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헝가리 현악 4중주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1935년 예뇌 후바이와 샨도르 베그의 제자들에 의해 결성된 현악 4중주단이다. 1935년 데뷔 후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으며, 벨러 버르토크의 제5 현악 4중주 헝가리 초연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네덜란드에서 베토벤의 현악 4중주곡을 연구했으며, 1950년 미국에 정착하여 1972년까지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 주요 음반으로는 베토벤 현악 4중주 전곡, 슈베르트, 슈만, 하이든, 모차르트, 차이콥스키, 보로딘, 코다이, 빌라로부스, 바르토크의 작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음악 그룹 - 뉴튼 패밀리
    뉴튼 패밀리는 1965년 헝가리에서 결성되어 1977년 이름을 변경 후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국과 인연이 깊어 서울 국제 가요제 수상 및 올림픽 개막식 공연에 참여했고 해체 후 재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 중인 밴드이다.
  • 헝가리의 음악 그룹 - 애프터 크라잉
    애프터 크라잉은 1986년 헝가리에서 결성되어 프로그레시브 록, 클래식, 헝가리 민속 음악을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로 헝가리 음악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프로그레시브 록 발전에 기여한 밴드이다.
  • 1935년 설립 - 캠프 데이비드
    캠프 데이비드는 메릴랜드주 캐탁틴 산맥에 위치한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1938년 휴양 시설로 개장 후 1942년 대통령 별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국제 회담 및 외교 협상 장소로 활용되어 왔다.
  • 1935년 설립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은 기쿠치 칸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기려 제정한 일본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신인 및 중견 작가의 단편 및 중편 소설을 대상으로 매년 두 차례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회중시계가 수여되고 문예춘추에 수상작이 게재되지만, 저널리즘적 성격과 심사 과정, 심사위원 구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헝가리 현악 4중주단
기본 정보
헝가리 현악 4중주단
헝가리 현악 4중주단
활동 기간1935년 ~ 1972년
국적헝가리
장르클래식 음악
악기현악 사중주
구성원
제1 바이올린졸탄 세케이 (Zoltán Székely) (1937년 - 1972년)
페렌츠 가버 (Ferenc Gábriel) (1935년 - 1937년)
제2 바이올린페테르 코모로시 (Péter Komlós) (1937년 - 1972년)
샨도르 벨러 (Sándor Végh) (1935년 - 1937년)
비올라데죄 코로모즈 (Dénes Koromzay)
첼로빌모스 팔로타이 (Vilmos Palotai)
추가 정보
관련 인물샨도르 벨러
졸탄 세케이

2. 역사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1937년 예뇌 후바이 문하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초기 멤버는 제1바이올린 졸탄 세켈리, 제2바이올린 샨도르 베그, 비올라 데네시 코롬자이, 첼로 팔 헤르만이었다. 이들은 이미 1935년에 데뷔하여 빠르게 성공 가도를 달렸으며, 특히 벨러 버르토크의 제5 4중주단을 작곡가와 함께 연구하고 헝가리 초연을 성공적으로 연주하며 명성을 얻었다. 1938년까지 서유럽 주요 도시에서 연주회를 가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4중주단은 네덜란드에 머물게 되었고, 이 기간 동안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현악 4중주곡 전곡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는 1945년 전쟁 이후 그들이 세계적인 명성을 쌓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1950년,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미국에 정착하여 활동 기반을 옮겼다. 이후 몇 차례 멤버 교체가 있었으며, 1972년까지 활발한 연주 활동과 후학 양성을 병행했다. 미국 정착 후에도 1957년 보스턴의 피보디 메이슨 콘서트 시리즈 공연[1], 1958년 남아프리카 투어[2] 등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2. 1. 결성 초기 (1935-1940)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1937년에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 멤버는 예뇌 후바이 문하생이었던 바이올리니스트 졸탄 세켈리(제1바이올린)와 첼리스트 팔 헤르만, 그리고 바이올리니스트 샨도르 베그(제2바이올린)와 비올리스트 데네시 코롬자이였다. 이들은 이미 1935년에 데뷔하여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다.

벨러 버르토크와 친분이 있던 세켈리의 주도로,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버르토크의 제5 4중주단을 작곡가와 함께 연구했으며, 이 곡의 헝가리 초연을 성공적으로 연주하며 이름을 알렸다. 1938년까지 이들은 서유럽의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연주회를 가졌다.

1940년, 제2바이올린 주자였던 샨도르 베그는 자신의 베그 4중주단을 창단하기 위해 4중주단을 떠났고, 그의 후임으로 러시아 출신의 알렉산드르 모슈코프스키(Alexandre Moszkowsky)가 영입되었다.

2. 2. 네덜란드에서의 활동과 베토벤 (1940-1956)

1940년, 제2 바이올린 주자 샨도르 베그가 베그 4중주단을 창단하기 위해 탈퇴하고, 러시아 출신의 알렉산드르 모슈코프스키(Alexandre Moszkowsky)가 그 자리를 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네덜란드에 머물게 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현악 4중주곡 전곡을 깊이 있게 연구했다. 이 집중적인 연구는 1945년 전쟁이 끝난 후 그들이 세계적인 명성을 얻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1950년, 4중주단은 활동 무대를 미국으로 옮겨 정착했다. 1956년경에는 첼로 연주자가 교체되었다.

2. 3. 미국 정착과 멤버 교체 (1956-1972)

1950년,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미국에 정착했다. 이후 멤버 교체가 이루어졌는데, 1956년경에는 첼로 연주자가, 1960년경에는 제2 바이올린 연주자가 바뀌었다. 새롭게 구성된 4중주단은 1972년까지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갔으며, 동시에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새로운 구성으로 활동하던 시기, 1957년에는 보스턴에서 피보디 메이슨 콘서트(Peabody Mason Concert) 시리즈 공연을 가졌고,[1] 1958년에는 남아프리카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현지 청중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2]

1966년에 발매된 베토벤 사이클 음반 녹음 당시 멤버들이 사용한 악기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연주자악기제작 연도제작자/종류
졸탄 세켈리'미켈란젤로'1718스트라디바리우스
쿠트너(Kuttner)'산타 테레사'1704과르네리 (Petrus Guarnerius)
데네시 코롬자이(Dénes Koromzay)비올라1766M. 데카네(M. Decanet)
머저르(Magyar)첼로1706알레산드로 갈리아노(Alessandro Gagliano)


3. 구성원

활동 기간제1 바이올린제2 바이올린비올라첼로
1935–1937산도르 베그(Sándor Végh)페테르 세르반스키(Péter Szervánszky)데네스 코롬자이(Dénes Koromzay)팔 헤르만(Pál Hermann)
1937–1940졸탄 세케이(Zoltán Székely)산도르 베그(Sándor Végh)
1940–1956알렉상드르 모스즈코프스키(Alexandre Moszkowsky)빌모스 팔로타이(Vilmos Palotai)
1956–1959가보르 마자르(Gábor Magyar)
1959–1972미하이 쿠트너(Mihály Kuttner)


4. 주요 작품 및 음반

헝가리 현악 4중주단은 폭넓은 레퍼토리를 녹음했으며, 특히 베토벤과 바르토크의 현악 4중주 전곡 녹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베토벤 현악 4중주 전곡은 두 차례에 걸쳐 녹음되었다. 첫 번째는 1953년 파리에서 모노로 녹음되었으며, 당시 멤버는 졸탄 세켈리, 알렉상드르 모스코프스키, 데네스 코롬자이, 빌모스 팔로타이였다. 두 번째 녹음은 1960년대에 스테레오로 이루어졌으며, 제2바이올린 주자가 미카엘 쿠트너로, 첼리스트가 가보르 마자르로 교체된 후의 라인업(세켈리-쿠트너-코롬자이-마자르)으로 진행되었다. 이 스테레오 녹음은 영국에서 1966년 His Master's Voice(HMV) 레이블의 HQS 시리즈로 발매되었다.

또한, 바르토크의 현악 4중주 6곡 전곡 녹음(1962년, 도이체 그라모폰) 역시 이들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작곡가들의 작품을 녹음했으며, 상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그 외 주요 음반


  •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D 810''(Nixa LP CLP 1152) (1952년경).
  •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D 810''(Vox LP STPL 512.520).
  •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5번 C장조 D 887''(Columbia CX 1566) (EMG 리뷰 1958년 9월).
  •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A장조 '송어' D 667'' 루이 켄트너(피아노), 게오르그 횓트나겔(콘트라베이스)과 함께 (Vox STPL 512.690).
  • 슈만: ''피아노 5중주 내림 마장조 작품 44'', 조지 솔차니(피아노)와 함께. (세켈리-모스코프스키-코롬자이-마자르 라인업) (Discophiles Français LP DF 730.030).
  • 하이든: ''현악 4중주 작품 64 5번; 작품 76 2번''(Columbia LP CX 1527) (EMG 리뷰 1958년 7월).
  • 하이든: ''현악 4중주 D장조 작품 64 5번; F장조 작품 77 2번''(Vox STPL 512.080).
  • 모차르트: ''현악 4중주 내림 마장조 K 428; A장조 K 464''(Columbia LP CX 1599). (EMG 리뷰 1959년 5월).
  • 모차르트: ''현악 4중주 내림 나장조 K 458; C장조 K 475''(STPL 512.130).
  • 차이콥스키: ''현악 4중주 1번 D장조 작품 11''(Columbia LP CX 1581). (EMG 리뷰 1959년 3월).
  • 보로딘: ''현악 4중주 2번 D장조''(Columbia LP CX 1581). (EMG 리뷰 1959년 3월).
  • 코다이: ''현악 4중주 2번 D장조''(Columbia LP CX 1614) (EMG 리뷰 1959년 1월).
  • 빌라로부스: ''현악 4중주 6번''(Columbia LP CX 1614) (EMG 리뷰 1959년 1월).
  • 바르토크: ''6개의 현악 4중주''(Deutsche Grammophon 138650, 138651 & 138652, 1962).


이 외에도 베토벤 현악 4중주 전곡을 두 차례 녹음했으며, 두 녹음 모두 파리에서 진행되었다.

  • 1953년 모노 녹음: 졸탄 세켈리 - 알렉상드르 모스코프스키 - 데네스 코롬자이 - 빌모스 팔로타이
  • 1960년대 스테레오 녹음: 졸탄 세켈리 - 미카엘 쿠트너 - 데네스 코롬자이 - 가보르 마자르. 이 녹음은 영국에서 1966년 His Master's Voice(HMV) 레이블의 HQS 시리즈로 발매되었다.

참조

[1] 뉴스 Hungarian Quartet plays Beethoven and Bartok Boston Globe 1957-11-09
[2] 웹사이트 Celebrated musicians' concert tours of Southern Africa 1953 -1978: Vegh Quartet, Hungarian Quartet http://classicalmusi[...] 2014-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