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건륭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건륭제는 청나라 제5대 황제로, 1735년부터 1796년까지 재위하며 청나라의 번영을 이끌었으나 말년에는 부정부패로 쇠퇴의 씨앗을 뿌렸다. 그는 강희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십전무공을 달성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여 《사고전서》를 편찬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사치와 잦은 원정으로 재정을 악화시키고, 문자의 옥으로 사상을 탄압하여 부정적인 평가도 받는다. 건륭제는 60년간의 재위 후 아들 가경제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제가 되었으며, 이후에도 실권을 유지하다가 179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정제의 황자 - 홍휘
  • 옹정제의 황자 - 홍첨
    옹정제의 아들이자 건륭제의 형제인 홍첨은 건륭제의 총애를 받으며 한림원 편수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형부 상서, 사천총독, 호부 상서 등을 역임하고 과공군왕에 봉해졌으나, 소금 상인과의 부적절한 거래로 작위가 박탈되었다가 말년에 다시 작위를 받고 사망 후 과공친왕으로 추존되었다.
  • 18세기 중국의 군주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18세기 중국의 군주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건륭제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건륭제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건륭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건륭제
중국어 이름乾隆帝
만주어 이름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ᡥᡠᠩ ᠯᡳ
아이신 교로 훙리
묘호고종
시호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
연호건륭
재위 기간1735년 10월 18일 ~ 1796년 2월 9일
출생일1711년 9월 25일
출생 장소옹화궁, 베이징
사망일1799년 2월 7일
사망 장소자금성, 베이징
매장지유릉, 동릉
종교불교
서명 유형인장
어필 인장
만주어 묘호G'aodzung
만주어 시호Yongkiyaha Hūwangdi
만주어 연호Abkai Wehiyehe
몽골어 연호Tengri-yin Tedqügsen
통치 정보
즉위1735년 10월 18일
퇴위1796년 2월 9일
선대 황제옹정제
후대 황제가경제
황태자 책봉1733년 ~ 1735년
태상황 재위1796년 2월 9일 ~ 1799년 2월 7일
가족 관계
부황옹정제
모후효성헌황후
배우자효현순황후 (1727년 결혼, 1748년 사망)
계황후 (1734년 결혼, 1766년 사망)
효의순황후 (1745년 결혼, 1775년 사망)
자녀영황
영성
가경제
영린
화효공주
기타 정보
별칭십전노인
로마자 표기Aisin-Gioro Hongli
중국어 정보
중국어 간체乾隆帝
중국어 정체乾隆帝
병음Qiánlóng Dì
웨이드-자일스Chʻien2-lung2 Ti4
광둥어 발음Kin4-lung4 Dai3
예일 발음Kìhnlùhng Dai
만주어 로마자 표기Hung li

2. 생애

건륭제는 1711년 옹친왕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천자문사서오경을 암송하고 시를 잘 지어 할아버지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다. 1722년 강희제가 사망하고 아버지 옹친왕이 옹정제로 즉위하면서, 홍력(건륭제)은 황위 계승 후보로 주목받았다. 옹정제는 홍력을 건청궁의 정대광명 편액 뒤에 이름을 써서 후계자로 지명했다.

옹정제는 홍력에게 직접 제왕학을 가르쳤고, 홍력은 정무를 배우며 성장했다. 그러나 옹정제의 셋째 아들 홍시는 이에 불만을 품고 홍력을 모함하고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727년 홍시는 황실에서 제명되었고, 홍력은 1733년 화석친왕에 봉해졌다. 1734년부터 옹정제를 대신해 국사를 처리했다.

1735년 옹정제가 사망하자, 고명대신들은 유조를 통해 홍력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황위를 잇게 했다. 홍력은 25세의 나이로 황위에 올라 연호를 '건륭'으로 정했다. 즉위 후 건륭제는 아버지 옹정제가 유배 보낸 숙부들을 사면하는 등 유화 정책을 펼쳤지만, 종친들을 정치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강화했다.

건륭제는 새벽 4시에 일어나 조회를 주관하고 보고를 직접 검토하는 등 정사에 열정적이었다. 조정에는 악이태와 장정옥 두 대신의 파벌이 있었지만, 건륭제는 이들을 견제하며 자신의 신료들을 등용했다.

건륭제는 보갑제와 이갑제를 개혁하여 인구 조사를 정확히 하고 지방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방지하려 했다. 또한, 강희제처럼 여러 차례 순행을 실시하여 백성들에게 위엄을 과시하고 지역 간 교류를 활성화했다. 그러나 잦은 순행은 국고 낭비와 백성들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세 살 때 목욕하는 건륭제의 모형. 베이징 용화사 유물.


젊은 건륭제(보친왕 시절).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736년 26세의 건륭제


남순을 떠나는 건륭제


18세기, 주세페 카스티글리오네(예수회 화가)의 그림, 서재에서의 건륭제


''건륭제의 그림 감상''


건륭제의 치세 때 쓰인 화폐 건륭통보


건륭제의 사냥 여행


건륭제의 후궁과 자녀들


건륭제의 후궁들


씨름 경기를 관람하는 건륭제


매카트니의 영국 사절단을 접견하는 건륭제


자금성에서 대신들을 면담하는 이삭 티칭과 사절단


프랑스 예수회 소속 예수회원인 장 조제프 마리 아미오(1718~1793)는 건륭제의 서양어 공식 통역관이었다.


건륭제는 문화 예술 발전에 힘썼다. 『사고전서』를 편찬하고, 궁정 화가들을 위한 "화원"을 설치했으며, 티베트 불교에 귀의하여 대장경을 번역하고 사원을 건립했다. 또한, 많은 한시를 짓고, 고궁박물원에 남아있는 많은 컬렉션[76]을 수집했다.

건륭제는 10차례의 대외 원정, 즉 "십전무공(十全武功)"을 통해 청나라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원정시기결과비고
준가르 정벌1755년, 1757년-1759년청나라 승리준가르 칸국을 정복하고 신장 지역을 청 제국에 편입. 준가르 학살 자행.[11][13]
금천 산악민족 진압1747년-1749년, 1771년-1776년청나라 승리사천 지역의 금천 티베트인 진압. 준가르 학살에 비견되는 학살 발생.[14]
신강 회부(위구르) 정벌1757년-1759년청나라 승리위구르족바다흐샨 정벌.
네팔 원정1788년-1789년, 1791년-1792년교착 상태네팔 구르카와의 전쟁. 양측 모두 청에 복종.
타이완 원정-청나라 승리임상문 사건 진압.
청-버마 전쟁1765년-1769년청나라 패배버마의 샨 주 공격에 대한 군사 지원 요청으로 시작.[24][25] 1790년 외교 관계 재개 후, 청나라는 일방적으로 버마의 항복으로 간주하고 승리 주장.[26]
베트남 원정1789년청나라 패배레 왕조 레 치우 통의 요청으로 서산 왕조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27]



그러나 잦은 원정은 황실 재정을 소모시켰고,[28] 군사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건륭제는 청년, 중년 시절에는 관리들을 엄격히 감찰했지만, 나이가 들면서 지방 행정에 대한 통제를 느슨하게 하여 부정부패가 만연했다. 특히 재위 후반기 뇨후루 허션을 절대적으로 신임하여 신권을 강화했다.

건륭제는 문자의 옥을 통해 사상 탄압을 하고 금서를 엄격히 시행했다. 또한, 이슬람교도에 대한 가혹한 정책을 펼쳤고, 옹정제 시대의 기독교 박해는 더욱 악화되었다.[45]

1757년 건륭제는 대외 무역 규제를 강화하여 광주 항만 개항을 허락하고, 유럽 상인들은 반드시 공행과만 매매를 하도록 규정했다. 영국은 무역 확대를 위해 조지 매카트니를 특사로 파견했지만, 건륭제는 삼궤구고두를 거부하는 영국 사절단의 요구를 거절하고 귀국을 강제 조처했다.[115] 1795년 네덜란드 사절단은 삼궤구고두를 올려 건륭제의 호감을 샀다.[116]

1795년 건륭제는 강희제의 치세 61년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명목으로 아들 가경제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제가 되었지만, 실권은 놓지 않았다. 1799년 건륭제가 붕어하자, 가경제화신을 즉시 사형에 처했지만, 몰수된 화신의 사재는 국가 세입의 십수 년 분량[80]에 달했다고 한다.

2. 1. 어린 시절

1711년 옹친왕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홍력의 어머니 뉴호록씨는 만주족이었지만 출신이 미천하여, 측복진 이씨[84]의 시녀로 있었다. 홍력은 어린 시절부터 천자문사서오경을 꿰뚫어 암송하고 시를 잘 지어, 1720년 겨울에 할아버지인 강희제가 특별히 궁정에서 기르기 시작하였다.[85]

황손인 홍력은 황자들만 교육받을 수 있던 상서방에서 공부하였는데, 강희제는 홍력의 문재와 무예 실력을 보고 매우 기특하게 여겨 제왕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86] 강희제는 직접 홍력의 무술을 가르치고 같이 수련하기도 하였다.[85] 홍력은 궁정에서 살면서도 옹친왕부로 가 부왕과 모친에게 문안드렸고, 이러한 성실한 모습을 본 강희제가 더욱 총애하였다.[85]

1722년 강희제가 노환으로 붕어하자, 아버지 옹친왕 윤진이 옹정제로 즉위하였다. 강희제는 임종 직전 윤진에게 홍력을 후계자로 삼으라고 명하였다고 전해진다.[87][88] 옹정제는 홍력의 이름을 써서 건청궁의 정대광명 편액 뒤에 올려놓았다. 옹정제는 홍력을 계속 상서방에서 공부하게 하였고, 1723년에는 13살의 홍력에게 선황제인 강희제의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옹정제는 홍력에게 제왕학을 직접 가르치고 정치를 배우는 데에 잘못된 것이 있으면 바로 잡아주었다. 홍력은 오전에는 서화, 정오에서 유시(오후 6시)까지 정무에 매달리며 국정을 처리하면서 정치를 배워갔다.

그러나 옹정제의 셋째 아들 홍시(弘時)[89]는 이에 불만을 품고 윤사와 손을 잡았다.[90] 홍시는 홍력을 모함하였으나, 1725년 홍시가 홍력을 암살하려던 일이 발생하자 옹정제는 홍시를 윤사의 아들로 입적시켜버렸다. 1727년에는 윤사 일당을 역모 혐의로 잡아 가두고, 홍시도 황실 대동보에서 제명하였다.[91] 윤사와 윤당은 곧 옥에서 독살당하고, 홍시 역시 얼마 안 가 감옥에서 사망하였다.[90] 같은 해, 홍력은 부찰씨를 아내로 맞이하였다. 홍시가 죽은 후, 홍력이 옹정제의 아들들 중 가장 연장자였기에, 대다수 대신들은 홍력이 황위를 승계할 것이라 믿었다.[90]

1733년, 홍력은 화석친왕 직을 제수받고 보친왕(寶親王)이라 불렸고, 군기처에서 준가르 부족 관련 일을 도맡았다. 태묘, 사직 대제나 공자관우의 제사 등 국가의 중요 대사를 옹정제를 대신하여 주관하였다. 1734년 옹정제가 연로해지자 홍력이 섭정으로서 국사를 처리하였다.

홍력은 옹정제의 넷째 아들이었으며, 그의 할아버지 강희제와 아버지 옹정제 모두에게 총애를 받았다. 일부 역사가들은 강희제가 옹정제를 후계자로 지명한 주된 이유가 홍력이 그의 가장 총애받는 손자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십 대 시절 홍력은 무예와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다.

1722년 아버지가 즉위한 후 홍력은 보친왕(寶親王)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2. 황위 계승

乾隆중국어제의 황위 계승은 아버지 옹정제의 급작스러운 죽음 이후 이루어졌다. 1735년 10월 8일, 옹정제가 원명원에서 과로로 붕어하자, 장정옥, 악이태 등 고명대신들은 건청궁 정대광명 편액 뒤에 보관되어 있던 유조를 꺼내 읽었다. 유조에는 제4황자 홍력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황위를 잇게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92]

이에 따라 홍력은 25세의 나이로 황태자 책봉 의례를 거쳐 황위에 올랐으며, 연호를 '건륭(하늘의 영광)'으로 정하였다.[90] 강희제옹정제와 달리, 건륭제는 황자 시절부터 경쟁자가 없어 즉위 과정이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다.

즉위 후, 건륭제는 아버지 옹정제가 유배 보낸 숙부들을 사면하는 등 유화 정책을 펼쳤다. 특히 강희제의 14남이자 옹정제의 경쟁자였던 윤제는 건륭제의 배려로 풀려났다. 그러나 건륭제는 종친들을 정치에서 배제하는 정책을 강화하여, 황족들이 군, 육부, 군기처에서 활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심지어 아우들의 정치적 발언까지 규제하였다.[94]

건륭제는 새벽 4시에 일어나 조회를 주관하고, 대신들이 올린 보고를 직접 검토하는 등 정사에 열정적으로 임했다.

하지만, 조정에는 악이태와 장정옥 두 대신의 파벌이 존재했다. 건륭제는 이들이 고령임을 감안하여 서로 견제하게 함으로써 세력을 약화시키고, 그 사이에 자신을 따르는 신료들을 등용하였다.[94]

홍력의 즉위는 옹정제가 사망하기 전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젊은 홍력은 강희제의 총애받는 손자이자 옹정제의 총애받는 아들이었다. 옹정제는 홍력이 아직 왕자였을 때 여러 중요한 의례적 임무를 그에게 맡겼고, 군사 전략에 대한 중요한 조정 논의에도 그를 참여시켰다. 옹정제는 왕위 계승 다툼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이 선택한 후계자의 이름을 종이에 적어 태화전(乾清宮)의 보좌 뒤에 있는 액자 뒤에 안전하게 보관된 상자에 넣었다.

2. 3. 즉위와 개혁

건륭제는 1735년 10월 8일 아버지 옹정제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25세의 나이로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즉위했다. '건륭'이라는 연호는 하늘의 영광을 뜻한다.[90] 할아버지 강희제와 아버지 옹정제의 즉위 과정이 순탄치 않았던 것에 비해, 건륭제는 이미 황자 시절 경쟁자가 없어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황위에 올랐다.

옹정제의 유언에 따라 황태자로 책봉된 후 즉위한 건륭제는 즉위 직후 아버지 옹정제가 연금하거나 귀양 보낸 숙부들을 사면하는 것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92] 특히 강희제의 14남이자 옹정제의 경쟁자였던 순군왕 윤제는 건륭제의 배려로 풀려났다. 이후 건륭제는 황족들을 정치 일선에서 배제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여, 황족들이 군, 육부, 군기처에서 활동하지 못하게 하고, 심지어 자신의 형제들에게도 정치적 발언을 규제하며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하도록 했다.[94]

건륭제는 새벽 4시에 일어나 조회를 열고, 대신들이 올린 각지의 보고를 직접 검토하고 결재하는 등 정사에 매우 열정적이었다. 그러나 1736년(건륭 원년) 당시 조정에는 악이태와 장정옥이라는 두 명의 유력한 대신이 있었다. 악이태는 군부의 신망을 얻고 있었고, 장정옥은 한족 출신 대신 중 가장 연장자로 《명사》를 집필하고 있었다. 건륭제는 이들이 고령임을 감안하여 서로 견제하게 함으로써 세력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자신을 따르는 신하들을 ধীরে ধীরে 만들어 나갔다.[94]

건륭제는 북송왕안석이 시행하려다 실패하고, 명나라를 거쳐 청나라 순치제도르곤의 명령으로 다시 시작되어 강희제옹정제를 거치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보갑제(保甲制)와 이갑제(里甲制)를 개혁했다.[95] 보갑제는 100 가구를 묶어 갑(甲), 10개의 갑을 묶어 보(保)로 편성하여 공동체 내에서 질서와 치안을 책임지게 하는 제도였고, 이갑제는 보와 갑에서 인구에 따라 세금을 걷어 재정을 충당하는 제도였다. 그러나 지방 관리들이 인구와 세수를 축소 보고하고 세금을 과도하게 징수하여 사익을 취하는 폐단이 발생하자, 1740년(건륭 5년) 건륭제는 정확한 인구 조사를 위해 각지의 보·갑장에게 가구당 모든 사람(여자 포함)의 수, 나이, 성별, 이름을 적은 패를 집 문 앞에 걸어놓게 하였다.[96] 보나 갑의 장(長)들이 가구를 돌아다니며 기록을 하고 그 기록을 모두 지방의 순무부, 또는 총독부에 보냈고 이들은 또 자신의 관할 인구 기록을 모두 추려서 북경의 군기처와 호부로 보냈다.[96] 이를 통해 건륭제는 청나라의 총 인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지방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방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책은 청대 후기까지 지속되었으나, 건륭제 치세 후기부터는 부정부패가 다시 시작되었다.[97]

건륭제는 조부 강희제처럼 여러 곳을 순행하는 것을 즐겼다. 황제의 순행은 백성들에게 부와 위엄을 과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건륭제는 1751년(건륭 16년), 1757년(건륭 22년), 1762년(건륭 27년), 1765년(건륭 30년), 1780년(건륭 45년), 1784년(건륭 49년) 등 총 여섯 차례에 걸쳐 강남 지역을 순행하는 남순(南巡)을 대대적으로 실시했다. 순행에는 황자와 공주, 대신, 환관, 시녀, 요리사, 호위병 등 3000여 명을 동반했으며, 건축가, 화가, 시인까지 대동하여 강남의 절경을 감상하고 문예 활동을 즐겼다. 건륭제는 남경, 양주, 항주, 소주 등지를 순행하며 대운하와 명승고적을 방문하고, 지역 유지들과 관리들이 주최하는 호화로운 만찬을 즐겼다. 그러나 건륭제는 과도한 낭비로 국고를 탕진하고 백성들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강희제가 순행 비용을 자신의 내탕금으로 충당하고 남은 돈을 북경으로 가져온 것과 달리, 건륭제는 강희제보다 평균 10배 이상의 비용을 사용했다.

건륭제는 남순 외에도 사천성, 청해성 인근을 돌아보는 서순(西巡)을 4번, 산동성, 호북성 인근을 도는 동순(東巡)을 5번 실시하며 각 지역 간의 교류를 활성화했다. 또한 순행 중에는 시인, 화가들을 불러 시를 짓게 하고 문예 대결을 펼치는 등 문예 활동을 장려하고, 강남의 골동품을 수집하는 데에도 열중했다.

그러나 순행 중 건륭제는 가정적으로 큰 슬픔을 겪기도 했다. 1748년(건륭 13년) 동순 도중 효현순황후 부찰씨가 배 위에서 강물에 빠져 오한으로 사망하자, 건륭제는 큰 슬픔에 빠져 몇 년간 순행을 중단했다. 이후 건륭제는 한황귀비 나랍씨를 황후로 맞이했으나, 1765년(건륭 30년) 네 번째 남순 때 나랍씨가 머리를 자르고 여승이 되려 했다는 이유로[102] 건륭제의 분노를 사 북경으로 강제 압송되었고, 1768년(건륭 33년) 사망할 때까지 유폐되어 황후로서의 권위를 박탈당하고 귀비의 장례로 치러지는 등 냉대를 받았다.

건륭제는 이전 황제들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만주족의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는 만주족의 도덕적 성격과 왕조 권력의 기반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만주어 계보, 역사, 의례 안내서 편찬을 명했고, 1747년에는 비밀리에 『사고전서』에 수록될 「샤머니즘 코드」(1747년) 편찬을 명했다.[31] 또한 중앙아시아에서 티베트의 포탈라궁을 본떠 황제의 여름 별궁인 승덕에 푸터오 종청 사원을 건립하여 왕조의 문화적, 종교적 권위를 강화했다.[31] 몽골과 티베트 백성을 달래기 위해 불교적 관점에서 자신을 문수보살로 묘사한 탕카 성화를 제작하기도 했다.[32] 그는 시인이자 수필가로서 1749년부터 1800년까지 10권에 달하는 저서를 출판했는데, 4만 편이 넘는 시와 1,300편이 넘는 산문이 포함되어 있어 역사상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33]

건륭제는 유교 문화의 중요한 후원자이자 "보존자이자 복원자"였다. 그는 수집에 대한 강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중국의 "위대한 사유 소장품"의 대부분을 획득하여 "그 보물들을 황실 소장품에 재통합"하고자 했다.[33] 그는 상인 가문의 소장품을 찾기 위해 문화 고문 팀을 구성하고, 부유한 관리들에게 특정 "선물"을 대가로 직무 태만을 용서해주겠다고 제안하는 등 귀중한 물건을 넘겨받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강요했다. 또한 그림이 도난이나 화재로부터 안전하려면 자금성으로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4]

건륭제는 자신의 방대한 미술품 소장품을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겼다. 그는 여행 중에 산수화를 가지고 다니며 실제 풍경과 비교하거나 머무는 궁궐의 특별한 방에 걸어놓고 감상했으며, 방문할 때마다 그림에 글을 새겼다.[33] 또한 송나라 황제와 명나라 문인 화가들의 예를 따라 황실 소장품 그림에 정기적으로 시적인 글을 추가하여 작품의 특징을 강조하고 황제로서의 정당한 역할을 보여주었다. 건륭제는 특정 날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 그림이나 서예 작품을 감상하며 개인적인 메모를 적어 일종의 일기처럼 사용하기도 했다.[33] 특히 건륭제는 자강전 안의 작은 방인 삼희당에 세 개의 서예 작품, 즉 진나라 왕희지의 「적설후청명」, 그의 아들 왕헌지의 「추석」, 왕순의 「보원서」를 보관했다.[35][36][37]

황실 소장품에 있는 수천 점의 옥기류 대부분은 건륭제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는 고대 청동기, 청동 거울, 인장 수집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33] 도자기, 유약, 금속 세공 및 칠기와 같은 공예품도 그의 치세 동안 번성했으며, 그의 소장품 상당수는 런던의 퍼시벌 데이비드 재단에 소장되어 있다.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대영박물관에도 건륭 시대의 미술품이 소장되어 있다.

건륭제의 가장 위대한 프로젝트 중 하나는 중국 철학, 역사, 문학의 가장 큰 소장품을 편집하고 인쇄하기 위해 학자 팀을 구성한 것이다.[34]사고전서』(또는 시구전서)로 알려진 이 프로젝트는 3만 6천 권으로 출판되었으며, 약 3,450개의 완전한 작품을 담고 있고, 1만 5천 명의 필사가들이 참여했다. 이는 수많은 책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정적을 색출하고 억압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과거 1만 1천 권에 달하는 작품 목록 중 약 3분의 1만이 출판을 위해 선택되었고, 포함되지 않은 작품들은 요약되거나 파기되었다.[34]

2. 4. 십전무공

건륭제는 10차례의 대외 원정을 벌여 "십전무공(十全武功)"이라 칭하며 스스로를 십전노인(十全老人)이라 불렀다. 이 원정들로 청나라 영토는 크게 확장되었고, 미얀마[74], 베트남[75], 라오스, 태국까지 조공하게 되었다.

원정시기결과비고
준가르 정벌1755년, 1757년-1759년청나라 승리준가르 칸국을 정복하고 신장 지역을 청 제국에 편입. 준가르 학살 자행.[11][13]
금천 산악민족 진압1747년-1749년, 1771년-1776년청나라 승리사천 지역의 금천 티베트인 진압. 준가르 학살에 비견되는 학살 발생.[14]
신강 회부(위구르) 정벌1757년-1759년청나라 승리위구르족바다흐샨 정벌.
네팔 원정1788년-1789년, 1791년-1792년교착 상태네팔 구르카와의 전쟁. 양측 모두 청에 복종.
타이완 원정-청나라 승리임상문 사건 진압.
청-버마 전쟁1765년-1769년청나라 패배버마의 샨 주 공격에 대한 군사 지원 요청으로 시작.[24][25] 1790년 외교 관계 재개 후, 청나라는 일방적으로 버마의 항복으로 간주하고 승리 주장.[26]
베트남 원정1789년청나라 패배레 왕조 레 치우 통의 요청으로 서산 왕조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27]



건륭제는 십전무공을 통해 청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지만, 일부 원정은 실질적으로 패배하거나 큰 손실을 입었다. 또한, 잦은 원정으로 황실 재정이 소모되었고,[28] 군사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2. 5. 강남 순행

건륭제는 중국의 전통적인 유물을 매우 사랑하여, 현재도 고궁박물원에 남아 있는 많은 소장품[76]을 수집하고, 여러 차례 강남으로 순행했다.

2. 6. 문화·예술 발전

건륭제 시대는 선대 황제들의 강력한 통치와 새로운 농업 기술 도입으로 경제가 크게 발전했다. 신대륙에서 온 고구마와 같은 작물은 백성들의 기근을 해결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목화, 칠기, 도자기, 비단 등의 특산품은 무역을 통해 세계로 수출되었고, 생산량도 크게 증가하여 영국으로의 수출이 급증했다. 이러한 무역 정책은 유입을 촉진하여 국고를 크게 늘렸다.

1722년 1억 5천만 명이었던 인구는 1790년 3억 명을 넘어설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 18세기에는 백성들이 문화예술을 즐기면서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각 지역이 부유해져 인구 증가를 가속화했다. 그러나 건륭제 이후 가경제 시대에는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계속 증가하여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건륭제는 티베트 불교에 대한 개인적인 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며, 티베트 불교 예술을 후원하고 불교 대장경을 만주어로 번역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몽골인들 사이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황색 종파(티베트 불교 겔룩파)를 지원했으며, 1744년에는 용화사를 티베트 불교 사찰로 만들었다.[41]

건륭제는 건축에도 적극적이었다. 원명원을 확장하고 청의원을 개조하여 쿤밍호를 만들었다. 또한 열하에 있는 열하궁을 확장하여 사실상 세 번째 수도로 삼았고, 매년 황제 사냥을 열었다.

국내 정치에서는 군기처가 상설 정무 기관이 되었고, 백성들에게 여러 차례 감세를 실시했다. 문화적으로는 『사고전서』를 편찬하고, 궁정 화가들을 위한 "화원"을 설치하여 티베트 불교에 귀의하여 대장경을 번역하고 사원을 건립하는 등 문화 예술 발전에 힘썼다. 또한, 고궁박물원에 남아있는 많은 컬렉션[76]을 수집하고, 여러 차례 강남으로 행차했다. 그는 『당송시순(唐宋詩醇)』의 편찬을 맡기도 했다.[81]

2. 7. 칙령 반포와 문자의 옥

건륭제는 청년, 중년 시절에는 아버지 옹정제처럼 관리들을 엄격히 감찰하여 기강을 바로잡았으나, 나이가 들면서 지방 행정에 대한 통제를 느슨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지방 관리들의 횡령과 착복이 만연했고, 황하 홍수 구호 자금 횡령 사건까지 발생했다.[90] 중앙 관리들까지 연루된 집단 뇌물수수 사건이 발생하는 등 부정부패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군기대신 우민중은 막대한 사익을 취했고, 하급 관리들 사이에서도 뇌물수수가 만연했으며, 과거시험에서도 돈을 받고 합격자를 조작하는 비리가 발생했다. 감숙성에서는 청 제국 최대의 뇌물수수 사건인 감숙모진안(甘肅冒賑案)이 발생하였다.[110]

1774년(건륭 39년), 가난한 지역이었던 감숙성의 순무 왕단망(王亶望)은 구호 자금을 횡령하고 조작된 보고를 올렸다. 1774년(건륭 39년)에서 1781년(건륭 46년)까지 7년 동안 왕단망 개인이 착복한 돈은 200만위안이 넘었고, 감숙성 전체 관리가 축적한 돈은 1500만위안이나 되었다.[110] 건륭제는 대노하여 왕단망을 비롯한 관련자들을 사형에 처했지만, 직접 진두지휘하지 않아 사건은 흐지부지되었다.

건륭제는 재위 후반기 뇨후루 허션에게 절대적 신임을 보냈다. 1776년(건륭 41년) 호부시랑이 된 화신은 호부를 장악하고 왕단망의 뇌물수수사건을 밝혀내 국고 환수에 기여했다. 1780년(건륭 45년) 31세에 호부상서가 된 화신은 각지의 총독·순무에게 돈을 받고 죄를 사면해주는 방식으로 재산을 축적했지만, 국고가 비었을 때는 자신의 재산을 털어 메꾸기도 했다. 황제에게 바쳐지는 진상품을 빼돌리고, 백성들의 세금을 올리고 관리들에게 뒷돈을 받는 등 부정부패를 일삼았으나, 뛰어난 업무처리능력으로 건륭제의 신임을 얻어 신권을 강화했다. 화신의 아들 풍신은덕은 건륭제의 막내딸 고륜화효공주와 혼인하여 황실 인척이 되었다. 건륭제 자신도 말년에 재산 축적에 집착하여 생일 때 황금 불상 1만 개를 받았다.[112]

부정부패가 심해지자 1774년(건륭 39년) 왕륜(王倫)이 백련교를 다시 일으키는 등 반청 세력이 나타났으나 진압되었다. 하지만 백련교를 비롯한 반청 세력들은 은밀히 세력을 키워 건륭제 말년까지 지방에서 산발적인 분쟁을 일으켰다.

강희제, 옹정제 시대와 달리 건륭제는 이슬람교도에 대한 가혹한 정책을 펼쳤다. 한족 관리 진홍무(陳宏謀)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슬람교도를 더 엄격하게 처벌하고, 이맘에게 책임을 묻는 정책을 시행했다. 회족에게 나크슈반디야(Naqshbandiyya) 수피즘이 전래되면서 중국 이슬람교도들에게 큰 변화가 일어났고, 건륭제는 이슬람교도에 대한 가혹한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마 라이치(Ma Laichi)는 부하라(Bukhara), 예멘, 메카(Mecca) 등지에서 수피즘을 배우고 중국 이슬람교도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라마단(Ramadan) 금식 해제에 대한 논쟁으로 모스크에서 기도하기 전에 금식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한 마 라이치는 많은 추종자를 얻었다. 지크르(dhikr) 수행 방식을 두고 마 명신(Ma Mingxin)의 자흐리(jahri, 큰 소리)파와 마 라이치의 쿠피(khufi, 조용히)파 간의 분쟁이 발생했다. 청나라는 마 라이치 파를 지지하고 마 명신 파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마 명신은 청나라의 명령을 무시하고 전도를 계속했고, 훈화(循化) 지역에서 추방당했다.

1781년 마 명신의 지지자들이 청나라 관리와 하피야 추종자들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마 명신은 반란자로 몰려 처형되었다. 이후 중국 북서부 전역에서 자흐리야 반란이 일어났고, 청나라는 대대적인 진압 작전을 펼쳐 자흐리야 지도자들을 학살하고 추종자들을 추방했다. 천우(田五)가 또 다른 자흐리야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자흐리야 지도자 마 다티안(Ma Datian)은 만주로 유배되어 사망했다.

이슬람교도와 청나라 조정 사이의 갈등은 19세기 대규모 이슬람교도 반란으로 이어졌다. 건륭제 치하에서 만주 조정은 이슬람교도의 종교 행위를 표적으로 한 반(反)이슬람 법률을 시행했고, 자흐리야와 하피야 사이의 폭력은 자흐리야의 확장을 불렀다.

청나라 정부는 이슬람교도 범죄 행위에 대한 보고서를 받아 더욱 반(反)이슬람적이 되었고, 더 많은 반(反)이슬람 법률을 제정했다. 1770년대에는 싸움(dou'ou)이라는 새로운 범죄 범주가 지정되어 비 자흐리야 이슬람교도들조차 청나라에 대항하게 만들었다. 자흐리야와 하피야의 폭력을 종식시키려던 청나라 관리가 자흐리야 폭도들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청나라는 대대적인 진압 작전을 펼쳤다.

청나라의 군사적 승리는 자흐리야의 분노를 증폭시켰고, 관리들은 이슬람교도들을 학살하는 데 과도하게 나섰다. 이는 1784년 천우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건륭제는 이슬람교도들의 반란 이유를 궁금해하며 신하들에게 질문했지만, 결국 이유를 찾지 못했다. 1784년 반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북서부는 50년 동안 군사 점령 상태에 놓였고, 이는 1860년대와 1870년대 대규모 이슬람 반란으로 이어졌다.

1781년 살라르족 수피 자흐리야 회원들의 반란 3년 후, 1784년 회족 자흐리야 이슬람교도 장원청(張文慶)과 천우의 봉기 중에 청나라 깃발 장군 이시야오가 감숙성 동부의 수피 자흐리야 수도회의 1000명이 넘는 회족 이슬람교도 어린이와 여성을 학살했다. 청나라 정부는 수피 자흐리야 "신교(New Teaching)"의 멸종을 명령하고 이슬람교도에 의한 비이슬람교도 아동 입양, 비이슬람교도의 이슬람 개종, 새로운 사원 건설을 금지했다. 일부 수피 하피야 "구교(Old Teaching)" 이슬람교도들은 자흐리야 수피 "신교" 이슬람교도에 대항하는 싸움에서 청나라 군대에서 복무했다.[44]

옹정제 시대의 기독교 박해는 건륭제 시대에 더욱 악화되었다.[45]

한편, 건륭제는 간신 허션을 중용했고, 문자의 옥이라 불리는 사상탄압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처벌하고 금서를 엄격히 시행했다.

2. 8. 경제와 부의 완성

건륭제는 부분적으로나마 예수회 선교사들의 선교를 허락했고, 선교사들은 가톨릭으로 개종한 신자들에게 조상의 제사 등 본래의 관습을 어느 정도 지킬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그러나 1742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칙서를 내려 이러한 관행을 금지시키고, 1744년 또 다른 칙서를 내려 이를 재확인하였다. 교황의 칙령 이후 가톨릭 신자의 수는 늘지 않았고, 예수회 선교사들도 제대로 선교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113]

한편, 1750년대 유럽 상인들은 광동성에 들어와 거주하며 중국식 길드공행(公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청나라의 관세를 덜 지불하고 현지 상인들과 신뢰를 쌓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청나라 상인들도 유럽인들에게 뒷돈을 받는 등 부정한 행위를 하였다. 1759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직원을 북경으로 보내 개항을 요구하였으나, 건륭제는 이를 허락했다가 갑자기 거절하고 대외 무역 규제를 대폭 강화하였다. 주산과 하문의 항을 폐쇄하고 광주 항만 개항을 허락하였다.(1757년) 또한 유럽 상인들은 반드시 공행과만 매매를 하도록 규정하고(1757년) 그 시기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로 엄격하게 설정하였다.

영국은 무역을 늘리기 위해 여러 번 특사를 파견하여 건륭제에게 선물을 주고 공사를 상주시키려 하였다. 1788년 영국은 카스카트(Cathcart)를 전권 대사로 파견하였으나 청나라로 가는 도중 병사하여 뱃머리를 돌려야 했다. 1792년 9월 26일, 영국 정부는 조지 매카트니 백작을 특사로, 조지 스턴튼(George Staunton)을 부사로 명하여 파견하였다. 매카트니는 청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의 쇼군을 만나 일본이 청나라에게 주로 수출하는 차를 직접 거래할 수 있도록 요청하려 하였다.[114] 사절단은 1793년 5월에 오문(마카오)에 도착하여 건륭제에게 알현을 허락받고, 그 해 7월에 천진에 닻을 내렸다.

당시 건륭제는 열하 피서산장에 있었다. 1793년 8월에 피서산장에 도착해 건륭제를 알현하였다. 건륭제는 화신에게 사절단을 대접하도록 명했으나, 접견 예의 문제로 난항을 겪었다. 외국 사신은 황제를 접견할 때 삼궤구고두(三跪九叩頭)를 해야 했으나, 매카트니는 이를 거절하고 영국식 예를 취하도록 하였다. 건륭제는 조지 3세의 친서를 받았는데, 무역을 늘리고 공사를 상주시키고 싶다는 요구와 주산 근처 섬 할양 요구가 들어 있었다. 건륭제는 이를 거부하고 영국 사절단의 행동을 금하였다. 건륭제는 그 다음 달인 9월에 영국 사절단의 귀국을 강제 조처하였다.[115]

1795년 초, 네덜란드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대표하는 이삭 티칭(Issac Titsingh)이 건륭제의 재위 60년을 축하하기 위해 왔다. 네덜란드 사절단은 삼궤구고두를 올려 건륭제의 호감을 샀다.[116] 건륭제는 네덜란드 사절단을 영국 사절단보다 더 우대하고 선물도 더 많이 챙겨주었다.

국내 정치에서는 옹정제 시대에 설치된 군기처가 상설 정무 기관이 되었다. 강희제·옹정제 연간의 번영으로 국고가 충실했기에 백성들에게 여러 차례 감세를 실시했다. 또한, 『사고전서』(四庫全書) 편찬과 10차례의 외정도 이러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했다. 이 시기에는 문화가 크게 진흥되었고, 궁정은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 건륭제 자신도 많은 한시를 지었다. 건륭제는 중국 전통 유물을 매우 사랑하여 고궁박물원에 남아 있는 많은 컬렉션[76]을 수집하고, 여러 차례 강남으로 행차했다(육순남하). 이러한 군사적·문화적 성공으로 건륭제의 치세는 청나라의 절정기로 일컬어진다. 자신도 “역사상 나만큼 행복한 천자는 없다”고 자랑했다고 한다.

궁정 화가들을 중히 여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건륭제는 즉위와 함께 “화원처(画院处)”를 설치했다. 이 “화원처”가 “화원(画院)”의 근본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그와는 별도로 유럽 화가들이 일하는 곳으로서 “여의관(如意館)”이 있었다. 화원의 역사에서도 이처럼 동시대에 두 개의 화원이 설치된 것은 매우 특이하다[77]고 여겨진다.

티베트 불교에도 깊이 귀의했다. 티베트어 대장경을 몽골어와 만주어로 번역하고, 베이징과 열하에 많은 티베트 사찰을 짓고, 티베트 불교 승려들을 공양하는 등의 일을 했다. 티베트 불교와 관련된 중요한 업적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순서내용
첫째황성에 인접한 북해의 북쪽에 국가 수호불인 백산개불정(白傘蓋仏頂)을 모시는 사찰을 지은 것
둘째베이징 최초의 티베트 사원인 간덴 칭차크린(甘丹欽哲林)을 설립한 것
셋째3세 찬캬(チャンキャ)가 건륭제에게 차크라 삼바라 존(チャクラ・サンヴァラ尊)의 관정(灌頂)을 수여한 것 (관정(灌頂)은 산스크리트어로 아비셰카(abhiṣeka), 티베트어로 왐(ワン)이라고 하며, “불의 힘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78]


2. 9. 부정과 부패

건륭제는 말년에 권력과 영광에 탐닉하여 통치에 환멸을 느끼고 자만하게 되었으며, 유민중과 혜정과 같은 부패한 관리들을 신임하기 시작했다.[61]

혜정은 당시 최고위 관리이자 건륭제가 가장 총애하는 신하였으므로, 나라의 일상적인 통치는 그의 손에 맡겨졌고, 황제 자신은 예술, 사치품, 문학에 빠져들었다. 가경제가 혜정을 처형했을 때, 청나라 정부는 혜정의 사적인 재산이 청나라의 고갈된 국고를 초과하여 9억위안에 달하며, 이는 청나라 황실의 12년치 국고 잉여액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건륭제는 재정 잉여금 약 3395.0000000000005만위안으로 통치를 시작했다. 그의 통치 절정기에는 세금 감면에도 불구하고 국고 잉여금은 여전히 7390.000000000001만위안에 달했는데, 이는 강희제옹정제보다 훨씬 많은 기록적인 수치이며, 두 황제 모두 놀라운 세금 감면 정책을 시행했었다.

그러나 관리들의 장기간에 걸친 횡령과 부패, 남쪽 원정, 거대한 궁궐 건설, 많은 전쟁과 반란 진압, 그리고 건륭제 자신의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 등 수많은 요인들로 인해 국고는 총 1.5019999999999998억위안의 손실을 입었다. 이는 그의 고령과 정치 개혁의 부재와 결합되어 청나라의 점진적인 쇠퇴와 최종 멸망의 시작을 알렸고, 그의 정치적 삶에 그림자를 드리웠다.[61]

한편으로는 청나라 쇠퇴의 싹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건륭제는 간신 화신을 계속 중용했다. 화신은 황십오자 영염(가경제)과 다른 모든 신하들에게 미움을 받았다. 문자옥이라 불리는 사상탄압으로 많은 사람들을 처벌하고, 금서 또한 엄격하게 시행했다.

1795년, 치세 60년에 이른 건륭제는 조부 강희제의 치세 61년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명목으로 황십오자 영염(가경제)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제가 되었지만, 실권은 놓지 않고 청녕궁에서 원정을 베풀면서 동시에 화신에게 정치 권한을 맡겼다. 가경제는 건륭제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화신의 횡포를 어찌할 수 없었고, 궁정 안팎의 규율은 해이해졌다.

1799년 건륭제가 붕어하자, 화신은 가경제에 의해 즉시 사형을 당했지만, 몰수된 사재는 국가 세입의 십수 년 분량[80]에 달했다고 한다(당시 세계 GDP의 3할이 청나라였다).

2. 10. 유럽과의 관계와 사절단



18세기 중반, 유럽 열강은 급증하는 외국 무역 증가와 중국 해안에 대한 전초기지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늙어가는 건륭제는 이러한 요구를 거부했다. 1793년 조지 3세 국왕은 영국의 노련한 외교관 중 한 명인 조지 마카르트니를 수장으로 하는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하여 황제에게 직접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영국은 중국에서 판매할 무역 상품 샘플을 보냈는데, 이는 질이 낮다고 여겨지는 조공으로 오해되었다.

중국과 해외의 역사가들은 오랫동안 사절단의 목표 달성 실패를 중국의 변화 거부와 근대화 실패의 상징으로 제시해 왔다. 그들은 이러한 거부를 외국 왕국과의 교류가 인접한 조공국으로 제한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설명했다. 더욱이 양측의 세계관은 양립할 수 없었고, 중국은 "천하 중심 국가"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방문 관련 기록 문서가 발표된 후 이러한 주장은 도전받게 되었다. 한 역사가는 황제와 그의 궁정을 "분명히 영리하고 유능한 정치가들"로 묘사했으며, 그들은 보편적 통치에 대한 공식적인 청나라 주장 내에서 행동했고, 인도에서 영국의 확장에 대한 보고에 대해 군사적 충돌과 무역 손실을 피하기 위해 불명확한 약속으로 영국을 달래면서 신중하게 대응했다고 결론지었다.[63]

마카르트니는 건륭제와 이틀 동안 접견했는데, 둘째 날은 황제의 82세 생일과 일치했다. 접견의 성격과 어느 수준의 의식이 행해졌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마카르트니는 영국 무역 사절들이 무릎을 꿇고 고두를 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적었고,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논쟁은 청나라 신하들과 영국 대표들이 기록한 상반된 의견으로 계속되고 있다.[64]

건륭제는 영국 국왕에게 마카르트니의 요청을 들어줄 수 없는 이유를 담은 편지를 주었다.[65]



어제 당신의 사신이 나의 신하들에게 중국과의 무역에 관한 탄원을 올렸지만, 그의 제안은 우리 왕조의 관례와 일치하지 않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당신 나라의 야만 상인을 포함한 모든 유럽 국가들은 광저우에서 우리 천하 대국과 무역을 해왔습니다. 우리 천하 대국은 모든 것을 풍부하게 소유하고 국경 내에 부족한 것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수년 동안의 절차였습니다.

당신의 상인들이 거주하고 상품을 보관할 수 있는 추산 근처의 작은 섬을 요구하는 것은 무역을 발전시키려는 당신의 욕망에서 비롯됩니다... 게다가 영국이 우리 제국과 무역을 수립하기를 원하는 유일한 야만의 땅이 아님을 고려하십시오. 만약 다른 모든 국가가 당신의 악한 본보기를 따라 나에게 각각 무역을 위한 장소를 제시해 달라고 간청한다면 어떻게 순응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또한 우리 제국의 관례를 명백히 침해하는 것이며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유럽의 야만 상인들은 거주와 무역을 위해 아오먼에 특정 지역이 할당되었으며, 할당된 지역 한 치 넘어서는 침범이 금지되어 왔습니다.... 만약 이러한 제한이 철회된다면 중국인과 당신의 야만인 신하들 사이에 마찰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것입니다...

당신 나라의 하늘의 주에 대한 숭배에 관해서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같은 종교입니다. 역사의 시작 이래로 현명한 황제와 현명한 통치자들은 중국에 도덕 체계를 부여하고 법전을 주입했으며, 이는 태고부터 나의 수많은 신하들에 의해 종교적으로 준수되어 왔습니다. 이단적인 교리에 대한 갈망은 없었습니다. 심지어 우리 수도의 유럽 (선교사) 관리들조차 중국인들과 교류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65]



이 편지는 1914년 번역될 때까지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나중에 중국의 근대화 거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마카르트니의 회고록에 있는 결론은 널리 인용되었다.

> 중국 제국은 오래되고 미쳐 돌아가는 일급 전함과 같습니다. 능숙하고 경계하는 장교들의 행운 좋은 계승 덕분에 지난 150년 동안 표류하는 것을 막고, 그 크기와 외관만으로 이웃 나라들을 위압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갑판에 충분히 능력 없는 사람이 지휘하게 되면, 배의 규율과 안전은 끝장입니다. 아마도 바로 가라앉지는 않을 것입니다. 잔해로서 얼마 동안 표류할 수도 있고, 그러다 해변에 부서질 것입니다. 그러나 낡은 바닥으로는 다시 지을 수 없습니다.[66]

1795년 네덜란드 사절단이 건륭제의 궁정에 도착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중국 제국의 외교 관계라는 맥락에서 유럽인이 청 황실 궁정에 출현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67]

네덜란드와 VOC의 이익을 대표하여 아이작 티칭(Isaac Titsingh)은 건륭제 즉위 60주년 기념을 위해 1794~1795년 베이징을 방문했다.[68] 티칭 사절단에는 네덜란드계 미국인 안드레아스 에버하르두스 판 브람 후크게스트(Andreas Everardus van Braam Houckgeest)도 포함되어 있었다.[69] 그의 청나라 사절단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곧 미국과 유럽에서 출판되었다. 티칭의 프랑스어 통역관인 크리스티앙 루이 조제프 드 기뉴(Chrétien-Louis-Joseph de Guignes)는 1808년 티칭 사절단에 대한 자신의 기록을 출판했다. "베이징, 마닐라 그리고 프랑스 섬으로의 항해" (Voyage a Pékin, Manille et l'Ile de France)는 당시 유통되던 다른 보고서들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과 유용한 대조점을 제공했다. 티칭 자신은 자신의 사건에 대한 기록을 출판하기 전에 사망했다.

맥카트니와는 달리, 1795년 네덜란드와 VOC 사절이었던 아이작 티칭(Isaac Titsingh)은 절을 거부하지 않았다. 맥카트니의 거절 이듬해에, 티칭과 그의 동료들은 관례적인 궁중 예절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 적절한 순응으로 인해 중국인들로부터 많은 환대를 받았다.[70]

2. 11. 퇴위와 반란

건륭제는 85세의 나이로, 61년 가까이 황위에 있은 후, 1796년 36세의 아들인 가경제에게 황위를 넘겨주었다. 그 후 3년 동안 태상황이라는 칭호를 유지했지만, 여전히 권력을 유지했고 가경제는 명목상으로만 통치했다.[1] 건륭제는 자금성의 양심전을 떠나 퇴위 후 거처로 사용할 목적으로 건설된 닝수궁(건륭원)으로 이주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이주하지 않고[1] 1799년에 사망했다.[61][72]

한편, 청나라 쇠퇴의 싹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건륭제는 간신 화신을 계속 중용했는데, 화신은 황십오자 영염(훗날의 가경제)과 다른 모든 신하들에게 미움을 받았다. 건륭제는 문자옥이라 불리는 사상탄압으로 많은 사람들을 처벌하고, 금서 또한 엄격하게 시행했다.

1795년, 치세 60년에 이른 건륭제는 조부 강희제의 치세 61년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명목으로 황십오자 영염(가경제)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제가 되었지만, 실권은 놓지 않고 청녕궁에서 원정을 베풀면서 동시에 화신에게 정치 권한을 맡겼다. 가경제는 건륭 상황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화신의 횡포를 어찌할 수 없었고, 궁정 안팎의 규율은 해이해졌다.

1799년 건륭제가 붕어하자, 가경제는 화신을 즉시 사형에 처했다. 이때 몰수된 화신의 사재는 국가 세입의 십수 년 분량[80]에 달했다고 한다(당시 세계 국내총생산의 3할이 청나라였다). 중화민국 시기인 1928년 국민당 군벌 손전영에 의해 동릉이 약탈당하는 사건(동릉사건)이 발생하여, 건륭제의 유릉과 서태후의 정동릉은 묘실이 털리고 철저하게 약탈당했다. 건륭제의 능묘는 청동릉 내의 유릉(裕陵)이다.

2. 12. 노황제의 최후

건륭제는 간신 和珅(허션)을 계속 중용했다. 허션은 황십오자 영염(永琰)과 다른 모든 신하들에게 미움을 받았다. 文字獄(문자옥)이라 불리는 사상탄압으로 많은 사람들을 처벌하고, 禁書(금서) 또한 엄격하게 시행했다.

1738년 10월, 정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황자 영련(永璉)을 9세의 나이로 잃었다. 두 달 후인 12월에는 주세페 카스티글리오네에게 "세조도(歲朝圖)" 제작을 명령하여 황제와 황자들의 단란한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게 했다. 완성된 "세조도"에는 영련의 모습도 그려져 있었다. 건륭제에게는 17명의 황자가 있었으나, 85세에 퇴위하려고 했을 때는 49세의 황팔자 영선(永璇), 43세의 황십일자 영성(永瑆), 35세의 황십오자 영염(永琰), 29세의 황십칠자 영린(永璘)만이 남아 있었다.[79]

1795년, 치세 60년에 이른 건륭제는 조부 康熙帝(강희제)의 치세 61년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명목으로 황십오자 영염(嘉慶帝(가경제))에게 양위하고 太上皇帝(태상황제)가 되었지만, 실권은 놓지 않고 청녕궁에서 원정을 베풀면서 동시에 허션에게 정치 권한을 맡겼다. 가경제는 건륭 상황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허션의 횡포를 어찌할 수 없었고, 궁정 안팎의 규율은 해이해졌다.

1799년에 붕어했다. 능묘는 清東陵(청동릉) 내의 유릉(裕陵)이다. 허션은 건륭제 붕어 후 嘉慶帝(가경제)에 의해 즉시 사형당했지만, 몰수된 사재는 국가 세입의 십수 년 분량에 달했다고 한다.[80] (당시 세계 GDP(국내총생산)의 3할이 청나라였다). 中華民國(중화민국) 시기 1928년에 국민당 군벌 孫殿英(손전영)에 의해 동릉이 약탈당하는 사건(東陵事件(동릉사건))이 발생하여, 건륭제의 유릉과 西太后(서태후)의 정동릉은 묘실이 털리고 철저하게 약탈당했다.

3. 평가

건륭제는 청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그의 치세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한다.
긍정적 평가건륭제는 뛰어난 군사적 역량을 바탕으로 청나라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준가르 칸국을 정복하여 신장 지역을 청나라에 편입시켰고, 서쪽으로는 일리 지역까지 진출했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은 청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다양한 민족을 통합하는 데 기여했다.[11][13] 또한, 1750년 라싸 폭동 이후 군대를 파견하여 달라이 라마의 통치권을 확립하고 티베트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다.[21] 칭군자브 친왕이 아무르사나와 공모하여 일으킨 할하 몽골 반군도 진압하고 관련자들을 처형했다.

주세페 카스티글리오네가 그린 건륭제


사냥하는 건륭제

부정적 평가건륭제는 말년에 화신을 지나치게 총애하여 국정을 그르쳤다. 화신은 황제의 비호 아래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전횡을 일삼았으며, 이는 관리들의 기강 해이와 부정부패 심화로 이어졌다.[11] 또한, 건륭제는 잦은 원정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고를 탕진하여 재정난을 초래했다. 특히,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전국 순행은 백성들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11]

윌리엄 알렉산더가 그린 건륭 시대의 병사, 1793년


건륭제는 청-버마 전쟁과 베트남 원정에서 실패하며 군사적 한계를 드러냈다. 특히, 버마와의 전쟁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열대 지형과 풍토병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26] 또한, 우슈 반란에서 볼 수 있듯이, 건륭제는 소수민족에 대한 억압적인 정책을 펼쳐 민족 간 갈등을 심화시키기도 했다.[29][30]

외교적으로도 건륭제는 시대착오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영국 특사 조지 매카트니의 통상 요구를 조공으로 간주하고 거부하는 등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11]

건륭제 사후, 청나라는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가경제는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국력을 회복하려 노력했으나, 백련교도의 난과 천교도의 난 등 내란이 끊이지 않았다. 아편 전쟁 이후에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시달리며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3. 1. 긍정적 평가

건륭제는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였다. 즉위 직후, 묘족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그의 후기 원정은 청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시켰는데, 이는 청나라의 군사력뿐만 아니라 내아시아 여러 민족들의 분열과 쇠퇴하는 힘 덕분이기도 했다.

건륭제의 통치하에 준가르 칸국은 청 제국의 지배하에 편입되어 신장으로 개명되었고, 서쪽으로는 일리가 정복되어 주둔군이 배치되었다. 신장의 청 제국 편입은 서쪽 몽골 여러 부족의 연합체인 준가르인(또는 준가르)의 최종 패배와 멸망의 결과였다. 건륭제는 그 후 준가르 학살을 명령했다.[11][13] 청나라 학자 웨이위안에 따르면, 60만 명의 준가르인 중 40%가 천연두로 사망하고, 20%는 러시아 제국이나 카자흐 부족으로 도망쳤으며, 30%는 청나라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11][13] 마이클 에드먼드 클라크는 이를 "준가르 국가뿐 아니라 준가르인이라는 민족의 완전한 파괴"라고 묘사했다.[12] 역사가 피터 퍼듀는 준가르인의 격감이 건륭제가 시작한 명백한 대학살 정책의 결과라고 주장했다.[13]

준가르 학살은 건륭제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청나라의 1776년 금천 티베트인 학살과 비교되어 왔다.[14] 승리한 군대가 베이징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의 명예를 기리는 축하 성가가 불렸다. 예수회 선교사 아미오가 몽골어 버전의 찬가를 기록하여 파리로 보냈다.[15]

청 제국은 군사 기록 보관소에서 한림원 회원 자격으로 조의와 강용지를 고용하여 ''준가르 평정 전략''(平定準噶爾方略)과 같은 준가르 원정에 관한 작품을 편찬하게 했다.[16] 조의가 쓴 시에는 청나라의 준가르 몽골 정복과 학살을 찬양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17][18] 그는 건륭제 치세의 군사비를 기록한 ''연포잡기''를 "붓글씨 메모" 스타일로 작성했다.[19] 조의는 건륭제를 "18세기 평화와 번영"의 원천으로 칭찬했다.[20]

칭군자브 친왕 지휘하의 할하 몽골 반군은 준가르 지도자 아무르사나와 공모하여 준가르와 같은 시기에 청 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다. 청나라 군대는 반란을 진압하고 칭군자브와 그의 가족 전체를 처형했다.

이 기간 동안 티베트에 대한 몽골의 지속적인 개입과 몽골에서의 티베트 불교의 상호 확산이 있었다. 1750년 라싸 폭동 이후, 건륭제는 군대를 티베트로 파견하여 달라이 라마를 티베트의 통치자로 확고히 했으며, 청나라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청나라 관리와 주둔군을 배치했다.[21]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네팔과 구르카에 대한 군사 원정으로 황제는 교착 상태에 빠졌고 양측 모두 복종해야 했다.

1762년 건륭제는 중앙아시아에서 청나라의 확장으로 인해 아프간 에미르 아마드 샤 두라니와 전쟁 직전까지 갔다. 청나라와 두라니 제국 군대가 중앙아시아 국경 근처에 배치되었지만 전쟁은 발발하지 않았다. 1년 후, 두라니는 사절을 베이징으로 보내 건륭에게 4마리의 화려한 말을 선물했고, 이는 ''네 마리의 아프간 말''이라는 일련의 그림의 주제가 되었다. 그러나 아프간 사절은 고두를 거부한 후 건륭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22] 건륭은 나중에 청나라의 봉신이었던 바다흐샨 술탄을 두라니 제국이 살해하는 것에 개입하는 것을 거부했다.[23]

건륭제는 봉신 샨 주의 버마 공격군에 대한 군사 지원 요청에 응했지만,[24][25] 청-버마 전쟁은 완전한 실패로 끝났다. 그는 처음에 야만 부족에 대한 손쉬운 승리라고 믿고 버마와 국경을 접한 윈난에 주둔한 녹영만을 보냈다. 청나라의 침략은 버마군 대다수가 시아의 아유타야 왕국에 대한 최근 침략에 배치되었을 때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련한 버마 군대는 1765-66년과 1766-67년의 국경에서 처음 두 차례의 침략을 물리쳤다. 지역 분쟁은 이제 양국에서 전국적인 군사 기동을 포함하는 주요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엘리트 만주 팔기군이 이끈 세 번째 침략(1767-1768)은 거의 성공하여 수일 만에 수도 인와에서 가까운 버마 중앙부까지 깊숙이 침투했다.[25] 그러나 중국 북부의 만주 팔기군은 "익숙하지 않은 열대 지형과 치명적인 풍토병"에 대처할 수 없었고 큰 손실을 입고 격퇴당했다. 위기 이후 신비우신 왕은 시암에서 중국 전선으로 군대를 재배치했다. 네 번째이자 가장 큰 규모의 침략은 국경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다. 청나라 군대가 완전히 포위된 상태에서 1769년 12월 양측 현장 사령관 사이에 휴전이 이루어졌다. 청나라 군대는 약 10년 동안 윈난 국경 지역에 많은 군대를 배치하여 또 다른 전쟁을 벌이려고 시도하는 한편 20년 동안 국경 간 무역을 금지했다. 1790년 버마와 중국이 외교 관계를 재개했을 때, 청나라 정부는 일방적으로 이 행위를 버마의 항복으로 보고 승리를 주장했다.[26] 건륭제는 1768년 청-버마 전쟁에서 마이묘 전투에서 패배한 그의 사령관 밍루이를 도와주지 못했기 때문에 만주 장군 엘레덴거(Eledeng'e)의 능지처참을 명령했다.[27]

베트남의 상황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1787년 베트남 레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레 치우 통은 베트남에서 도망쳐 탕롱(현재의 하노이)에서 폐위된 자리를 회복해 달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건륭제는 이에 동의하고 베트남에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베트남 전역을 점령한) 반란군을 제거했다. 수도 탕롱은 1788년에 함락되었지만, 몇 달 후 청나라 군대는 패배했고, 설날(베트남 설날)에 응우옌 후에(서산 삼형제 중 두 번째이자 가장 능력 있는 인물)의 기습 공격으로 침략은 낭패로 끝났다. 청 제국은 더 이상 레 치우 통을 지원하지 않았고, 그의 가족은 베트남에 투옥되었다. 청나라는 90년 동안 베트남에 개입하지 않았다.

남쪽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건륭제의 군사적 확장은 이미 광대한 청 제국의 면적을 거의 두 배로 늘렸고, 위구르족,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에벤크족 및 몽골족과 같은 많은 한족 이외의 민족들을 통합했다. 그것은 또한 매우 비싼 사업이었고, 황실 금고의 자금은 거의 모두 군사 원정에 사용되었다.[28] 전쟁은 성공적이었지만 압도적인 성공은 아니었다. 청나라 군대는 현저히 쇠퇴했고 일부 적에 대항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금천 산악민족에 대한 원정은 처음에는 청나라 군대가 크게 패배했지만, 악비의 후손인 약중기가 상황을 장악하면서 2~3년이 걸렸다. 준가르와의 전투는 치열했고 양측 모두 큰 손실을 입었다.

건륭제와 그 이전 순치제 이후의 전임 황제들은 중국과 청 제국을 동일시했으며, 조약과 외교 문서에서 청 제국은 스스로를 "중국"이라고 불렀다.[56] 건륭제는 한족만이 중국의 신민이 될 수 있고 한족의 땅만이 중국 영토로 간주될 수 있다는 이전의 견해를 배격하고, 1755년에 "비한족이 중국의 신민이 될 수 없고 그들의 땅은 중국 영토에 통합될 수 없다는 중국에 대한 견해가 있다. 이것은 우리 왕조의 중국 이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전 한, 당, 송, 명 왕조의 견해이다"라고 말하며 중국을 다민족 국가로 재정의했다.[57]

건륭제는 신장이 중국의 일부가 아니며 정복해서는 안 된다는 한족 관리들의 견해를 배격하고, 중국은 한족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다민족 국가라는 견해를 제시했다.[58] 건륭제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그의 업적을 한나라와 당나라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비교했다.

3. 2. 부정적 평가

건륭제 사후 청나라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아들 가경제는 건륭제와 화신 사후 부정부패를 척결하려 노력했으나, 관리들의 부패는 여전했고 청나라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빈번했다. 1804년(가경제 9년) 백련교도의 난은 진정되었으나, 1813년(가경제 18년) 천교도들이 난을 일으켰고, 계유지변처럼 황궁 자금성까지 난입하는 등 내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내란 진압에 막대한 군비(2억 냥 이상)가 소요되어 청나라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11]

당시 가장 큰 문제는 외환이었다. 건륭제 때부터 시작된 청나라와 영국의 복잡한 관계는 후대에도 지속되었다. 손자 도광제 때 영국 상인들은 건륭제의 상업 정책을 무시하고 아편을 유통시켰다. 청 정부가 이를 금지하고 아편을 폐기하자, 영국 함대가 청을 공격하여 남경 조약을 맺고 향항(홍콩)을 할양받는 등 열강의 간섭이 심화되었다.[11]

1851년(함풍 원년)에는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여 13년간 청 조정을 괴롭혔다. 건륭제의 잦은 원정으로 쇠약해진 팔기군은 태평천국군 진압에 큰 공을 세우지 못했고, 이는 지방 민병대 향용이 세력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향용이 태평천국군을 멸망시켰고, 태조 때부터 공을 세운 팔기군은 신식 무기와 향용의 대두로 더욱 쇠락했다. 건륭제는 강희제처럼 한족 문화를 적극 흡수했지만, 만주족은 동화되어 고유 문화를 잃기 시작했다. 건륭제 이후 만주어 사용 인구는 감소하여 청 멸망까지 하락세가 이어졌다.[11]

건륭제 사후 여러 전설 중 건륭제 생모에 관한 설과 향비와의 사랑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청사고》〈고종순황제실록〉에는 건륭제 모친이 옹정제 후궁 효성헌황후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전설에 따르면 건륭제는 옹정제와 효성헌황후의 아들이 아닌 강남 출신 한족 문인의 아들이며, 옹정제가 얻은 아이는 딸이었는데, 같은 날 한족 문인의 아들이 태어나 서로 자식을 맞바꾸었고, 이때 바뀐 아들이 건륭제라는 것이다. 건륭제가 남순을 떠난 목적이 생모를 만나기 위함이라는 설도 있으나, 대부분 남순에 효성헌황후가 동행했기에 사실성이 떨어진다. 향비 전설은 위구르족 출신 건륭제 비 용비가 모델이다. 실제 용비는 장수 후 자연사했지만, 전설 속 향비는 건륭제의 구애에도 절개를 지켰다. 건륭제가 사냥 간 사이 황태후 효성헌황후가 향비에게 자진을 권유하자 자결했고, 그녀의 몸에서 아름다운 향기가 났다는 전설이다. 이는 건륭제의 강남 순행, 십전무공 중 위구르 원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당시 민간의 건륭제 인기를 짐작게 한다.[11]

건륭제는 초기 40년간 조부 강희제와 부황 옹정제의 정책을 계승, 개혁하며 문화를 부흥시켰으나, 후기 20년간 화신을 지나치게 편애하고 딸을 화신 아들에게 시집보내며 화신 세력을 방관했다. 건륭제 비호 아래 화신은 막대한 재산을 축적하는 등 전횡을 일삼았고, 이는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방치하는 결과를 낳았다. 즉위 당시 강희제, 옹정제와 달리 국고가 풍족하여 불필요한 사치가 잦았다. 건륭제는 연회, 후원 건설 등에 막대한 비용을 쓰고 잦은 원정으로 국고를 낭비하여 재정을 악화시켰다. 정통성과 세를 과시하기 위한 잦은 전국 순행도 재정 낭비의 원인이었다. 옹정제의 엄격한 관리 기풍을 잇지 않고 유화책을 펴 관리 감시가 소홀해졌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중앙·지방 정부 기강이 훼손되었다. 베트남, 네팔 등 정복지에 무단 통치를 실시하여 분란의 싹을 틔웠고, 건륭제 사후 베트남과 버마는 독립했다.[11]

건륭제의 또 다른 실책은 대외 인식이었다. 영국 특사 조지 매카트니가 동등한 통상을 요구했으나, 건륭제는 영국이 조공을 바치러 온 것으로 여겨 영국 사절단 방문 시 “영국 오랑캐들이 항복하였다”는 방문을 전국에 보냈다. 건륭제는 영국 사절들에게 “천자의 나라에는 부족한 것이 없다”고 말하며 그들을 당황케 했다.[11]

건륭제는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였다. 즉위 직후 군대를 파견하여 묘족의 난을 진압했고, 후기 원정으로 청 제국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이는 청 군사력뿐 아니라 내아시아 민족들의 분열과 쇠퇴 덕분이었다.[11]

건륭제 통치하에 준가르 칸국은 청에 편입되어 신장으로 개명되었고, 서쪽 일리가 정복되어 주둔군이 배치되었다. 신장 편입은 서부 몽골 부족 연합 준가르인의 패배와 멸망의 결과였다. 건륭제는 준가르 학살을 명했다. 청 학자 웨이위안에 따르면, 60만 준가르인 중 40%가 천연두로 사망, 20%는 러시아 제국이나 카자흐 부족으로 도망, 30%는 청군에 살해되었다.[11][13] 마이클 에드먼드 클라크는 이를 "준가르 국가뿐 아니라 준가르인이라는 민족의 완전한 파괴"라 묘사했다.[12] 피터 퍼듀는 준가르인의 격감이 건륭제의 명백한 대학살 정책 결과라고 주장했다.[13]

준가르 학살은 건륭제 통치 기간 청의 1776년 금천 티베트인 학살과 비교된다.[14] 승리한 군대가 베이징에 돌아오자, 그들의 명예를 기리는 축가가 불렸다. 예수회 중국 선교 아미오가 몽골어 찬가를 기록해 파리로 보냈다.[15]

청은 군사 기록 보관소에서 한림원 회원 조의, 강용지를 고용, ''준가르 평정 전략''(平定準噶爾方略) 등 준가르 원정 관련 작품을 편찬케 했다.[16] 조의의 시에는 청의 준가르 몽골 정복·학살 찬양 내용이 담겨 있고,[17][18] 건륭제 치세 군사비를 기록한 ''연포잡기''를 "붓글씨 메모" 스타일로 작성했다.[19] 조의는 건륭제를 "18세기 평화와 번영"의 원천으로 칭송했다.[20]

칭군자브 친왕 지휘 하 할하 몽골 반군은 준가르 지도자 아무르사나와 공모, 준가르와 동시 청에 반란을 일으켰다. 청군은 반란을 진압하고 칭군자브와 그 가족을 처형했다.[11]

이 시기 티베트에 대한 몽골의 지속적 개입, 몽골 내 티베트 불교 확산이 있었다. 1750년 라싸 폭동 후 건륭제는 군대를 티베트에 파견, 달라이 라마를 티베트 통치자로 확고히 하고, 청의 존재 유지를 위해 청 관리와 주둔군을 배치했다.[21] 네팔, 구르카 군사 원정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양측 모두 복종해야 했다.[11]

1751년 1월 23일, 1750년 라싸 폭동 참여 티베트 반군은 청 만주 장군 반디에 의해 능지처참되었다. 이는 옹정제 치세 1728년 11월 1일 티베트 반군에게 일어났던 일과 유사하다. 티베트 반군 지도자 6명과 블로-잔-크라-시스가 능지처참되었다. 나머지 지도자들은 교살·참수, 머리는 말뚝에 꽂혀 공개되었다. 청은 반군 재산을 압류, 다른 반군들을 유배 보냈다. 반디는 1751년 1월 26일 건륭제에게 티베트 반군 능지처참·처형 실행 보고서를 보냈다. 티베트 반군 dBan-rgyas(Wang-chieh), Padma-sku-rje-c'os-a['el(Pa-t'e-ma-ku-erh-chi-ch'un-p'i-lo), Tarqan Yasor(Ta-erh-han Ya-hsün)는 라싸 폭동 중 만주 관리(Labdon, Fucin) 건물 공격 시 화살, 활, 사냥총으로 만주 관리들을 다친 죄로 능지처참되었다. Sacan Hasiha(Ch'e-ch'en-ha-shih-ha)는 살인 죄, Ch'ui-mu-cha-t'e와 Rab-brtan(A-la-pu-tan)은 약탈·방화 죄로 능지처참되었다. Blo-bzan-bkra-sis는 약탈·살해 주도 죄로 능지처참되었다. 처형 전 사망한 티베트 반군 2명(감옥 사망 Lag-mgon-po(La-k'o-kun-pu), 처벌 두려움에 자살 Pei-lung-sha-k'o-pa)은 시신 참수, 반군 추종자·사자 bKra-sis-rab-brtan(Cha-shih-la-pu-tan)은 교살, 건물 공격 주도 Man-chin Te-shih-nai, rDson-dpon dBan-rgyal(Ts'eng-pen Wang-cha-lo), P'yag-mdsod-pa Lha-skyabs(Shang-cho-t'e-pa La-cha-pu)는 참수되었다.[11]

1762년 건륭제는 중앙아시아 청 확장으로 아프간 에미르 아마드 샤 두라니와 전쟁 직전까지 갔다. 청·두라니 제국 군대가 국경 근처 배치되었으나 전쟁은 없었다. 1년 후, 두라니는 사절을 베이징에 보내 건륭에게 말 4마리를 선물, 이는 ''네 마리의 아프간 말'' 그림 주제가 되었다. 아프간 사절은 고두 거부로 건륭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22] 건륭은 청 봉신 바다흐샨 술탄 살해에 대한 두라니 제국 개입을 거부했다.[23]

건륭제는 봉신 샨 주의 버마 공격군 지원 요청에 응했으나,[24][25] 청-버마 전쟁은 실패했다. 처음 야만 부족에 대한 쉬운 승리라 믿고 윈난 주둔 녹영만 보냈다. 청 침략은 버마군 대다수가 시아 아유타야 왕국 침략에 배치되었을 때 이루어졌다. 노련한 버마 군대는 1765-66, 1766-67년 국경 침략을 격퇴했다. 지역 분쟁은 양국 전국적 군사 기동을 포함하는 주요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만주 팔기군 주도 3차 침략(1767-1768)은 거의 성공, 수일 만에 수도 인와 근처 버마 중앙부까지 깊숙이 침투했다.[25] 그러나 만주 팔기군은 "익숙잖은 열대 지형, 치명적 풍토병"에 대처 못하고 큰 손실로 격퇴되었다. 신비우신 왕은 시암에서 중국 전선으로 군대 재배치했다. 4차 침략은 국경서 교착, 청군 완전 포위 상태서 1769년 12월 양측 사령관 간 휴전이 성립되었다. 청은 10년간 윈난 국경에 군대 주둔, 또 다른 전쟁 시도하며 20년간 국경 간 무역 금지했다. 1790년 버마·중국 외교 관계 재개 시, 청은 일방적으로 이를 버마 항복으로 보고 승리 주장했다.[26] 건륭제는 1768년 청-버마 전쟁 마이묘 전투 패배 사령관 밍루이를 돕지 못한 만주 장군 엘레덴거(Eledeng'e, E'erdeng'e (額爾登額, 額爾景額))의 능지처참을 명했다.[27]

베트남 상황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1787년 베트남 레 왕조 마지막 통치자 레 치우 통은 탕롱(현재 하노이) 폐위 자리 회복을 공식 요청했다. 건륭제 동의로 베트남에 대군 파견, 반란군 제거했다. 수도 탕롱은 1788년 함락되었지만, 수개월 후 청군은 설날(베트남 설) 응우옌 후에 기습 공격으로 패배, 침략은 낭패로 끝났다. 청은 레 치우 통 지원 중단, 가족은 베트남 투옥, 90년간 베트남 불개입했다.[11]

남쪽 패배에도 불구, 건륭제 군사 확장은 청 제국 면적을 거의 2배로 늘려 위구르족,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에벤크족, 몽골족 등 비한족 민족들을 통합했다. 이는 비싼 사업으로, 황실 금고 자금 대부분이 군사 원정에 사용되었다.[28] 전쟁은 성공적이나 압도적 성공은 아니었다. 청 군대 쇠퇴, 일부 적에 어려움 겪었다. 금천 산악민족 원정은 처음 청군 대패, 악비 후손 약중기가 상황 장악하며 2~3년 소요되었다. 준가르 전투는 치열, 양측 큰 손실 입었다.[11]

1765년 만주 관리 수청 하인·아들 위구르 여성 집단 강간 후 위구르족 무슬림들이 만주족에 대항, 우슈 반란을 일으켰다.[29][30] 만주 관리 수청, 아들의 위구르 무슬림 여성 수개월 강간으로 ''우슈 무슬림들은 [수청, 아들] 가죽 위서 자고 살 먹고 싶어했다''고 전해진다. 건륭제는 위구르 반란 도시 학살, 청군에 위구르 어린이·여성 노예화, 남성 학살 명령했다. 만주 병사·관리들의 위구르 여성 상습 성관계·강간은 위구르 무슬림들의 만주 지배 증오·분노 야기했다. 자항기르 호자 침략은 1818-1820년 만주 관리 빈징의 코칸 아크사칼 무슬림 딸 강간 사건 전 일어났다. 청은 위구르인 사이 지배 분노 확산 방지 위해 만주인 위구르 여성 강간 은폐 시도했다.[11]

국경 전쟁 말, 청 군대 약화, 군벌들 생활 방식 만족, 전투 대부분 종료로 군대 훈련 이유 부재, 건륭제 통치 말 군사력 감소했다. 이는 건륭제 치세 말 시작, 가경제 치세까지 이어진 백련교의 난 미진압 주원인이었다.[11]

3. 3. 현대적 평가

건륭제는 초기 40년간은 할아버지 강희제와 아버지 옹정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개혁을 추진하고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후기 20년 동안에는 측근 화신을 지나치게 편애하고, 자신의 딸을 화신의 아들에게 시집보내 화신의 세력 확장을 방관했다. 화신은 건륭제의 비호 아래 막대한 재산을 축적하고 전횡을 일삼았으며, 이는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건륭제는 국고가 풍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연회, 정원 건설, 잦은 원정 등으로 재정을 낭비했다. 특히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전국 순행은 재정 악화를 더욱 부추겼다. 또한, 아버지 옹정제와 달리 관리들에게 유화책을 펼쳐 감시가 소홀해졌고, 이는 부정부패 만연과 중앙 및 지방 정부의 기강 해이로 이어졌다.

건륭제는 베트남, 네팔 등 정복한 영토에 무단 통치를 실시하여 현지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는 그가 죽은 후 베트남과 버마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외교 정책에서도 건륭제는 한계를 드러냈다. 영국 특사 조지 매카트니의 통상 요구를 조공으로 간주하고 거만한 태도를 보이며 "천자의 나라에는 부족한 것이 없다"고 말해 영국 사절단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건륭제가 죽은 후 청나라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아들 가경제는 부정부패를 없애려 노력했으나 실패했고, 백련교도의 난, 계유지변 등 내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내란 진압에 막대한 군비가 소모되어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도광제 시기에는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아편 전쟁이 발발했고, 난징 조약 체결과 향항 할양 등 열강의 간섭이 심화되었다.

1851년에는 태평천국의 난이 발생하여 청나라를 더욱 쇠약하게 만들었다. 팔기군은 약화되었고, 지방 민병대 향용이 세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건륭제 시기 만주족은 한족 문화에 동화되면서 고유 문화를 잃기 시작했고, 만주어 사용 인구도 감소했다.

건륭제 사후에는 그의 생모와 향비에 대한 전설이 생겨났다. 정사에는 건륭제의 생모가 효성헌황후로 기록되어 있지만, 전설에서는 강남 출신 한족 문인의 아들이라고 한다. 향비 전설은 실존 인물인 용비(容妃)를 모델로 한 것으로, 향비가 건륭제의 구애에도 절개를 지키다 자결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전설들은 건륭제의 강남 순행과 위구르 원정의 영향으로 민간에서 그의 인기를 반영한 것이다.

4. 가족

건륭제는 3명의 황후와 5명의 황귀비, 5명의 귀비 등을 두었고 슬하에 17남 10녀를 두었다.[121][122][123][124][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172][173][174][175][176][177][178][179][180][181][182][183][184][185][186][187][188][189][190][191][192][193]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
황후(皇后)효현순황후
(孝賢純皇后)
푸차 씨
(富察氏)
1737년 ~ 1748년1712년 ~ 1748년일등장각공(一等莊慤公)
부찰 이영보
(富察 李榮保)
일품부인(一品夫人)
기오로 씨(覺羅氏)
황후(皇后)나라 씨
(那拉氏)
1750년 ~ 1766년1718년 ~ 1766년나랍 눌이포
(那拉 訥爾布)
낭가씨(郞佳氏)
영황귀비
(令皇貴妃)
효의순황후
(孝儀純皇后)
위가씨
(魏佳氏)
(추존)1727년 ~ 1775년삼등승은공(三等承恩公)
위청태(魏淸泰)
일품부인(一品夫人)
양가씨(楊佳氏)



비(妃)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
서비(舒妃)엽혁나랍 씨
(叶赫那拉氏)
1728년 ~ 1777년
예비(豫妃)보르지기트 씨
(博爾濟吉特氏)
1730년 ~ 1774년
용비(容妃)화탁 씨
(和卓氏)
1734년 ~ 1788년위구르인 출신.
돈비(惇妃)왕씨(汪氏)1746년 ~ 1806년
진비(晉妃)푸차 씨
(富察氏)
? ~ 1822년
방비(芳妃)진씨(陳氏)1750년 ~ 1801년



빈(嬪)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
의빈(儀嬪)황씨(黄氏)? ~ 1735년
이빈(怡嬪)백씨(柏氏)1721년 ~ 1757년
순빈(恂嬪)곽석특 씨
(霍碩特氏)
? ~ 1761년
신빈(愼嬪)배이갈사 씨
(拜爾葛斯氏)
? ~ 1765년
공빈(恭嬪)임씨(林氏)1733년 ~ 1805년
성빈(誠嬪)니오후루 씨
(鈕祜祿氏)
? ~ 1784년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순귀인
(順貴人)
뉴호록씨
(鈕祜祿氏)
1750년 ~ 1788년
악귀인
(鄂貴人)
서림각라씨
(西林覺羅氏)
1733년 ~ 1808년
서귀인
(瑞貴人)
색작락씨
(索綽洛氏)
? ~ 1765년
녹귀인
(綠貴人)
육씨
(陸氏)
? ~ 1788년
수귀인
(壽貴人)
? ~ 1809년
수귀인
(秀貴人)
색작락씨
(索綽洛氏)
? ~ 1745년
백귀인
(白貴人)
백씨
(柏氏)
1730년 ~ 1803년
무귀인
(武貴人)
무씨
(武氏)
? ~ 1781년
금귀인
(金貴人)
? ~ 1778년
신귀인
(新貴人)
? ~ 1775년
신귀인
(慎貴人)
? ~ 1777년
복귀인
(福貴人)
? ~ 1764년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규상재
(揆常在)
? ~ 1756년
영상재
(寧常在)
? ~ 1781년
평상재
(平常在)
? ~ 1778년
장상재
(張常在)
장씨? ~ 1745년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상답응
(祥答應)
? ~ 1773년
나답응
(那答應)
답응
(答應)
완답응
(莞答應)
채답응
(采答應)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격격
(格格)
? ~ 1730년
격격
(格格)
? ~ 1729년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관여자
(官女子)
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
정귀인
(定貴人)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자식비고
장남화석정친왕
(和碩定親王)
안(安)아이신기오로 융후왕
(愛新覺羅 永璜
/애신각라 영황)
1728년 ~ 1750년철민황귀비
부찰씨
2남
차남황태자
(皇太子)
단혜
(端慧)
영련1730년 ~ 1738년효현순황후
부찰씨
3남다라순군왕
(多羅循郡王)
아이신기오로 융장
(愛新覺羅 永璋
/애신각라 영장)
1735년 ~ 1760년순혜황귀비
소가씨
1남 1녀
+1양자
4남화석이친왕
(和碩履親王)
단(端)아이신기오로 융청
(愛新覺羅 永珹
/애신각라 영성)
1739년 ~ 1777년숙가황귀비
금가씨
6남 3녀
5남화석영친왕
(和碩榮親王)
순(純)아이신기오로 융키
(愛新覺羅 永琪
/애신각라 영기)
1741년 ~ 1766년유귀비
가리엽특씨
6남 2녀
6남화석질친왕
(和碩質親王)
장(莊)아이신기오로 용이옹
(愛新覺羅 永瑢
/애신각라 영용)
1743년 ~ 1790년순혜황귀비
소가씨
6남 5녀
7남화석철친왕
(和碩哲親王)
도민
(悼敏)
영종1746년 ~ 1748년효현순황후
부찰씨
8남화석의친왕
(和碩儀親王)
신(愼)아이신기오로 융시오완
(愛新覺羅 永璇
/애신각라 영선)
1746년 ~ 1832년숙가황귀비
금가씨
2남 4녀
9남1748년 ~ 1749년숙가황귀비
금가씨
요절.
10남1751년 ~ 1753년서비
엽혁나랍씨
요절.
11남화석성친왕
(和碩成親王)
철(哲)아이신기오로 융싱
(愛新覺羅 永瑆
/애신각라 영성)
1752년 ~ 1823년숙가황귀비
금가씨
7남 6녀
12남다라패륵
(多羅貝勒)
아이신기오로 융키
(愛新覺羅 永璂
/애신각라 영기)
1752년 ~ 1776년계황후
나라씨
13남영경1756년 ~ 1757년계황후
나라씨
요절.
14남영로1757년 ~ 1760년효의순황후
위가씨
요절.
15남황태자
(皇太子)
아이신기오로 용얀
(愛新覺羅 顒琰
/애신각라 옹염)
1760년 ~ 1820년효의순황후
위가씨
5남 9녀제7대 황제 가경제.
16남1762년 ~ 1763년효의순황후
위가씨
요절.
17남화석경친왕
(和碩慶親王)
희(僖)아이신기오로 융린
(愛新覺羅 永璘
/애신각라 영린)
1766년 ~ 1820년효의순황후
위가씨
6남 7녀



-봉호생몰년도생모(생부)부마
장녀1728년 ~ 1729년효현순황후 부찰씨요절.
차녀1731년 ~ 1732년철민황귀비 부찰씨요절.
3녀고륜화경공주
(固倫和敬公主)
1731년 ~ 1792년효현순황후 부찰씨화석의친왕
(和碩毅親王)
박이제길특 색포등파륵주이
(博爾濟吉特 色布騰巴勒珠爾)
4녀화석화가공주
(和碩和嘉公主)
1745년 ~ 1767년순혜황귀비 소가씨일등충용근각공
(一等忠勇勤恪公)
푸차 풀룽가
(富察 福隆安)
5녀1753년 ~ 1755년계황후 휘발나랍씨요절.
6녀1755년 ~ 1758년흔귀비 대가씨요절.
7녀고륜화정공주
(固倫和靜公主)
1756년 ~ 1775년효의순황후 위가씨화석찰살극친왕
(和碩扎薩克親王)
박이제길특 납왕다이제
(博爾濟吉特 拉旺多爾濟)
8녀1757년 ~ 1767년흔귀비 대가씨요절.
9녀화석화각공주
(和碩和恪公主)
1758년 ~ 1780년효의순황후 위가씨일등무의모용공
(一等武毅謀勇公)
오아 찰란태
(烏雅 札蘭泰)
10녀고륜화효공주
(固倫和孝公主)
1775년 ~ 1823년돈비 왕씨삼등효민공
(三等孝愍公)
니오후루 펑셔닌더
(鈕祜祿 豊紳殷德)
양녀
-화석화안공주
(和碩和婉公主)
1734년 ~ 1760년화공친왕(和恭親王)
아이신기오로 훙저오
(愛新覺羅 弘晝)
적복진(嫡福晉)
오찰차 씨(吳扎庫氏)
다라파림패륵
(多羅巴林貝勒)
박이제길특 덕륵극
(博爾濟吉特 德勒克)


5. 기타

건륭제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작품연도국가배우
乾隆皇奇遇記중국어1977홍콩토니 리우
환주격격1998중국장철림
蝴蝶夢-梁山伯與祝英台後傳중국어1999중국광화
天下糧倉중국어2001중국니위안
환주격격 32003중국적룡
新還珠格格중국어2011중국치우신즈
傾城雪중국어2011중국왕원제
宮鎖珠簾중국어2012중국천슈
宮鎖連城중국어2014중국등자명
연희공략2018중국니위안
江山兒女幾多情중국어2018중국장국강
여의전2018중국호건
延禧攻略:金枝玉葉중국어2019중국니위안



소설에서는 금용의 서검은구록에서 건륭제가 한족이라는 설정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소설은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아사다 지로의 소설 창궁의 앙에도 건륭제가 등장한다.

작품연도국가배우
血滴子중국어2012중국·홍콩문장
Le Portrait interdit프랑스어2017중국·프랑스황각



작품연도국가배우
환주격격1998중국장철림
옹정왕조1999중국가지강
건륭왕조2003중국초황
乾隆與香妃중국어2004중국존 론
궁정의 쟁이녀2011중국왕문걸
궁 팰리스2〜사랑에 빠진 여관〜2012중국진욱
王者清風중국어2013중국何晟铭중국어
宮鎖連城중국어2014중국탕진업
錢塘傳奇중국어2014중국여소군
여의전 〜자금성에 흩어지는 숙명의 왕비〜2017중국곽건화
영락〜자금성에 타오르는 역습의 왕비〜2018중국니에 위엔



만화에서는 モンスターバンケット일본어에 건륭제가 등장한다.

5. 1. 대중문화


  • 乾隆皇奇遇記중국어 (1977)에서 토니 리우(Tony Liu)가 연기했다.
  • 환주격격(1998)에서 장철림(Zhang Tielin)이 연기했다.
  • 蝴蝶夢-梁山伯與祝英台後傳중국어 (1999)에서 광화(Kwong Wa)가 연기했다.
  • 天下糧倉중국어 (2001), 연희공략(2018), 延禧攻略:金枝玉葉중국어 (2019)에서 니위안(Nie Yuan)이 연기했다.
  • 환주격격 3(2003)에서 적룡(Ti Lung)이 연기했다.
  • 新還珠格格중국어 (2011)에서 치우신즈(Chiu Hsinchih)가 연기했다.
  • 傾城雪중국어 (2011)에서 왕원제(Wang Wenjie)가 연기했다.
  • 宮鎖珠簾중국어 (2012)에서 천슈(Chen Xu)가 연기했다.
  • 宮鎖連城중국어 (2014)에서 등자명(Kent Tong)이 연기했다.
  • 江山兒女幾多情중국어 (2018)에서 장국강(Zhang Guoqiang)이 연기했다.
  • 여의전(2018)에서 호건(Wallace Huo)이 연기했다.


; 소설

  • 서검은구록(금용(金庸)) - 저자의 고향인 해녕현(海寧県)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간 전승을 바탕으로, "건륭제 한인설"을 설정한 소설.
  • 영화화
  • 서검은구록(1981년, 홍콩, 연기: パイ・ピョウ(白彪))
  • 청조황제 제1부 홍화당의 반란 / 제2부 실크로드의 왕녀·향비(1987년, 홍콩·중국, 연기: ター・シーチャン(達式常))
  • 텔레비전 드라마화
  • 레전드 오브 플래시 파이터 서검은구록(2002년, 중국, 연기: チン・ツァロン(陳昭栄))
  • 서검은구록(2008년, 중국, 연기: 아담 천(アダム・チェン))
  • 창궁의 앙(아사다 지로(浅田次郎))


; 영화

  • 血滴子중국어 (2012년, 중국·홍콩, 연기: 웨ン・ジャン(文章))
  • Le Portrait interdit프랑스어 (2017년, 중국·프랑스, 연기: ホアン・ジュエ(黄覚))


; 텔레비전 드라마

  • 환주격격 〜프린세스의 만들기〜(1998년, 중국, 연기: 장철림(張鉄林))
  • 옹정왕조(1999년, 중국, 연기: 가지강(賈致剛))
  • 건륭왕조(2003년, 중국, 연기: 초황(焦晃))
  • 乾隆與香妃중국어 (2004년, 중국, 연기: 존 론(ジョン・ローン))
  • 궁정의 쟁이녀(2011년, 중국, 연기: 왕문걸(王文杰))
  • 궁 팰리스2〜사랑에 빠진 여관〜(2012년, 중국, 연기: 진욱(陳旭))
  • 王者清風중국어 (2013년, 중국, 연기: 何晟铭중국어)
  • 宮鎖連城중국어 (2014년, 중국, 연기: 탕진업(湯鎮業))
  • 錢塘傳奇중국어 (2014년, 중국, 연기: 여소군(余少群))
  • 여의전 〜자금성에 흩어지는 숙명의 왕비〜(2017년, 중국, 연기: ウォレス・フォ(霍建華))
  • 영락〜자금성에 타오르는 역습의 왕비〜(2018년, 중국, 연기: 니에 위엔(ニエ・ユエン))


; 만화

  • モンスターバンケット일본어 (기시나가 류타(吉永龍太))

참조

[1] 뉴스 Dusting Off a Serene Jewel Box https://www.nytimes.[...] 2008-12-31
[2] 서적 大清高宗純皇帝乾隆 千華駐科技出版有限公司
[3] 서적 汉光武帝刘秀百谜/中国帝王百谜系列/ "Enigma of the Emperor Guang of Han Liu Xiubai/100 Secrets of the Chinese Emperors" 陕西旅游出版社
[4] 서적 三春爭及初春景/Fight in the spring scenery. 生活・讀書・新知三联书店
[5] 서적 10 great writers of China. Cao Xueqin / 中国十大文豪曹雪芹. Beijing Book Co. Inc.
[6] 웹사이트 Qianlong Reign{{!}}The Palace Museum https://en.dpm.org.c[...] 2021-02-13
[7] 서적 《高宗純皇帝實錄》
[8] 서적 "Real Qianlong" 遠流出版
[9] 서적 The art of weaving in the Qing. Chunfeng Cultural Press.
[10] 서적 《高宗純皇帝實錄》
[11] 서적 聖武記 1848
[12]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14] 서적 War Finance and Logistics in Late Imperial China: A Study of the Second Jinchuan Campaign (1771–1776)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22
[15] 웹사이트 Manchu hymn chanted at the occasion of the victory over the Jinchuan Rebels http://www.manchustu[...] 2012-12-18
[16] 서적 Class of 1761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17] 서적 Harmony Garden: The Life, Literary Criticism, and Poetry of Yuan Mei (1716-179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4
[18] 서적 The Poet Zheng Zhen (1806-1864) and the Rise of Chinese Modernity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24
[19] 서적 War Finance and Logistics in Late Imperial China: A Study of the Second Jinchuan Campaign (1771–1776)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24
[20] 서적 A Court on Horseback: Imperial Touring & the Construction of Qing Rule, 1680–1785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4-04-24
[21] 잡지 Staatsmann, Feldherr und Dichter
[22] 서적 The Empire And the Khanate: A Political History of Qing Relations With Khoqand C1760-1860 https://books.google[...] Brill 2005
[23] 서적 From Frontier Policy to Foreign Policy: The Question of India and the Transformation of Geopolitics in Qing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24] 서적 Asian Borderlands: The Transformation of Qing China's Yunnan Frontier Harva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Burma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26] 서적
[27] 학술지 A Disguised Defeat: The Myanmar Campaign of the Qing Dynasty 2004
[28] 서적 Modern East Asia: A Brief History Houghton Mifflin 2008
[29] 서적 The Empire And the Khanate: A Political History of Qing Relations With Khoqand C1760-1860 https://books.google[...] Brill 2005
[30] 학술지 Between the "Ummah" and "China":The Qing Dynasty's Rule over Xinjiang Uyghur Society http://www.lib.kobe-[...] Kobe University 2019-06-01
[31]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2013
[32] 웹사이트 The Qianlong Emperor as Manjusri, the Bodhisattva of Wisdom http://asia.si.edu/c[...]
[33] 웹사이트 China: The Three Emperors 1662–1795 http://www.threeempe[...] The Royal Academy of Arts 2005-11-12
[34] 잡지 Portrait of an Emperor, Qianlong: Ruler, Connoisseur, Scholar https://www.wmf.org/[...] World Monuments Fund 2003-12-31
[35] 학술지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the Decorative Polychrome Painting in the Hall of Mental Cultivation Complex, Forbidden City 2018
[36] 논문 Qianlong's Divine Treasures: The Bells in Rhyming-the-Old Hall 2009
[37] 웹사이트 Top 10 calligraphy masterpieces of ancient China http://www.china.org[...] 2021-05-16
[38] 서적 1987
[39] 서적 1987
[40]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Routledge 2014-03-10
[41] 서적 https://books.google[...] 2003
[42] 서적 https://books.google[...] 1999
[43] 서적 https://books.google[...] 2003
[44]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uw.manifold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45] 서적 Defending Christianity in China: The Jesuit Defense of Christianity in the "Lettres Edifiantes Et Curieuses" & "Ruijianlu" in Relation to the Yongzheng Proscription of 1724 2008
[46] DPhil Yonghegong: Imperial Universalism and the Art And Architecture of Beijing's "Lama Temple"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Kansas 2013
[47] 웹사이트 王致诚乾隆射箭图屏 http://www.dpm.org.c[...]
[48] 웹사이트 A Victory Banquet Given by the Emperor for the Distinguished Officers and Soldiers {{wdl|7718}} 1770
[49]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50] 논문 清代延恩侯明朝皇族后裔辩伪考 http://www.cnki.com.[...]
[51] 웹사이트 我姓阎,满族正黄旗,请问我的满姓可能是什么 https://zhidao.baidu[...] 2009-02-01
[52] 웹사이트 满族姓氏寻根大全·满族老姓全录 http://blog.51cto.co[...]
[53] 웹사이트 简明满族姓氏全录(四) http://yukunid.blog.[...] 2006-10-14
[54] 웹사이트 "闫"姓一支的来历 http://blog.sina.cn/[...] 2009-12-16
[55] 웹사이트 Gun Control, Qing Style http://www.manchustu[...] 2013-03-09
[56] 서적 https://web.archive.[...] 2006
[57] 서적 https://web.archive.[...] 2006
[58] 서적 https://web.archive.[...] 2006
[59] 서적 http://www.phil-fak.[...] 1998
[60] 서적 A Narrative of the British Embassy to China, in the Years 1792, 1793, and 1794; Contain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Embassy, with Accounts of Customs and Manners of the Chinese https://books.google[...] J. Debrett 1795
[61] 웹사이트 Qianlong Emperor (乾隆皇帝) http://www.dpm.org.c[...]
[62] 서적 Intra-Asian Trade and the World Mark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63] 논문 The Qianlong Emperor's Letter to George III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igins of Ideas About Traditional China's Foreign Relations https://ora.ox.ac.uk[...] 2017
[64] 서적 The Immobile Empire Knopf, distributed by Random House 1992
[64] 서적 Cherishing Men from Afar: Qing Guest Ritual and the Macartney Embassy of 1793 Duke University Press 1995
[64] 논문
[65] 서적 Annals and Memoirs of the Court of Peking Houghton Mifflin 2017-01-28
[66] 서적 Our First Ambassador to China: An Account of the Life of George, Earl of Macartney, with Extracts from His Letters, and the Narrative of His Experiences in China, as Told by Himself, 1737–1806 http://ebook.lib.hku[...] John Murray 2008-10-25
[67] PhD Missed Opportunities: Late 18th century Chinese Relations with England and the Netherlands University of Washington 1995
[68] 논문 The Last Dutch Embassy to the Chinese Court (1794–1795) 1938-01
[69] 서적 Voyage de l'ambassade de la Compagnie des Indes Orientales hollandaises vers l'empereur de la Chine, dans les années 1794 et 1795 J. Debrett 1798
[70] 서적 An authentic account... 1798
[71] 웹사이트 Juanqizhai in the Qianlong Garden http://www.wmf.org/p[...] 2011-07-16
[72] 웹사이트 Jiaqing Emperor (嘉庆皇帝) http://www.dpm.org.c[...]
[73] 서적 daicing gurun i g'aozung yongkiyangga hūwangdi i enduringge tacihiyan https://digital.staa[...] 1800
[74] 서적 大清帝国 講談社
[75] 서적 大清帝国 講談社
[76] 서적 乾隆帝のコレクション 日本放送出版協会
[77] 서적 乾隆帝-その政治の図像学 文春新書 2007-04
[78] 서적 清朝とチベット仏教-菩薩王となった乾隆帝 早稲田大学出版部 2011-09
[79] 서적 乾隆帝-その政治の図像学 文春新書 2007-04
[80] 서적 紫禁城史話 中国皇帝政治の桧舞台 中公新書 1999-03
[81] 웹사이트 唐宋詩醇とは https://kotobank.jp/[...] 2021-03-14
[82] 웹사이트 건륭제 퇴위 1796-02-09
[83] 웹사이트 건륭제의 작위
[84] 웹사이트 측복진 이씨
[85]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86] 백과사전 건륭제 http://enc.daum.net/[...] 2010-01-17
[87] 서적 강희제의 교육 방식 - 向康熙學習 하남문예출판사(河南文藝出版社)
[88]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89] 웹사이트 옹정제의 황자
[90] 웹사이트 청나라 12명의 황제의 진짜 모습(正說淸朝十二帝) http://book.sina.com[...] 2010-01-17
[91]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92]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93] 기타 건륭제 즉위 관련 기록
[94] 서적 대청제국 1616~1799 - 100만의 만주족은 어떻게 1억의 한족을 지배하였을까? 휴머니스트
[95]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96]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97] 서적 리더들의 리더가 된 중국의 제왕들 신서원
[98]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99] 백과사전 건륭제 2010-01-27
[100] 서적 중국 늘품플러스
[101] 서적 중국 늘품플러스
[102] 웹사이트 만주족 풍습
[103] 뉴스 우종근의 史史로운 이야기 베이징 원명원의 십이지신상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2-27
[104]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05]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06]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07]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08] 백과사전 건륭제 2010-06-15
[109]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10] 웹인용 왕단망의 뇌물수수사건(王亶望貪縱牽出連環窩案) http://review.jcrb.c[...] 2010-02-06
[111]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12]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113] 백과사전 베네딕토 14세 2010-01-27
[114] 서적 British Colonial Developments, 1774-1834 Oxford
[115] 웹인용 매카트니 견문록 (Some account of the public life, and a selection from the unpublished writings of the earl of Macartney) http://books.google.[...] 2012-05-28
[116] 웹인용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중국의 황제에게 보낸 사절단 (An authentic account of the embassy of the Dutch East-India company, to the court of the emperor of China, in the years 1974 and 1795) http://ebook.lib.hku[...] 2010-02-11
[117] 기타
[118]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119] 기타
[120] 웹인용 그믐밤엔 궁녀, 보름엔 황후와 ‘雲雨之情’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10-02-13
[121] 기타
[122] 기타
[123] 기타
[124] 기타
[125] 기타
[126] 기타
[127] 기타
[128] 기타
[129] 기타
[130] 기타
[131] 기타
[132] 기타
[133] 기타
[134] 기타
[135] 기타
[136] 기타
[137] 기타
[138] 기타
[139] 기타
[140] 기타
[141] 인물 진상재
[142] 인물 진귀인
[143] 인물 명상재
[144] 인물 귀인
[145] 인물 곽상재
[146] 인물 이귀인
[147] 인물 임상재
[148] 인물 난상재
[149] 인물 상귀인
[150] 인물 어상재
[151] 인물 서상재
[152] 역사 서상재 봉함
[153] 인물 녹상재
[154] 인물 육상재
[155] 인물 수귀인
[156] 사망 사망
[157] 인물 백상재
[158] 인물 이빈의 여동생
[159] 인물 무상재
[160] 사망 사망
[161] 인물 금상재
[162] 인물 금귀인
[163] 인물 신상재
[164] 인물 신귀인
[165] 인물 복상재
[166] 인물 영상재
[167] 인물 평상재
[168] 인물 유상재
[169] 인물 상귀인
[170] 인물 나상재
[171] 인물 답응
[172] 인물 무명
[173] 인물 무명
[174] 인물 건륭제의 시첩
[175] 사망 사망
[176] 기타
[177] 기타
[178] 기타
[179] 기타
[180] 기타
[181] 기타
[182] 기타
[183] 기타
[184] 기타
[185] 기타
[186] 기타
[187] 기타
[188] 기타
[189] 기타
[190] 기타
[191] 기타
[192] 기타
[193]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