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준이는 대수기하학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난제를 해결한 수학자이다. 1983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성장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고,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리드 추측, 헤론-로타-웰시 추측 등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했으며, 2022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주의 수학자 - 마이클 프리드먼
    1951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수학자 마이클 프리드먼은 4차원 다양체 위상수학 분야의 업적과 4차원 푸앵카레 추측 증명으로 1986년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테이션 Q에서 위상 양자 컴퓨터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주의 수학자 - 로널드 그레이엄
    로널드 그레이엄은 1935년에 태어나 2020년에 사망한 미국의 수학자이며, 램지 이론, 그래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수학적 증명에 사용된 가장 큰 수인 그레이엄 수를 제시했으며, 벨 연구소와 럿거스 대학교 등에서 활동하며 미국 수학회 회장과 국제 저글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조합론자 - 프랭크 램지
    프랭크 램지는 1903년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논리철학 논고》 번역에 참여하고 램지 정리를 증명했으며, 경제학 연구를 수행하다 26세에 사망한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경제학자이다.
  • 조합론자 - 존 호턴 콘웨이
    영국의 수학자 존 호턴 콘웨이는 조합 게임 이론, 유한군, 매듭 이론, 정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특히 라이프 게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마틴 가드너와의 협업을 통해 대중들에게 수학의 즐거움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허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년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의 허준이
2018년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의 허준이
이름허준이
원어 이름June Huh
로마자 표기Heo Juni
한자 표기許埈珥
출생1983년 6월 9일
출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국적미국
배우자나영 김
자녀2명
학력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수리과학부 학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석사
미시간 대학교 수학과 박사
박사 학위 취득 연도2014년
박사 학위 논문 제목순열면체 다양체에서의 로타 추측과 대수적 순환의 양성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미르체아 무스타처(Mircea Mustață)
경력
소속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주요 연구 분야대수기하학조합론 문제에 응용
수상
수상 내역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2017)
뉴 호라이즌 수학상(2019)
삼성호암상 과학상(2021)
필즈상(2022)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 2022)
참고 자료
홈페이지June Huh's Home Page
IAS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 생애

허준이는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고 있었다. 그의 가족은 그가 2살 때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1][6] 그의 아버지는 허명회고려대학교 통계학 교수였고, 어머니는 이인영으로 서울대학교 러시아어 교수였다.[1][6][17][18]

허준이는 서울대학교 재학 중 만나 결혼한 김나영과 결혼했다. 김나영은 서울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고 있다.

2. 1. 학창 시절 및 학위 과정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퍼드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 중이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허명회이다. 2살 때 귀국하여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 중학교를 졸업했으나 고등학교는 중퇴했다.

2002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2009년 동 대학에서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와 김영훈 교수의 지도 하에 수리과학부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가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Mircea Mustață|미르체아 무스타처영어 교수의 지도 하에 2014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9][30] 그는 박사 학위 논문으로 서머 바이어런 마이어스 상을 수상했다.[9]

학부 초기에 일본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지도를 받았다. 히로나카는 객원 교수로 서울대학교에 왔었다.[1] 여러 과목에서 낙제한 허준이는 6학년 때 히로나카의 지도 아래 대수기하학 수업을 들었는데, 이 수업은 기존의 교재보다는 히로나카의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특이점 이론에 초점을 맞추었다. 허준이는 이 수업이 연구 수준의 수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고 말했다.[6] 이후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히로나카와 함께 일본을 자주 방문하여 그의 개인 비서 역할을 했다.[6]

3. 주요 연구 업적

허준이는 대수기하학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리드 추측을 증명하였고,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 추측을 증명하였다.[39] 2015년에는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해결하였다.[31]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평가한다.[31]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31]

허준이는 "조합론에 호지 이론의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기하 격자에 대한 Dowling–Wilson 추측을 증명하고, 매트로이드에 대한 Heron–Rota–Welsh 추측을 증명하고, 로렌츠 다항식 이론을 개발하고, 강력한 Mason 추측을 증명한 공로"로 2022년 필즈상을 수상했다.[15]

3. 1. 리드 추측 증명

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39] 리드 추측은 그래프의 꼭지점 채색 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색의 수를 변수로 하는 채색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31] 1968년 제기된 이 추측을 2012년 박사과정 재학 중 대수기하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증명하였다.[31]

가장 간단한 구조인 삼각형의 꼭짓점을 칠하는 경우의 채색 다항식

:n\times(n-1)\times(n-2) = n^3 - 3n^2+2n

이며, 계수의 절대값은 1, 3, 2이다.

2009년, 허준이는 박사 학위 과정 중 40년 이상 해결되지 않았던 그래프 이론에서 색다항식 계수의 단봉성에 관한 Read의 추측을 증명했다.[6][10]

3. 2. 헤론-로타-웰시 추측 해결

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39] 리드 추측은 그래프의 꼭지점 채색 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색의 수를 변수로 하는 채색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31]

가장 간단한 구조인 삼각형의 꼭짓점을 칠하는 경우의 채색 다항식

:n\times(n-1)\times(n-2) = n^3 - 3n^2+2n

이며, 계수의 절대값은 1, 3, 2이다. 1968년 제기된 이 추측을 2012년 박사과정 재학 중 대수기하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증명하였다.[31]

2015년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해결하였다.[31]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 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다.[31]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31] 카림 아디프라시토, 에릭 카츠와 공동 연구를 통해 매트로이드의 특성 다항식에 대한 로그 오목성에 관한 Heron–Rota–Welsh 추측을 해결했다.[11][1]

3. 3.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연결

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39] 리드 추측은 그래프의 꼭지점 채색 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색의 수를 변수로 하는 채색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31]

가장 간단한 구조인 삼각형의 꼭짓점을 칠하는 경우의 채색 다항식

:n\times(n-1)\times(n-2) = n^3 - 3n^2+2n

이며, 계수의 절대값은 1, 3, 2이다. 1968년 제기된 이 추측을 2012년 박사과정 재학 중 대수기하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증명하였다.[31]

2015년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해결하였다.[31]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 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다.[31]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31]

2009년, 허준이는 박사 학위 과정 중 40년 이상 해결되지 않았던 그래프 이론에서 색다항식 계수의 단봉성에 관한 Read의 추측을 증명했다.[6][10] 카림 아디프라시토, 에릭 카츠와 공동 연구를 통해 매트로이드의 특성 다항식에 대한 로그 오목성에 관한 Heron–Rota–Welsh 추측을 해결했다.[11][1]

3. 4. 필즈상 수상 (2022)

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39] 리드 추측은 그래프의 꼭지점 채색 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색의 수를 변수로 하는 채색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31]

2015년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해결하였다.[31]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 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다.[31]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31]

허준이는 아래의 업적을 이유로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2022년 필즈상을 수상하였다.[32]

  • 호지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 기하적 격자에서 Dowling-Wilson 추측의 증명
  • 매트로이드에서 Heron-Rota-Welsh 추측의 증명
  •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 강한 Mason 추측의 증명


2009년, 허준이는 박사 학위 과정 중 40년 이상 해결되지 않았던 그래프 이론에서 색다항식 계수의 단봉성에 관한 Read의 추측을 증명했다.[6][10] 카림 아디프라시토, 에릭 카츠와 공동 연구를 통해 매트로이드의 특성 다항식에 대한 로그 오목성에 관한 Heron–Rota–Welsh 추측을 해결했다.[11][1]

허준이는 "조합론에 호지 이론의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기하 격자에 대한 Dowling–Wilson 추측을 증명하고, 매트로이드에 대한 Heron–Rota–Welsh 추측을 증명하고, 로렌츠 다항식 이론을 개발하고, 강력한 Mason 추측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필즈상을 수상했다.[15]

허준이는 동아시아 혈통으로는 7번째, 한국계로는 최초로 이 상을 수상했다.[16]

4. 경력

5.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2014미시건 대학교 섬너 마이어스 박사학위논문 상[42]
2014미시건 대학교 콘웰 상
2017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43]
2018세계 수학자 대회 (리우데자네이루) 초청 강연[44][45]
2019뉴 호라이즌 수학상[46]
2021삼성호암상 과학상[47]
2022필즈상[32]
2022맥아더 상
2022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참조

[1] 저널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https://www.quantama[...] 2021-10-16
[2] 웹사이트 June Huh's Home Page https://web.math.pri[...] 2021-07-07
[3] 웹사이트 June Huh https://www.ias.edu/[...] 2019-08-07
[4] 뉴스 Fields Medals in Mathematics Won by Four Under Age 40 https://www.nytimes.[...] 2022-07-05
[5] 저널 The Work of June Huh https://www.mathunio[...] 2022-07-05
[6] 간행물 He Dropped Out to Become a Poet. Now He's Won a Fields Medal. https://www.quantama[...] 2022-07-05
[7] 뉴스 Late-blooming mathematician busts the child prodigy myth https://www.afr.com/[...] 2021-10-16
[8] MathGenealogy
[9] 웹사이트 Department Awards https://lsa.umich.ed[...] University of Michigan 2022-08-29
[10] 문서 Kalai, pp. 2–4.
[11] 웹사이트 Combinatorics and more https://gilkalai.wor[...] 2017-07-01
[12] 웹사이트 Break on Through https://blogs.ams.or[...]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8-10-18
[13] 웹사이트 June Huh http://blavatnikawar[...] 2022-07-05
[14] 뉴스 June Huh becomes 1st scholar of Korean descent to win Fields Medal https://www.koreatim[...] 2022-07-05
[15] 웹사이트 Fields medal short citation https://www.mathunio[...] 2022-07-05
[16] 웹사이트 허준이 교수, 한국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쾌거(종합2보) https://www.sciencet[...] 2022-07-30
[17] 웹사이트 韓国系数学者初の快挙 ホ・ジュニ教授がフィールズ賞受賞 https://jp.yna.co.kr[...] 2022-08-10
[18] 웹사이트 フィールズ賞受賞のホ・ジュンイ教授「中学生の時にチェスパズルを解いて数学を経験」 https://www.donga.co[...] 2022-08-10
[19] 웹사이트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 d라이브러리' https://mdl.dongasci[...] 2022-08-10
[20] 문서 2002年、物理学科に入学。その後、2006年に物理学科と天文学科が物理天文学部に統合。
[21] 문서 2009年に[[イリノイ大学アーバナ・シャンペーン校]]の数学科博士課程に入学後、2011年に[[ミシガン大学]]に編入。
[22] 웹사이트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https://www.quantama[...] 2022-08-10
[23] 웹사이트 June Huh {{!}} Clay Mathematics Institute https://www.claymath[...] 2022-08-10
[24] 웹사이트 KIAS Scholars http://www.kias.re.k[...] 2022-08-10
[25] 웹사이트 Awards & Fellowships {{!}} U-M LSA Mathematics https://lsa.umich.ed[...] 2022-08-10
[26] 웹사이트 Invited Section Lectures Speakers {{!}} ICM 2018 http://www.icm2018.o[...] 2022-08-10
[27] 웹사이트 Breakthrough Prize – Mathematics Breakthrough Prize Laureates – June Huh https://breakthrough[...] 2022-03-23
[28] 웹사이트 역대 수상자 - 호암재단 http://www.hoamfound[...] 2022-08-10
[29] 웹인용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https://www.quantama[...] 2022-07-06
[30] 웹인용 June Huh, High School Dropout, Wins the Fields Medal https://www.quantama[...] 2022-07-06
[31] 뉴스 "수학 우주에 '조합론'과 '대수기하' 잇는 웜홀 만들어" https://www.yna.co.k[...] 2022-07-08
[32] 웹인용 June Huh's CV https://web.math.pri[...]
[33] 저널 The Work of June Huh https://www.mathunio[...] 2022-07
[34] arXiv 인용 Combinatorial geometry takes the lead
[35] 웹인용 Combinatorics and Hodge theory https://www.mathunio[...]
[36] 웹인용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http://dl.dongascien[...] null
[37] 문서
[38] 문서
[39] 저널인용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https://www.quantama[...] 2021-10-16
[40] URL https://www.claymath[...]
[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ias.re.k[...] 2019-11-12
[42] URL https://prod.lsa.umi[...]
[4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ny.koreadai[...] 2019-11-10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cm2018.o[...] 2019-11-10
[45] Youtube https://www.youtube.[...]
[46] 웹인용 Breakthrough Prize – Mathematics Breakthrough Prize Laureates – June Huh https://breakthrough[...] 2022-03-23
[47] 웹인용 삼성호암상 역대 수상자 http://www.hoamfound[...] 2022-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