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우장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우장성은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한 성으로, 1976년 껀터성, 속짱성, 끼엔장성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껀터성과 속짱성으로 분리되었고, 2003년 껀터성이 껀터시와 허우장성으로 재분리되었다. 현재 비타인시가 성도이며, 8개의 현급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2019년 기준 인구는 73만 명이며, 쌀 생산 중심지로서 쌀과 과일 재배가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콩강 삼각주 - 롱안성
    롱안성은 베트남 남부 경제 요충지이며,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고,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1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충청남도와 우호 교류 협력을 맺고 있다.
  • 메콩강 삼각주 - 빈롱성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부에 위치하며 쌀과 열대 과일 생산, 어업,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다양한 종교 및 민속 문화를 바탕으로 독특한 관광 자원을 보유한 베트남의 성이다.
  • 캄보디아의 영토 분쟁 - 롱안성
    롱안성은 베트남 남부 경제 요충지이며,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고,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1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충청남도와 우호 교류 협력을 맺고 있다.
  • 캄보디아의 영토 분쟁 - 빈롱성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부에 위치하며 쌀과 열대 과일 생산, 어업,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다양한 종교 및 민속 문화를 바탕으로 독특한 관광 자원을 보유한 베트남의 성이다.
  • 베트남의 영토 분쟁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베트남의 영토 분쟁 - 롱안성
    롱안성은 베트남 남부 경제 요충지이며,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고,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1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충청남도와 우호 교류 협력을 맺고 있다.
허우장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일반 정보
비타인 시 중심부에 있는 아시아 시계탑
비타인 시 중심부에 있는 아시아 시계탑
유형
별칭해당 없음
모토해당 없음
국가베트남
지역메콩강 삼각주
성도비타인
인구1,028,300명 (2023년 기준)
면적1622.23km²
인구 밀도자동 계산
HDI (2020년)0.693 (41위)
시간대ICT
UTC 오프셋+7
지역 번호293
ISO 코드VN-73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정치
인민위원회 의장쩐반후옌
인민위원회 위원장동반탄
경제
GDP29조 7630억 동 (12억 9300만 달러)
민족
민족 구성베트남인, 호아족, 참족, 크메르족

2. 역사

과거 인장


1976년 이전까지 '허우장'(Hậu Giang)이라는 명칭은 허우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1956년 이전에는 현재의 허우장성 지역이 껀터와 락자성에 나뉘어 속해 있었다. 1957년부터는 오늘날의 허우장성 지역이 껀터 지방에 속하게 되었다.

1975년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당시 성도였던 껀터시를 포함한 지역은 껀터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6년 3월, 이전의 껀터성, 속짱성, 그리고 끼엔장성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옛 허우장성이 설립되었다.

1991년 12월 26일, 옛 허우장성은 다시 껀터성과 속짱성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2003년 11월 26일, 껀터성은 현재의 껀터시(Thành Phố Cần Thơ)와 지금의 허우장성으로 다시 나누어져 오늘에 이른다.

3. 지리

허우장성은 메콩강 삼각주 내륙 지역에 위치하며, 허우강 하류와 인접해 있다. 지리적으로 메콩강 삼각주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 지역과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방향접경 지역
속짱성
끼엔장성
박리에우성
껀터시, 빈롱성



비투이현 낭마우 시진(Thị trấn Nàng Mau)


성의 수도는 비타인시로, 호찌민시에서 남서쪽으로 240km 떨어져 있다. 61번 국도를 통해 껀터시와 연결되며, 거리는 60km이다.[5]

허우장성은 허우강 하류에 위치하며, 강과 운하가 촘촘하게 얽힌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으로 남서 지역의 중심지인 껀터시와 가깝다. 주요 교통망으로는 총 120km의 국도가 있으며, 특히 61번 국도는 껀터시를 거쳐 허우강을 따라 호찌민시로 가는 1번 국도와 연결된다. 또한, 허우강으로 이어지는 운하와 강을 통한 수로 교통도 발달해 있다.

허우장성은 해수면 상승과 지속적인 지반 침하 문제에 취약한 지역이다. 현재 지면 높이를 기준으로 0.5m의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경우, 성 면적의 약 80%가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4]

4. 행정 구역

허우장성은 8개의 현급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이는 2개의 성 직할시(thành phố), 1개의 시사(thị xã), 그리고 5개의 (huyện)으로 구성된다. 성도는 비타인시이다.

이들 현급 행정 단위 아래에는 11개의 사급 시진(thị trấn), 51개의 (xã), 13개의 (phường)이 있다.

허우장성 행정 구역 지도

4. 1. 시 (Thành phố)


  • 비타인시 (Vị Thanh / 渭清vi) - 성도
  • 응아바이시 (Ngã Bảy / 我𠤩vi)

4. 2. 시사 (Thị xã)


  • 롱미 시사 (Long Mỹ|롱미vi / 隆美)

4. 3. 현 (Huyện)

5. 인구 통계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허우장성의 인구는 733,017명이며, 인구 밀도는 480PD/km2에 달했다.[6] 이 중 도시 인구는 186,371명으로 전체 인구의 25.4%를 차지하고[7], 농촌 인구는 546,646명으로 74.6%를 차지한다.[8] 성별로는 남성 366,206명[9], 여성 366,811명이다.[10] 인구 자연증가율은 0.33% 감소했다.[11] 허우장성은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 중 하나이다.

허우장성에는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2009년 10월 기준으로 소수 민족은 총 7,533가구, 35,268명이다. 주요 소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가구 수인구 수비고
크메르족5,537전체 인구의 3.16% 차지[12]
중국계1,9779,530[13]
참족, 에데족, 므엉족 등 기타58202[13]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허우장성에는 11개의 종교가 있으며, 총 종교 인구는 91,031명이다. 주요 종교별 신자 수는 다음과 같다.[14]

종교신자 수
불교45,996
까오다이교8,751
개신교4,226
호아하오교3,226
베트남 순토 불교1,315
히에우히에우교682
이슬람48
도교13
브라만교1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Biểu số 4.6: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Đồng Bằng Sông Cửu Long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Hậu Giang năm 2018 http://www.haugiang.[...] 2020-05-10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4] 논문 Mekong delta much lower than previously assumed in sea-level rise impact assessments 2019
[5] 웹사이트 지리적 위치 & 행정지도 http://www.haugiang.[...] 허우장성 인터넷 포털 2020-02-01
[6] 웹사이트 Diện tích, dân số và mật độ dân số năm 2011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7] 웹사이트 Dân số thành thị trung bình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8] 웹사이트 Dân số nông thôn trung bình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9] 웹사이트 Dân số nam trung bình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10] 웹사이트 Dân số nữ trung bình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11] 웹사이트 Tỷ lệ tăng tự nhiên dân số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12] 웹사이트 Dân tộc tại Hậu Giang http://www.cpv.org.v[...] Trang CPV
[13] 웹사이트 Đặc điểm tình hình dân tộc thiểu số tại Hậu Giang http://cema.gov.vn/i[...] UBND tỉnh Hậu Giang
[14] 웹사이트 Kết quả toàn bộ Tổng điều tra Dân số và Nhà ở Việt Nam năm 2009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