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강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강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북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흑룡강성 4대 탄광 지역 중 하나였으나 2011년 자원 고갈 도시로 지정되었다. 주나라 시대에는 숙신, 당나라 시대에는 발해의 흑수도독부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요, 금, 원, 명,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여러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1906년 탕원현이 설치되면서 허강 지구는 탕원현의 관할이 되었고, 1914년 석탄 발견 이후 급격히 인구가 증가하며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1949년 싱산시에서 허강시로 개칭되었으며, 6개의 시할구와 2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기준 한족이 97% 이상을 차지하며, 만주족, 조선족 등이 소수 민족을 구성한다. 주요 산업은 석탄 산업이었으나, 2008년과 2009년 잇따른 광산 사고와 2021년 재정 위기로 인해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무단장시
    무단장시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발해 유적과 청나라 시대 거점, 만주국 시대 일본 군사 및 산업 중심지로서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는 국경 무역과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치치하얼시
    치치하얼시는 헤이룽장성 서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우르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군사적 요충지이자 중공업 도시로서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허강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허강
허강
중국어 간체鹤岗
중국어 정체鶴崗
한어 병음Hègǎng
러시아어Хэган
만주어ᡥᡝᡤᠠᠩ
만주어 로마자 표기Heg'ang
별칭흥산(興山)
설치1906년
지리
위치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 성
좌표북위 47° 21′ 00″ 동경 130° 17′ 53″
면적14679.88 km²
도시 면적4574.9 km²
해발 고도280 m
행정 구역
구분지급시
하위 행정 구역 수8
중심지샹양 구
인구
총 인구 (2020년)891271명
도시 인구545404명
주요 민족다양한 민족
경제
지급시 GDPCN¥ 266억 (43억 미국 달러)
1인당 GDPCN¥ 24983 (4011 미국 달러)
일반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우편 번호154100 - 154200
지역 번호0468
차량 번호판 접두사黑H
기후습윤 대륙성 기후(Dwb)
웹사이트www.hegang.gov.cn

2. 역사

허강 지역은 고대부터 여러 민족과 국가의 영향을 받았다. 주나라 시대에는 숙신, 한나라위나라 시대에는 읍루의 땅이었으며, 당나라 때는 발해의 흑수도독부, 요나라 때는 여진 5국부, 금나라 때는 호리개로, 원나라 때는 수달달로, 명나라 때는 누르칸도사, 청나라 초기에는 후란 부도통의 관할 지역이었다.

1906년 탕원현이 설치되면서 허강 지역도 그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석탄이 발견되면서 인구가 급증했고, 1918년에는 흥화석탄광무역공사가 설립되어 본격적인 채굴이 시작되었다. 1926년에는 탄광과 롄장커우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며 도시화가 진행되었고, 1929년 중화민국은 이곳에 흥산현(興山縣)을 설치했다.

만주국 시기인 1938년 흥산가(興山街)로 개칭되었고, 1944년에는 허강가(鶴崗街)로 이름이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잠시 흥산진으로 불렸으나, 1945년 12월 20일 합강성 정부에 의해 시로 승격되었고, 1949년 11월 24일 현재의 이름인 허강시로 최종 개칭되었다.

1946년부터 1953년까지 만주에 억류되었던 약 1,700명의 일본인이 탄광에서 강제 노동을 강요당했다. 이들 중 다수는 시베리아 억류에서 돌아온 이들이나 만몽 개척 청소년 의용군 대원들이었다. 당시 현지에서는 일본 공산당의 지시를 받은 일본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사상 교육도 이루어졌다. 이 문제는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코라 토미의 방중과 중국 홍십자회와의 교섭을 통해 억류자들의 귀환이 이루어지면서 일단락되었다.[17]

한때 헤이룽장성의 주요 탄광 도시로 발전했으나, 석탄 자원 고갈로 인해 2011년 중국 정부로부터 자원 고갈 도시로 지정되었고, 이후 경제 성장이 둔화되었다.[18] 2021년에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정부 직원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공고를 발표했다가 삭제하는 일도 있었다.

'''행정 구역 변천'''

날짜내용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쑹장성 소속의 싱산시(興山市)로 발족.
1949년 11월 24일싱산시가 허강시(鹤岗市)로 개칭.
1954년 10월 21일쑹장성헤이룽장성에 편입되면서 헤이룽장성 허강시가 됨. 현급시로 격하.
1966년 2월 8일지급시로 승격. 시산구(西山區), 신제지구(新街基區), 난산구(南山區), 싱산구(興山區), 싱안구(興安區), 다루구(大陸區), 둥산구(東山區), 신이구(新一區) 설치 (8개 구).
1966년 8월 31일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각 구의 명칭 변경: 시산구 → 샹양구(向陽區), 신제지구 → 궁농구(工農區), 난산구 → 둥펑구(東風區), 싱산구 → 훙웨이구(紅衛區), 싱안구 → 훙치구(紅旗區), 다루구 → 웨진구(躍進區), 둥산구 → 췬리구(群力區), 신이구 → 팡슈구(反修區) (8개 구).
1980년 4월 24일행정구역 개편 및 명칭 복구: 둥펑구와 웨진구가 합병하여 난산구(南山區) 발족, 췬리구와 팡슈구가 합병하여 둥산구(東山區) 발족, 훙웨이구가 싱산구(興山區)로, 훙치구가 싱안구(興安區)로 개칭 (6개 구).
1987년 11월 6일자무쓰시 관할의 뤄베이현쑤이빈현을 편입 (6개 구 2개 현).
2011년 7월 14일둥산구의 일부가 싱산구에 편입 (6개 구 2개 현).


2. 1. 초기 역사

허강 일대는 주대에는 숙신, ·대에는 읍루의 거주지였다. 대에는 발해가 흑수도독부를 설치했으며, 대에는 여진 5국부, 대에는 호리개로, 대에는 수달달로, 대에는 누르칸도사(노아간도사), 청 초기에는 후란 부도통의 관할하에 있었다.

1890년대 후반까지 허강 지역은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황량한 곳이었다. 1906년 청나라탕원현을 설치하여 이 지역을 관할하게 했고, 농업 이주를 장려했다. 1908년 허강현 설치가 건의되었으나 인구가 적어 기각되었다. 그러나 1914년 허립강(鹤立岗)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헤이룽장성 정부는 선송녠(沈松年) 등 상인들의 공동 투자를 받아 興華煤礦|흥화석탄광zho 설립을 승인했고, 이 지역은 탄광의 이름을 따 興山|흥산zho으로 불리게 되었다. 1916년에는 러시아 자본을 가진 중국인 기업가에 의해 또 다른 탄광이 설립되었다. 풍부한 석탄 자원 덕분에 허강은 빠르게 성장했다. 1918년에는 허립강 주민 심송년이 흥화석탄광무역공사를 설립하여 본격적인 채굴이 시작되었다. 1926년에는 탄광에서 쑹화강 남쪽 자무쓰 인근의 롄장커우(莲江口)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산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29년 3월, 중화민국 정부는 이곳에 흥산현(興山縣)을 정식으로 설치했다. 1930년에는 장쉐량이 개인적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석탄 운반 선단을 운영하기도 했다.

1932년 8월, 만주를 침략한 일본 제국 군대가 허강 광산을 점령했다. 만주국 시기인 1934년 흥산진은 탕원현 광산보로 개편되었고, 1938년에는 흥산가(興山街)로, 1944년 1월에는 허강가(鶴崗街)로 다시 개칭되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광산은 더욱 개발되었다.

1945년 8월 11일, 소련 붉은 군대가 허강을 점령하고 중국공산당 군대에 이관했다. 국공 내전 시기, 만주 남부의 주요 탄광 지대가 국민당 군대의 통제 하에 있었기 때문에 허강은 공산군의 중요한 석탄 공급 기지가 되었다. 이곳에서 생산된 석탄은 공산군의 무기 및 전쟁 물자 확보에 큰 역할을 했다.[2] 전후 흥산진(興山鎮)으로 불리던 이곳은 1945년 12월 20일, 당시 합강성 정부에 의해 시로 승격되었다. 1949년 11월 24일, 헤이룽장성 소속의 지급시가 되면서 공식적으로 허강시로 개칭되었다.[2]

2. 2. 일제강점기와 만주국 시기

1914년 하오리(鹤立岗)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허강 지역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했다. 석탄 발견 이후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1918년에는 지역 주민 선송녠(沈松年) 등이 공동 투자하여 싱화석탄공사(興華煤礦公司zho)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채굴에 나섰다.[2] 이 지역은 싱화 탄광의 이름을 따 싱산(興山zho)으로 불리기도 했다. 1926년에는 탄광에서 쑹화강변의 자무쓰 인근 롄장커우(蓮江口)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물류 이동이 활발해지고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산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29년 3월, 중화민국 정부는 이 지역에 싱산현(興山縣zho)을 공식 설치했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1932년 8월 일본 제국은 만주를 침략하여 허강 지역의 광산을 점령했다.[2] 만주국 수립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1934년 싱산현은 탕원현 소속의 광산보로 변경되었다가 1938년에는 싱산가(興山街zho)로 승격되었다. 1944년 1월에는 다시 허강가(鶴崗街zho)로 이름이 바뀌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은 허강의 풍부한 석탄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광산 개발을 더욱 확대했다.[2]

1945년 8월 11일, 제2차 세계 대전 막바지에 소련군이 허강 지역을 점령하면서 일본의 통치는 끝나게 되었다.[2] 이후 허강 지역은 중국 공산당의 관리 하에 들어갔다.

2. 3. 광복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싱산 진(兴山镇)으로 불렸으나, 1945년 12월 20일 합강성 정부에 의해 시(市)로 승격되었다. 이후 1949년 11월 24일에 허강시로 공식 개칭되었다.

1949년 이후 허강시는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주요 산업인 광업은 확장되고 현대화되었으며, 석탄 생산량은 크게 증가했다. 생산된 석탄은 대부분 코크스 제조에 사용되는 고품질 유연탄이었고, 석탄 가스 생산에도 이용되었다. 생산된 석탄은 자무쓰시에서 일부 소비되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철도를 통해 안양시, 허난성랴오닝성안산시, 번시시 등 다른 공업 도시로 운송되었다. 1950년대 후반까지 석탄 산업은 도시 노동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광산 개발과 생산량 증가는 계속되었지만, 1970년대 초 대규모 화력 발전 시설이 건설되면서 허강시의 산업 구조는 점차 다각화되기 시작했다.[3]

한편, 1946년부터 1953년까지 만주에 억류되었던 일본인 약 1700명이 '유용'이라는 명목 하에 허강 탄광에서 강제 노동을 강요당했다. 이들 중 다수는 시베리아 억류에서 돌아온 사람들이나 만몽 개척 청소년 의용군 대원들이었다. 당시 현지에는 일본 공산당 간부 노사카 산조의 지시를 받은 오츠카 유사쿠(大塚有章)를 중심으로 한 일본인 공산주의자들이 파견되어 이들에게 사상 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강제 노동은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코라 토미가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 홍십자회 대표와 교섭한 끝에 이들의 일본 귀환이 실현되면서 종료되었다.[17]

헤이룽장성의 4대 탄광 지역 중 하나로 발전했던 허강시는 점차 자원 고갈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2011년 중국 정부는 허강시를 자원 고갈 도시로 공식 인정했으며, 이 시기부터 경제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다.[18] 2021년까지 도시의 핵심 산업이었던 광업은 더욱 쇠퇴했다.[4] 같은 해 12월 23일, 허강시 인민정부는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재정 상황 악화로 인한 재정 재건 계획 실시를 발표하며 정부 직원 신규 채용 계획을 중단한다고 공지했으나, 이 공지는 과도한 관심을 받자 곧 삭제되었다.

2. 4. 현대

1914년 허강 지역에서 석탄이 발견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1918년에는 현지 주민 심송년이 흥화석탄광무역공사를 설립하여 본격적인 석탄 채굴이 시작되었고, 1926년에는 탄광에서 롄장커우蓮江口중국어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산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29년 3월, 중화민국 정부는 이곳에 싱산현興山縣중국어을 설치했다.

만주국 건국 이후, 1934년 흥산진은 탕위안현湯原縣중국어 쾅산보礦山保중국어로 개편되었고, 1938년에는 싱산가興山街중국어로, 1944년 1월에는 허강가鶴崗街중국어로 다시 개칭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잠시 흥산진으로 불렸으나, 1945년 12월 20일 허장성合江省중국어 정부는 흥산진을 시로 승격시켰다. 이후 1949년 11월 24일, 현재의 이름인 허강시鹤岗市중국어로 최종 개칭되었다.

1946년부터는 만주에 억류되었던 일본인 약 1,700명이 '유용'이라는 명목 하에 탄광에서 강제 노동을 강요당했다. 이들 대부분은 시베리아 억류에서 돌아온 사람들이나 만몽 개척 청소년 의용군 대원들이었다. 당시 현지에는 일본 공산당 소속의 일본인 공산주의자들이 파견되어 사상 교육을 실시하기도 했는데, 이는 노사카 산조의 지시에 따라 오쓰카 유쇼大塚有章일본어를 책임자로 파견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코라 토미가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 홍십자회 대표와 교섭한 끝에 이들이 귀환하면서 일단락되었다.[17]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허강시는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광산은 확장되고 현대화되었으며, 연간 석탄 생산량은 크게 증가했다. 생산되는 석탄 대부분은 코크스 제조에 사용되는 고품질 유연탄이었고, 석탄 가스 생산에도 이용되었다. 생산된 석탄은 자무쓰에서 일부 소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철도를 통해 안양시, 허난성랴오닝성안산시, 번시시 등 다른 산업 도시로 운송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석탄 산업이 노동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핵심 산업이 되었다. 광산 개발과 생산량 증가는 계속되었지만, 1970년대 초 대규모 화력 발전 시설이 건설되면서 허강시의 산업 구조는 점차 다각화되기 시작했다.[3]

그러나 헤이룽장성의 4대 탄광 지역 중 하나로 발전했던 허강시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2011년 중국 중앙 정부는 허강시를 자원 고갈 도시로 지정했고, 이 무렵부터 경제 성장이 멈추기 시작했다.[18] 2021년에는 도시의 광업이 크게 쇠퇴한 상태였다.[4] 결국 2021년 12월 23일, 허강시 인민정부는 재정 상황 악화로 재정 재건 계획을 실시한다며 정부 직원 채용 중단을 공식 웹사이트에 공지했으나, 큰 파장을 일으키자 해당 공지를 삭제했다.

3. 지리

허강(허리 ) (1955)


허강시는 헤이룽장성 북동부에 위치하며, 위도 47° 04′−48° 9′ N, 경도 129° 40′−132° 31' E에 걸쳐 있다. 남동쪽으로는 자무스시, 서쪽으로는 이춘시와 접한다. 또한 아무르강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의 유대 자치주와 235km 길이의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소흥안령산맥이 시를 가로지르며, 주요 강으로는 아무르강과 쑹화강이 있다. 허강시의 전체 행정 면적은 14648km2이다.

3. 1. 기후

허강시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b/Dwa'')[5]로, 길고 혹독하게 추우면서 건조한 겨울과 습하고 따뜻한 여름을 보인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16.9°C에서 7월 21.9°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3.6°C이다. 연간 강수량의 약 2/3가 6월부터 8월 사이에 내린다. 역대 기록된 극값 기온은 최저 -38.5°C부터 최고 37.7°C까지이다.[20][21]

허강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 (°C)1.5°C7.7°C19°C29.4°C33.5°C36.8°C37.7°C34.9°C31.8°C25.8°C14.3°C4.8°C37.7°C
평균 최고 기온 (°C)-11.8°C-6.9°C1°C11.5°C19.4°C23.9°C26.6°C25°C19.9°C10.6°C-2.1°C-11.2°C8.8°C
일평균 기온 (°C)-16.9°C-12.6°C-4.3°C5.8°C13.6°C18.7°C21.9°C20.2°C14.2°C5.3°C-6.8°C-15.7°C3.6°C
평균 최저 기온 (°C)-21.1°C-17.8°C-9.7°C0.1°C7.7°C13.8°C17.6°C16°C9.1°C0.4°C-10.8°C-19.5°C-1.2°C
역대 최저 기온 (°C)-38.5°C-32.6°C-26.1°C-13°C-4.5°C5°C10.1°C7.1°C-2.4°C-15.7°C-26.5°C-32.7°C-38.5°C
강수량 (mm)4.75.515.528.368.2118.3152.6154.870.531.713.69.1672.8
평균 강수일수 (≥ 0.1 mm)5.14.15.77.611.814.515.115.011.16.95.66.6111.1
평균 강설일수8.16.38.94.70.200002.98.29.849.1
평균 상대 습도 (%)63575250567177786958606563
월평균 일조 시간172.6200.5237.4215.8219.3197.2194.2196.1209.3189.7154.4145.62,332.1
일조율 (%)62696453474241455657565653
출처: 중국기상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2010년)[20][21]


4. 행정 구역

허강시는 6개의 시할구와 2개의 으로 구성된다. 아래 정보는 미터법 단위이며, 2010년 인구 조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행정구역명한자|병음중국어면적 (km²)인구 (2010년)인구 밀도 (/km²)
1싱산 구兴山区|Xīngshān Qū중국어27km244,8031,659
2샹양 구向阳区|Xiàngyáng Qū중국어9km2110,91612,324
3궁눙 구工农区|Gōngnóng Qū중국어11km2140,07012,734
4난산 구南山区|Nánshān Qū중국어30km2119,0473,968
5싱안 구兴安区|Xīng'ān Qū중국어27km274,3962,755
6둥산 구东山区|Dōngshān Qū중국어4575km2175,23938
7뤄베이 현萝北县|Luóběi Xiàn중국어6761km2220,13133
8쑤이빈 현绥滨县|Suíbīn Xiàn중국어3344km2174,06352



'''행정 구역 연혁'''


  • 1966년 2월 8일: 합강전구 츠강시가 지급시인 '''츠강 시'''로 승격되었다. 시산 구, 신제지 구, 난산 구, 싱산 구, 싱안 구, 다루 구, 둥산 구, 신이 구가 설치되었다. (8개 구)
  • 1966년 8월 31일: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다. (8개 구)
  • * 시산 구 → '''샹양 구'''
  • * 신제지 구 → '''궁눙 구'''
  • * 난산 구 → '''둥펑 구'''
  • * 싱산 구 → '''훙웨이 구'''
  • * 싱안 구 → '''훙치 구'''
  • * 다루 구 → '''웨진 구'''
  • * 둥산 구 → '''췬리 구'''
  • * 신이 구 → '''팡슈 구'''
  • 1980년 4월 24일: 일부 구가 통폐합되고 명칭이 환원되었다. (6개 구)
  • * 둥펑 구와 웨진 구가 합병하여 '''난산 구'''가 발족했다.
  • * 췬리 구와 팡슈 구가 합병하여 '''둥산 구'''가 발족했다.
  • * 훙웨이 구가 '''싱산 구'''로 개칭되었다.
  • * 훙치 구가 '''싱안 구'''로 개칭되었다.
  • 1987년 11월 6일: 자무쓰 시 관할의 '''뤄베이 현'''과 '''쑤이빈 현'''이 편입되었다. (6개 구 2개 현)
  • 2011년 7월 14일: 둥산 구의 일부 지역이 싱산 구에 편입되었다. (6개 구 2개 현)

5. 경제

허강 시 현급구역


허강시는 동북3성 동부 지역의 경제벨트를 구성하는 13개 도시 중 하나이다. 주요 지하자원으로는 탄전이 풍부하다.

1949년 이후, 허강시는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광산이 확장되고 현대화되면서 연간 석탄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 생산되는 석탄은 대부분 코크스 제조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유연탄이며, 석탄 가스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생산된 석탄은 자무쓰시에서 일부 소비되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철도를 통해 허난성 안양시랴오닝성안산시, 번시시 등 다른 산업 도시로 운송된다. 1950년대 후반에는 석탄 산업이 노동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핵심 산업이었다. 이후에도 광산 개발과 생산량 증가는 계속되었지만, 1970년대 초 대규모 화력 발전 시설이 건설되면서 산업 다각화가 시작되었다.[3] 그러나 2021년에 이르러서는 도시의 광업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였다.[4]

2010년 허강시의 GDP는 전년 대비 16.1% 성장한 251억위안을 기록했으며, 이는 헤이룽장성 내 13개 지급시 중 10위에 해당한다.[9] 현재 허강시 경제는 농업과 축산업이 1차 산업의 두 축을 이루고 있으며, 산업 부문에서는 중공업이 지배적이다. 그 외 주요 산업으로는 농산물 가공, 식품 및 음료, 제약, 유제품 및 관련 제품, 임업,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이 있다.[10]

2006년에는 관광 총 수입이 57.6% 증가하는 등 관광 산업도 성장세를 보였다. 문화 자원으로는 허강박물관이 있는데, 1998년 10월에 개관하여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통해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다. 박물관 건물 면적은 2000m2에 달하며, 4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5. 1. 광산 사고

허강시 인근에서는 두 차례의 대규모 광산 사고가 발생했다.

2008년 9월, 부화광업유한공사(富華礦業有限公司중국어) 소유의 부화탄광(富華煤礦중국어)에서 석탄의 자연 발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여 광부 31명(사망 19명, 실종 12명)이 목숨을 잃었다.[11]

2009년 11월에는 헤이룽장 룽메이 광업 집단(Heilongjiang Longmay Mining Holding Group)이 운영하는 신싱탄광(新興煤礦중국어)에서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2009년 헤이룽장 광산 폭발 사고로 알려져 있다. 당시 작업 중이던 528명 중 420명은 구조되었으나, 100명 이상의 광부가 사망했다. 병원으로 이송된 생존자 60명은 골절, 가스 중독 또는 호흡기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12][13][14][15]

6. 인구

2020년 11월 인구 조사 기준으로 허강시의 민족 구성을 살펴보면, 한족이 전체 인구의 97.42%를 차지하여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22] 소수민족 중에서는 만주족(1.15%), 조선족(0.69%), 후이족(0.5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22]

6. 1. 민족 구성

wikitext

허강시 민족구성 (2020년 11월)[22]
민족이름한족만주족조선족후이족몽골족좡족시버족투자족다우르족먀오족기타 민족
인구 수868,26910,2736,1944,6471,086115114837673341
인구비율(%)97.421.150.690.520.120.010.010.010.010.010.04
소수민족 인구 중 비율(%)44.6626.9320.204.720.500.500.360.330.321.48


7. 교육

2019년 말 기준 허강시의 교육 기관 현황은 다음과 같다.

기관 종류기관 수학생 수졸업생 수
전일제 고등 교육 기관12,926915
전문 중등 학교75,6291,464
일반 중등 학교5037,98214,886
초등학교3629,7714,427
특수 교육 학교1191해당 없음
유치원14412,045해당 없음



주요 학교는 다음과 같다.


  • 허강시 제1고등학교
  • 鹤岗矿务局职工大学|허강광업국직공대학중국어
  • 鹤岗师范高等专科学校|허강사범고등전과학교중국어

8. 교통

이춘-허강 고속도로, 자무스-허강 고속도로, 허강-뤄베이 고속도로가 시내에 종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허강에서 헤이룽장성의 성도인 하얼빈까지는 차로 4시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다. 차로 1시간 거리에 아무르강의 주요 항구인 뤄베이 항구가 있으며, 역시 1시간 거리에 있는 자무스 둥자오 공항에서는 베이징, 다롄 등 중국 주요 도시로 가는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 '''철도'''
  • -- 중국 국가 철로 집단
  • * 중국철로 하얼빈 국 집단 유한공사
  • ** 허강 선
  • ** 허베이 선
  • '''고속도로'''
  • -- 허강고속도로 (G11)
  • '''국도'''
  • 중국 G201 국도 표지판
    G201 국도
  • 중국 G332 국도 표지판
    G332 국도
  • '''성도'''
  • 중국 101 성도 표지판
    101성도
  • 중국 312 성도 표지판
    312성도

9. 자매 도시

러시아 비로비잔 (유대 자치주)

10. 주요 인물


  • 친위하이: 중국의 정치가이자 사진 작가. 허강시 시장(1997년~1998년)을 지냈다.[16]
  • 리윈펑: 중국의 운동 선수, 코치, 정치가이다.
  • 류자위: 중국의 운동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a: Hēilóngjiā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2-03-08
[2] 웹사이트 Hegang - China culture http://scenery.cultu[...] 2011-09-22
[3] 서적 History of Hegang Heilongjiang People's Press
[4] 웹사이트 Coal, Once a Boon, Turns Chinese Rustbelt City Into a Bust https://www.sixthton[...] 2022-05-14
[5] 웹사이트 Climate map of Asia https://upload.wikim[...] 2011-11-22
[6]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7]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8] 웹사이트 鹤岗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8
[9] 웹사이트 2010年鹤岗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hlj.gov.c[...] Heilongjiang People's Government 2011-04-18
[10] 웹사이트 Profiles of China Provinces, Cities and Industrial Parks http://www.hktdc.com[...]
[11] 웹사이트 Two mining mishaps claim 56 lives https://www.chinadai[...] 2008-09-22
[12] 웹사이트 China mine explosion death toll reaches 92 https://www.reuters.[...] 2009-11-21
[13] 웹사이트 Danger all in a day's work for China mine rescuers https://www.terradai[...] 2009-11-25
[14] 웹사이트 China mine blast death toll passes 100 https://chinaeconomi[...] 2009-11-22
[15] 웹사이트 Chinese mine explosion kills more than 100 https://www.wsws.org[...] 2009-11-23
[16] 웹사이트 Senior Henan Legislator Falls under Scrutiny of Anti-Corruption Watchdog https://www.caixingl[...] 2014-09-22
[17]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18] 웹사이트 中国地方財政悪化が加速 黒竜江・鶴崗市が初の「破綻」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1-24
[19] 웹사이트 黑龙江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20]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5
[21]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5
[22] 웹인용 黑龙江省人口普查年鉴-2020 http://tjj.hlj.gov.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