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비는 청나라 건륭제의 후궁으로, 몸에서 향기가 났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여성이다. 그녀는 카슈가르 출신으로, 건륭제에게 헌신을 받아 황궁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민족 화합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향비에 대한 기록은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며, 실제 인물인지에 대한 논란과 출신, 정치적 상징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다. 향비는 소설, 드라마, 무용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4년 출생 - 대니얼 분
대니얼 분은 1734년에 태어나 미국 서부 개척 시대를 이끌며 사냥, 탐험, 정착 활동을 했고, 윌더니스 로드를 개척하고 분즈보로 마을을 건설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여하여 버지니아 주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820년에 사망했다. - 1734년 출생 - 로버트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는 영국 태생의 미국 독립 전쟁 시기 상인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선언서, 연합 규약, 미국 헌법 모두에 서명하고, 대륙군 재정 지원, 북미 은행 설립, 미국 재무 감독관 역임 등 미국 재정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토지 투기 실패로 불운을 겪었다. - 1788년 사망 - 다누마 오키쓰구
다누마 오키쓰구는 에도 시대 후기 쇼군의 신임을 얻어 로주에 올라 막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와 농촌 황폐화로 비판받으며 실각한 인물이다. - 1788년 사망 - 피에르 앙드레 드 쉬프렌
피에르 앙드레 드 쉬프렌은 18세기 프랑스 해군의 명장으로 인도양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에 맞서 네 차례 해전을 승리하며 프랑스 해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엄격한 성격과 부하 장교들과의 갈등도 있었다. - 청나라 사람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청나라 사람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향비 | |
---|---|
인물 정보 | |
이름 | 향비 |
칸 (Khan)의 이름 | 이파르한 |
로마자 표기 | Xiang Fei |
위구르어 | ئىپارخان |
위구르어 (라틴) | Iparxan |
위구르어 (키릴) | Ипархан |
존칭 | 용비 화탁씨 |
시호 | 돈혜황귀비 |
생몰 | 1734년 9월 15일 ~ 1788년 5월 24일 (53–54세) |
출생지 | 카슈가르 |
사망지 | 자금성 |
묻힌 곳 | 유릉의 비원침 |
배우자 | 건륭제 |
봉호 | 귀인 (貴人), 빈 (嬪), 비 (妃) |
민족 | 위구르족 |
2. 생애 및 전설
청나라 시대와 카슈가르 지역의 전설에 따르면, 향비는 건륭제의 후궁이었으며, 몸에서 나는 독특한 향기로 유명했다. 청나라 기록에는 그녀가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고 사후 고향에 안장되었다고 묘사된 반면, 카슈가르 전승에서는 건륭제에게 저항하다 죽음을 맞이했다고 전해진다.
향비 이야기는 알티샤르 호자 반란과 관련이 깊다. 그녀의 친족인 호자 지한과 부르한 웃딘 형제는 청나라의 신강 정복을 도왔으나, 이후 독립을 꾀하다 청에 진압되었다.
2. 1. 청나라 시대의 기록
청나라 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건륭제는 카슈가르의 오아시스 도시의 지역 족장인 아파크 호자의 손녀인 이파르한(Iparhan, "사향녀")이라는 카슈가르 출신의 무슬림 여성을 발견했다고 한다. 그녀의 아름다움보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녀의 몸에서 자연적으로 풍겨 나오는 향기였다. 매료된 황제는 그녀를 후궁으로 맞이하고자 했다. 그녀는 황제에게 바쳐져 베이징의 황궁으로 호위되었는데, 신비로운 향기를 보존하기 위해 낙타젖으로 매일 목욕을 했다고 한다.[1]
황궁에 도착한 향비는 건륭제의 헌신의 표시로 정원과 호화로운 방을 하사받았다. 향비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슬퍼했고, 황제는 그녀의 행복을 되찾아주기 위해 그녀의 멀리 떨어진 마을을 재현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녀의 창밖에는 모스크, 작은 오아시스, 바자르를 지어주기도 했다. 마침내 그녀는 카슈가르에 사자를 보내 황금 열매가 열리는 대추 나무를 가져오게 한 후 황제를 사랑하게 되었고, 향비는 죽을 때까지 황제가 가장 아끼는 후궁이 되었다. 민족의 화합과 화해를 상징하는 그녀의 시신은 120명의 운반자에 의해 3년이 넘는 여정을 거쳐 고향인 카슈가르로 운구되었고, 현재 그곳에 안치되어 있다.[1]
2. 2. 카슈가르 지역의 전설

현대의 카슈가르 전승은 낭만적인 면이 훨씬 덜하다. 그녀는 霍集占|호자 지한중국어의 딸 또는 배필이었으며, 그녀의 이름은 누르 엘라 누르한이었다.[1][2] 건륭제에 의해 베이징의 황궁으로 끌려간 이파르한은 황제의 혐오스러운 접근에 대비하여 소매에 단검을 숨기고 경계하다가 결국 독살당한다.[3]
호자 지한은 그의 형제 波羅尼都|부르한 웃딘중국어과 함께 청나라가 신강을 정복하는 동안 호자였다. 이전에는 1600년대 후반에 준가르 칸국이 야르켄트 칸국을 정복했고, 준가르는 카슈가리아(알티샤르 또는 남부 신강)의 통치자로 호자들을 임명했다. 1750년대에 호자 형제는 북부 신강에서 준가르 지배자들에 대한 청나라의 정복을 지원했다. 그들은 알티샤르(남부 신강)의 독립을 추구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그 후 몇 년 동안 그들을 정복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아리화탁왕 |
남편 | 건륭제 |
여동생 | 함희공주(含嬉公主) |
언니 | 함양공주(含樣公主) |
4. 무덤
아팍 호자 묘는 1640년에 카슈가르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모스크와 마드라사를 포함한 더 큰 단지를 아우른다. 이 묘에는 향비의 시신으로 추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5대에 걸친 아팍 호자 가문의 관이 안치되어 있다. 그러나 진짜 용비는 1788년 5월 24일 병으로 사망하여 청 동릉에 묻혔다. 향비의 전설은 19세기 후반에 카슈가르 묘와 처음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그 이후로 여러 표지판과 가이드 투어를 통해 공식적으로 이 연결이 확립되고 보증되었다.
5. 대중문화 속 향비
향비는 여러 문학과 드라마에서 다루어졌다. 1930년 넬리 유 롱링의 소설 『향비: 건륭 황제의 사랑 이야기』에 등장했으며, 김용의 무협 소설 『서검은구록』에서는 향비라는 인물로, 경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황제의 딸』에서는 한샹(寒香)이라는 인물로 등장한다.
드라마로는 1998년 황제의 딸(류단 출연), 2011년 신 황제의 딸(마디나 메메트 출연), 2015년 향비전, 2018년 연희공략(장가니 출연)과 여의전(이심 출연)이 있다.
대만 작곡가 고 분야는 3막짜리 무용 작품 香妃傳|샹페이좐중국어 Op. 34를 작곡했다.
5. 1. 문학
향비는 1930년 넬리 유 롱링의 소설 『향비: 건륭 황제의 사랑 이야기』의 등장인물이다. 김용의 무협 소설 『서검은구록』에 등장하는 향비는 향비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후궁은 경요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황제의 딸』에서 한샹(寒香)이라는 인물로 등장한다.5. 2. 드라마
- 황제의 딸 (1998)에서 류단이 연기하였다.
- 신 황제의 딸 (2011)에서 마디나 메메트가 연기하였다.
- 향비전 (2015)
- 연희공략 (2018)에서 장가니가 연기하였다.
- 여의전 (2018)에서 이심이 연기하였다.
5. 3. 기타
香妃傳|샹페이좐중국어 ''Xiāng Fēi Zhuàn''; ''Kō Hi Den'') Op. 34는 대만 작곡가 고 분야가 작곡한 3막 무용 작품이다.[1]6. 논란
현대의 카슈가르 전승에 따르면, 이파르한은 호자 지한의 딸 또는 배필이었으며, 누르 엘라 누르한이라는 이름을 가졌다.[1][2] 건륭제에게 베이징으로 끌려간 후, 황제의 접근을 경계하여 소매에 단검을 숨겼으나 결국 독살당했다.[3]
호자 지한과 그의 형제 부르한 웃딘은 청나라의 신강 정복 당시 호자였다. 1600년대 후반, 준가르 칸국이 야르켄트 칸국을 정복하면서 준가르는 카슈가리아(알티샤르 또는 남부 신강)의 통치자로 호자들을 임명했다. 1750년대에 호자 형제는 북부 신강에서 준가르 지배자들에 대한 청나라의 정복을 지원했으나, 알티샤르의 독립을 추구하다 청나라에 정복당했다.
6. 1. 실존 여부
현대의 카슈가르 전승은 낭만적인 면이 훨씬 덜하다. 그녀는 霍集占|호자 지한중국어의 딸 또는 배필이었으며, 그녀의 이름은 누르 엘라 누르한이었다.[1][2] 건륭제에 의해 베이징의 황궁으로 끌려간 이파르한은 황제의 혐오스러운 접근에 대비하여 소매에 단검을 숨기고 경계하다가 결국 독살당한다.[3]호자 지한은 그의 형제 波羅尼都|부르한 웃딘중국어과 함께 청나라가 신강을 정복하는 동안 호자였다. 이전에는 1600년대 후반에 준가르 칸국이 야르켄트 칸국을 정복했고, 준가르는 카슈가리아(알티샤르 또는 남부 신강)의 통치자로 호자들을 임명했다. 1750년대에 호자 형제는 북부 신강에서 준가르 지배자들에 대한 청나라의 정복을 지원했다. 그들은 알티샤르(남부 신강)의 독립을 추구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그 후 몇 년 동안 그들을 정복했다.
6. 2. 출신
현대의 카슈가르 전승은 낭만적인 면이 훨씬 덜하다. 그녀는 霍集占|호자 지한중국어의 딸 또는 배필이었으며, 이름은 누르 엘라 누르한이었다.[1][2] 건륭제에 의해 베이징의 황궁으로 끌려간 이파르한은 황제의 혐오스러운 접근에 대비하여 소매에 단검을 숨기고 경계하다가 결국 독살당한다.[3]호자 지한은 그의 형제 波羅尼都|부르한 웃딘중국어과 함께 청나라가 신강을 정복하는 동안 호자였다. 1600년대 후반, 준가르 칸국이 야르켄트 칸국을 정복했고, 준가르는 카슈가리아( 알티샤르 또는 남부 신강)의 통치자로 호자들을 임명했다. 1750년대에 호자 형제는 북부 신강에서 준가르 지배자들에 대한 청나라의 정복을 지원했으나, 알티샤르(남부 신강)의 독립을 추구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그 후 몇 년 동안 그들을 정복했다.
참조
[1]
서적
Uighur stories from along the Silk Roa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8-05
[2]
서적
The Uyghur Community: Diaspora, Identity and Geopolitic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S
2022-03-13
[3]
서적
China's Forgotten People: Xinjiang, Terror and the Chinese State
I. B. Tauris
2015-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