행방불명된 채로 타인이 그 부재를 이유로 부적절하게 활동을 제한받지 않도록 하는 등의 의미를 가진다.[1]
5. 재해 시 안부 불명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재해 규모가 크고 피해자들의 대피 장소가 광범위하여 개인별 소식 파악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소식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을 행방불명자로 간주하지 않고, 생존 여부(안부) 확인을 위해 이름, 나이, 거주지 등의 정보를 공개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 정보 공개는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어 공개 여부, 내용, 범위,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했다.[7]
2021년 7월 3일, 시즈오카현에서 아타미시 이즈산 토석류 재해가 발생하여 많은 건물이 피해를 입었고, 주민 구조가 어려워졌다. 이에 시즈오카현은 7월 5일 주민기본대장을 바탕으로 행방불명자 명단을 발표했다. 이후 대피한 본인이나 지인들로부터 연락이 와서 수색 대상과 범위를 좁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8]
이를 교훈 삼아 2023년 3월 24일, 일본 내각부는 지방자치단체에 맡겨졌던 재해 시 행방불명자 정보 공개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담은 지침을 발표했다. 이 지침에 따르면, 행방불명자의 이름, 주소, 연령(또는 연대), 성별은 가족 동의 없이도 원칙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단, 가정폭력이나 스토킹 피해자는 주민기본대장 열람 제한 등을 통해 확인하도록 했다.[9]
2024년 1월 1일 발생한 노토반도 지진에서는 1월 3일부터 이시카와현이 행방불명자 정보(이름, 주소, 연령)를 공개하기 시작했다.[10]
6. 작전 중 행방불명 (MIA)
전쟁이나 군사 작전 중에 행방불명된 군인 등을 작전 중 행방불명(MIA) 또는 전투 중 행방불명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 당시 행방불명된 군인을 다룬 영화가 다수 제작되는 등 관심이 높았고,[11] 2010년대에 있어서도 미국 국방부는 담당 부서를 두고 정보 수집과 수색을 계속하고 있다.[12]
7. 관련 단체
국제실종·학대아동센터는 International Centre for Missing & Exploited Children|인터내셔널 센터 포 미싱 & 익스플로이티드 칠드런영어이다. 미국 실종·학대아동센터는 National Center for Missing & Exploited Children|내셔널 센터 포 미싱 & 익스플로이티드 칠드런영어이다. 코드 아담(Code Adam|코드 아담영어)은 미국과 캐나다의 아동 보호 프로그램이다. 실종자 전국 담당국(Landelijk Bureau Vermiste Personen|란델리크 뷰로 페르미스터 페르소넌nl)은 네덜란드 경찰 내의 실종자 수색 전문 부서이다. 어린이의 미소(The Smile of the Child|더 스마일 오브 더 차일드영어)는 그리스의 실종 아동을 수색하는 단체이다.
7. 1. 국제
- 국제실종·학대아동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Missing & Exploited Children|인터내셔널 센터 포 미싱 & 익스플로이티드 칠드런영어
- 미국 실종·학대아동센터National Center for Missing & Exploited Children|내셔널 센터 포 미싱 & 익스플로이티드 칠드런영어
- 코드 아담Code Adam|코드 아담영어 - 미국과 캐나다의 아동 보호 프로그램
- 실종자 전국 담당국Landelijk Bureau Vermiste Personen|란델리크 뷰로 페르미스터 페르소넌nl - 네덜란드 경찰 내의 실종자 수색 전문 부서
- 어린이의 미소The Smile of the Child|더 스마일 오브 더 차일드영어 - 그리스의 실종 아동을 수색하는 단체
참조
[1]
웹사이트
行方不明者発見活動に関する規則 第2条第1項
https://laws.e-gov.g[...]
e-Gov
2020-01-27
[2]
뉴스
国宝の仏像、右手が行方不明に_平等院の雲中供養菩薩
http://www.47news.jp[...]
2013-06-19
[3]
웹사이트
「捜索となると費用がかかることを前提にしてほしい」富士山で遭難したら…山のプロに聞いてみた
https://newsdig.tbs.[...]
2024-01-13
[4]
웹사이트
「家を出て行った娘の居場所が知りたい」母の執念、こじれた親子関係「修復には逆効果」 - 弁護士ドットコムニュース
https://www.bengo4.c[...]
2024-01-13
[5]
웹사이트
silver alert
https://imidas.jp/am[...]
2023-12-31
[6]
웹사이트
曖昧な情報もあえて公表、石川県 安否不明者、増減の理由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1-12
[7]
웹사이트
東日本大震災・安否情報システムの展開とその課題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放送研究と調査」2012年6月号
2024-01-12
[8]
웹사이트
名簿公表で41人の所在確認 安否確認と捜索救助を急ぐ
https://www.nhk.or.j[...]
NHK政治マガジン
2024-01-12
[9]
웹사이트
災害安否不明者の情報、家族同意なしで原則公表 国指針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1-12
[10]
웹사이트
石川県、安否不明者の氏名・住所・年齢を公表 速やかな救助狙う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1-12
[11]
웹사이트
MIA/戦闘後行方不明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18-06-15
[12]
웹사이트
ベトナムは行方不明(MIA)兵捜索でアメリカにすすんで協力
http://www.el.tufs.a[...]
VietnamPlus
2018-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