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진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진》은 1985년 발매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 들국화의 첫 번째 정규 음반이다. 이 음반은 전인권, 최성원, 조덕환이 참여했으며, 주찬권과 최구희가 세션으로 참여했다. 16채널 녹음 기술을 최초로 도입했고, 비틀즈의 《Let It Be》를 오마주한 앨범 커버로도 유명하다. 《행진》은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한국 록 음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들국화의 음반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들국화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들국화 - 전인권
    전인권은 1979년 데뷔 후 밴드 들국화의 보컬리스트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마약 투약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솔로 활동 재개 후 〈걱정말아요 그대〉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Imagine〉을 불러 화제가 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서라벌레코드의 음반 - 이문세 4집
    1987년에 발매된 이문세 4집은 Side A와 Side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영훈이 작사 및 작곡한 〈사랑이 지나가면〉, 〈밤에 머무는 곳에〉, 고은희와 듀엣으로 부른 〈이별이야기〉, 〈깊은 밤을 날아서〉 등이 수록되었고, 특히 〈이별이야기〉는 2009년 MBC 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에 삽입되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 서라벌레코드의 음반 - 연인 O.S.T
    연인 O.S.T는 015B가 참여한 8곡, 35분 분량의 앨범으로, 장호일이 보컬을 맡은 "연인 (Original Version)"과 김돈규가 보컬을 맡은 "다시는 너를 떠나지 않을거야 (Love Theme)"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정석원의 연주곡들과 "연인"의 다양한 믹스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
행진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행진 (haengjin)
종류스튜디오 음반
가수들국화
발매일1985년 9월 10일
길이44분 25초
녹음 장소서울 스튜디오
레이블서라벌레코드
프로듀서들국화
관련 정보
이전 음반(없음)
현재 음반행진》 (1985년)
다음 음반너랑 나랑》 (1986년)

2. 제작 및 녹음

녹음에는 당시 그룹 '믿음 소망 사랑'으로 활동하던 주찬권과 최구희가 세션으로 참여했다.[22] 음반 전체를 녹음하는데에는 약 1~2개월 정도가 걸렸으며, 멀티트랙 녹음으로, 24트랙 녹음이 이루어졌다. 주로 카세트를 이용하여 곡 작업을 했다.[23] 《행진》은 한국에서 최초로 16채널 녹음이 도입된 음반이다.[24]

〈행진〉은 전인권이 작사·작곡을 맡았고, 최성원과 허성욱이 편곡한 곡이다.[23] 전인권은 이 곡을 제작자가 재촉하여 맨 마지막에 작곡했다며, "음악이 아니라 안간힘으로 만든 앨범"이라고 말했다.[21] 최성원은 자신이 군에 있을 때 또는 제대 직후의 심정을 나타낸 〈그것만이 내 세상〉, 음반 제작 전에 만들어진 〈더 이상 내게〉, 그리고 〈매일 그대와〉를 작곡했다.[23] 〈그것만이 내 세상〉과 〈매일 그대와〉는 이 음반이 나오기 1년 전에 컴필레이션 《우리 노래 전시회 I》에 각각 전인권, 강인원의 노래로 실린 바 있다.[25]

조덕환은 〈세계로 가는 기차〉,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 〈축복합니다〉를 작곡했다. 〈세계로 가는 기차〉는 1집 나오기 두 달 전에 만들어졌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다리는 청년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26]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는 "내용 개념이 남자의 노래이니까 이상적인 여인상을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말했다.[27] 〈축복합니다〉는 그가 20대일 때 외교관 영사로 출국하는 형을 멀리 떠나보내는 감성을 표현했다.[22]

당시 발매되는 음반에 통상적으로 들어가는 건전가요를 그대로 쓰지 않고, 〈우리의 소원〉을 아카펠라로 불러 수록했다.[28] 이 곡은 1991년에 나온 CD에는 누락되었다.[25]

2. 1. 참여 세션


  • 조정권 - 보컬, 어쿠스틱 기타
  • 최성원 - 보컬,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신시사이저
  • 조덕환 - 보컬, 기타, 어쿠스틱 기타
  • 주찬권 - 드럼
  • 최구희 - 기타
  • 허성욱 - 피아노, 신시사이저
  • 이원재 - 클라리넷
  • 최세영 - 녹음 엔지니어
  • 김우환 - 커버 아트
  • 이재락 - 커버 디자인
  • 김정수 - 사진
  • 김영 - 제작

2. 2. 녹음 기술

《행진》의 녹음은 1~2개월 정도 소요되었으며, 24트랙 멀티트랙 녹음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당시 한국 대중음악계에서는 선구적인 기술이었다.[23][3] 주로 카세트를 이용하여 곡 작업이 이루어졌다.[23][3] 또한, 한국 최초로 16채널 녹음이 도입된 음반이기도 하다.[24][4] 녹음에는 당시 그룹 '믿음 소망 사랑'으로 활동하던 주찬권과 최구희가 세션으로 참여했다.[22][8] 당시 발매되는 음반에 통상적으로 들어가는 건전가요 대신 〈우리의 소원〉을 아카펠라로 불러 수록했다.[28] 이 곡은 1991년에 나온 CD에는 누락되었다.[25][16]

2. 3. 곡 작업 비화

《행진》의 녹음은 당시 그룹 '믿음 소망 사랑'으로 활동하던 주찬권과 최구희가 세션으로 참여하여 약 1~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24트랙 멀티트랙 녹음 방식이 사용되었다. 주로 카세트를 이용하여 곡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한국 최초로 16채널 녹음이 도입된 음반이다.[23][24]

타이틀곡 〈행진〉은 전인권이 작사·작곡하고 최성원과 허성욱이 편곡한 곡으로, 제작자의 재촉으로 앨범 작업 막바지에 작곡되었다. 전인권은 이 곡을 "음악이 아니라 안간힘으로 만든 앨범"이라고 회고했다.[21]

최성원은 군 복무 시절과 제대 직후의 심정을 담은 〈그것만이 내 세상〉, 〈더 이상 내게〉, 〈매일 그대와〉를 작곡했다.[23] 〈그것만이 내 세상〉과 〈매일 그대와〉는 이 음반 발매 1년 전 컴필레이션 《우리 노래 전시회 I》에 각각 전인권, 강인원의 노래로 실린 바 있다.[25]

조덕환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다리는 청년의 마음을 표현한 〈세계로 가는 기차〉, 이상적인 여성상을 그린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 외교관으로 떠나는 형을 보내는 심정을 담은 〈축복합니다〉를 작곡했다.[26][27][22]

당시 발매되는 음반에 의례적으로 들어가던 건전가요 대신, 〈우리의 소원〉을 아카펠라로 불러 수록했다.[28] 이 곡은 1991년 발매된 CD에는 누락되었다.[25]

2. 4. 건전가요 수록

당시 발매되는 음반에는 통상적으로 건전가요가 수록되었으나, 들국화는 〈우리의 소원〉을 아카펠라로 불러 수록했다.[28] 이 곡은 1991년에 나온 CD에는 누락되었다.[25]

3. 앨범 커버

커버의 앞면은 비틀즈의 마지막 정규 음반 《Let It Be》의 오마주이다.[29][10] 2003년 최성원은 전인권과 그의 관계가 레논-매카트니와 비슷한 게 아니냐는 질문의 대답에서, 이를 전인권의 아이디어로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23][11] 그는 원래 존 레논은 전인권이 좋아했고 자신은 폴 매카트니를 좋아한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조덕환은 2011년 《이즘》과의 인터뷰에서 《Let It Be》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7][12] 그는 그냥 삼청동에 가서 포토그래퍼가 4명을 찍어서 그렇게 나온 것이며, 당시 일반적으로 밴드 구성이 4명이었고 그런 앨범들이 많았기에 《Let It Be》를 겨냥한 것이 아닌데 대중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집 때에 주찬권과 최구희는 정식 멤버가 아니라 세션이어서 커버에 실리지 못했다.[27][12]

3. 1. 비틀즈 오마주

앨범 앞면 커버는 비틀즈의 마지막 정규 음반 《Let It Be》를 오마주한 것이다.[29][10] 최성원은 2003년 전인권과의 관계가 레논-매카트니와 비슷한 게 아니냐는 질문에, 존 레논은 전인권이, 자신은 폴 매카트니를 좋아했으며 앨범 커버는 전인권의 아이디어였다고 답했다.[23][11] 하지만 2011년 조덕환은 《이즘》과의 인터뷰에서 《Let It Be》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7][12] 그는 당시 일반적인 밴드 구성이 4명이었고 그런 앨범들이 많았기에 《Let It Be》를 겨냥한 것이 아닌데 대중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27][12] 1집 때 주찬권과 최구희는 정식 멤버가 아니라 세션이었기 때문에 커버에 실리지 못했다.[27][12]

3. 2. 조덕환의 반론

조덕환은 2011년 《이즘》과의 인터뷰에서 《Let It Be》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7]

1집 때에 주찬권과 최구희는 정식 멤버가 아니라 세션이어서 커버에 실리지 못했다.[27]

3. 3. 세션 멤버 미수록

커버의 앞면은 비틀즈의 마지막 정규 음반 《Let It Be》의 오마주다.[29] 2003년 최성원은 전인권과 그의 관계가 레논-매카트니와 비슷한 게 아니냐는 질문의 대답에서, 이를 전인권의 아이디어로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23] 하지만 조덕환은 2011년 《이즘》과의 인터뷰에서 《Let It Be》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7]1집 때에 주찬권과 최구희는 정식 멤버가 아니라 세션이어서 커버에 실리지 못했다.[27]

4. 평가와 유산

행진》은 음악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서브》지의 황정은 "〈그것만이 내 세상〉에서의 전인권의 절규와 〈매일 그대와〉에서 보여준 최성원의 감성 어린 목소리, 허성욱의 절제된 건반,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에서 나타난 조덕환의 곡 쓰기 그리고 최구희, 주찬권, 이원재 등 당시 최고의 세션맨 등 이 모든 것들은 얼마나 이 음반이 철저한 싱어 송라이터의 감각과 역량으로 라이브를 위한 라이브의 감성으로 만들어진 것인지를 가늠케 해준다"고 평했다.[30]

이즘임진모는 "한국 록의 소생을 밝힌 앨범. 동시에 토종 밴드의 승전보였으며, 비주류의 가능성 확인이기도 했다. 전설 중에서도 맨 꼭대기에 위치해야 할 작품이다."라고 찬사를 보냈다.[31] 평론가 최지호는 "들국화 뿐만 아니라 그들 이후의 어떤 뮤지션도 이 앨범에 필적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어쩌면 80년대 후반의 한국 대중음악 르네상스는 이 앨범이 있었기에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 소리를 들었을지도 모른다."고 극찬했다.[32]

대중음악 웹진 《웨이브》의 이용우는 "한국 대중음악에서 손꼽히는 명반이란 평가에 걸맞게, 이 음반은 작곡, 편곡, 연주, 녹음 등 스튜디오 음반이 가질 수 있는 예술성을 두루 갖춘 걸작이다."라고 평하며 10점 만점에 10점을 주었다.[25]

행진》은 한국 록 음악을 몇 단계 끌어올렸으며, 또한 언더그라운드를 폭발시킨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33][34] 네이버의 《한국 대중가요 앨범 6000》은 "들국화 1집 발표 이후, 오늘날 거장으로 불리는 수많은 뮤지션이 어디엔가 숨어 있다 튀어나온 것처럼 연이어 등장했다. 이들이 다양성과 완성도를 갖춘 앨범을 발표하면서, 주류 히트곡과 작가주의 앨범 음악이 공존하는 ‘한국 대중음악의 르네상스’가 열렸다. 작품성과 음악적 파급력까지 포괄한다면, 들국화 1집은 1980년대 새로운 록 음악의 시작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35]

4. 1. 평론가들의 찬사

《행진》은 음악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서브》지의 황정은 "〈그것만이 내 세상〉에서의 전인권의 절규와 〈매일 그대와〉에서 보여준 최성원의 감성 어린 목소리, 허성욱의 절제된 건반,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에서 나타난 조덕환의 곡 쓰기 그리고 최구희, 주찬권, 이원재 등 당시 최고의 세션맨 등 이 모든 것들은 얼마나 이 음반이 철저한 싱어 송라이터의 감각과 역량으로 라이브를 위한 라이브의 감성으로 만들어진 것인지를 가늠케 해준다"고 평했다.[30]

이즘임진모는 "한국 록의 소생을 밝힌 앨범. 동시에 토종 밴드의 승전보였으며, 비주류의 가능성 확인이기도 했다. 전설 중에서도 맨 꼭대기에 위치해야 할 작품이다."라고 찬사를 보냈다.[31] 평론가 최지호는 "들국화 뿐만 아니라 그들 이후의 어떤 뮤지션도 이 앨범에 필적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어쩌면 80년대 후반의 한국 대중음악 르네상스는 이 앨범이 있었기에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 소리를 들었을지도 모른다."고 극찬했다.[32]

대중음악 웹진 《웨이브》의 이용우는 "한국 대중음악에서 손꼽히는 명반이란 평가에 걸맞게, 이 음반은 작곡, 편곡, 연주, 녹음 등 스튜디오 음반이 가질 수 있는 예술성을 두루 갖춘 걸작이다."라고 평하며 10점 만점에 10점을 주었다.[25]

《행진》은 한국 록 음악을 몇 단계 끌어올렸으며, 또한 언더그라운드를 폭발시킨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33][34] 네이버의 《한국 대중가요 앨범 6000》은 "들국화 1집 발표 이후, 오늘날 거장으로 불리는 수많은 뮤지션이 어디엔가 숨어 있다 튀어나온 것처럼 연이어 등장했다. 이들이 다양성과 완성도를 갖춘 앨범을 발표하면서, 주류 히트곡과 작가주의 앨범 음악이 공존하는 ‘한국 대중음악의 르네상스’가 열렸다. 작품성과 음악적 파급력까지 포괄한다면, 들국화 1집은 1980년대 새로운 록 음악의 시작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35]

4. 2.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행진》은 한국 록 음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33][34] 이 앨범은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을 활성화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했으며,[33][34] 들국화 1집 발매 이후, 다양한 장르의 실력 있는 뮤지션들이 등장하며 한국 대중음악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35] 네이버의 《한국 대중가요 앨범 6000》은 "들국화 1집 발표 이후, 오늘날 거장으로 불리는 수많은 뮤지션이 어디엔가 숨어 있다 튀어나온 것처럼 연이어 등장했다. 이들이 다양성과 완성도를 갖춘 앨범을 발표하면서, 주류 히트곡과 작가주의 앨범 음악이 공존하는 ‘한국 대중음악의 르네상스’가 열렸다."고 설명했다.[35]

5. 곡 목록

Side A



Side B



B면 마지막 트랙에 실린 〈우리의 소원〉은 건전가요이다.

5. 1. Side A

〈'''행진'''〉(작사/작곡: 전인권)은 5분 10초, 〈'''그것만이 내세상'''〉(작사/작곡: 최성원)은 5분 31초, 〈'''세계로 가는 기차'''〉(작사/작곡: 조덕환)는 3분 18초, 〈'''더 이상 내게'''〉(작사/작곡: 최성원)는 3분 50초, 〈'''축복합니다'''〉(작사/작곡: 조덕환)는 4분 19초 동안 재생된다.

5. 2. Side B

〈사랑일 뿐이야〉(작사/작곡: 최성원), 〈매일 그대와〉(작사/작곡: 최성원), 〈오후만 있던 일요일〉(작사/작곡: 이병우), 〈아침이 밝아올 때까지〉(작사/작곡: 조덕환)가 수록되어 있다. B면 마지막 트랙에 실린 〈우리의 소원〉은 건전가요이다.

6. 참여 인원

wikitext


  • 전인권 - 보컬, 어쿠스틱 기타
  • 최성원 - 보컬,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신시사이저
  • 조덕환 - 보컬, 기타, 어쿠스틱 기타
  • 주찬권 - 드럼
  • 최구희 - 기타
  • 허성욱 - 피아노, 신시사이저
  • 이원재 - 클라리넷
  • 최세영 - 녹음 엔지니어
  • 김우환 - 커버 아트
  • 이재락 - 커버 디자인
  • 김정수 - 사진
  • 김영 - 제작

6. 1. 멤버


  • 전인권 - 보컬, 어쿠스틱 기타
  • 최성원 - 보컬,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신시사이저
  • 조덕환 - 보컬, 기타, 어쿠스틱 기타
  • 주찬권 - 드럼
  • 최구희 - 기타
  • 허성욱 - 피아노, 신시사이저
  • 이원재 - 클라리넷
  • 최세영 - 녹음 엔지니어
  • 김우환 - 커버 아트
  • 이재락 - 커버 디자인
  • 김정수 - 사진
  • 김영 - 제작

6. 2. 세션


  • 주찬권: 드럼
  • 최구희: 기타
  • 이원재: 클라리넷
  • 허성욱: 피아노, 신시사이저
  • 최세영: 녹음 엔지니어
  • 김우환: 커버 아트
  • 이재락: 커버 디자인
  • 김정수: 사진
  • 김영: 제작

6. 3. 제작진


  • 전인권 - 보컬, 어쿠스틱 기타
  • 최성원 - 보컬,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신시사이저
  • 조덕환 - 보컬, 기타, 어쿠스틱 기타
  • 주찬권 - 드럼
  • 최구희 - 기타
  • 허성욱 - 피아노, 신시사이저
  • 이원재 - 클라리넷
  • 최세영 - 녹음 엔지니어
  • 김우환 - 커버 아트
  • 이제락 - 커버 디자인
  • 김정수 - 사진
  • 김영 - 제작

참조

[1] 웹사이트 대중음악 100대 명반 ‘들국화’1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8-23
[2] 뉴스 남들과 다른 길 택한 이들, 전설이 되다 http://news.chosun.c[...] null
[3] 웹사이트 들국화의 브레인, 드디어 입을 열다 http://www.weiv.co.k[...] null 2003-04-26
[4] 뉴스 김영 "최고 음악인은 김현식" http://news.naver.co[...] 2005-11-18
[5] 웹사이트 들국화의 브레인, 드디어 입을 열다 http://www.weiv.co.k[...] null 2003-04-26
[6] 뉴스 남들과 다른 길 택한 이들, 전설이 되다 http://news.chosun.c[...] null
[7] 웹사이트 전설의 록밴드 ‘들국화’ 前멤버 조덕환 인터뷰 http://ch.yes24.com/[...] null null
[8] 웹사이트 들국화 "다시 뭉쳐 골프치듯 음악하고 싶어" http://entertain.nav[...] null 2011-02-22
[9] 웹사이트 들국화 https://terms.naver.[...] null null
[10] 뉴스 TV 주류음악 맞서 언더음악 ‘우뚝’ http://www.hani.co.k[...] 한겨레 null
[11] 웹사이트 들국화의 브레인, 드디어 입을 열다 http://www.weiv.co.k[...] null 2003-04-26
[12] 웹사이트 조덕환 인터뷰 http://izm.co.kr/con[...] null 2011-03
[13] 뉴스 【화제】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http://entertain.nav[...] 2005-06-01
[14] 웹사이트 들국화 1집 http://www.izm.co.kr[...] 이즘 2006-03
[15] 웹사이트 들국화-행진/사랑일뿐야 http://www.k-pop.or.[...] null null
[16] 웹사이트 들국화 {{!}} 들국화 I(행진/사랑일 뿐이야) (19850910) https://www.weiv.co.[...] null 2003-03-10
[17] 뉴스 "[커버스토리]들국화의 탄생과 데뷔앨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null
[18] 뉴스 "[8090 이 노래 이 명반] 5. 들국화 1집, 전인권 1집"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5-07-29
[19] 웹사이트 들국화 데뷔앨범 https://terms.naver.[...] null null
[20] 웹인용 대중음악 100대 명반 ‘들국화’1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8-23
[21] 뉴스 남들과 다른 길 택한 이들, 전설이 되다 http://news.chosun.c[...] null
[22] 웹인용 들국화 "다시 뭉쳐 골프치듯 음악하고 싶어" http://entertain.nav[...] 2011-02-22
[23] 웹인용 들국화의 브레인, 드디어 입을 열다 http://www.weiv.co.k[...] 2003-04-26
[24] 뉴스 김영 "최고 음악인은 김현식" https://news.naver.c[...] 2005-11-18
[25] 웹인용 들국화 {{!}} 들국화 I(행진/사랑일 뿐이야) (19850910) http://www.weiv.co.k[...] 2003-03-10
[26] 웹인용 전설의 록밴드 ‘들국화’ 前멤버 조덕환 인터뷰 http://ch.yes24.com/[...] null
[27] 웹인용 조덕환 인터뷰 http://izm.co.kr/con[...] 2011-03
[28] 웹인용 들국화 https://terms.naver.[...] null
[29] 뉴스 TV 주류음악 맞서 언더음악 ‘우뚝’ http://www.hani.co.k[...] 한겨레 null
[30] 뉴스 【화제】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http://entertain.nav[...] 2005-06-01
[31] 웹인용 들국화 1집 http://www.izm.co.kr[...] 이즘 2006-03
[32] 웹인용 들국화-행진/사랑일뿐야 http://www.k-pop.or.[...] null
[33] 뉴스 "[커버스토리]들국화의 탄생과 데뷔앨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null
[34] 뉴스 "[8090 이 노래 이 명반] 5. 들국화 1집, 전인권 1집"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5-07-29
[35] 웹인용 들국화 데뷔앨범 https://terms.naver.[...]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